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612Y1 -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 - Google Patents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612Y1
KR960000612Y1 KR2019910022279U KR910022279U KR960000612Y1 KR 960000612 Y1 KR960000612 Y1 KR 960000612Y1 KR 2019910022279 U KR2019910022279 U KR 2019910022279U KR 910022279 U KR910022279 U KR 910022279U KR 960000612 Y1 KR960000612 Y1 KR 960000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sistor
circuit
ring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2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868U (ko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금성정보통신주식회사
정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정보통신주식회사, 정장호 filed Critical 금성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2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612Y1/ko
Publication of KR9300168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8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6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72Subscriber line supervision circuits, e.g. call detec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
제 1 도는 종래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에 대한 회로도
제 2 도는 전화기의 병렬연결을 나타낸 등가 회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에 대한 구성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링 오프 감지회로의 상세도
제 5 도는 링신호를 나타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링 신호 발생기 2,19 : 릴레이
3 : 전원유지회로 20 : 링 오프 감지회로
30 :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
본 고안은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가입자에 여러대의 전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할때에 링 신호의 차단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교환기 측에서 가입자측의 전화기로 링신호를 출력할 경우 사용자가 전화기의 후크 스위치를 오프훅 시킬때 사설교환기가 이를 감지하여 링 신호를 차단하게 된다.
종래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는 링신호 발생기(1), 릴레이(2), 전원유지회로(3), 매칭 트랜스포머(4), 매칭회로(5), 콤보(Combo)회로(6), 비교기(7), 릴레이 제어회로(8), 다이오드(DI) 및 복수의 저항으로 연결 구성된다. 링신호 발생기(1)는 링 신호를 릴레이(2)에 공급하고, 전원유지회로(3)는 가입자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매칭 트랜스포머(4)는 사설교환기와 가입자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사설 교환기와 가입자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킨다.
매칭회로(5)는 가입자와 사설교환기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의 손실을 방지하고, 콤보회로(6)는 단자(11, 12)를 통해 사설교환기로 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가입자 측으로 출력하고 가입자로 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단자(11, 12)를 통해 사설교환기 측으로 출력한다.
비교기(7)는 링신호 발생기(1)로 부터의 링 신호가 가입자에게 보내진 후 전화기의 후크 스위치가 오프훅 되었을때 링 오프감지 신호를 단자(9)를 통해 사설교환기의 제어부 측으로 출력한다. 릴레이 제어회로(8)는 사설교환기의 제어부로 부터 단자(10)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2)를 제어한다.
가입자 측에 링 신호를 보낼 경우, 릴레이 제어회로(8)는 사설교환기의 제어부로 부터 단자(10)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릴레이(2)를 제어하여 릴레이(2)의 접점(a)와 (b)가 접속되게 한다. 이때, 링신호 발생기(1)가 출력한 링 신호는 가입자의 전화기에 공급된다. 사용자가 전화기를 들어 가입자 전화기의 후크 스위치(SW1, SW2)가 오프 훅되면, 전류루프가 접지, 저항(R2), 저항(R3), 후크 스위치(SW1, 또는 SW2), 저항(R6, 또는 R7), 저항(R5), 저항(R4) 및 전원(-48V)을 통해 형성되고, 저항(R1)측으로 전류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비교기(7)는 반전단(-)에 입력된 전류가 비반전단(+)에 입력된 전류보다 크게 입력되므로, 단자(9)를 통해 하이(High)상태의 링 오프 감지 신호를 사설교환기의 제어부 측으로 출력한다.
사설교환기의 제어부는 단자(9)를 통해 하이상태의 링 오프 감지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단자(10)를 통해 릴레이 제어회로(8)측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릴레이 제어회로(8)는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2)를 제어하여 릴레이(2)의 접점(b)와 접점(c)가 접속된다. 이에따라, 링신호 발생기(1)로 부터 가입자 측에 공급되는 링 신호는 중단되고, 가입자와 사설교환기가 연결되어 통화를 행하게 된다.
그런데, 한 가입자에 복수의 전화기가 연결된 경우에는, 제 2 도에 나타낸 등가회로와 같이 저항(Ra, Rb, Rc...) 및 콘덴서(Ca, Cb, Cc...)가 병렬로 연결된 형태로 되어, 전체 임피던스 값이 작아지기 때문에 링 신호가 공급되는 경우 가입자 전화기의 훅크 스위치가 오프훅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링 신호에 의해 저항(R1)측으로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 인하여 비교기(7)의 반전단(-)측에, 비반전단(+)에 공급되는 전류보다 큰 전류가 입력되어 단자(9)를 통해 사설교환기의 제어부 측으로 하이상태의 링 오프 감지 신호가 출력된다.
