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963B1 - 원심분리기 - Google Patents

원심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963B1
KR890003963B1 KR1019850002945A KR850002945A KR890003963B1 KR 890003963 B1 KR890003963 B1 KR 890003963B1 KR 1019850002945 A KR1019850002945 A KR 1019850002945A KR 850002945 A KR850002945 A KR 850002945A KR 890003963 B1 KR890003963 B1 KR 890003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s
basket
discharge pipe
solid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290A (ko
Inventor
다까시 마쓰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또 기까이 세이사꾸쇼
다까시 마쓰모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또 기까이 세이사꾸쇼, 다까시 마쓰모또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또 기까이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60006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8Skimmers or scrapers for discharging ; Regula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2Continuous feeding or discharging;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심분리기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2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 고형물 도입구의 형상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고형물 도입구의 형상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a도는 내지 제4ㅊ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고형물 도입구의 형상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5a도는 및 제4b도는 고형물 도입구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형물 배출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7, 107, 207, 407 : 바스켓
12, 112, 212, 412 : 오목부 24, 224, 324, 424 : 고형물 배출관
25, 225, 325, 425 : 고형물 도입구
25a : 오목부의 저면에 제1의 간극(d1)을 통하여 대향하는 부분
25b : 오목부의 저면에 제2의 간극(D2)을 통하여 대향하는 부분
본 발명은 회전하는 바스켓내에 원액을 공급하여 이 원액을 고형물과 액분과로 분리하는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부에 환상의 오목부를 지니는 바스켓과, 바스켓내에 형성된 고형물을 긁어내는 긁어내기장치(scraper)와, 상기 오목부내의 고형물을 흡인배출하는 고형물배출관을 갖춘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 배출관내에 상기 바스켓내의 가스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형물의 흡인 배출을 원활히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의약품의 제조등에 쓰이는 원심분리기에 있어서는 불순물이나 세균등의 혼입을 피하기 위해서 밀폐형의 원심분리기기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원심분리기에서는 탈액처리가 종료한 후 긁어내기 장치를 구동하여 이 긁어내기 장치에 의해서 바스켓의 안둘레에 형성된 고형물층을 긁어내어, 긁어낸 고형물을 바스켓의 외부로 배출한다.
긁어내기 장치는 바스켓내를 축선방향으로 변위 자유로이 설치된 구동축과, 이 구동축에 부착된 긁어내기 날과, 긁어내기 날을 구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시키는동시에 이 긁어나기날을 바스켓의 축선방향에 따라서 변위시키도록 구동축을 구동하는 구동기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긁어내기 장치를 적당하게 구동하여 고형물을 긁어낸다.
예컨대 바스켓을 저속화시킨 상태에서 긁어내기날을 바스켓의 바깥둘레측으로 회전운동시켜서 고형물층내에 진입시켜 이 상태에서 이 긁어내기날을 바스켓의 축선방향에 따라서 서서히 하방으로 변위시켜 고형물을 긁어내어간다.
개방형의 원심분리기에서는 긁어낸 고형물을 바스켓의 하부의 개방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이와 같은 개방부를 갖지 않는 밀폐형의 원심분리기에서는 흡인펌프에 접속된 고형물 배출관에 의해서 바스켓내의 고형물을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할 필요가 있다.
고형물 배출관에 의한 고형물의 배출을 가능케한 종래의 밀폐형 원심분리기로서는 긁어내기날의 선단에 고형물 배출관의 흡입구를 개방시켜서 긁어내기날에 의해서 고형물을 긁어내는 동시에 긁어낸 고형물을 흡인배출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긁어낸 고형물을 모두 흡인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긁어낸 고형물의 상당부분이 바스켓의 저부측에 낙하하여 긁어내기날의 하방에 고형물이 퇴적되어 가는 것을 피할 수는 없었다.
