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8428A - 화상전화기 및 그의 내선 통화 호출/피호출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전화기 및 그의 내선 통화 호출/피호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8428A
KR20010058428A KR1019990062683A KR19990062683A KR20010058428A KR 20010058428 A KR20010058428 A KR 20010058428A KR 1019990062683 A KR1019990062683 A KR 1019990062683A KR 19990062683 A KR19990062683 A KR 19990062683A KR 20010058428 A KR20010058428 A KR 20010058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ignal
mode
line
trunk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62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8428A/ko
Publication of KR20010058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842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전화기 및 그의 내선 통화 호출/피호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화상전화기는 전화선만으로 연결될 경우 출력 전압이 작아 전화국 호출신호를 발생할 수 없고, 또한 20V이상의 호출신호에만 응답하도록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전화기의 호출신호를 검출할 수 없으며, 또한 병렬 연결된 여러대의 전화기중 한대만을 선택하여 호출하게 되어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기 후크스위치를 온시켜 국선을 검출하여 그에 따른 국선검출신호를 후술할 마이크로컴퓨터로 출력하고, 국선 통화모드시 사용자에 의해 후크스위치가 온되면 이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통화감지신호를 전화국으로 출력하는 국선검출 및 통화감지부와; 후술할 마이크로컴퓨터의 통화모드제어신호에 의해 국선통화모드 또는 내선 통화모드로 절환되는 모드선택부와; 상기 모드선택부의 모드선택에 의해 국선을 통한 호출신호를 검출하거나 내선에 의한 호출신호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호출신호를 후술할 마이크로컴퓨터로 출력하는 호출신호검출부와; 상기 국선검출및 통화감지부의 국선검출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통화모드제어신호를 상기 모드선택부에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호출신호검출부로부터 내선 도는 국선에 의한 호출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벨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함으로써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전화선만으로 서로 다수의 화상전화기가 병렬 연결된 상태에서 적절하게 호출할 화상전화기를 각기 선택하여 손쉽게 호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피호출 화상전화기는 호출신호를 적절히 선택하여 이를 검출할 수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상전화기 및 그의 내선 통화 호출/피호출 방법{VIDEO PHONE AND HIS EXTENSION TELEPHONE CALLING/CALLED METHOD}
본 발명은 화상전화기 및 그의 내선 통화 호출/피호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국선 없이 전화선으로만 통화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화상전화기 및 그의 내선 통화 호출/피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전화기의 경우, 국선을 사용한 통화외에도 근거리에서 전화선의 연결만으로도 서로 화상 통화가 가능하다.
여기서, 도1과 같이 전화국선으로 연결된 통신망의 경우, 임의의 화상전화기의 호출신호를 전화국에서 처리하여 피호출 화상전화기를 호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화상전화기는 전화국 호출신호에 대한 검출수단을 가지고 있어 호출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도2와 같이 전화선만으로 연결된 통신망의 경우, 임의의 화상전화기는 전화국 호출신호를 출력할 수 없는데, 이는 화상전화기가 출력할 수 있는 신호의 최대 크기(대략,10V 전후)가 전화국의 호출신호(80V~150V)에 비해 현저하게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상전화기의 호출신호에 대한 검출수단이 국내에서는 20V 이상의 호출신호에 대해서만 응답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므로 화상전화기의 호출신호를 검출할 수 없다.
도1은 종래 화상전화기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로부터 호출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호출검출신호를 후술할 마이크로컴퓨터(30)에 인가하는 호출신호검출부(10)와; 상기 호출신호검출부(10)의 호출검출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벨신호를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30)와; 사용자에 의해 후크 스위치(HS)가 온되면 이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통화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통화감지부(20)를 구비한다.
