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3183A -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3183A
KR980013183A KR1019960029972A KR19960029972A KR980013183A KR 980013183 A KR980013183 A KR 980013183A KR 1019960029972 A KR1019960029972 A KR 1019960029972A KR 19960029972 A KR19960029972 A KR 19960029972A KR 980013183 A KR980013183 A KR 980013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line
function
automatic paging
call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9271B1 (ko
Inventor
박경용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29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271B1/ko
Publication of KR980013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3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CR 기능 설정시 자동적으로 호출 선로가 수행되도록 한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 호출 선로 입력단의 신호를 읽어들여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의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판단 결과 자동 호출 선로 선택시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을 설정하고 이를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해주고, 상기 판단결과 자동 호출 선로 무선택시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을 해제하며 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해주는 제 2 단계와; 오프훅시 다이얼이 입력되면 자동 호출 선로 설정 여부를 검색하는 제 3 단계와; 제 3단계에서 자동 호출 선로 설정시 번호 또는 국제 전화 번호가 입력되면 제 2의 시외 전화나 제 2의 국제 전화 번호로 변경하여 다이얼링 행하는제 4단계를 순차 실행시키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방법
본 발명은 전호자동 호출 선로(Automatic Call Routing : ACR)설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ACR 기능 설정시 자동적으로 호출 선로가 수행되도록 한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은 국내 지역 전화나 국제 전화시 사용료가 가장 적은 특정 교환 설비를 자동적으로 호출하는 기능을 말한다. 현재는 상기한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을 적용한 예는 없으나, 종래의 기술로는 특정 교환 설비(예로서, 데이컴)을 이용하고자 할 때 특정 교환 설비의 전화번호를 일일이 눌러서 다이얼해야만 그 특정 교환대의 이용이 가능하다.
일예로서, 데이콤의 교환대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082 또는 002를 먼저 다이얼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특정 교환설비를 이용코자 할 경우 먼저 그 특정 교환 설비의 전화 번호를 일일이 다이얼링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특정 교환 설비의 이용시 발생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ACR기능 설정시 자동적으로 호출 선로가 수행되도록한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자동 호출 선로 입력단의 신호를 읽어들여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의 선택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자동 호출 선로 선택시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을 설정하고 이를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해주고, 상기 판단 결과 자동 호출 선로 무선택시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을 해제하며 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해주는 제 2단계와; 오프훅시 다이얼이 입력되면 자동 호출 선로 설정여부를 검색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자동 호출 선로 설정시 지역번호 또는 국제 전화 번호가 입력되면 제 2의 시외전화나 제 2의 국제전화 번호로 변경하여 다이얼링을 행하는 제 4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본발명이 적용되는 전화기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팁 및 링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전파 정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1)와, 사용자의 송수화기 조작에 따른 훅크 상태를 감지하는 훅크 감지부(2)와,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1)를 통한 음성 신호를 후단의 음성 처리부(5)에 전달하기 위한 경로 제어부(3)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4)와, 상기 경로 제어부(3)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수화기로 전달하고송화기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처리하여 상기 경로 제어부(3)를 통해 국선으로 송출토록 하는 음성 처리부(5)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자동 호출 기능의 설정 및 해제 신호를 발생하는 자동 호출 선로 기능 입력부(6)와, 상기 자동 호출 선로 기능 입력부(6)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을 설정 및 해제하고 이를 표시토록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7)와, 상기 제어부(7)에서 출려고디는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의 설정 및 해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8)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기 회로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호출 선로 설정 방법을 첨부된 도면 제 2도 및 제 3도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인 발신시 키패드(4)의 조작에 의해 전화 번호가 눌러지면 제어부(7)는 DTMF 톤 발생부(도면에는 미도시)를 제어하여 눌러진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다이얼 톤이 발생토록 제어를 하게되고, 착신이되면 경로 제어부(3)를 콘트롤하여 팁(TIP) 및 링(RING)단자를 통한 상대방 음성 신호가 음성 처리부(5)를 통해 수화기로 전달되도록하며, 송화기로 입력된 음성 신호는 국선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착신시 브릿지 다이오드(1)을 통한 링신호는 링 발생부(도면에는 미도시)에 전달되어 링이 발생되며, 상기한 링을 들은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들게되면 훅크 감지부(2)내의 훅크 스위치(H/S)가 오프 훅크가 되어 제어부(7)는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오프 훅크한 것을 인지한다.