긁어내기날의 하방에 퇴적하는 고형물의 양이 어느정도 많게 되면 긁어내기날이 퇴적한 고형물에 맞부딪쳐서 그 하강이 방해하여 그 이상 고형물의 긁어내기를 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바스켓내에 잔류하는 고형물의 양이 많게 되며, 헛되이 버리는 고형물의 양이 많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 또다른 고형물 배출관을 바스켓내에 삽입하여 긁어내기날의 하방에 퇴적한 고형물을 흡입재출하는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 경우는 고형물 배출관이 2개나 필요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원심분리기에서는 바스켓의 저부 전체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다른 고형물 배출관을 바스켓내에 삽입하여도 바스켓의 저부에 퇴적되어 있는 고형물의 모든것을 흡입배출하는 것은 곤란하며, 상당량의 고형물이 흡입 배출되지 않고 바스켓내에 잔류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일본국 특개소 59-62357호 공보(특원소 57-169676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원심분리기를 제안하였다.
이 원심분리기에서는 바스켓의 저부에 환상이 오복부가 설치되어서, 이 오목부내에 수용된 고형물이 교형물 배출관에 의해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긁어낸 고형물은 오목부내에 낙하하여 이 오복부내에서 고형물 배출관으로부터 배출이 된다. 또 고형물 배출관은 오복부내의 고형물을 배출하면 되므로 배출되지 안고 남는 고형물이 생기는 일없이 고형물을 흡인 배출시킬 수가 있어서 긁어내기날의 하방에 고형물이 퇴적 되어간다는 문제가 생기는 일이 없다.
따라서 고형물의 긁어내기를 연속적으로 행하여 고형물의 배출작업을 원할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자는, 그후의 실험결과, 앞에 제안한 원심분리기에서도 바스켓의 오복부내에 삽입된 고형물 배출관의 하단의 고형물 도입구가 고형물에 의해서 폐쇄상태로 되면 고형물의 배출작업이 중단되는 일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론상으로는 흡인펌프로서 극히 강력한 것을 사용하면 고형물 도입구가 폐쇄상태로 되어도 고형물을 흡인 배출할 수 있으나 그와같은 펌프를 사용하면 장치가 현저하게 대형 또한 고가로 되기 때문에 실용적이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의 흡인펌프를 사용하여 고형물의 흡인배출을 원할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원심분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그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7은 바스켓, 21은 긁어내기 장치이며, 마스켓(7)의 저부에는 긁어내기장치(21)에 의해서 긁어낸 고형물(C)을 수용하기 위한 환상의 오목부(12)가 설치되어 있다.
24는 고형물 배출관이고, 이 고형물 배출관은 그 하단에 고형물 도입구(25)를 갖추고 있다.
오목부(12)내에 삽입된 고형물 배출관(24)의 고형물 도입구(25)는 오복부(12)의 저면측에 개방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바스켓(7)의 회전방향(R)(제2도 참조)의 후방특으로 향한 고형물 도입구(25)의 후단부는 이 후단부와 오목부(12)의 저면(12a)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고형물의 흡인을 허용하는 범위의 제1의 간극(d1)을 통하여 오목부(12)의 저면(12a)에 대향하는 부분(25a)을 가지며, 바스켓의 회전방향의 전방측으로 항한 고형물 도입구(25)의 전단부는 제1의 간극(d1)보다 더 큰 제2의 간극(d2)을 통하여 오목부(12)의 저면(12a)에 대향하는 부분(25b)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제2의 간극(d2)은 바스켓(7)이 회전에 따라서 고형물 도입구(25)의 전부측에 고형물 배출관의 측방에 형성되는 빈틈(S)(제3도 참조)을 고형물 배추관(24)의 내부에 연통시킬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탈액처리가 종료한후, 바스켓을 저속회전시키면서 긁어내기장치(21)내에 의해서 바스켓의 안둘레에 형성된 고형물(C)을 긁어내면, 긁어낸 고형물(C)은 바스켓(7)의 저부의 오목부(12)안에 낙하하여 이 오목부내의 고형물이 고형물 배출관(24)에 의해서 흡인배출이 된다.
