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713B1 - 회선 자동 선택 장치 - Google Patents

회선 자동 선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713B1
KR100216713B1 KR1019960032134A KR19960032134A KR100216713B1 KR 100216713 B1 KR100216713 B1 KR 100216713B1 KR 1019960032134 A KR1019960032134 A KR 1019960032134A KR 19960032134 A KR19960032134 A KR 19960032134A KR 100216713 B1 KR100216713 B1 KR 100216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dtmf
line
circuit
telepho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998A (ko
Inventor
이동선
Original Assignee
김만덕
주식회사씨앤드씨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덕, 주식회사씨앤드씨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김만덕
Priority to KR1019960032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713B1/ko
Publication of KR970060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04Q1/44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 H04Q1/444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 H04Q1/45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using multi-frequency signalling
    • H04Q1/457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using multi-frequency signalling with conversion of multifrequency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 H04Q1/4575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using multi-frequency signalling with conversion of multifrequency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which are transmitted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54Amplifier switched-on automatically in dependence on automatically-selected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선 자동 선택 장치(off-line AC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전화선으로 공급되는 적은 전류만으로 동작되는 회선 자동 선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화기와 전화선로 사이에 전화기에서 출력된 다이얼신호에 따라 미리 약정된 규칙으로 신호를 추가, 삭제 도는 변형하여 특정망 사업자의 회선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장치를 말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전화기(1)로부터의 다이얼 톤이 전화선(2)으로 송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DRMF스위치(3)와 DTMF스위치(3)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4), 전화기(1)로부터의 다이얼 톤을 검출하는 DTMF수신기(5), 마이콤(4)에 내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아이얼 톤을 발생하는 DTMF수신기(5), 마이콤(4)에 내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다이얼 톤을 발생하는 DTMF발생기(6)로 구성되고, DTMF발생기(6)는 DTMF발생 집적회로(IC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None-inverting증폭기(IC4)를 통하여 바이어스용 저항(IC3)과 교류 바이패스용 콘덴서(C4)의 병렬회로를 거쳐 에미터 플로워 증폭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1)는 주회로와 직렬로 구성되어 전화선의 부극성과 연결하여 구성되어 회로의 여러 부분에서 직류손실 극소화 및 직류전압강화 최소화를 구현할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이다.

