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417B1 - 전화기의 착신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착신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417B1
KR970011417B1 KR1019940031666A KR19940031666A KR970011417B1 KR 970011417 B1 KR970011417 B1 KR 970011417B1 KR 1019940031666 A KR1019940031666 A KR 1019940031666A KR 19940031666 A KR19940031666 A KR 19940031666A KR 970011417 B1 KR970011417 B1 KR 970011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ignal
signal input
ring
incoming call
contro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248A (ko
Inventor
오윤환
Original Assignee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filed Critical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31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1417B1/ko
Publication of KR96002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involving a common line for all parties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전화기의 착신 제어 장치 및 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착신 제어 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 착신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착신제어모드설정부20 : 마이크로 프로세서
30 : 절체부40 : 제 1 링입력부
50 : 제 2 링입력부60 : 병렬연결전화기
본 발명은 전화기의 착신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렬로 연결된 다른 전화까지도 동시에 착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전화기의 착신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기로부터 발생되는 링신호는 전화기로 입력되는 전화기의 링소리를 올려 줌으로서,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 왔음을 인식시키는 수단이다.
한편,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서 전화를 받고 싶지 않을 경우에 선택적으로 링소리 발생을 억제하는 방안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착신링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교환기로부터 링신호의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착신 제어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링소리 발생을 제어하였으나, 동일 국선 선로를 병렬로 브랜치시킨 다른 전화기와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착신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화기만 착신 제어가 가능하였고 병렬로 연결된 브랭치된 전화기는 계속 링소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병렬로 브랜치된 다른 전화기까지도 착신링 제어가 가능한 전화기의 착신링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관점에 따르면, 링신호 입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원래의 전화기는 물론 병렬로 연결된 전화기까지도 착신 제어가 가능한 전화기의 착신 제어 장치에 있어서, 링신호의 입력을 차단하는 착신 제어 모드로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설정하기 위한 착신 제어 모드 설정부와, 전화기의 통상적인 동작을 제어하면 착신 제어를 위하여 상기 착신 제어 모드 설정부로부터의 설정 신호에 상응하는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착신 제어 모드가 아닐 경우에 링신호를 정상적으로 입력받기 위한 제 1 링신호 입력부와, 싱기 제 1 링신호 입력부보다 로우 임피던스로 구성하여 착신제어 모드링 경우에 링신호를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제 2 링신호 입력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링신호 입력부와 제 2 링신호 입력부를 선택적으로 상기 국선선로에 인가시키기 위한 절체부를 포함하는 전화기의 착신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링신호의 입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정상적인 링신호 입력을 위한 제 1 링신호 입력부와 링신호 입력을 차단하기 위한 제 2 링신호 입력부를 구비하여 수신 제어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전화기가 사용자에 의하여 착신 제어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과정과, 착신 제어 모드가 아닐 경우에 상기 제 1 링신호 입력부로 절체하여 링신호 입력을 장상적으로 받아 전화기의 통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착신 제어 모드일 경우에 상기 제 2 링신호 입력부로 절체하여 교환기로부터의 링신호를 바이패스시켜서 병렬로 연결된 타전화기까지도 수신 제어를 할 수 있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전화기의 착신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청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착신 제어 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도이다.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신 제어 장치는, 착신 제어부(10), 마이크로 프로세서(20), 절체부(30), 제 1 링신호 입력부(40), 제 2 링신호 입력부(50), 병렬 연결 전화기(60)를 포함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착신 제어부(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전화기의 수신을 제어하는 착신 제어 모드로의 전환을 선택적으로 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된 선택 수단이며, 마이크로 프로세서(20)는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에 수행하며 수신 제어를 위하여 착신 제어부(10)로 부터의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선택 신호 절체부(3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절체부(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로부터의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국선 선로를 통해 교환기로부터 입력되는 링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링신호 입력부(40)와 제 2 링신호 입력부(50)를 선택적으로 국선 선로에 인가시켜 링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제 1 링신호 입력부(40)는 착신 제어 모드가 아닐 경우에 착신을 허용하기 위하여 절체부(30)에 의해서 국선 선로에 인가되어 링 신호를 입력받아 도시 생략된 링소리 발생 소자를 통하여 전화가 걸려 왔음을 인지시키기 위한 링소리를 발생한다.
한편, 제 2 링신호 입력부(50)는 착신 제어 모드일 경우에 절체부(30)에 의해 서 국선 선로에 연결되며 낮은 임피던스를 가짐으로서, 링신호 입력시 입력되는 링신호를 바이패스시켜 병령 연결전화기(60)로의 링신호 입력을 차단하여 착신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병렬 연결 전화기(60)는 동일 국선 선로를 공유하기 위하여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전화기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착신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첨부한 제 1 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화기의 대기 상태에서 착신 제어 모드 설정부(10)를 통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원하는 모드를 설정하면(단계 200), 링소리 발생을 억제하여 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착신 제어 모드로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02).
이때, 착신 제어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0)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절체부(30)에 의해 제 1 링신호 입력부(40)가 국선 선로에 인가되어(단계 204), 링신호 입력시 링소리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수신이 허용되며, 아울러 병렬 연결 전화기(60) 또한 링신호가 인가되어 정상적인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 202에서 착신 제어 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20)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절체부(30)는 제 2 링신호 입력부(50)를 국선 선로에 연결시켜 구동시킨다(단계 206). 따라서, 제 2 링신호 입력부(50)의 낮은 임피던스에 기인하여, 국선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링신호가 바이패스됨으로서 원래의 전화기는 물론 병렬 연결 전화기(60) 또한 착신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화기의 착신을 제어할 수 있고, 아울러, 병렬로 연결된 타전화기까지도 착신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2)

