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633B1 - 정전 대피 통화기능을 갖는 시스템형 전화기 - Google Patents

정전 대피 통화기능을 갖는 시스템형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633B1
KR910002633B1 KR1019880008012A KR880008012A KR910002633B1 KR 910002633 B1 KR910002633 B1 KR 910002633B1 KR 1019880008012 A KR1019880008012 A KR 1019880008012A KR 880008012 A KR880008012 A KR 880008012A KR 910002633 B1 KR910002633 B1 KR 910002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line
circuit
sig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202A (ko
Inventor
윤기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8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633B1/ko
Publication of KR900001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전 대피 통화기능을 갖는 시스템형 전화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형 전화기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중 통화전류공급 회로의 구체회로도.
제3도는 제2도 각부분에 대한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라인제어부 2 : 제1다이알링 회로
3 : DC루프회로 4 : 통화로 제어부
5 : 통화회로 6 : 송수화기
7 : 링 발생회로 8 : 스피커
9 : 라인스위치 10 : 링거회로
11 : 제2다이알링 회로 12 : 통화전류 공급회로.
본 발명은 시스템형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대피 통화기능을 갖을 수 있는 시스템형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폰시스템(Keyphone System)이나 홈폰 시스템(Honephone System)등과 같은 시스템 전화기는 시스템 전화기 특성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외부에서 전원을 시스템으로 공급해 주어야 해당 시스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시스템 전화기는 정전등에 의해 전원이 오프(power off)될 경우에는 시스템 다운이 되어 일반 통화기능조차 수행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시스템 전화기에 백업전원(back up battery)를 공급하거나, 별도로 정전대피용 일반전화기를 부착하여 사용하여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시에도 교환국에서 공급하는 통화전류를 이용하여 통화를 실행할 수 있는 시스템형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전화기의 구성도로서 정상 전원인가시 다이알링 신호에 의해 릴레이를 온/오프하여 제1통화라인을 단속함으로서 펄스 다이알링 신호를 발생하는 제1다이알링 회로(2)와, 훅크오프시 상기 제1통화라인에 직류에 흐름을 만들어주는 DC루프회로(3)와, 상기 통화라인의 수신신호를 증폭하여 수화기에 공급하고, 송화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통화라인으로 송출하는 통화회로(5)와, 정상 전원인가시 각종 콜신호에 링신호를 발생하여 스피커(8)로 공급하는 링 발생회로(7)와, 전원의 상태에 따라 통화라인을 제어하며, 정전시 제2통화라인을 선택하는 라인제어부(1)와, 제2통화라인 선택시 훅크온/오프 상태를 결정하는 라인스위치(9)와, 상기 라인스위치(9)가 훅크온위치에서 제2통화라인을 통한 링신호 발생시 상기 스피커(8)를 구동하여 링신호를 발생하는 링거회로(10)와, 다이알링 신호 발생시 제2통화라인으로 다이알링 신호를 발생하는 제2다이알링 회로(11)와, 상기 제2통화라인의 통화전류에서 신호성분과 직류전압을 분리하여 직류전압을 상기 통화회로(5)로 공급하는 통화전류 공급회로(12)와, 정산 전원인가시 제1통화라인의 신호를 선택하며, 정전시에는 상기 통화전류 공급회로의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통화회로(8)로 인가하는 통화로 제어부(4)로 구성된다.
제2도는 통화전류 공급회로의 구체회로도로서 정전시 제2통화라인을 통하는 통화전류중에서 통화전류에 포함된 음성신호와 직류전압을 분리하기 위한 회로도로서 캐패시터(C1)를 통해 음성 신호만을 추출하여 통화로 제어부(4)로 인가하는 동시에 쵸크코일(CL)을 통해 직류 전압만을 추출하여 통화회로(5)로 인가하도록 구성하며, 이때 다이오드(D1)는 전원인가 전압과 정전공급회로 간의 상호간섭을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3도는 상기 제2도 각부분에 대한 동작파형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1,2,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화회선은 전화국에서 통화에 필요한 DC전류를 공급하여 주기 때문에 따로 전원공급 없이 통화가 가능하게 되어있으며 전화국에서는 공급되어진 전압에 대해 DC전류회로가 구성이 되었는지 안되었는지에 따라 통화회로를 연결시켜주게 된다. 반면 시스템을 구성하여 다른기능을 첨부시키는 시스템 전화기의 경우에는 통화에 필요한 전류를 별도의 전원장치에서 공급하며, 전화국에서 공급되는 DC전압은 의사 DC루프를 만들어 줌으로써 통화를 형성하도록 되어있다.