Description

회선 자동 선택 장치
제1도는 종래의 회선자동선택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선 자동 선택 장치의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선 자동 선택 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화기 2 : 전화선
3 : DTMF스위치 4 : 마이콤
5 : DTMF수신기 6 : DTMF발생기
K1 : 래칭릴레이 R1 : 저항기
IC : 콘덴서 IC3 : DTMF 발생집적회로
IC4 : non-inverting증폭기 R3 : 바이어스용 저항
C4 : 교류바이패스용 콘덴사 Q1 : 에미터플로워증폭트랜지스터
Q : 트랜지스터 D1 : 다이오드
Q3 : SCR
본 발명은 회선 자동 선택 장치(off-line AC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전화선으로 공급되는 적은 전류만으로 동작되는 회선 자동 선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화기와 전화선로 사이에 전화기에서 출력된 다이얼신호에 따라 미리 약정된 규칙으로 신호를 추가, 삭제 또는 변형하여 특정망 사업자의 회선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장치를 말한다. 즉, 국제전화를 할 때에도 기존에 사용하던 방식대로 전화번호를 눌러도 회선 자동 선택장치가 그 다이얼신호를 해독, 국제전화임을 판단하고 국내의 인터넷폰 사업자망의 전화번호를 호출 미리 입력된 사용자 번호와 패스워드를 송출하여 전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송출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회선 자동 선택 장치의 블록도는 제1도에서와 같이 전화기와 전화선 사이에 회선 자동 선택 장치가 선택되면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기에 의해서 회선 자동 선택 장치가 동작 되도록 되어 있고 전원공급장치를 통하여 안정된 전원은 공급받을 수 있어 동작의 안전성을 확보하기는 용이하나 회선 자동 선택장치의 전원회로와 축전지의 부피가 가중되어 전체 무게와 부피가 증가하며, 가격이 상승되고, 교류전원에 접속하여야 하고, 정전시에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축전지의 용량에 의한 사용시간이 제한되는 등 불편을 면치 못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도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회로의 구성을 간단히 설명하면, 전화기(1)로부터의 다이얼 톤이 전화선(2)으로 송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DRMF스위치(3)와 DTMF스위치(3)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4), 전화기(1)로부터의 다이얼 톤을 검출하는 DTMF수신기(5), 마이콤(4)에 내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아이얼 톤을 발생하는 DTMF수신기(6)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첨부도면 제3도의 회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기(1)로부터의 다이얼 톤의 첫 번째 숫자(디지트)는 DTMF스위치(3)를 통과하여 전화선(2)으로 직접 송출되고, 동시에 DTMF수신기(5)는 톤을 검출하여 마이콤(4)으로 보낸다. 마이콤(4)은 이를 분석하여 제1차 식별기호에 해당하면 DTMF스위치(3)를 절체하여 전화기(1)로부터의 두 번째 다이얼톤으로부터 전화선(2)으로 직접 송출되지 않게 하고 마이콤(4)이 이를 저장한다. 전화기(1)로 부터의 두 번째 다이얼 톤이 제2차 식별기호에 해당하면 마이콤(4)은 회선 선택번호를 먼저 DTMF발생기(6)로 보내고 이어서 전화기(1)로부터의 다이얼톤을 보낸다. 이 과정에서 전화기(1)로부터의 다이얼 톤을 수신하는 기능과 DTMNF발생기(6)로 번호를 내보내는 기능은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수신되는 다이얼 톤과 송출되는 다이얼 톤이 동시에 존재하여도 신호가 중첩되어 전화선으로 송출되지 않는다. 마이콤(4)은 저장하고 있는 다이얼 톤을 모두 송출하고 나면 DTMF스위치(3)를 복구하여 전화기(1)로부터 계속되는 다이얼 톤이나 통화신호가 직접 전화선(2)으로 연결되게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별도의 외부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전화선을 통해 공급되는 적은 전류만으로 위에 설명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다. 법령에서는 단말기의 직류회로 폐로시 직류저항을 다이얼 톤 송출기간에 540 Ohm이하, 그외의 기간에 300 Ohm이하로 규제하고 전화선을 통한 공급 전류가 최소 20mA가 되어도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로의 여러 부분에서 직류 전류 손실 극소화 및 직류전압 강하 극소화를 구현한 것이다.
이를 제3도의 회로도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DTMF스위치(3)에 래칭 릴레이(K1)를 사용하여 5ms이내의 짧은 시간만 구동전류를 인가하며, 구동전류로 사용할 에너지를 저항(R1)을 통하여 미리 콘덴서(C1)에 충전시켜 놓음으로써 릴레이 구동시 주회로 전원의 용량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서 주회로의 동작의 안정을 유지한다. 또한 DTMF스위치(3)소자로서 반도체 대신 기계식 릴레이를 사용함으로써 릴레이 폐로시 저항을 0.1Ohm 이하로 유지하여 전화기(1)와 DTMF발생기(6) 사이의 교류 차단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이로써 전화기(1)로부터의 다이얼 톤이 전화선(2)으로 송출되지 않게 하며 DTMF발생기(6)에서 발생한 톤이 전화기로 누설되는 신호를 최대한 억제한다.
DTMF발생기(6)는 DTMF발생 집적회로(IC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None-inverting증폭기(IC4)를 통하여 바이어스용 저항(IC3)과 교류 바이패스용 콘덴서(C4)의 병렬회로를 거쳐 에미터 플로워 증폭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Q1)는 주회로와 직렬로 구성되어 전화선의 부극성과 연결된다. 이 구조는 전화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를 전압강하 0.2V 이하로 주회로에 인가하여 손실을 국소화하면서도 다이얼 톤을 발생할 때에는 에미터 플로워의 낮은 출력 임피던스의 낮은 의율의 장점을 이용하여 전화교환기가 요구하는 규격을 만족하는 DTMF 톤을 송출한다. 트랜지스터(Q2)는 톤을 발생하는 않는 동안 DTMF발생 집적회로(IC3)의 출력단자의 전압을 약 Vcc-0.2V로 높여 None-inverting증폭기(IC4)의 출력에 연결된 바이어스 저항(R3)을 통해 0.2V이하의 직류 전압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에미터사이에 인가되도록 하며, 바이어스 저항(R3)과 병렬로 구성된 교루 바이패스용 콘덴서(C4)는 DTMF발생 집적회로(IC3)에서 발생하는 톤과, 톤 발생용 임시 바이어스 전압을 감쇠없이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된다. 결국 DTMF발생기(6)는 극소량의 직류 손실만으로 DTM톤을 전화선으로 송출하며, 전화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양이 일정하지 않아도(20mA 내지 100mA) 동일한 바이어스를 유지하므로서 의율이 거의 없는 톤을 발생한다. 이로써 통신회로 관련 법령에서 요구하는 '직류회로 폐로시 직류저항'범위를 넘지 않도록 직류저항을 낮추는 효과를 얻는다.
주회로 전원 전압 안정용 제너 다이오드(D1)는 전압 안정용 집적회로가 없이도 주회로의 전원 전압을 안정시키며, 직접회로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차이에 해당하는 손실도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써 통신 관련 법령에서 요구하는 '직류회로 폐로시 직류저항' 범위를 넘지 않도록 직류저항을 최대한 낮추는 효과를 얻는다.
SCR(Q3)은 본 회선 자동 선택 장치의 동작이 종료된 후에 마이콤(4)이 인가하는 게이트 전압에 의해 동작하여, 전화기를 사용하는 동안 (OFF-HOOK를 유지하는 동안) 회선 자동 선택장치의 전압강하를 약 0.8V로 유지함으로서 통신회로 관련 법령에서 요구하는 '직류회로 폐로시 직류저항' 범위를 넘지 않도록 직류저항을 최대한 낮추는 효과를 얻는다. 이로써 한 전화선에 2대의 전화기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화기의 동작불능상태가 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으면 SCR을 통과하는 전류가 턴온 상태유지전류 이하(약 5mA)가 되어 복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회선 자동 선택 장치에서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전화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만으로 동작되게 하므로서 종래의 회선 자동 선택 장치에서 전원회로와 축전기를 생략하여 부피와 무게를 줄임으로서 가격이 절감되고 사용할 때에 교류전원 등에 접속하여야 하는 불편과 정전시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축전지의 용량에 따라서 사용시간이 제한되는 등 결점이 해소되어서 회로의 여러 부분에서 직류손실 극소화 및 직류전압강화 최소화를 구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전화기(1)로부터의 다이얼 톤이 전화선(2)으로 송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DTMF스위치(3)와 DTMF스위치(3)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4), 전화기(1)로부터의 다이얼 톤을 검출하는 DTMF수신기(5), 마이콤(4)에 내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다이얼 톤을 발생하는 DTMF발생기(6)로 구성된 회선 자동 선택장치에 있어서, DTMF발생기(6)는 DTMF발생 집적회로(IC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None-inverting증폭기(IC4)를 통하여 바이어스용 저항(IC3)과 교류 바이패스용 콘덴서(C4)의 병렬회로를 거쳐 에미터 플로워 증폭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1)는 주회로와 직렬로 구성되어 전화선의 부극성과 연결하는 회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자동 선택 장치이다.
KR1019960032134A 1996-08-01 1996-08-01 회선 자동 선택 장치 KR100216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134A KR100216713B1 (ko) 1996-08-01 1996-08-01 회선 자동 선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134A KR100216713B1 (ko) 1996-08-01 1996-08-01 회선 자동 선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998A KR970060998A (ko) 1997-08-12
KR100216713B1 true KR100216713B1 (ko) 1999-09-01