상기 호출신호검출부(10)는 전원전압단과 접지단 사이에 커패시터 (C1),저항(R1), 제1 제너다이오드(ZD1), 포토커플러(PC)를 순차적으로 직렬로 접속하고,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ZD1)와 포토 커플러(PC) 사이에 역방향으로 제2 제너 다이오드(ZD2)를 접속하며, 상기 포터커플러(PC)의 포토 트랜지스터(PT)의 콜렉터에 전원전압(VCC)이 일측에 접속된 저항(R2)을 접속하여 그 접속점에서 출력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은 종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호출신호검출부(10)는 전화국으로부터 국선을 통해 호출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호출검출신호를 출력하고, 그러면 마이크로컴퓨터(30)가 이를 감지하여 소정 제어하여 스피커를 통해 벨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벨신호를 통해 호출을 알게되어 수화기를 들어 후크 스위치(HS)를 턴온시키고, 그러면 통화감지부(20)는 상기 후크스위치(HS)가 온되면 통화모드로 전환되었음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통화감지신호를 전화국으로 출력하여 더 이상 호출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의 동작을 회로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전화국에서 호출신호가 발생하면 그 호출신호는 호출신호검출부(10)의커패시터(C1),저항(R1),제1,제2 제너다이오드(ZD1),(ZD2) 및 포토 다이오드(PD)를 통해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포토 다이오드(PD)가 발광하여 포토트랜지스터(PT)가 턴온되며, 이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30)는 저전위인 호출검출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러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0)는 스피커를 통해 벨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으면 후크스위치(HS)가 온되어 상기 호출신호검출부(10)로 인가되던 호출신호가 차단되며, 이에 따라 포토트랜지스터(PT)가 오프되어 마이크로컴퓨터(30)는 고전위인 호출검출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벨신호를 차단한다.
이때, 상기 후크스위치(HS)가 온됨에 따라 상기 통화감지부(20)의 제1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되어 제너다이오드(ZD3)에 소정 레벨로 제어된 일정전압이 그 제2 트랜지스터(Tr2)에 흐르게 되고, 그에 따라 통화감지신호가 전화국으로 전송된다.
여기서, 화상이나 음성의 입출력에 대한 동작은 일반적인 동작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화상전화기는 전화선만으로 연결될 경우 출력 전압이 작아 전화국 호출신호를 발생할 수 없고, 또한 20V이상의 호출신호에만 응답하도록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전화기의 호출신호를 검출할 수 없으며, 또한 병렬 연결된 여러대의 전화기중 한대만을 선택하여 호출하게 되어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본 발명은 전화선만으로 서로 다수의 화상전화기가 병렬 연결된 상태에서 적절하게 호출할 화상전화기를 각기 선택하여 호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피호출 화상전화기는 호출신호를 적절히 선택하여 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화상전화기 및 그의 내선 통화 호출/피호출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전화국선에 연결된 통신망을 보인 개략도.
도2는 전화선으로만 연결된 통신망을 보인 개략도.
도3은 종래 화상전화기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4는 본 발명 화상전화기의 구성을 보인 회도로.
도5는 도4에 있어서의 호출신호에 대한 파형도.
도6은 본 발명 화상전화기의 내선 통화 호출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
도7은 본 발명 화상전화기의 내선 통화 피호출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모드선택부 200:호출신호검출부
300:국선검출및 통화감지부 400:마이크로컴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초기 후크스위치를 온시켜 국선을 검출하여 그에 따른 국선검출신호를 후술할 마이크로컴퓨터로 출력하고, 국선 통화모드시 사용자에 의해 후크스위치가 온되면 이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통화감지신호를 전화국으로 출력하는 국선검출 및 통화감지부와; 후술할 마이크로컴퓨터의 통화모드제어신호에 의해 국선통화모드 또는 내선 통화모드로 절환되는 모드선택부와; 상기 모드선택부의 모드선택에 의해 국선을 통한 호출신호를 검출하거나 내선에 의한 호출신호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호출검출신호를 후술할 마이크로컴퓨터로 출력하는 호출신호검출부와; 상기 국선검출및 통화감지부의 국선검출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통화모드 제어신호를 상기 모드선택부에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호출신호검출부로부터 내선 도는 국선에 의한 호출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벨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워가 온되면 후크 스위치를 온시켜 국선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국선이 검출되면 국선 통화모드로 대기하고, 국선이 검출되지 않으면 내선 통화모드로 대기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내선 통화모드 대기시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이를 호출하여 통화한후 라인 프리 톤을 출력하여 내선 통화모드로 다시 대기하는 제3 단계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워가 온되면 후크 스위치를 온시켜 국선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국선이 검출되면 국선 통화모드로 대기하고, 국선이 검출되지 않으면 내선 통화모드로 대기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내선 통화모드 대기시 