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116B1 - 함침형 음극 - Google Patents

함침형 음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116B1
KR890004116B1 KR1019850004579A KR850004579A KR890004116B1 KR 890004116 B1 KR890004116 B1 KR 890004116B1 KR 1019850004579 A KR1019850004579 A KR 1019850004579A KR 850004579 A KR850004579 A KR 850004579A KR 890004116 B1 KR890004116 B1 KR 890004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electron
impregnated
electron emissiv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688A (ko
Inventor
시게히꼬 야마모또
사다노리 타구찌
토시유끼 아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미따 가쯔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미따 가쯔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Publication of KR860000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13Solid thermionic cathodes
    • H01J1/20Cathodes heated indirectly by an electric current; Cathodes heated by electron or ion bombardment
    • H01J1/28Dispenser-type cathodes, e.g. L-cath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13Solid thermionic cathodes
    • H01J1/14Solid thermionic cath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Landscapes

  • Solid Thermionic Cathode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함침형 음극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함칭형 음극의 일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과 종래의 함침형 음극의 전자방출 특성을 비교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펠릿 2 : 기체(基體)
3 : 빈구멍 4 : 캡
5 : 슬리이브 6 : 심지선
7 : 히이터 8 : 박막
본 발명은 함칭형 음극에 관한 것이다.
함침형 음극은 높은 전자방출능을 장시간 유지하는 음극으로서 유망시되고 있다. 그러나 높은 전자방출능을 지닌 반면, 동작온도가 약 1050~1200℃로 높으고, 전자방출물질인 바륨(Ba)이 증발하거나, 가열히이터가 장시간의 사용에 견디지 못하는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 문제해결을 위하여 전자방출면에 오스뮴(Os) 등 귀금속을 피복하는 일이 제안되고, 이에 의하여 동작온도를 약 150℃정도 낮출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피복금속막과 기체재료의 상호확산 문제나, 특히 오스뮴피복의 경우에는 산화때문에 그 효과는 불안정했다.
오스뮴피복등 금속피복에 대신하는 것으로서 So2O3또는 Sc를 함유하는 산화물(예를 들면 (Al, Sc)2O3)과 텅스텐등 내열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소결체의 기체에 전자방전물질을 함침시킨 함침형 음극(Sc2O2혼합매트릭스기체합침형 음극)이 제안되고 있다. (일본 특개소 58-154131). 이 음극은 오스뮴피복의 음극보다도 더욱 저온동작이 가능하다. 이 음극은 전자방출면에, 낮은일 함수(low work fanction)의 Ba, Sc 및 O로 이루어지는 단원자층(單原子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나, 이 층이 어떠한 이유로 일단 소실되면 이층의 재생이 장시간의 고온열처리등을 필요로하고 또한 이렇게한 경우에도 재생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그 수명의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저온동작의 특징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낮은 일함수 단원자층의 보급 및 재생이 용이한 함침형 음극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또 다른 목적은 전자방출재료를 함침시킨 내열성 다공질기체 및 이 다공질기체의 전자방출면에 고융점 금속과, Sc 또는 Sc의 산화물 또는 그 양자로 이루어진 박층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형 음극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일본극 특개소 58-154131에 기재되어 있는 음극의 전자방출면에 존재하는 단원자층의 원소구성을 표면분석기를 사용해서 측정하면, Sc2O3(혹은 ScOx)에 Ba가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결과에 의거하면, 음극구성으로서는, Ba를 보급하는 부분과, Sc2O3을 보급하는 부분이 별개이고, 동시에 Ba의 통로가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침형 음극은 주로 텅스텐으로 된 다공성내열기체의 빈구멍부에 전자방출물질인 바륨알루미네이트등을 함침시켜서 제조한다. 