KR19990056195A - 전화기에서 수광소자를 이용한 벨소리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에서 수광소자를 이용한 벨소리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6195A
KR19990056195A KR1019970076189A KR19970076189A KR19990056195A KR 19990056195 A KR19990056195 A KR 19990056195A KR 1019970076189 A KR1019970076189 A KR 1019970076189A KR 19970076189 A KR19970076189 A KR 19970076189A KR 19990056195 A KR19990056195 A KR 19990056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receiving element
light receiving
termina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6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6195A/ko
Publication of KR1999005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195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전화기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전화기에서 주야간을 검출하여 자동으로 벨소리를 조절하는 장치.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전화기에서 링거음 조절장치가, 링거음을 조절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단에 제1저항과 수광소자를 연결하고, 제1저항과 수광소자의 접점을 수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칭 소자의 제어단에 연결하며, 스위칭 소자의 제어단과 제1저항 사이에 정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캐패시터를 연결하고, 스위칭 소자의 출력단은 제3저항을 통해 접지하며, 링거아이시의 출력단은 제3저항 및 제4저항을 통해 스피커에 연결하고, 제3저항과 제4저항의 접점과 스위칭 소자의 출력단 사이에 제5저항을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수광소자를 이용한 벨소리 조절장치.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벨소리를 출력하는 모든 전화기

Description

전화기에서 수광소자를 이용한 벨소리 조절장치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벨소리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광소자를 이용하여 야간시 벨소리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링신호 수신시 호출을 알리는 방법으로 링거음을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전화의 수신을 알리게 된다. 또한 요즘 제품화되어 판매되는 전화기에서는 상기 링거음을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간과 야간에 링거음을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매번 링거음의 수신량을 수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사용자가 링거음을 변환하지 않은 경우 특히 야간에 어린이가 자는 방이나 또는 모든 사람이 자는 경우에 상기 전화기의 링거음을 크게 설정하면 상기 전화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링거음은 모든 사람의 취침을 방해하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야간에 링거음을 작게 설정하고 다시 링거음 출력의 크기를 다시 크게 설정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호의 수신을 명확하게 알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광소자를 이용하여 링거음의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링거음 조절장치가, 링거음을 조절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단에 제1저항과 수광소자를 연결하고, 상기 제1저항과 수광소자의 접점을 상기 수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칭 소자의 제어단에 연결하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어단과 상기 제1저항 사이에 정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캐패시터를 연결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의 출력단은 제3저항을 통해 접지하며, 링거아이시의 출력단은 제3저항 및 제4저항을 통해 스피커에 연결하고, 상기 제3저항과 제4저항의 접점과 상기 스위칭 소자의 출력단 사이에 제5저항을 연결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음 조절을 위한 상세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음 조절을 위한 상세 회로도이다.
먼저 상기 도 1의 구성을 살펴본다. 전원단 Vs는 가변저항 R1의 한단에 연결되며, 상기 가변저항 R1의 다른 한단은 수광소자인 Cds를 통해 상기 전원단 Vs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가변저항 R1과 상기 수광소자인 Cds의 접점에 캐패시터 C1을 통해 상기 전원단의 한측에 연결되며, 상기 가변저항 R1과 상기 수광소자의 접점은 또한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단에 연결된다. 상기 트랜지스터 Q1은 엔피엔(NPN)형으로 에미터단은 접지되고, 콜렉터단은 저항 R2를 통해 상기 전원단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단과 상기 저항 R2의 접점은 저항 R3를 통해 접지되며, 상기 트랜지스터 Q1과 상기 저항 R2의 접점은 또한 저항 R4를 통해 스피커의 앞단에 연결된 저항 R6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저항 R6과 상기 저항 R4의 점점은 저항 R5를 통해 상기 전화기의 링거아이시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수광소자로서 황하카드뮴을 소재로한 Cds는 빛을 검출하여 빛이 수광되는 동안 상기 Cds는 저항성이 감소하며, 빛이 차단되면 저항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빛이 조광되는 주간에는 상기 Cds는 저항성이 감소하여 상기 수광소자인 Cds의 양단전압은 적게 걸린다. 따라서 상기 캐패시터 C1에 충전되는 전하는 미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트랜지스터 Q1을 턴온 시킬수 있는 전압이 되지 못하게 된다.따라서 상기 빛이 조광되는 동안 상기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단은 하이(High)의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저항 R3 및 상기 저항 R4에 인가되는 전압은 하이전압이 된다.
이때 상기 링거아이시의 출력단을 살펴보면 상기 전화기로 링신호가 수신된어 상기 링거아이시에서 링신호를 출력할 경우 상기 저항 R5 및 상기 저항 R6를 통해 상기 스피커 SPK로 링거음을 출력하게된다. 이때 빛이 조광되는 주간이므로 상기 저항 R5와 상기 저항 R6의 접점에 인가되는 전압은 하이 전압이 된다. 따라서 상기 링거음을 출력하는 전압은 모두 상기 스피커로 출력된다.
한편 빛이 차단된 야간의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수광소자인 Cds는 빛이 차단되면 상기 수광소자인 Cds의 저항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전원단 Vs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가변저항 R1과 상기 수광소자인 Cds에 의해 분압되어 상기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수광소자인 Cds의 저항성이 충분히 증가하여 상기 트랜지스터 Q1이 턴온될 수 있는 전압으로 충분히 높게 인가될 경우 상기 트랜지스터 Q1은 턴온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단의 전압은 로우(Low)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저항 R3 및 상기 저항 R4에 인가되는 전압은 로우레벨로 천이한다.
이때 상기 전화기로 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링거아이시를 통해 출력되는 링거음은 상기 저항 R5 및 상기 저항 R6를 통해 상기 스피커 SPK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저항 R5 및 상기 저항 R6의 접점에 연결된 상기 저항 R4의 전압이 로우상태이므로 상기 링거음을 출력하는 전류의 상당량이 상기 저항 R4를 통해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 SPK로 출력되는 링거음은 작은 소리로 출력된다.
또한 야간의 검출은 상기 가변저항을 조절함으로써 광량을 검출하는 부분을 사용자로 하여금 검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수광소자는 황하카드뮴을 소재로한 Cds 셀을 사용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상기 수광소자로는 포토 트랜지스터, 포토 다이오드 및 포토셀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서술된 소자는 빛을 검출할 경우 저항성이 감소하는 네가티브형 소자로 설명되었으나. 빛을 수광할 경우 전압을 발생하거나 또는 저항성이 증가하는 포지티브형 수광소자를 사용하여 상기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트랜지스터 Q1을 두단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트랜지스터를 피엔피형으로 구성하면 이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전화기에서 빛을 검출하여 전화기의 벨소리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주간 및 야갼시 빛을 검출하여 자동으로 링거음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라 취침시 방해를 받지 않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가변저항을 조절하여 야간시에 출력되는 벨소리의 출력값을 변환하도록 함으로써 야간시에 출력되는 벨소리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전화기에서 링거음 조절장치에 있어서,
    링거음을 조절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단에 제1저항과 수광소자를 연결하고,
    상기 제1저항과 수광소자의 접점을 상기 수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칭 소자의 제어단에 연결하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어단과 상기 제1저항 사이에 정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캐패시터를 연결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의 출력단은 제3저항을 통해 접지하며,
    링거아이시의 출력단은 제3저항 및 제4저항을 통해 스피커에 연결하고,
    상기 제3저항과 제4저항의 접점과 상기 스위칭 소자의 출력단 사이에 제5저항을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수광소자를 이용한 벨소리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가,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제어단을 베이스단으로 하고 출력단을 콜렉터단으로 하며 에미터단은 접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수광소자를 이용한 벨소리 조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항이,
    가변저항으로 구성하여 상기 수광소자에서 검출되는 빛의 량을 검출하는 범위를 조절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수광소자를 이용한 벨소리 조절장치.
KR1019970076189A 1997-12-29 1997-12-29 전화기에서 수광소자를 이용한 벨소리 조절장치 KR19990056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189A KR19990056195A (ko) 1997-12-29 1997-12-29 전화기에서 수광소자를 이용한 벨소리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189A KR19990056195A (ko) 1997-12-29 1997-12-29 전화기에서 수광소자를 이용한 벨소리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195A true KR19990056195A (ko) 1999-07-15