바스켓(7)의 회전에 따라서 오목부(12)내의 고형물(C)이 고형물 배출관(2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유동하나 고형물 배출관(24)은 이 고형물(C)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 되므로 고형물 배출관(24)의 전단부(바스켓의 회전방향의 전방측으로 향한 끝부분)의 측방향에는 제3도에 개략적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고형물이 존재하지 않는 빈틈(S)이 생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형물 도입구(25)의 전단부에 이 빈틈(S)을 고형물 배출관(14)내에 연통시킬 수 있는 크기의 간극(d2)을 가지는 부분을 설치하였으므로, 고형물 배출관(24)내에 고형물(C)과 동시에 상기 바스켓내의 가스를 도입할 수 가 있다.
따라서 고형물 배출관내에는 상시 가스흐름이 생기게 되므로 이 가스흐름에 얹어놓아 고형물을 원활하게 반송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형물 배출관이 고형물에 의해서 폐쇄상태로 되는 일이 없으므로, 통상의 흡입펌프를 사용하여 고형물의 흡입배출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가 있으며 고형물의 배출작업을 원할히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으로 동도면에 있어서, 1은 완충장치를 갖춘 지지장치(2)에 의해서 지지된 케이싱이다.
케이싱(1)은 유저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단 개방부는 붙이고 떼기 가능한 덮개판(3)에 의해서 닫혀져 있다. 케이싱(1)의 저부 중앙에는 베어링(4)이 배설되어 이 베어링(4)에 의해 케이싱(1)내를 연직방향으로 뻗은 회전축(5)이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5)의 하단은 케이싱(1)의 하면에 지지된 유압모우터와 같은 회전구동장치(6)에 결합되어 있다.
7은 케이싱(1)내에 수납된 바스켓이며, 이 바스켓(7)은 원통상의 둘레벽(8)의 상단으로 부터 지름방향의 내측으로 돌출한 환상의 단부벽(9)과 저벽(10)과 저벽(10)의 중앙부에 설치된 보스부(11)로 구성되고, 보스부(11)가 회전축(5)에 끼워 붙임이 되어서 지지되어 있다.
바스켓(7)의 저벽(10)의 중앙 가까이의 위치에는 보스(11)를 동심적으로 둘러싸는 환상의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2)는 평탄한 저부(13)와 이 저부(13)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로 부터 경사진 상방으로 상승하는 경사벽부(14)로 이루어지고, 경사벽부(14)의 상단은 수평한 저벽(10)의 안둘레 가장자리에 연속되어 있다.
둘레벽(8)에는 다수의 관통구멍(16)이 형성되어 바스켓(7)의 회전에 의하여 분리된 액분을 이 관통구멍(16)을 통하여 외부로 퍼져가게 함으로써 탈액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케이싱(1)의 둘레벽의 내면 하부에는 단면L자형의 환상의 도액부재(17)가 용접되어 있고, 케이싱(1)의 둘레벽의 하단에 배액구(18)가 설치되어 있다.
도액부재(17)의 저면은 배액구(18)의 위치에서 가장 낮게 되도록 경사하여 있으며 바스켓(7)으로부터 배출된 액분이 이 도액부재(17)로부터 배액구(18)까지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케이싱(1)의 덮개판(3)을 관통하여 급액 파이프(20)가 바스켓(7)내에 삽입되어 처리할 원액이 급액파이프에 설치된 분출구멍(20a)을 통하여 도시한 화살표시(A)와 같이 바스켓(7)내에 공급된다.
또 원심분리기는 케이싱의 덮개(3)을 통하여 바스켓(7)내에 회전가능하고 또한 미끄럼 이동가능하계 삽입된 구동축(22)을 구비한 긁어내기장치(21)을 포함하며, 이 구동축(22)은 바스켓(7)내에 삽입된 하단부에 긁어내기날(23)이 부착되어 있다.
