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097B1 -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링신호 및 훅크스위치의 상태 검출회로 - Google Patents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링신호 및 훅크스위치의 상태 검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097B1
KR100233097B1 KR1019960044856A KR19960044856A KR100233097B1 KR 100233097 B1 KR100233097 B1 KR 100233097B1 KR 1019960044856 A KR1019960044856 A KR 1019960044856A KR 19960044856 A KR19960044856 A KR 19960044856A KR 100233097 B1 KR100233097 B1 KR 100233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telephone line
line interface
hook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427A (ko
Inventor
민경화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44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097B1/ko
Priority to US08/946,079 priority patent/US6345096B1/en
Publication of KR19980026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0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 H04M3/14Signalling existence of persistent "off-hook"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72Subscriber line supervision circuits, e.g. call detec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82Line monitoring circuits for call progress or status discri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Abstract

교환기의 국선 인터페이스회로가, 전화라인에 병렬 구성의 훅크스위치 및 고전압의 링신호 통로형성부를 접속하고 접속노드와 교환기의 제어부 사이에 검출부를 연결하며, 검출부가 국선 착신모드시 링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에 인가하고 국선 발신모드시 훅크 오프 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부에 인가한다.

Description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링신호 및 훅크스위치의 상태 검출회로{CIRCUIT FOR DETECTING STATE OF RING AND HOOK SWITCH IN LINE INTERFACE UNIT OF TELEPHONE SYSTEM}
본 발명은 교환기의 국선 인터페이스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훅크오프 및 링신호를 공통으로 검출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설교환기(Private Branch Exchange)나 키텔레폰 시스템(key telephone system)은 링신호를 검출하는 회로(ring detector)와 훅크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회로(hook on/off sensing circuit)를 별도로 구성하며, 교환기의 제어부는 상기 링검출회로 및 훅크오프검출회로에서 각각 발생하는 신호의 상태를 검사하여 착신 또는 발신 통화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교환기라 함은 상기 사설교환기 및 키텔레폰 시스템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상기 키텔레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중앙처리장치111은 통화 스위칭을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키텔레폰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롬112는 기본 호(call)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111의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타를 저장한다. 램113은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를 일시 저장한다. 스위칭회로114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의 제어하에 각종 톤(tone) 및 음성데이타를 스위칭한다. 일반가입자회로115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의 제어하에 일반전화기(도시하지 않음)에 통화 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일반전화기와 상기 스위칭회로114 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링발생기116은 링신호를 발생하여 가입자선로에 공급한다. 키폰가입자회로117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의 제어하에 상기 키폰전화기(도시하지 않음)와 각종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통화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키폰전화기와 스위칭회로114 간에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여기서 상기 키폰전화기 및 일반전화기는 내선가입자가 된다. 또한 상기 가입자회로115 및 117과 상기 내선가입자를 연결하는 선로는 가입자선로가 된다. 톤발생기118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의 제어하에 각종 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칭회로114로 출력한다. 국선회로119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의 제어하에 국선을 시저(seizure)하여 국선 통화 루프를 형성하며, 국선과 상기 스위칭회로114 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여기서 국선은 상기 국선회로119와 국설교환기 간을 연결하는 선로를 말한다. DTMF수신기(Dual Tone Muti-Frequency Receiver)120은 상기 스위칭회로114에서 입력되는 DTMF신호를 분석하여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1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회로114로 상기 DTMF수신기120에 입력되는 DTMF신호는 상기 국선가입자가 발생한 전화번호 또는 내선가입자가 발생한 전화번호가 된다. DTMF송신기121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이 출력하는 디지탈 데이타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칭회로114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DTMF송신기121을 출력하는 DTMF신호는 내선 측에서 국선 측을 호출할 시 발생한 국선가입자의 전화번호가 된다.
종래의 교환기의 국선회로119에서 상기 링신호 및 훅크오프신호 검출회로는 도 2와 같이 구성되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훅크온/오프 감지부22와 링검출부21은 전화라인에 병렬 연결되며 출력단이 각각 중앙처리장치111과 연결된다. 먼저 국선착신시 상기 링검출부21은 상기 전화라인 상의 국선 링신호를 검출한 후, 링검출비트RBT(ring dectect bit)를 세트시켜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국선 착신 상태임을 감지하고 지정된 내선가입자(또는 중계대)의 해당 가입자가 연결된 가입자회로115 또는 117을 제어하여 착신링 신호가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링 착신 상태임을 감지하고, 해당 가입자가 훅크오프하면 스위칭회로114를 제어하여 해당 국선포트 및 가입자포트를 연결하여 착신호를 서비스한다.