Family

ID=6617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189A KR19990056195A (ko) 1997-12-29 1997-12-29 전화기에서 수광소자를 이용한 벨소리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61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924B1 (ko) * 1998-12-11 2007-05-08 교와 메덱스 가부시키가이샤 1,5-안하이드로글루시톨의 정량 분석법 및 시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924B1 (ko) * 1998-12-11 2007-05-08 교와 메덱스 가부시키가이샤 1,5-안하이드로글루시톨의 정량 분석법 및 시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511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이어-마이크 폰을 위한 이어폰 마이크바이어스 전원 공급회로
KR100506283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이용한이어-마이크로폰 연결 장치
US20060255812A1 (en) Low-power switch state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and mobile telephone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6526294B1 (en) Automatic control circuit for enabling and disabling the supply voltage in a short range wireless device
US4595795A (en) Automatic sensitivity switching circuit for a cordless telephone
KR19990056195A (ko) 전화기에서 수광소자를 이용한 벨소리 조절장치
CA2078041A1 (en) Ring trip detection circuit
KR940008109B1 (ko) 전화기 링 신호의 음량 조절 회로
US20040097275A1 (en) Cordless telephone
KR100893295B1 (ko)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
KR950010383Y1 (ko) 전화착신음량 자동조절 회로
KR0124524Y1 (ko) 전화기의 뮤트 링거회로
KR910003757Y1 (ko) 자동응답 전화기의 음량 조절회로
KR950000722Y1 (ko) 전화벨 음량 자동조절회로
KR100523142B1 (ko) 피디엠신호를 이용한 부하제어장치
KR200250824Y1 (ko) 통화상태 감지기능을 갖춘 핸드폰용 이어마이크
KR960001836Y1 (ko) 대상체의 위치 발견용 페이지 장치
KR200180966Y1 (ko) 무선전화기의 급속충전 장치
KR960000103Y1 (ko) 다중 무선 전화기의 통화차단 방지회로
KR910005529Y1 (ko) 전화기의 벨신호 제어회로
KR100365577B1 (ko) 전화훅스위치인터페이스회로
KR950001234Y1 (ko) 무선전화기핸드셋 충전요구표시회로
KR100251408B1 (ko) 통신단말기의광도에따른링발생장치
KR900008494Y1 (ko) 전화기의 자동 조명등 회로
KR200261264Y1 (ko) 휴대전화용 핸즈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