이에따라 가입자가 수화기를 들기도 전에 사설교환기의 제어부가 릴레이 제어회로(8)측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릴레이(2)를 제어함으로써 릴레이(2)의 접점(b)를 접점(c)에 연결하여 링 신호가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한 가입자에 복수의 전화기가 연결된 경우 링 신호가 가입자측에 공급되는 동안 가입자 임피던스 저항에 기인한 링 신호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링 신호를 출력하는 링신호 발생기(1)와; 가입자 전화기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지회로(3)와; 제 1 접점(b)이 제 1 선로를 통해 상기 가입자 전화기측에 연결되고, 제 2 접점(a)이 상기 링신호 발생기(1)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제 3 접점(c)이 상기 전원유지회로(3)의 제 1 전원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링 신호 발생기(1)로 부터 가입자 전화기측으로 출력되는 링 신호와 상기 전원유지회로(3)의 제 1 전원 출력단으로 부터 가입자측으로 출력되는 전류를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하는 릴레이(2)와; 상기 가입자 전화기측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매칭 트랜스포머(4)와; 상기 매칭 트랜스포머(4)에 대하여 입출력 되는 신호의 손실을 방지하는 매칭회로(5)와; 사설교환기로 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매칭 트랜스포머(4)측에 출력하고 상기 매칭 트랜스포머(4)로 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사설교환기측으로 출력하는 콤보회로(6)와; 상기 사설교환기의 제어부로 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2)의 절환 동작을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회로(8)를 구비하는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에 있어서, 상기 링신호 발생기(1)의 링 신호가 상기 릴레이(2)를 통해 가입자 전화기측으로 출력되는 중에 상기 가입자 전화기로 부터 링 신호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사설교환기의 제어부측으로 링 오프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상기 가입자 전화기의 후크 스위치가 오프훅 되어 상기 전원유지회로(3)로 부터 전류가 인가되면 링 오프 감지신호를 사설교환기의 제어부 측으로 출력하는 링 오프 감지회로(20)와; 제 1 접점(a)이 제 2 선로를 통해 상기 가입자 전화기측에 연결되고 제 2 접점(b)이 상기 전원유지회로(3)의 제 2 전원 출력단에 접속되고, 제 3 접점(c)이 상기 링 오프 감지회로(20)에 접속되어, 상기 릴레이 제어회로(8)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 유지회로(3)와 링 오프 감지회로(20)를 상기 가입자 전화기 측으로 선택 연결하는 릴레이(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를 제공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의한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는 가입자 측에 링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가입자 임피던스 저하에 기인한 링 신호 중단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입자 전화기의 후크 스위치가 오프훅 되었을 때만 링 오프 감지신호를 사설교환기의 제어부측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의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30)는 링신호 발생기(1), 전원유지회로(3), 매칭 트랜스포머(4), 매칭회로(5), 콤보회로(6), 릴레이 제어회로(8), 릴레이(2), 릴레이(19) 및 링 오프 감지회로(20)로 연결 구성된다.
링 신호 발생기(1), 전원유지회로(3), 매칭 트랜스포머(4), 매칭회로(5), 콤보회로(6), 및 릴레이 제어회로(8)는 제 1 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4 도는 링 오프 감지회로(20)의 상세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링 오프 감지회로(20)는 비교기(16), 트랜지스터(TR1), 저항(R20∼R28), 콘덴서(C2) 및 다이오드(D2∼D5)로 연결 구성된다. 비교기(16)는 반전단(-)에 인가되는 전압과 비반전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대응되는 링 오프 감지신호를 다이오드(D4)와 단자(21)를 경유하여 사설교환기의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바, 비교기(16)의 반전단(-)은 저항(R21)과 저항(R20)을 통해 전원유지회로(3)의 전원출력단에 접속되어 있고, 비교기(16)의 비반전단(+)은 저항(R25)과 저항(R26)을 통해 전원(-5V)에 접속되어 있고, 저항(R25)과 저항(R26)의 접속점에는 다이오드(D3)의 양극단이 접속되어 있고, 다이오드(D3)의 음극단은 접지되어 있으며, 다이오드(D4)와 단자(21)사이에는 저항(R28)이 병렬접속되어 접지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단은 저항(R20)과 저항(R21)의 접속점에 연결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단은 접지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은 저항(R22)과 단자(17)를 경유하여 릴레이(19)의 접점(c)에 접속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는 다이오드(D5)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비교기(16)의 반전단(-)에는 다이오드(D2)의 양극단이 병렬 접속되어 있고, 다이오드(D2)의 음극단은 저항(R24)를 통해 단자(17)에 접속되어 있고, 저항(R24)과 다이오드(D2)의 접속점에는 콘덴서(C2)의 일단자가 접속되어 있고, 저항(R24)과 단자(17)의 접속점에는 저항(R23)의 일단자가 접속되어 있고, 저항(R23)및 콘덴서(C2)의 일단자와 다이오드(D2)의 양극단 사이에는 저항(R27)이 접속되어 있다.