함침을 발륨알루미네이트를 용융시키기 위해서 통상적으로는 1700~1900℃정도의 고온으로 시행한다. 그때, 기체의 텅스텐속에 Sc2O3이 함유되어 있으면 대부분의 전자방출물질이 고온으로 반응하여, 바륨 ·스칸데이트(Ba3Sc4O9)등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미반응의 Sc2O3(또는 ScOx)과 Ba에 의해서 전자방출면에 형성되어 있는 Ba,Sc 및 O로 이루어지는 단원자층이 음극이 사용되고 있는 수상관이나 촬상관내의 방전등에 의한 이온충격으로 소실되어버리면, 재생에는 고온에 의한 장시간의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왜냐하면, 일단 형성된 Ba3Sc4O9는 결합에너지가 높으고, 또 증기압이 낮기때문에, 이 분해반응 및 분해물질의 음극표면에의 이동은 활성화에너지의 높은 프로세스이기 때문이다. 고로, 본 발명의 음극은 전자방출재료를 함침시킨 내열성다공질기체를 미리 제조하여, 그 전자방출면에 고융점 금속과 Sc 및/또는 Sc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박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열성다공질기체로서는, 종래의 함침형 음극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재질로서는, W, Mo, Ir, Pt, Re등의 단체 또는 합금이 사용되며, 그 빈구멍율은 12~50%보다 바람직하게는 15~35%, 더욱 바람직하게는 20~25%이다. 또 다공질기체에 Zr, Hf, Ti, Cr, Mn, Al, Si등의 원소의 1가지 또는 2가지 이상을 첨가해서 활성제로 하는 것도 알려지고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도 이와같은 활성제로 첨가한 기체를 사용할 수 있다.
박층은, 그 두께가 10mm~1μm라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층에 사용하는 고융점 금속에는, W, Mo, IR, Os, Re 및 Pt로 이루어진 그루우프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가지의 금속이 사용된다. Sc 및/또는 Sc2O3의 양은, 대략 1~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중량%이다.
Sc 또는 Sc2O3의 양이 적으면 동작은 동작온도가 저온이 되지않고, 또 Sc2O3이 전기절연체이기 때문에 그 양이 너무 많은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이 박층의 빈구멍률은 20%이하라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박층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형성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진공스파타법에 의한 부착, 원료분말의 소부(燒付), 소결체로서의 피착(被着)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1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함침형 음극을 모식도적으로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1)은 음극재료인 펠릿(1.4ø)이며, 빈구명률 20-25%의 다공질의 W기체(2)과 빈구멍(3)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공질기체로서, Mo, IR, Pt, Re등 및 이들 함금을 사용해도 좋다. 빈구멍(3) 속에는 전자방출재료로서 BaCo3, CaCo3, Al2O3을 몰비로 4 : 1 : 1의 비율로 배합한 것을 함침시켰다. 또한 다른 몰비의 재료나, 다른 재료를 첨가한 전자방출재료를 사용해도 좋다. 이 펠릿(1)을 Ta캡(4)에 장착하고 그후 Ta캡(4)은 Ta슬리이브(5)에 레이저 용접된다. 레이저 용접 대신에 땜납재료를 사용해도 좋다.
음극의 가열에는 W심지선(6)을 알미나피복한 히이터(7)를 사용해서 시행한다. 이상이 Ba보급원이 된다. Ba의 보급량을 가열온도에 의존하나, 전자방출재료의 몰비를 바꾸거나, 또 기체재료속에 Zr, Hf, Ti, Cr, Mn, Si, Al등의 활성제를 함유시키는 것으로도 조정할 수 있다. Sc2O3보급원으로서 두께 10mm~1μm의 W와 Sc2O3로 이루어진 박막(8)을 진공고주파스타파법에 의해서 부착시켰다. 또한 W 대신에 Mo, Re, Pt, Ir, Ta등의 금속 혹은 이들 합금을 사용해도 좋다.
이와같은 음극을 사용하여, 음극·양극 2극관방식으로 양극에 폭 5μS, 반복 100HZ의 고압펄스를 인가해서 포화전류밀도를 측정했다. 그결과를 제2도에 표시한다.
도면중(9)가 본 발명에 의한 W와 Sc2O3로 이루어진 박막의 피복을 시행한 음극의 특성이다. 종래의 Sc2O3혼합 매트릭스 기체합침형 음극의 특성은 본 발명의 특성(9)에 일치하지만, Ar분위기 압력 약 5 ×10-5Torr중, 25mA의 방출전류를 사용해서 시행한 Ar이온스파타링 5분간의 실시에 의해 Ba, Sc 및 O로 이루어진 단원자층을 제거되고 음극의 특성은 (10)과 같이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음극에서는 Ar이온스파타링에 의한 전자방출특성 열화를 볼수 없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떠한 이유에 의해, Ba, Sc 및 O로 이루어진 단원자층이 소실되어도, 동작중에 이들원소(element)가 보급되기 때문에, 방출특성의 저하가 전혀 인지될 수 없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만일 특성저하가 생겨도 1150℃ 15~30분 정도의 열처리에 의해 완전한 단원자층이 형성되어, 장수명이고도 저온동작의 특징이 유리하다.