또한 상기 국선발신시 훅크스위치(hook switch)가 온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해당하는 가입자포트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며, 상기 스위칭회로114를 제어하여 상기 가입자포트와 DTMF수신기121을 연결한다. 이후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상기 DTMF수신기121에서 출력되는 전화번호 데이타를 검사하여 국선회로119의 국선포트와 연결되는 흑크스위치를 온시킨다. 이때 상기 훅크스위치가 온되면, 국설교환기와 교환기 간에 연결된 전화라인이 정상적인 상태인 경우 국설교환기에서 출력되는 통화전류에 의해 국선루프가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훅크온/오프 감지부22는 훅크스위치의 온 상태(hook-off status)에 의한 국선루프 형성을 감지하고, 훅크온/오프 검출비트HBT(hook on/off sensing bit)를 세트시켜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상기 스위칭회로114를 제어하여 해당 가입자포트와 국선포트를 연결하여 발신 통화를 서비스한다.
그러나 상기 전화라인이 이상 상태인 경우, 상기 국설교환기에서 출력되는 통화전류에 의한 국선루프가 형성되지 못하게 된다. 이런 경우 상기 훅크온/오프감지부22는 국선루프의 형성을 감지하지 못하며, 이로인해 상기 훅크온/오프비트를 리세트시킨다. 그러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상기 전화라인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고 다른 국선라인을 억세스한 후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발신 통화를 서비스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국선회로119에서 링검출부21과 훅크온/오프 감지부22를 별도로 설계하는 이유는 상기 링신호가 고전압신호이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링신호는 85V, 20-25Hz 신호이다. 따라서 상기 링검출부21과 훅크온/오프 감지부22를 함께 구성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국선회로119와 중앙처리장치111 사이에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링검출부21 및 훅크온/오프 감지부22의 출력을 각각 드라이브하기 위한 옵토커플러(opto-coupler)나 디코딩회로를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이를 집적(custom IC)화 할 경우, 해당 핀이 설계 보드에 수용되는 포트 수 만큼 증가하여야 하므로, 집적회로의 패키지 크기(package size)가 커지게 된다.
그리고 신뢰성 측면에 살펴보면, 상기와 같이 국선회로를 구성하는 경우 과도한 고전압 소자들의 수가 증가되어 교환기의 평균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하는 고전압소자는 내압이 높아질수록 부품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커지게된다. 이런 경우, 교환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불리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면, 상기 국선회로119에서 링신호와 훅크온/오프신호를 하나의 회로에서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에 출력하면, 중앙처리장치111이 해당 출력을 검사하여 링신호 및 훅크온/오프상태의 판단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기의 국선회로에서 링신호 및 훅크스위치의 상태를 공통으로 검출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기에서 링신호 및 훅크스위치의 상태를 공통으로 검출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환기의 국선 인터페이스회로가, 전화라인에 병렬 구성의 훅크스위치 및 고전압의 링신호 통로형성부를 접속하고 상기 접속노드와 교환기의 제어부 사이에 검출부를 연결하며, 상기 검출부가 국선 착신모드시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고 국선 발신모드시 훅크 오프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교환기에서 훅크오프신호 및 링신호를 검출하는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훅크오프신호 및 링신호를 검출하는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선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과 같은 구성을 갖는 국선회로를 집적화 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중 동일한 부품들은 가능한한 어느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교환기의 구성은 상기 도 1과 동일하며, 참조 부호도 동일한다. 여기서 상기 교환기라 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설교환기와 키텔레폰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선회로119의 구성도로서, 전화라인의 팁단자와 링단자에 연결되는 어레스터(arrester)DSS1-DSS3는 서지 보호용 소자(surge protector)이다. 훅크스위치SW1은 상기 전화라인의 일측 단자의 노드N1 및 노드N2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의 제어하에 스위칭된다. 노드N1과 노드N2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캐패시터C1, 제너다이오드ZD1 및 저항R1은 상기 전화라인 상에서 훅크스위치SW1과 병렬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며, 이는 링신호의 통로를 형성한다. 브리지다이오드(bridge diode)BD는 상기 노드N2와 전화라인 타 단자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화라인 상의 신호 극성을 정렬하는 동시에 정류한다.