비교기(16)의 비반전단(+)에 걸리는 전압을 비교기(16)의 반전단(-)에 걸리는 전압보다 낮게 하면 링 신호에 의한 전류가 입력되어도 포인트 C는 로우상태로 되어 단자(21)측으로 링 오프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되는데, 비교기(16)의 비반전단(+)에 걸리는 전압은 저항(R25, R26)및 다이오드(D3)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기(16)의 비반전단(+)에 걸리는 전압이 반전단(-)에 걸리는 전압보다 작도록 저항(R25, R26)및 다이오드(D3)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링 오프 감지회로(20)는 링 신호가 가입자에게 공급되는 동안에는 로우(Low)상태 신호를 출력하다가 가입자가 수화기를 들어 가입자 전화기의 후크 스위치가 오프훅 되었을 때 하이 상태 신호를 출력한다.
사설교환기가 가입자의 전화기측으로 링 신호를 공급할 경우, 사설교환기의 제어부는 단자(10)를 통해 릴레이 제어회로(8)측으로 제어신호를 공급하고, 릴레이 제어회로(8)는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2)의 접점(b)와 접점(a)가 접속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릴레이(19)의 접점(a)와 접점(c)가 접속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링 신호 발생기(1)가 출력한 링 신호는 단자(22)를 통해 가입자 전화기측에 보내지고, 링 신호에 의한 전류는 가입자 전화기를 경유하여 단자(23) 및 릴레이(19)를 통해 단자(17)를 거쳐 링 오프 감지회로(20)에 입력된다. 링 오프 감지회로(20)에 제 5 도에 나타낸 링 신호 A 부분의 신호가 입력될 경우, 트랜지스터(TR1)가 동작하지 않고 다이오드(D2)에 의해 + 전위의 전류가 차단되므로, 비교기(16)의 반전단(-)에 걸리는 전위는 비반전단(+)에 걸리는 전위보다 높아지고, 이에따라 단자(21)측으로 링 오프 감지신호는 출력되지 않는다. 또한, 링 오프 감지회로(20)에 제 5 도에 나타낸 링 신호 B 부분의 신호가 입력될 경우, 트랜지스터(TR1)가 동작되어 비교기(16)의 반전단(-)에 걸리는 전위는 비반전단(+)에 걸리는 전위보다 높게 되므로 단자(21)측으로 링 오프 감지신호는 출력되지는 않는다.
링 신호 발생기(1)로 부터 가입자 전화기 측에 링 신호가 공급되는 도중에 가입자가 수화기를 들어 가입자 전화기의 후크 스위치가 오프훅 되었을 경우, 전원유지회로(3)로 부터 가입자 전화기 측으로 공급되는 전류가 링 오프 감지회로(20)에 입력된다. 이때, 비교기(16)의 반전단(-)에 입력된 전류에 의해 발생된 하이상태의 링 오프 감지신호가 단자(21)를 통해 사설교환기의 제어부측으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사설교환기의 제어부는 단자(10)를 통해 릴레이 제어회로(8)측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릴레이 제어회로(8)는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2)의 접점(b)와 접점(c)가 접속되도록 릴레이(2)를 제어하고, 릴레이(19)의 접점(a)와 접점(b)가 접속되도록 릴레이(19)를 제어한다. 이때, 사설교환기와 가입자 전화기가 연결되어 통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 가입자 측에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복수의 전화기가 연결되어 전체 임피던스가 작아질 경우의 링 신호 전류에 의한 링 오프 감지신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링 신호를 출력하는 링 신호 발생기(1)와; 가입자 전화기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지회로(3)와; 제 1 접점(b)이 제 1 선로를 통해 상기 가입자 전화기측에 연결되고, 제 2 접점(a)이 상기 링 신호 발생기(1)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제 3 접점(c)이 상기 전원유지회로(3)의 제 1 전원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링 신호 발생기(1)로 부터 가입자 전화기측으로 출력되는 링 신호와 상기 전원유지회로(3)의 제 1 전원 출력단으로 부터 가입자측으로 출력되는 전류를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하는 릴레이(2)와; 상기 가입자 전화기측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매칭 트랜스포머(4)와; 상기 매칭 트랜스포머(4)에 대하여 입출력되는 신호의 손실을 방지하는 매칭회로(5)와; 사설교환기로 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매칭 트랜스포머(4)측에 출력하고 상기 매칭 트랜스포머(4)로 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사설교환기측으로 출력하는 콤보회로(6)와; 상기 사설교환기의 제어부로 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2)의 절환 동작을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회로(8)를 구비하는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에 있어서,