Claims (4)

  1. 전자방출재료를 함침시킨 내열성다공질기체 및 다공질기체의 전자방출면에 고융점금속과, Sc 또는 Sc의 산화물 또는 그 양자로 이루어진 박층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형 음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층의 두께가 10mm~1μm인 함침형 음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층속의 Sc 또는 Sc의 산화물의 양이 1~20중량%인 함침형 음극.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금속이 W, Mo, Ir, Os, Re 및 Pt로 이루어지는 그루우프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가지의 금속인 함침형 음극.
KR1019850004579A 1984-06-29 1985-06-27 함침형 음극 KR890004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33149A JPH0719530B2 (ja) 1984-06-29 1984-06-29 陰極線管
JP59-133149 1984-06-29
JP133149 2000-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688A KR860000688A (ko) 1986-01-30
KR890004116B1 true KR890004116B1 (ko) 1989-10-20

Family

ID=1509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579A KR890004116B1 (ko) 1984-06-29 1985-06-27 함침형 음극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626470A (ko)
JP (1) JPH0719530B2 (ko)
KR (1) KR890004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3838A (ja) * 1985-02-08 1986-08-16 Hitachi Ltd 含浸形カソ−ド
JPS63224127A (ja) * 1987-03-11 1988-09-19 Hitachi Ltd 含浸形陰極
NL8702727A (nl) * 1987-11-16 1989-06-16 Philips Nv Scandaatkathode.
NL8900765A (nl) * 1989-03-29 1990-10-16 Philips Nv Scandaatkathode.
NL8901076A (nl) * 1989-04-28 1990-11-16 Philips Nv Oxydekathode.
NL8902793A (nl) * 1989-11-13 1991-06-03 Philips Nv Scandaatkathode.
KR950012511A (ko) * 1993-10-05 1995-05-16 이헌조 음극선관용 함침형 음극
CN1099125C (zh) 1995-06-09 2003-01-15 株式会社东芝 浸渍型阴极组件及所用的阴极基体、采用这种组件的电子枪组件和电子管
US20020169880A1 (en) * 2001-04-19 2002-11-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 for robust real-time estimation of the bottleneck bandwidth in the internet
US20240096583A1 (en) * 2022-09-15 2024-03-21 Elve Inc. Cathode heate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4053U (ko) * 1980-10-03 1982-04-16
FR2494035A1 (fr) * 1980-11-07 1982-05-14 Thomson Csf Cathode thermo-electronique pour tube hyperfrequences et tube incorporant une telle cathode
JPS58154131A (ja) * 1982-03-10 1983-09-13 Hitachi Ltd 含浸形陰極
JPS5918539A (ja) * 1982-07-23 1984-01-30 Hitachi Ltd 含浸形陰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13526A (ja) 1986-01-21
KR860000688A (ko) 1986-01-30
JPH0719530B2 (ja) 1995-03-06
US4626470A (en) 1986-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4762B1 (ko) 함침형 음극
US4783613A (en) Impregnated cathode
KR890004116B1 (ko) 함침형 음극
US487305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candate dispenser cathode and scandate dispenser cathod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ethod
KR100189035B1 (ko) 스캔데이트 음극
EP0263483B2 (en) Hot cathode in wire form
JP2650638B2 (ja) 陰極線管
KR100259298B1 (ko) 음극선관용 함침형 음극
KR100268243B1 (ko) 전자총용 음극
JPH07169384A (ja) 陰極線管用の含浸型陰極
JPH11288689A (ja) 放電管用の電極
KR100249208B1 (ko) 함침형 음극
JPS6334832A (ja) 含浸形カソ−ドの製造方法
JP3715790B2 (ja) 放電管用含浸型陰極の製造方法
KR920008786B1 (ko) 산화물 음극
JPH11154489A (ja) 放電管用陰極、該陰極の製造方法およびアークランプ
JPH11288688A (ja) 放電管用陰極及びアークランプ
JPS62133632A (ja) 含浸型陰極
JPS58133739A (ja) 含浸型陰極
JPS61264625A (ja) 含浸形陰極
JPH0668782A (ja) 含浸形陰極
JPH0562413B2 (ko)
Yamamoto Recent development of cathodes used for cathode ray tubes
JPH02162633A (ja) ホローカソード
JPH11191357A (ja) 含浸型陰極構体、含浸型陰極構体の製造方法、電子銃構体、及び電子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