즉 시스템 전화기의 경우에는 전화국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사용하지 않도록 구성이 되어 있으므로, 시스템의 공급전원인 가정용 전원이 정전이된 경우에는 일반전화의 기능도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경우는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 경우는 시스템 전화기의 모든 통화기능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정전시 일반전화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1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화라인을 팁과 링(Tip & Ring)의 2선으로이루어져 있으나 여기서 1라인으로 묶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정상적으로 전원이 인가될시의 동작과정을 성명한다. 정상전원인가시 라인제어부(1)는 A측으로 위치하고, 통화로 제어부(4)는 C측으로 위치하므로 통화회로가 형성되면 통화회로(5)는 제1통화라인에 발생하는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라인제어부(1)는 기계식 접점이 릴레이(Relay)를 이용하여 통화라인을 전환시킴으로서 전기적인 문제를 제거할 수 있는데, 가정용 전원이 공급되어 있을 경우 접점은 A단자 측으로 위치됨으로서 시스템 전원장치의 전원으로 동작하게 되고, 전원이 오프(off)되었을 경우에는 접점은 B측으로 연결되게 되어 정전시 동작회로가 동작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교환기는 전화기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전화기의 훅크오프 및 훅크온 상태를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 전화기에서는 임의의 전화기가 훅크오프 상태가 되면 DC루프회로(3)는 제1통화라인에 DC전류를 흘려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 전류에 의해 교환기는 전화기의 훅크오프 상태를 감지한다. 링 발생회로(7)는 제어부의 출력에서 나오는 신호로서, 전원인가시 각종 콜(Call)(국선콜, 내선콜, 도어콜(Door Call))의 발생시 링회로에 신호를 인가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링신호를 받고 있는 시스템 전화기를 훅크오프하면 제1통화라인을 통해 통화로가 형성된다. 또한 다이알링 회로(3)는 입력 다이알링 신호에 따라 릴레이가 온/오프되어 제1통화라인을 단속함으로서 다이알링 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해당 다이알링 신호에 해당하는 가입자가 훅크오프하면 통화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통화로가 형성되면 통화회로(5)는 제1통화라인의 수신신호를 증폭하여 수화기에 공급하고 송화기를 통해 나가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1통화라인으로 송출한다.
두번째로 정전시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정전시와 정상전원인가시에 모두 동작하는 시스템 전화기는 단일 하우징(housing)이므로 송수화기(16)를 공유해야 하며, 스피커(8)도 공유하는 것이 좋다.
정전이 되면 상기 라인제어부(1)의 릴레이는 B측단자로 위치하게 되며, 통화로 제어부(4)의 릴레이는 D측 단자로 위치하게 되므로 제2통화라인이 선택되며, 이때는 시스템 기능이 중단되고 교환기의 통화전류에 의해 일반전화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국선 또는 시스템의 다른 내선을 선택하기 위하여 해당 전화기에 대한 다이알링 신호는 제2다이알링 회로(11)에서 수행하게 된다. 다이알링 회로에는 상기 제1다이알링 회로(11)와 같은 펄스형과 라인을 단속하지 않고 DTMF회로에서 발생하는 DTMF형이 있는데 어느것을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정전시와 전원인가시의 음을 다르게 하기 위하여 상기 링 발생회로(7)와 다른 루트(root)를 통하여 링거회로(10)는 정전시 외부에서 오는 콜(call)신호를 받아서 스피커(8)를 구동하여 전원인가시와 다른 링을 울리도록 한다.
라인스위치(9)는 정전 통화회로에서 전화기의 훅크온 및 훅크오프 상태를 결정하게 되는데 훅크온 상태에서 라인스위치(9)의 릴레이는 F단자측에 위치해 있으며 훅크오프 상태에서는 E단자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훅크온 상태(라인스위치가 F단자 측에 위치한 상태)일시 외부 교환기에서 콜신호가 발생하면, 링거회로(10)가 구동되어 스피커(8)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송수화기(6)를 들면 (hook off상태) 상기 라인스위치(9)는 E단자측으로 위치하여 통화전류 공급회로(12)로 교환기에서 공급하는 통화전류를 인가한다.
상기 통화회로(5)에는 정전시나 비정전시에 관계없이 전원을 공급하여야 하는데 정전시에는 제2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통화전류 공급회로(12)에서 공급한다.
제2통화라인을 통해 노드점(가)에 인가되는 통화전류에는 (3a)같이 DC전압과 AC성분의 음성신호가 같이 실려있다. 그런데 노드점(나)로 가는 통화로측은 DC신호는 필요없고 AC의 음성신호만 필요하므로, DC차단용(blocking) 캐패시터(C1)를 사용하여 (3b)와 같은 음성신호만을 통화로 제어부(4)의 D단자측으로 인가한다. 그러나 통화회로(5)의 전원은 DC전압이 필요한 반면에 노드점(가)의 음성신호에는 전혀 영향을 끼치면 안되므로 AC신호에 대한 임피던스가 크고 DC저항이 적은 쵸크 코일(CL)을 사용하며 노드점(다)에는 상기 쵸크 코일(CL), 캐패시터(C7) 및 제너다이오드(ZD)에 의해 (3c)와 같은 DC 전압을 만들어낸다. 이때 노드점(라)에는 정전시 또는 전원인가시의 모든 경우에는 항상 통화회로(5)에 공급되는 전압을 낼수 있어야 하는데, 전원인가시에는 다이오드(D2)를 통하여 공급하고, 정진시에는 다이오드(D1)를 통해 (3c)와 같은 전압을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다이오드(D1,D2)가 역방향이므로 각 상태에 따른 해당 전원이 다른 전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통화전류 공급회로(12)가 동작하므로 일단 통화로 형성되면 통화회로(5)는 제2통화라인을 통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수화기로 송출하고, 송화기를 통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2통화라인측으로 출력한다.