호출신호가 입력되면 자기 호출인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판단결과 자기 호출이 아니면 라인 프리 톤 유무에 따라 라인사용중을 표시하거나 제거한후 다시 내선 통화모드로 대기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판단결과 자기호출이면 벨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 의해 통화가 완료되면 내선 통화모드로 대기하는 제5 단계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상전화기 및 그의 내선 통화 호출/피호출 방법에 대한 작용과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 화상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초기 후크스위치(HS)를 온시켜 국선을 검출하여 그에 따른 국선검출신호를 후술할 마이크로컴퓨터(400)로 출력하고, 국선 통화모드시 사용자에 의해 후크스위치(HS)가 온되면 이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통화감지신호를 전화국으로 출력하는 국선검출 및 통화감지부(300)와; 후술할 마이크로컴퓨터(400)의 통화모드제어신호에의해 국선 통화모드 또는 내선 통화모드로 절환되는 모드선택부(100)와; 상기 모드선택부(100)의 모드선택에 의해 국선을 통한 호출신호를 검출하거나 내선에 의한 호출신호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호출검출신호를 후술할 마이크로컴퓨터(400)로 출력하는 호출신호검출부(200)와; 상기 국선검출 및 통화감지부(300)의 국선검출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통화모드 제어신호를 상기 모드선택부(100)에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호출신호검출부(200)로부터 내선 또는 국선에 의한 호출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벨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 (400)를 구비한다.
상기 국선검출 및 통화감지부(300)는 후크스위치(HS)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브리지다이오드(BRIDGE)와, 상기 브리지다이오드(BRIDGE)의 직류전압을 분압하는 제1,제2 저항(R3),(R4)과. 상기 브리지다이오드(BRIDGE)의 직류전압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일 때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제너다이오드(ZD3)와; 상기 제1,제2 저항(R3),(R4)에 의해 분압된 직류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제너다이오드(ZD3)에 의해 흐르는 전류가 도통되는 제1,제2 트랜지스터(Tr1),(Tr2)와; 상기 트랜지스터(Tr2)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포토다이오드(PD) 및 이 포토다이오드(PD)에 의해 턴온되는 포토트랜지스터(PT)로 이루어진 포토커플러(PC)와; 상기 포토트랜지스터(PT)의 콜렉터측 신호를 소정 레벨로 풀업시켜 이를 국선검출신호로 출력하는 풀업저항(R6)으로 구성한다.
상기 호출신호검출부(200)는 내선 통화모드시 호출신호의 전류패스로 동작하는 제1 저항(R7)과. 국선 통화모드시 호출신호의 전류패스로 동작하는 제2저항(R1), 제1 제너다이오드(ZD1) 및 제2 제너다이오드(ZD2)와; 내선 통화모드 또는 국선 통화모드시 호출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포토 다이오드(PD) 및 이 포토다이오드(PD)에 의해 턴온되는 포토 트랜지스터(PT)로 이루어진 포토커플러(PC)와;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PT)의 콜렉터측 신호를 소정 레벨로 풀업시켜 이를 호출검출신호로 출력하는 풀업저항(R3)으로 구성한다.,
도6은 본 발명 화상전화기의 내선 통화 호출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파워가 온되면 후크 스위치(HS)를 온시켜 국선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국선이 검출되면 국선 통화모드로 대기하고, 국선이 검출되지 않으면 내선 통화모드로 대기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내선 통화모드 대기시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이를 호출하여 통화한후 라인 프리 톤을 출력하여 내선 통화모드로 다시 대기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7은 본 발명 화상전화기의 내선 통화 피호출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파워가 온되면 후크 스위치(HS)를 온시켜 국선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국선이 검출되면 국선 통화모드로 대기하고, 국선이 검출되지 않으면 내선 통화모드로 대기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내선 통화모드 대기시 호출신호가 입력되면 자기 호출인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판단결과 자기 호출이 아니면 라인 프리 톤 유무에 따라 라인사용중을 표시하거나 제거한후 다시 내선 통화모드로 대기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판단결과 자기호출이면 벨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 의해 통화가완료되면 내선 통화모드로 대기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지며, 이와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국선검출 및 통화감지부(300)는 초기에 파워가 온되면 후크스위치(HS)를 온시켜 국선을 검출하는데, 만약 국선이 검출되면(국선은 항상 소정전압(48V)이 걸리므로 제너다이오드(ZD3)를 그 소정전압 레벨이거나 이상일 때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제1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되어 제너다이오드(ZD3)에 소정 레벨로 제어된 일정전압이 그 제2 트랜지스터(Tr2) 및 포토다이오드(PD)에 흐르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포토다이오드(PD)가 발광하여 그에 따른 국선검출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400)에 인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00)는 모드선택부(100)를 국선통화모드로 절환한다.