구동축(22)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장치에 접속되어 이 구동장치에 의해서 긁어내기날(23)을 바스켓(7)의 둘레벽(8)측에 진입되도록 회전시키는 동작과 이 긁어내기날(23)을 바스켓(7)의 저부측에 하강시키는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덮개판(3)을 관통하여 고형물 배출관(24)이 바스켓(7)내에 삽입되어 있고, 이 고형물 배출관의 하단은 오목부(12)내에 삽입되어 잇다.
고형물 배출관(24)은 그 하단에 고형물 도입구(25)를 가지며, 이 고형물 도입구(25)는 오목부(12)의 저면(12a)측으로 개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고형물 배출관(24)을 상시 그 하단을 오목부(12)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설치하여도 좋고, 또 원액을 공급할때에 이 고형물 배출관이 장해가 되는 경우에는 이 고형물 배출관을 상방을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고형물 도입구(25)가 오목부(12)내의 고형물(C)과 동시에 바스켓(7)내의 가스를 도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실시예에서는 바스켓의 회전방향의 후방측으로 향한 고형물 도입구(25)의 후단부가 이 후단부가 이 후단부와 오목부(12)의 저면(12a)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고형물의 흡인을 허용하는 번위의 제1의 간극(d1)을 통하여 오목부(12)의 저면(12a)에 대향하는 부분(25a)을 지니며, 바스켓(7)의 회전방향의 전방측으로 향한 고형물 도입구(25)의 전단부는 제1의 간극(d1)보다도 큰 제2의 간극(d2)을 통하여 오묵부(12)의 저면에 대향하는 부분(25b)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제2의 간극(d2)은 바스켓(7)의 회전에 따라서 고형물 도입구(25)의 전단부 측에서 고형물 배출관 (24)의 측방에는 형성되는 빈틈(S)을 고형물 배출관(24)의 내부에 연통시킬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형물 배출관의 하단의 단면을 오목부(12)의 저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이 배출관의 하단을 경사지게 절단함으로써 형성한 개방부를 고형물 도입구(25)로 하여, 그 하단부와 오목부 저면(12a)과 의 사이의 간극 및 그 전단부와 오목부 저면(12a)과의 사이의 간극을 각각 (d1) 및 (d2)로 설정하고 잇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오목부(12)의 저면(12a)의 폭치수(지름방향 치수) 및 고형물 배출관의 내경은 흡인펌프의 능력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하여 둔다. 즉 고형물 도입구(25)의 가장자리부와 오목부(12)의 저면(12a)의 바깥둘레부 및 안둘레부의 사이의 거리를 고형물의 흡인이 가능한 벙위에 수납하도록 오목부(12)의 저면으 폭 치수 및 고형물 배출관(25)의 내경을 설정하여 둔다.
상기 실시예의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바스켓(7)을 고속회전시켜서 급액관(20)을 통하여 바스켓(7)내에 원액을 공급하면 바스켓(7)의 안둘레에 배설된 필터(도시하지 않음) 및 관통구멍(16)을 통하여 탈액이 행하여 지며, 바스켓(7)의 안둘레에 고형물(C)의 층이 형성된다.
바스켓(7)의 관통구멍(16)을 통하여 외부로 퍼지는 액분은 도액부재(17)에서 배역부(18)에 인도되어서 의부에 배출된다. 바스켓(7)의 저부의 오목부(12)내에 든 원액은 원심력에 의해서 경사벽부(14)를 따라서 바스켓의 둘레벽(8)측에 운반되기 때문에 오목부(12)내에 액이 남는 일은 없다.
제4도(A)에 표시한 바와같이 바스켓(7)내에 소정량의 고형물(C)의 층이 형성된 후, 바스켓(7)을 감속하여 바스켓(7)을 저속회전시킨 상태에서 제4도(B)에 표시한 와같이 긁어내기날(23)을 고형물(C)의 층내에 진입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고형물(C)은 긁어 떨어져서 오목부(12)내에 낙하한다.