제너다이오드ZD2, 캐패시터C2-C3, 저항R3-R7, 다이오드D1-D2 및 트랜지스터QQ1은 상기 전화라인 상의 훅크오프 및 링신호를 공통으로 검출하는 회로가 된다. 이하 상기 훅크온/오프 및 링신호를 공통으로 검출하는 회로를 검출부라 칭한다. 옵토커플러(optocoupler)OC, 저항R8-R9 및 캐패시터C4는 상기 검출부와 중앙처리장치111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에 출력하는 구동부이다.
상기 도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선회로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링신호는 보통 78-85Vrms의 교류신호이다. 그기고 국설교환기는 임의 전화기 또는 교환기에 착신 링신호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링신호를 통화전류인 DC 48V에 중첩시켜 해당하는 교환기의 국선회로119에 인가한다. 이때 상기 교환기의 중앙처리장치111은 국선 착신모드일 시 상기 훅크스위치SW1을 오프시킨 상태를 유지하며, 수신되는 링신호는 캐패시터C1, 제너다이오드ZD1 및 저항R1의 통로를 통해 브리지다이오드BD에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은 링신호 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전압으로 설정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의 턴온 전압이 68V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또한 국선발신모드시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상기 훅크스위치SW1을 온시키겨 전화라인과 국선회로119를 연결시킨다.
먼저 국선착신모드 시의 동작을 살펴본다. 상기 국선착신모드에서 링신호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브리지다이오드BD에 인가되는 신호가 없으므로 트랜지스터Q1은 오프 상태가 된다. 그러면 옵토커플러OC도 오프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링검출비트RBT 및 훅크온/오프 검출비트HBT는 리세트(logic low status)된다.
이후 상기 국설교환기에서 링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링신호가 공급되는 시점에서 상기 훅크스위치SW1은 오프된 상태이다. 상기 링신호가 착신되면 제너다이오드ZD1이 턴온되어 브리지다이오드BD에 인가되며, 상기 브리지다이오드BD는 상기 링신호를 극성 정렬 및 정류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저항R3 및 저항R4는 상기 브리지다이오드BD의 출력을 분압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바이어스를 조정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류는 상기 저항R3 및 저항R4의 값을 매우 크게 설정하므로, 소량의 전류 크기를 갖게된다. 이때 상기 저항R3 및 저항R4의 분압된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Q1이 온되며, 이로인해 상기 다이오드D1-D2, 트랜지스터Q1 및 저항R5를 경유하는 전류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에 의해 전류 통로가 형성되면, 역시 저항R6 및 저항R7을 경유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1에 출력되는 또 다른 전류통로도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D1-D2 및 저항R5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저항R6 및 저항R7은 옵토커플러OC의 발광다이오드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1이 턴온되면, 이로인해 옵토커플러OC가 온되어 디지탈 레벨의 전원(5V)의 링검출비트RBT를 발생하게된다. 이때 저항R8-R9 및 캐패시터C4의 값들을 적절하게 설정하여 상기 하이 논리의 링검출비트RBT의 카덴스(cardense)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링신호는 사인파(sine wave)로서 브리지다이오드BD를 통해 전파 정류하여도 리플(ripple) 성분이 존재하게되며, 다이오드D1-D2, 트랜지스터Q1, 캐패시터C3 및 저항R5로 구성되는 슈미트트리거 구성에 의해 이를 보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링검출비트RBT가 세트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이를 감지하고, 이후의 착신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두번째로 훅크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임의 가입자가 훅크오프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스위칭회로114를 제어하여 해당 가입자회로115 또는 117과 DTMF수신기120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상기 DTMF수신기120의 출력을 분석하며, 수신되는 데이타가 국선을 점유하기 위한 데이타이면 국선회로119의 훅크스위치SW1을 온시킨다. 이때 상기 전화라인이 정상적인 상태이면, 상기 국설교환기에 공급되는 통화전원에 의해 전류루프가 형성된다. 즉, 상기 국설교환기에서 공급되는 통화전류는 훅크스위치SW1을 통해 브리지다이오드BD에 인가된다. 따라서 브리지다이오드BD→저항R3→저항R4→브리지다이오드BD를 통하는 전류루프가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트랜지스터Q1이 턴온되며,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을 경유하는 전류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이 온되면, 상기 옵토커플러OC도 온되며, 이로인해 디지탈 전원 레벨의 훅크온/오프 검출비트HBT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하나의 단자로 링검출비트RBT 및 훅크온/오프 검출비트HBT의 상태를 분석하게 되므로, 검출 프로그램을 변경하여야 한다. 