이때 다이알링 회로(11)에 의해 임의의 전화기를 호출한 후 해당 전화기가 훅크오프되어 통화로를 형성했을 시에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정전시 일반 전화기 기능을 수행하던 시스템 전화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라인제어부(1)는 릴레이를 A단자로 위치시키고, 통화로 제어부(4)의 릴레이를 C단자 위치로 시킴으로서 제1통화라인을 선택하여 시스템 전화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전화기 사용시 정상 전원이 인가되면 시스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고, 정전 상태가 발생하면 통화로를 스위칭하여 일반 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전화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제1통화라인을 단속하여 다이알링신호를 발생하는 펄스형의 제1다이알링 회로(2)와, 훅크오프시 상기 제1통화라인에 직류의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DC루프회로(3)와, 통화라인의 수신신호를 증폭하여 수화기로 송출하고, 송화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통화라인으로 송출하는 통화회로(5)와, 전원인가시 제어부에 의해 각종 콜신호에 대한 링신호를 발생하여 스피커(8)로 공급하는 링 발생회로(7)를 구비한 시스템 전화기 회로에 있어서, 상기 다이알링 회로(2)의 전단에 접속되어 전원인가시 제1통화라인을, 정전시 제2통화라인을 선택하도록 통화라인을 제어하는 라인제어부(1)와, 상기 DC루프회로(3)와 통화회로(5) 사이에 접속되어 전원인가시 제1통화라인을, 정전시 제2통화라인을 선택하는 통화로 제어부(1)와, 상기 라인제어부(1)를 통한 국선 통화전류에 따라 제2통화라인의 훅크오프 및 훅크온 상태를 결정하는 라인스위치(9)와, 상기 라인스위치(9)가 훅크온 상태일시 국선 링신호에 의해 상기 링발생회로(7)과 다른음의 링거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피커(8)로 인가하는 링거회로(10)와, 상기 라인스위치(9)가 훅크오프시 사용자에 의해 제2통화라인에 다이알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제2다이알링회로(11)와, 상기 제2통화라인의 통화전류에서 음성신호 성분 및 DC전압을 분리한 후 음성신호를 상기 통화로 제어부(4)로 인가하고, DC전압을 상기 통화회로(5)의 전원으로 공급하는 통화전류공급회로(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대피 통화기능을 갖는 시스템 전화기회로.
KR1019880008012A 1988-06-30 1988-06-30 정전 대피 통화기능을 갖는 시스템형 전화기 KR910002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012A KR910002633B1 (ko) 1988-06-30 1988-06-30 정전 대피 통화기능을 갖는 시스템형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012A KR910002633B1 (ko) 1988-06-30 1988-06-30 정전 대피 통화기능을 갖는 시스템형 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202A KR900001202A (ko) 1990-01-31
KR910002633B1 true KR910002633B1 (ko) 1991-04-27

Family

ID=1927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012A KR910002633B1 (ko) 1988-06-30 1988-06-30 정전 대피 통화기능을 갖는 시스템형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6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202A (ko) 199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3190A (en) Telephone ring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EP0443583A2 (en) Private branch exchange system
CA2288916C (en) Telephone line-powered power supply for ancillary equipmen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6252957B1 (en) Low power line selection circuit for a telephone
KR910002633B1 (ko) 정전 대피 통화기능을 갖는 시스템형 전화기
JP2575464B2 (ja) 過電圧保護手段を含む電話器回路
US5987119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vering speech path of telephone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US4064373A (en) Line circuit for key telephone systems
JP2961849B2 (ja) 構内交換システム
KR100233120B1 (ko) 팩시밀리와 도어 폰 간의 인터페이스 회로 및 방법
KR100322418B1 (ko) 송수화기 방치시 통화로 장애 복구장치
KR970011417B1 (ko) 전화기의 착신 제어 장치 및 방법
JP2793202B2 (ja) 電話機
JPH0321098Y2 (ko)
JPH0238529Y2 (ko)
JPS584294Y2 (ja) 呼出信号の送出制御回路
KR950003728B1 (ko) 전화선을 이용하는 원격 제어회로 및 그 방법
CA1173576A (en) Key telephone line circuit
JPS61105949A (ja) 電話端末への電源制御方式
US4168403A (en) Key telephone system comprising only one control lead per outside line
KR0181077B1 (ko) 전화기의 신호 절환 장치
EP1128654B1 (en) A telephone
JP3680923B2 (ja) 非常連絡装置
JPH01288145A (ja) 拡声通話終話時のハウリング防止方式
JPS6310846A (ja) 電話機のリレ−復旧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