바스켓(7)의 회전에 따라서 오목부(12)내의 고형물이 고형물 배출량(2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유동하나 고형물 배출관(24)은 이 고형물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고형물 배출관(24)의 전단부측[바스켓(7)의 회전방향(R)의 전방을 향한 측]에는 고형물이 존재하지 않은 빈틈(S)부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형물 도입구(25)의 전단부에 이 빈틈(S)을 고형물 배출관(24)내에 연통시킬 수 있는 간극(d2)으로서 오목부 저면(12a)에 대향하여 있는 부분(25b)을 설치하였다.
따라서 고형물 배출관(24)을 도시하지 않는 흡인펌프에 접속하여 오목부(12)내에 고형물(케이크)(C)를 흡인하면 그 선단의 고형물 도입구(25)로 부터 항상 고형물과 함께 바스켓내의 가스를 도입할 수가 있어 고형물 배출관이 폐쇄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 배출관내에 상기 가스흐름을 유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특별히 강력한 흡인펌프를 사용하지 않아도 고형물을 고형물 배출관내의 가스흐름에 실어서 원활하게 반송할 수가 있으며 고형물의 배출작업을 원활히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형물의 흡인배출을 중단함이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으므로 긁어내기날의 하방에 긁어내기날의 하강을 방해할 정도록 고형물이 퇴적하는 일이 없이 고형물의 긁어내기 및 배출작업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고형물의 배출작업이 진행되념 나중에는 긁어내기날 (23)이 바스켓(7)의 저면에 달한다.(제4도 참조)
이때 긁어내기날은 구동축(22)을 중심으로 바스켓(7)의 중앙부측에 회동하는 동작을 행하여 바스켓(7)의 저면은 남은 고형물을 모두 오목부(12)내에 낙하시킨다.
오목부내에 낙하한 고형물은 흡인배출관(24)에서 거의 그 모두를 배출한 수 있으므로 바스켓내에 잔류하는 고형물의 양은 극히 적어진다.
바스켓(7)으로부터의 고형물을 배출한 후 바스켓(7)내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바스켓(7)내의 세정을 행하나 이경우 세정액에 의해서 세척된 고형물은 세정액과 동시에 오목부(12)내에 흘러 들어가 고형물 배출관(24)을 통하여 상기 고형물(C)을 수용한 용기와는 다른 용기내에 배출되든가 또는 폐기된다.
또한 세정액을 배출하는 전용의 관을 고형물 배출관과 별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탈액처리를 행할 때의 바스켓의 회전방향은 상기 고형물 배출시의 회전방향과 동일하지 않아도 좋으나 탈액처리시의 바스켓의 회전방향을 고형물 배출시의 바스켓의 회전방향(R)과 반대로 한경우에는 탈액처리시에 바스켓내에 생기는 액분의 미스트(mist)가 고형물 도입구(25)의 전단부측에서 고형물 배출관(25)내에 침입하기 쉽다.
따라서 의약품을 제조하는 경우와 같이 탈액처리시에 바스켓내에 생기는 액분의 미스트가 고형물 배출관(24)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탈액처리시의 바스켓의 횐전방향을 고형물 배출시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형물 배출관(24)의 선단에 바스켓의 오목부(12)의 저면에 대하여 경사진 단면을 가지는 개방부를 설치하여 이 개방부를 고형물 도입구(25)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고형물 배출관(24)의 고형물 도입구(25)는, 오목부(12)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형물 도입구(25)의 후단부 측에서는 오목부(12)의 저면과의 사이에 고형물의 흡인을 가능하게 할 정도의 소간극 (d1)을 유지하고, 고형물 도입구의 전단부측에서는 고형물 배출관의 전단부의 측방에 형성되는 빈틈(S)을 고형물 배출관내에 연통시키기 위한 간극(d2)을 유지하는 형상이면 좋고 상기한 실시예에 표시된 형상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제5도 A, B는 고형물 도입구(25)의 변형예를 표시한 것으로 제5도 A에 표시한 예에서는 직관상으로 형성된 고형물 배출관 (24)의 하단에는 오목부(12)의 저면(12a)과 평행한 단면을 가지는 개방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개방부의 전단부측의 일부가 경사지게 절단되어 제2의 간극(d2)을 가지는 부분(25b)이 형성되어 있다.