이후, 호출신호검출부(100)는 전화국으로부터 국선을 통해 호출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제1 전류패스(R1,ZD1,ZD2)를 통해 검출하여 그에 따른 호출검출신호를 출력하고, 그러면 마이크로컴퓨터 (400)가 이를 감지하여 소정 제어하여 스피커를 통해 벨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벨신호를 통해 호출을 알게되어, 수화기를 들어 후크 스위치(HS)를 턴온시키고, 그러면 국선검출 및 통화감지부(300)는 상기 후크스위치(HS)가 온되면 통화모드로 전환되었음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통화감지신호를 전화국으로 출력하여 더 이상 호출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국선 통화시의 회로적인 동작 설명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만약, 국선검출 및 통화감지부(300)가 국선을 검출하지 못하면 그에 따른 국선검출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400)에 인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00)는 모드선택부(100)를 내선 통화모드로 절환한다.
여기서, 내선 통화모드로 절환된 화상전화기가 호출신호를 발생할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가 도5의 (a)와 같은 호출파형으로 입력되면 이를 도5의 (b)와 같은 정현파형으로 호출하여 통화한후, 라인 프리 톤을 출력하여 내선 통화모드로 다시 대기한다.
만약, 내선 통화모드시 화상전화기가 피호출될 경우, 호출신호검출부(200)에 의해 호출신호가 검출되면, 마이크로컴퓨터(400)는 상기 호출신호가 자기 호출인지를 판단하여 자기 호출이 아니면 라인 프리톤 유무에 따라 라인사용중일 표시하거나 제거한후 다시 내선 통화모드로 대기하고, 반대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 (400)가 호출신호검출부(200)에 의해 호출검출신호가 자기호출신호(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됨)이면 스피커를 통해 벨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이후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하면 상기 국선검출 및 통화감지부(300)가 이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통화감지신호를 상대편 화상전화기로 출력하여 더이상의 호출신호를 차단하고, 사용자가 통화를 완료하면 다시 내선 통화모드로 대기한다.
이때, 상기 호출신호검출부(200)는 종래와 달리 저항(R7)을 통한 전류패스를 가지는데, 이는 내선 통화시의 화상전화기에서 발생하는 호출신호의 출력전압이 전화국에서 발생하는 전압보다 작기때문에 제1,제2 제너다이오드(ZD1),(ZD2)를 통해서는 검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전화선만으로 서로 다수의 화상전화기가 병렬 연결된 상태에서 적절하게 호출할 화상전화기를 각기 선택하여 손쉽게 호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피호출 화상전화기는 호출신호를 적절히 선택하여 이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초기 후크스위치를 온시켜 국선을 검출하여 그에 따른 국선검출신호를 후술할 마이크로컴퓨터로 출력하고, 국선 통화모드시 사용자에 의해 후크스위치가 온되면 이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통화감지신호를 전화국으로 출력하는 국선검출 및 통화감지부와; 후술할 마이크로컴퓨터의 통화모드제어신호에 의해 국선통화모드 또는 내선 통화모드로 절환되는 모드선택부와; 상기 모드선택부의 모드선택에 의해 국선을 통한 호출신호를 검출하거나 내선에 의한 호출신호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호출검출신호를 후술할 마이크로컴퓨터로 출력하는 호출신호검출부와; 상기 국선검출및 통화감지부의 국선검출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통화모드 제어신호를 상기 모드선택부에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호출신호검출부로부터 내선 도는 국선에 의한 호출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벨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화기.
  2. 제1 항에 있어서, 국선검출 및 통화감지부는 후크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브리지다이오드와, 상기 브리지다이오드의 직류전압을 분압하는 제1,제2 저항과. 상기 브리지다이오드의 직류전압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일 때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제너다이오드와; 상기 제1,제2 저항에 의해 분압된 직류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제너다이오드에 의해 흐르는 전류가 도통되는 제1,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포토다이오드 및 이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턴온되는 포토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포토커플러와; 상기 포토트랜지스터의 콜렉터측 신호를 소정 레벨로 풀업시켜 이를 국선검출신호로 출력하는 풀업저항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화기.