이는 링신호와 훅크온/오프신호는 신호 처리 시퀀스(sequence) 상에서 동일한 시점에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소프트웨어 처리시 하나의 비트로 이들 검출비트HBT 및 RBT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런경우, 국선착신 대기 상태에서 링 카덴스 주기의 디지탈 전원이 발생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이를 링검출비트RBT가 세트된 것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훅크스위치SW1을 온시킨 후 상기 디지탈 전원이 발생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이를 훅크온/오프 검출비트HBT가 세트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훅크스위치SW1이 온된 상태에서 다이알 펄스(dial pulse)를 송출하는 경우에도 상기 검출부 및 구동부가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다이알 펄스를 송출하는 과정에서 감지되는 디지탈 전원은 무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국선착신 또는 국선발신 통화의 서비스가 실행되면, 상기 브리지다이오드BD와 트랜스포머23을 통해 국선회로119는 전화라인 상의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국선회로119가 링신호 및 훅크온/오프 상태를 공통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검출회로를 전화기에 구현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화기에서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성할 시 상기와 같은 검출회로를 구현하면 전화기의 제어부는 링검출 상태 및 훅크온/오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교환기의 국선회로 또는 전화기의 전화라인 인터페이스회로에서 링신호 및 훅크온/오프 상태를 공통으로 검출하는 회로를 구현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적화가 용이하다. 또한 링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고전압소자의 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인해 원가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교환기의 국선 인터페이스회로의 신호검출회로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의 제어부와,
    전화라인에 병렬 접속되는 훅크스위치 및 고전압의 링신호 통로형성부와,
    상기 접속노드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며, 국선 착신모드시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고 국선 발신모드시 훅크 오프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검출부로 구성되어,
    하나의 검출부로 링신호 및 훅크온/오프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국선 인터페이스 회로의 신호검출회로.
  2. 전화라인 인터페이스의 신호검출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화라인의 제1노드와 제2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제어부에 의해 스위칭되는 훅크스위치와,
    상기 훅크스위치와 병렬로 상기 제1노드와 제2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고전압 소자들로 구성되어 링신호의 통로를 형성하는 링통로형성부와,
    상기 제2노드에 연결되는 정류회로와,
    상기 정류회로에 연결되고 스위칭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레벨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가 스위칭 제어되어 링신호 또는 훅크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검출부의 출력을 디지탈 전원 레벨로 변환 출력하는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라인 인터페이스회로가 교환기의 국선 인터페이스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가 슈미트트리거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가 브리지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라인 인터페이스회로가 전화기의 인터페이스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가 슈미트트리거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가 브리지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
KR1019960044856A 1996-10-09 1996-10-09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링신호 및 훅크스위치의 상태 검출회로 KR100233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856A KR100233097B1 (ko) 1996-10-09 1996-10-09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링신호 및 훅크스위치의 상태 검출회로
US08/946,079 US6345096B1 (en) 1996-10-09 1997-10-07 Central office line interfacing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856A KR100233097B1 (ko) 1996-10-09 1996-10-09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링신호 및 훅크스위치의 상태 검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427A KR19980026427A (ko) 1998-07-15
KR100233097B1 true KR100233097B1 (ko) 1999-12-01

Family

ID=1947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856A KR100233097B1 (ko) 1996-10-09 1996-10-09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링신호 및 훅크스위치의 상태 검출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45096B1 (ko)
KR (1) KR1002330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369B1 (ko) * 2001-02-28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발신자 번호 인식 국선 인터페이스 회로