또 경사지게 절단된 부분을 제거한 모든 부분이 제1의 간극(d1)을 통하여 오목부(12)의 저면(12a)에 대향하는 부분(25a)으로 되어 있다.
제5도 B에 표시한 예에서는 고형물 배출관의 하단 개방부의 전단부측의 일부가 단차부를 형성하도록 절단되어서 오목부(12)의 저면(12a)에 제2의 단극(d2)을 통하여 대향하는 부분(25b)이 형성되어 있다.
그밖의 점은 제5도 A에 표시한 예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바스켓(7)의 둘레벽(8)의 관통구멍(6)을 통하여 탈액을 행하는 원심분리기를 예로 들었으나 바스켓의 둘레벽에는 구멍을 설치하지 않고 스키밍 파이프(skimming pipe)에 의해서 액분을 퍼내는 탈액을 행하는, 소위 원심침강기도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원심분리기에 포함된다.
제6도는 스키밍 파이프에 의해서 탈액을 행하는 원심분리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바스켓(107)이 관통구멍을 갖지 않은 닫힌 둘레벽(108)을 가지며 케이싱(1)의 덮개판(3)을 관통시켜서 회동이 자유로이 지지된 L자형 스키임 파이프(30)가 바스켓(107)내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바스켓(107)의 저벽(110)에는 환상의 오목부(112)가 설치되어 이 오목부(112)내에 고형물 배출관(24)의 하단의 고형물 도입구(25)가 삽입되어 있다. 그 밖의 점은 제1도의 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6도에 표시한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바스켓(107)을 고속 회전시켜서 이 바스켓내에 원액을 공급하면 원심침강용에 의해서 바스켓의 바깥둘레측에 고형물(C)의 층이 형성되고, 바스켓의 안둘레측에 액(L)층이 형성된다.
고형물(C)과 액(L)과의 분리가 조료한 후 스키밍 파이프(30)의 선단을 액(L)의 층내에 진입시켜 이 스키밍 파이프를 통하여 액(L)을 배출한다.
액분의 배출이 종료한 후 바스켓(107)을 저속회전시키면서 긁어내기 장치(21)로부터 고형물(C)을 긁어내어서 고형물 배출관(24)으로부터 오목부(112)내의 고형물을 배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고형물 배출관(24)의 하단의 고형물 도입구의 형상은 제1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바스켓의 저부에 설치되는 오목부가 평탄한 저면을 가지고 있으나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바스켓(207)의 저부에 경사진 저면(212a)을 가지는 환사의 오목부(21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고형물 배출관(224)의 하단 개방부를 오목부(212)의 저면의 경사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절단된 형상으로 하여둔다.
이 고형물 배출관(224)도 고형물 도입구(225)의 후단부 및 전단부에 각각 오목부(212)의 저면과 간극(d1)및 (d2)를 통하여 대향하는 부분을 지니며 상시 고형물과 동시에 바스켓내의 가스를 흡입하도록 되어 있고, 이 점음 제1도에 표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고형물 배출관이 곧바른 관으로 되어 잇어서, 이 고형물 도입구의 하단을 그대로 오목부 저면측에 개방시키고 있으나,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고형물 배출관(324)의 하단에 나팔모양의 관을 설치하여 이 나팔모양의 관의 개방부를 고형물 도입구(325)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고형물 도입구의 폭치수를 할 수 있으므로 바스켓의 저부에 설치하는 오목부의 저면의 폭치수를 크게 하여도 고형물을 남기는 일없이 거의 모든 고형물을 배출할 수가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바스켓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었으나, 이 베어링을 케이싱으 상부에 배설할 수도 있다.