이와같이 오프 훅크가 감지되면 출력 포트(PO)로 하이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고, 그 하이 신호에 의해 경로 제어부(3)내의 제 2 및 제 1 스위칭 소자(Q2)(Q1)가 순차 도통된다. 상기한 제 1 스위칭 소자(Q1)의 도통으로 브릿지 다이오드(1)를 통한 상대방 음성 신호는 음성 처리부(5)로 전달되고, 송화기로 입력되는 수신자 음성 신호는 음성 처리부(5)와 경로 제어부(3) 및 브릿지 다이오드(1)를 순차적으로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자동 호출 선로(ACR)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자동 호출 선로 기능 입력부(6)내의 스위치(6a)를 단자 S1과 단자S0가 접속되도록 조작하면 제어부(6)의 입력 포트(ACR)의 입력 신호가 하이신호(VDD)가 되므로 제어부(7)는자동호출 선로 설정임을 인지한다. 이후 출력 포트(ACR LED)로 하이 신호를 출력시켜 사용자가 자동 호출 선로를 설정하였음을 표시토록 하며, 표시부(8)는 그 하이 신호에 의해 발광다이오드(LED)를 발광시켜 자동 호출 선로가 설정되었음을 알린다. 그리고, 자동 호출 선로(ACR)를 해제하기 위해 사용자가 자동 호출 선로 기능 입력부(6)내의 스위치(6a)를 단자S2과 단자S0가 접속되도록 조작하면 제어부(6)의 입력포트(ACR)의 입력신호가 로우 신호(0V)가 되므로 제어부(7)는 자동 호출선로 해제임을 인지한다.
이후 출력 포트(ACR LED)로 로우 신호를 출력시켜 사용자가 자동 호출 선로를 해제하였음을 표시토록 하며, 표시부(8)는 그 로우 신호에 의해 발광다이오드(LED)를 오프시켜 자동 호출 선로가 해제되었음을 알린다. 한편, 훅크 감지부(2)내의 훅크 스위치(H/S)가 훅크 오프상태(송수화기를 들은상태)이면 제어부(7)는 경로 제어부(3)내의 제 1 및 제 2 스위칭 소자(Q1)(Q2)를 턴-온 시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자동 호출 선로 설정 여부를 검색한다. 이때 자동 호출 선로가 설정된 경우에는 키패드(4)의 입력신호를 검색하여 최초 다이얼이 0이면 자동 호출 선로 대기 상태로 전환되며, 최초 다이얼이 0이 아닐경우에는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입력되는 다이얼을 DTMF 톤으로 변경하여 국선으로 송출한다.
그리고, 최초 다이얼이 0인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입력 다이얼을 검색하여 최초 다이얼(0번)후 지역 번호가 입력되면 자동적으로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을 수행하여 지역번호 전단에 특정 교환 설비의 이용 번호(일예로써 데이콤 082)를 먼저 송출한 후 지역번호와 전화번호를 순차 송출토록 제어를 하게된다.
마찬가지로, 최초 다이얼이 0번인 경우 다음 다이얼이 국제 전화 이용 번호일 경우에도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을 수행하여 특정 교환 설비의 이용 번호(일예로서 데이콤 002)를 먼저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전화 번호를 그대로 다이얼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발신시 지역 번호나 국제 번호가 입력되면 자동적으로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을 수행하여 가장 저렴한 통화료가부가되는 교환망을 연결해 주므로서 사용자의 통화료 부담을 저감시킴은 물론 교환망 이용의 편리(일일이 특정 교환망 번호를 누르지 않아도 됨)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기의 회로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호출 선로(ACR) 설정 및 해제 과정 흐름도,
제 3도는 본발명에 의한 다이얼링시 자동 호출 선로 변경 과정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음성처리부, 6; 자동 호출 선로 기능 입력부, 7; 제어부.