Family

ID=1946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134A KR100216713B1 (ko) 1996-08-01 1996-08-01 회선 자동 선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7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998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86007659A1 (en) Telephone line interface circuitry for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JPS59501239A (ja) 電話機内の電話線電力供給制御装置
US4558183A (en) Opto-coupler interfacing circuit
KR100216713B1 (ko) 회선 자동 선택 장치
US3881069A (en) Telephone call loudspeaker monitoring and relay control circuit
US4167655A (en) Push button to rotary dial converter systems
US3838224A (en) Electronic telephone trunk circuit
US3892929A (en) Fault detector and current limiter
US3941941A (en) Relayless switching circuit for application of ringing signals
US4145572A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for subscriber carrier telephone system
JPH03204295A (ja) 極性反転回路
US3596164A (en) Telephone control circuit
WO1988008234A1 (en) Telephone subset circuit arrangement
KR950002583B1 (ko) 키폰 전화기의 음성전송라인 접속회로
JPS5923665A (ja) 電子的共通スイツチ
KR960010060Y1 (ko) 전화통화시 자동음성뮤트회로
JPH071878Y2 (ja) ダイヤル送出用電源回路
JPH0127316Y2 (ko)
KR910002633B1 (ko) 정전 대피 통화기능을 갖는 시스템형 전화기
JP3048368B2 (ja) 端末器用電源回路
KR910003919B1 (ko) 온 후크 다이얼 장치의 오동작 방지회로
JPH0238529Y2 (ko)
JPS61283264A (ja) メモリダイヤル電話機
JPS6312603Y2 (ko)
KR0117403Y1 (ko) 도어폰과 본체의 인터페이스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