  1. 링신호 입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원래의 전화기는 물론 병렬로 연결된 전화기까지도 착신 제어가 가능한 전화기의 착신 제어 장치에 있어서, 링신호의 입력을 차단하는 착신 제어 모드로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설정하기 위한 착신 제어 모드 설정부와, 전화기의 통상적인 동작을 제어하면 착신 제어를 위하여 상기 착신 제어 모드 설정부로부터의 설정 신호에 상응하는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착신 제어 모드가 아닐 경우에 링신호를 정상적으로 입력받기 위한 제 1 링신호 입력부와, 싱기 제 1 링신호 입력부보다 로우 임피던스로 구성하여 착신제어 모드링 경우에 링신호를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제 2 링신호 입력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링신호 입력부와 제 2 링신호 입력부를 선택적으로 상기 국선선로에 인가시키기 위한 절체부를 포함하는 전화기의 착신 제어 장치.
  2. 링신호의 입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정상적인 링신호 입력을 위한 제 1 링신호 입력부와 링신호 입력을 차단하기 위한 제 2 링신호 입력부를 구비하여 수신 제어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전화기가 사용자에 의하여 착신 제어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과정과, 착신 제어 모드가 아닐 경우에 상기 제 1 링신호 입력부로 절체하여 링신호 입력을 장상적으로 받아 전화기의 통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착신 제어 모드일 경우에 상기 제 2 링신호 입력부로 절체하여 교환기로부터의 링신호를 바이패스시켜서 병렬로 연결된 타전화기까지도 수신 제어를 할 수 있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전화기의 착신 제어 방범.
KR1019940031666A 1994-11-29 1994-11-29 전화기의 착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970011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666A KR970011417B1 (ko) 1994-11-29 1994-11-29 전화기의 착신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666A KR970011417B1 (ko) 1994-11-29 1994-11-29 전화기의 착신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248A KR960020248A (ko) 1996-06-17
KR970011417B1 true KR970011417B1 (ko) 1997-07-10

Family

ID=1939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666A KR970011417B1 (ko) 1994-11-29 1994-11-29 전화기의 착신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14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340B1 (ko) * 1996-04-03 2003-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정용으로 이용가능한 메시지대기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248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9147A (ko) 전화기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회로 및 그 방법
KR970011417B1 (ko) 전화기의 착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463504B1 (ko) 인터넷폰기능을갖는다용도전화기
JPS6010992A (ja) 電話装置
KR100480241B1 (ko) 키폰시스템에서 내선 통화거부 설정방법
JP3187313B2 (ja) 移動体通信機
KR100206798B1 (ko) 간이 전자 교환 장치의 분할 공유방법
KR970009546B1 (ko) 사설교환기의 국선선로선택을 위한 다이얼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0480248B1 (ko) 키폰시스템에서자동통화중대기기능구현방법
KR0154459B1 (ko) 병렬연결된 전화기의 상호 호출장치 및 그 방법
KR100273023B1 (ko) 무선전화기의 선택 착신 제어방법
JP2888665B2 (ja) Isdn端末
KR960028508A (ko) 대화형 텔레비젼 수상기의 통신보호장치
KR100206306B1 (ko) 키폰시스템에서 내선전환시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방법
KR970011428B1 (ko) 키폰 전화기의 내선번호 표시방법
KR910002633B1 (ko) 정전 대피 통화기능을 갖는 시스템형 전화기
JPH09252484A (ja) 携帯電話機
KR980013183A (ko)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방법
KR19990085835A (ko) 휴대폰의 에티켓 모드 구현방법
KR970004534A (ko) 다수의 국선을 가지는 일반 전화기에서의 자동통화 접속회로 및 그 방법
KR19980051641A (ko) 자동스피커폰을 내장하는 팩시밀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9990056004A (ko) 키폰시스템에 가입된 키폰전화기의 링 볼륨 레벨 자동 조정방법
KR930003613A (ko) 전화 연결 선택 방법 및 그 회로
JPH0284851A (ja) 電話機
KR960028045A (ko) 전화기의 발신자 추적서비스 자동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