KR100421341B1 (ko) * 2002-02-09 2004-03-06 주식회사 연우이앤티 전자식 교환기의 국선 정합장치
WO2009002194A1 (en) * 2007-06-25 2008-12-31 Telecom New Zealand Limited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ew communication services over existing wir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6178A (ko) * 1990-02-21 1991-09-30 정용문 사설교환기의 트렁크 신호감지 및 음성 통화회로
KR920007196Y1 (ko) * 1987-10-08 1992-10-08 아사다 가부시키가이샤 파이프절단기의 구동기구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7053A (en) * 1978-02-21 1980-10-07 Sava Jacobson Telephone answering device having balanced input
US4304970A (en) 1979-11-14 1981-12-08 Gte Products Corp. Telephone status monitor apparatus
US4331838A (en) * 1980-04-23 1982-05-25 Tii Industries, Inc. Telephone ringer isolator circuit arrangement
US4748659A (en) * 1984-05-30 1988-05-31 Fujitsu Limited Calling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US4731827A (en) 1984-10-29 1988-03-15 David Systems, Inc. Interswitch line circuit
US4998271A (en) 1989-08-28 1991-03-05 Venture Technologies, Inc. Telephone accessory
US5402482A (en) 1991-07-08 1995-03-28 Fujitsu Limited Ring trip deciding circuit
JPH05145627A (ja) 1991-09-12 1993-06-11 Fujitsu Ltd リングトリツプ検出回路
US5347575A (en) 1992-03-26 1994-09-13 Ag Communication Systems Corporation Circuit to detect the hook status and ringing at the CPE end of a telephone network
JP3559579B2 (ja) * 1992-11-12 2004-09-02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カンパニー インタフェース装置
US5442694A (en) 1994-04-12 1995-08-15 Dialogic Corporation Ring tone detection for a telephone system
GB2290674B (en) 1994-06-20 1999-04-07 Motorola Inc Telephone apparatus for caller ID
US5619567A (en) 1994-10-31 1997-04-08 Advanced Micro Devices Variable DC feed characteristic in a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US5594788A (en) 1994-11-23 1997-01-14 Lin; Stephen T. Telephone system and interface device
KR100221086B1 (ko) * 1996-01-17 1999-09-15 윤종용 모뎀의 신호 안정화 통화 유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196Y1 (ko) * 1987-10-08 1992-10-08 아사다 가부시키가이샤 파이프절단기의 구동기구실
KR910016178A (ko) * 1990-02-21 1991-09-30 정용문 사설교환기의 트렁크 신호감지 및 음성 통화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427A (ko) 1998-07-15
US6345096B1 (en) 2002-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86559A1 (en) Fallback function telecommunications device
US5239580A (en) Modem-telephone coupler
KR100233097B1 (ko)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링신호 및 훅크스위치의 상태 검출회로
JPH04233891A (ja) ボタン電話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
US4896352A (en) Telephone set circuit including an overvoltage protection
US5987119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vering speech path of telephone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JPS6251018B2 (ko)
EP1046269A1 (en) Communication set with detection of set function and line condition
KR200171096Y1 (ko) 경박형 전화기
KR0177682B1 (ko) 전화선 사용 상태 검출회로
KR100206744B1 (ko) 단일 정류 회로용 전화기
KR960005185Y1 (ko) 내선 가입자 회로의 링 트립 방지 회로
KR200319430Y1 (ko) 전전자교환기의가입자보드에서의알씨회로
KR100216399B1 (ko) 교환장치의 전화기 미접속 내선 통지방법
RU2127026C1 (ru) Способ распознавания установления речевых телефонных каналов в средствах связи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JP3748542B2 (ja) 通信装置
KR910003077Y1 (ko) 전화기에 있어서 후크스위치 제어회로
KR0145481B1 (ko) 전원잡음 제거기능을 갖는 전자식 교환시스템
KR100191216B1 (ko) 두 개의 전화라인을 보유한 전화기
WO2000072568A9 (en) Computer - telephone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KR950002583B1 (ko) 키폰 전화기의 음성전송라인 접속회로
JPH0323747Y2 (ko)
JPH04248750A (ja) 回線端末装置
JP2005094476A (ja) 通信装置
JPH054423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