    상기 링 신호 발생기(1)의 링 신호가 상기 릴레이(2)를 통해 가입자 전화기측으로 출력되는 중에 상기 가입자 전화기로부터 링 신호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사설교환기의 제어부측으로 링 오프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상기 가입자 전화기의 후크 스위치가 오프훅 되어 상기 전원유지회로(3)로 부터 전류가 인가되면 링 오프 감지신호를 사설교환기의 제어부 측으로 출력하는 링 오프 감지회로(20)와; 제 1 접점(a)이 제 2 선로를 통해 상기 가입자 전화기측에 연결되고, 제 2 접점(b)이 상기 전원유지회로(3)의 제 2 전원 출력단에 접속되고, 제 3 접점(c)이 상기 링 오프 감지회로(20)에 접속되어, 상기 릴레이 제어회로(8)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유지회로(3)와 링 오프 감지회로(20)를 상기 가입자 전화기 측으로 선택 연결하는 릴레이(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오프 감지회로(20)는 비교기(16)의 반전단(-)에 저항(R21)과 저항(R20)을 통해 상기 전원유지회로(3)의 전원출력단을 접속하고, 상기 비교기(16)의 비반전단(+)에 저항(R25)과 저항(R26)을 통해 전원(-5V)에 접속하고, 상기 저항(R25)과 저항(R26)의 접속점에는 다이오드(D3)의 양극단을 접속하고, 상기 다이오드(D3)의 음극단을 접지 시키고, 상기 비교기(16)의 출력단에 다이오드(D4)와 단자(21)를 통해 상기 사설교환기의 제어부를 접속하고, 상기 다이오드(D4)와 단자(21)사이에는 저항(R28)을 병렬 접속하여 접지시키고,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단을 상기 저항(R20)과 저항(R21)의 접속점에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단을 접지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에 저항(R22)과 단자(17)을 경유하여 상기 릴레이(19)의 접점(c)을 접속하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 다이오드(D5)를 접속하고, 상기 비교기(16)의 반전단(-)에 다이오드(D2)의 양극단을 병렬 접속하고, 상기 다이오드(D2)의 음극단에 저항(R24)를 통해 상기 단자(17)를 접속하고, 상기 저항(R24)과 다이오드(D2)의 접속점에 콘덴서(C2)의 제 1 단자를 접속하고, 상기 저항(R24)과 단자(17)의 접속점에 저항(R23)의 제 1 단자를 접속하고, 상기 저항(R23) 및 콘덴서(C2)의 제 2 단자와 상기 다이오드(D2)의 양극단 사이에 저항(R27)을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
KR2019910022279U 1991-12-14 1991-12-14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 KR960000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279U KR960000612Y1 (ko) 1991-12-14 1991-12-14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279U KR960000612Y1 (ko) 1991-12-14 1991-12-14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868U KR930016868U (ko) 1993-07-29
KR960000612Y1 true KR960000612Y1 (ko) 1996-01-18

Family

ID=1932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2279U KR960000612Y1 (ko) 1991-12-14 1991-12-14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61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991B1 (ko) * 1998-12-26 2006-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_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868U (ko) 199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3267A (en) Telephone line interface and dialer circuitry for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FI77552C (fi) Anordning foer att belaegga linjen utan att lyfta handluren foer en telefonapparat med en mikroprocessor.
US5146493A (en) Communication system
GB2183964A (en) Telephone power supply
KR960000612Y1 (ko)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회로
US6144737A (en) Trunk interface circuit having function of battery feed to central office
US4896352A (en) Telephone set circuit including an overvoltage protection
JPH0728436B2 (ja) 構内電話交換機
US5113434A (en) Battery boosted dial memory
JP2962871B2 (ja) 遠隔通信装置
US6914980B2 (en) Power switch device utilizing phone loop signals to control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a telephony instrument
US4309573A (en) Loudspeaking substation circuit
US4223186A (en) Circuit arrangement for line-supplied subscriber stations having dial devices
JP3963615B2 (ja) 端末網制御装置
US5317634A (en) Telephone subset arrangement
EP1328111B1 (en) Power switch device utilizing phone loop signals to control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a telephony instrument
KR900003666B1 (ko)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지 않는 가입자라인 인터페이스회로
KR0177682B1 (ko) 전화선 사용 상태 검출회로
JP3786877B2 (ja) 電力スイッチ装置
KR940007911B1 (ko) 착신 멜로디 자동전환회로
KR940004465B1 (ko) 키폰시스템의 내선 링신호 제어회로
KR910003077Y1 (ko) 전화기에 있어서 후크스위치 제어회로
KR100206744B1 (ko) 단일 정류 회로용 전화기
US5400398A (en) Electronic telephone set with low power hook switch
JP3323657B2 (ja) 網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