  3. 제1 항에 있어서, 내선 통화모드시 호출신호의 전류패스로 동작하는 제1 저항과. 국선 통화모드시 호출신호의 전류패스로 동작하는 제2 저항, 제1 제너다이오드 및 제2 제너다이오드와; 내선 통화모드 또는 국선 통화모드시 호출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포토 다이오드 및 이 포토 다이오드에 의해 턴온되는 포토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포토커플러와;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측 신호를 소정 레벨로 풀업시켜 이를 호출검출신호로 출력하는 풀업저항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화기.
  4. 파워가 온되면 후크 스위치를 온시켜 국선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국선이 검출되면 국선 통화모드로 대기하고, 국선이 검출되지 않으면 내선 통화모드로 대기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내선 통화모드 대기시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이를 호출하여 통화한후 라인 프리 톤을 출력하여 내선 통화모드로 다시 대기하는 제3 단계로 수행함을 특징으로하는 화상전화기의 내선 통화 호출방법.
  5. 파워가 온되면 후크 스위치를 온시켜 국선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국선이 검출되면 국선 통화모드로 대기하고, 국선이 검출되지 않으면 내선 통화모드로 대기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내선 통화모드 대기시 호출신호가 입력되면 자기 호출인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판단결과 자기 호출이 아니면 라인 프리 톤 유무에 따라 라인사용중을 표시하거나 제거한후 다시 내선 통화모드로 대기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판단결과 자기호출이면 벨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 의해 통화가 완료되면 내선 통화모드로 대기하는 제5 단계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화기의 내선 통화 피호출방법.
KR1019990062683A 1999-12-27 1999-12-27 화상전화기 및 그의 내선 통화 호출/피호출 방법 KR20010058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683A KR20010058428A (ko) 1999-12-27 1999-12-27 화상전화기 및 그의 내선 통화 호출/피호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683A KR20010058428A (ko) 1999-12-27 1999-12-27 화상전화기 및 그의 내선 통화 호출/피호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428A true KR20010058428A (ko) 2001-07-06

Family

ID=1963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683A KR20010058428A (ko) 1999-12-27 1999-12-27 화상전화기 및 그의 내선 통화 호출/피호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84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6021A (en) Telephone set
US5987119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vering speech path of telephone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KR20010058428A (ko) 화상전화기 및 그의 내선 통화 호출/피호출 방법
KR20010044287A (ko) 전화선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스위치 원격 제어 장치 및 그방법
KR100731231B1 (ko) 전화기의 온후크시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0171096Y1 (ko) 경박형 전화기
KR100219271B1 (ko)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방법
RU2127026C1 (ru) Способ распознавания установления речевых телефонных каналов в средствах связи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KR100297353B1 (ko) 전화번호 자동절환장치
KR0158310B1 (ko) 광다이얼의 밝기 자동조절 기능을 갖춘 전화기
KR900006474B1 (ko) 릴레이 제어회로
KR19980026427A (ko) 국선인터페이스 회로
JPH0411403Y2 (ko)
KR900003623B1 (ko) 확장전화기의 호출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950002583B1 (ko) 키폰 전화기의 음성전송라인 접속회로
US7940920B2 (en) Telecommunication capable of silent operation and the related method therof
KR0154459B1 (ko) 병렬연결된 전화기의 상호 호출장치 및 그 방법
KR100215721B1 (ko) 사용중인 전화번호 표시기능을 갖춘 간이교환전화시스템
KR0133420B1 (ko) 전화기의 국선 동시 통화장치 및 그 방법
JPH08205216A (ja) 単独電話機を収容するボタン電話装置
KR19990056110A (ko) 키폰시스템에 가입된 키폰전화기의 전력 소모 방지 방법
JPH11331443A (ja) ディジタル多機能電話機の給電方式
KR20060015979A (ko) 전화기의 통화 감시회로
JPH0342756B2 (ko)
KR20000047221A (ko) 단일회선을 통한 팩시밀리/전화기 경로 공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