Claims (1)

  1. 자동 호출 선로 입력단의 신호를 읽어들여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의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자동 호출 선로 선택시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을 설정하고 이를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해주고, 상기 판단 결과 자동 호출 선로 무선택 시 자동 호출 선로 기능을 해제하며 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해주는 제 2단계와; 오프훅시 다이얼이 입력되면 자동 호출 선로 설정여부를 검색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자동 호출 선로 설정시 지역 번호 또는 국제 전화 번호가 입력되면 제 2의 시외 전화나 제 2의 국제전화 번호로 변경하여 다이얼링을 행하는 제 4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9972A 1996-07-24 1996-07-24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방법 KR100219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972A KR100219271B1 (ko) 1996-07-24 1996-07-24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972A KR100219271B1 (ko) 1996-07-24 1996-07-24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183A true KR980013183A (ko) 1998-04-30
KR100219271B1 KR100219271B1 (ko) 1999-09-01

Family

ID=1946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972A KR100219271B1 (ko) 1996-07-24 1996-07-24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92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892A (ko) * 1998-12-09 2000-07-05 서평원 최저 요금 서비스 선택 기능이 있는 전화기
KR20010099010A (ko) * 2001-08-08 2001-11-09 (주)모바일초이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국제전화발신번호 자동입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048U (ja) * 1990-10-25 1992-09-24 シヤ−プ株式会社 事業者識別番号の自動付加ダイヤル機能付電話機
JPH04317237A (ja) * 1991-04-17 1992-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電話料金の自動低料金選択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9271B1 (ko)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9147A (ko) 전화기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회로 및 그 방법
KR980013183A (ko)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방법
KR970009546B1 (ko) 사설교환기의 국선선로선택을 위한 다이얼링 장치 및 그 방법
KR960028003A (ko) 전화기의 전화번호 음성 서어비스 방법 및 그 장치
JPH0247992A (ja) ボタン電話装置
KR970011427B1 (ko) 다수의 국선 라인을 갖는 전화기의 선로 자동 선택 방법
KR20010079143A (ko) 통신 장치의 발신자별 색채 변환부의 색채 변환 방법.
KR100273023B1 (ko) 무선전화기의 선택 착신 제어방법
KR970009705B1 (ko) 셀룰라폰의 데이타 통신 모드 자동절체 장치
KR980007278A (ko) 유,무선 전화기의 단말기의 자동 다이얼방법 및 장치
JP3902166B2 (ja) ボタン電話装置
KR100469403B1 (ko) 선택접속이가능한내선접속장치
KR860000883B1 (ko) 키폰(Key Phone)의 회의 기능 회로
KR0162823B1 (ko) 키 텔레폰 시스템의 다이알 방법
KR19980021365A (ko) 수신된 다이얼링 톤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9181812A (ja) トーン信号自動切替機能付電話機
KR950016415A (ko) 하나의 가입자 선로를 이용한 단말 장치의 선택 호출방법
KR980013189A (ko) 광 다이얼 전화기에 있어 id번호 부여에 의한 광 다이얼 점등장치 및 그 방법
KR980007415A (ko) 일반 전화기와 화상전화기의 자동 전환장치
JPH06252993A (ja) 自動シグナル切替方式
KR930007145A (ko) 비밀번호에 의한 통화방법 및 그 장치, 그리고 비밀번호의 입력방법
KR20010073597A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 전환방법
KR20010058428A (ko) 화상전화기 및 그의 내선 통화 호출/피호출 방법
KR19990035238A (ko) 전화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링방법
KR19990003649A (ko) 키폰시스템의 내선전화기에서 휴지상태에서의 다이얼링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