제9도는 바스켓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케이싱의 상부에 배설한 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나 제9도에 있어서, 401은 스프링으로 구성된 완충장치(401a)를 갖춘 지지장치(402)에 의해서 지지된 유저원통상의 케이싱이며, 케이싱(401)의 상단 개구부는 덮개판(403)에 의해서 닫혀져 있다.
덮개판(403)의 중앙부를 액밀로 관통시켜 베어링장치(404)가 부착되고 이 베어링장치에 의해서 연직방향으로 뻗은 회전축(405)이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405)의 상단은 베어링장치(404)의 상단부에 부착된 유압모우터와 같은 회전구동장치(406)에 결합되어 있다. 바스켓(407)은 원통상의 둘레벽(408)과, 둘레벽(408)의 상단으로부터 지름방향의 내측으로 돌출한 환상의 단부벽(409)과 저벽(410)과 이 저벽(410)의 중앙부에 설치된 보스부(411)로 되고, 보스부(411)가 회전축(405)에 부착되어 있다.
바스켓(407)의 저부에는 보스부(411)를 둘러싸는 것과 같이 환상의 오목부(412)가 설치되어 있고, 둘레벽(408)에는 다수의 관통구멈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403)의 하단은 저판(417)에 의해서 닫혀지고 이 저판(417)의 내면에는 환상의 도액판(417a)이 용접되어 있다. 케이싱(401)의 측벽의 하부에는 배액구멍(418)이 설치되어 있고 저판(417)은 배액구멍(418)의 위치에서 가장 낮게 되도록 경사시켜서 부착되어 있다.
급액 파이프(402)는 케이싱의 덮개판(403)을 관통하여 바스켓(407)내에 삽입되어 있고, 이 급액파이프(420)에는 바스켓(407)의 축선방향에 다라서 다수의 급액구멍(420)이 설치되어 있다.
긁어내기 장치(421)의 구동축(422)에는 긁어내기날(423)이 부착되어 있고, 케이싱(401)의 덮개판(403)의상면에는 구동축(421)을 상하이동시키는 상하 이동기구와, 구동축(421)을 회동시키는 회동기구를 갖춘 긁어내기장치의 구동장치(430)가 부착되어 있다.
고형물 배출관(424)은 덮개판(403)을 관통하여 바스켓(407)내에 삽입되어 있고, 이 고형물 배출관의 하단의 고형물 도입구(425)가 오목부(412)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형물 배출관의 도형물 도입구로부터 항상 고형물과 동시에 바스켓내에 가스를 도입할 수가 있으므로 고형물 배출관이 고형물에 의해서 폐쇄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여 통상의 흡인펌프에 의해 고형물의 배출을 원활히 연속적으로 행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저부에 환상의 오목부를 가지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케내에 형성된 고형물을 긁어내는 긁어내기장치와, 상기 오목부내에 삽입되는 고형물 도입구를 지니며, 상기 긁어내기장치에 의해서 긁어내어서 상기 오목부내에 수용된 고형물을 상기 바스켓의 밖으로 배출하는 고형물 배출관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고형물 배출관의 고형물 도입구는 상기 오목부의 저면측에 개방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스켓의 회전방향의 후방측으로 향한 상기 고형물 도입구의 후단부는 이 후단부와 상기 오목부의 저면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고형물의 흡인을 허용하는 범위의 제1의 간극을 통하여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 대항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바스켓의 회전방향의 전방측으로 향한 상기 고형물 도입구의 전단부는 상기 제1의 간극보다 큰 제2의 간극을 통하여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 대향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2의 간극을 상기 바스켓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고형물 도입구의 전단부 측에서 고형물 배출관의 측방에 형성되는 빈틈을 상기 고형물 배출관의 내부에 연통시킬 수 있는 크기로 설저되어 있는 것을 특징흐로하는 원심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수평한 저부와 상방으로 향하여 점점 지름이 크게 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바깥 둘레부를 지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사이기 오목부는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의 저면에 연속하는 저부를 지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심분리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 도입구와 상기 오목부의 저면의 바깥둘레부와의 사이의 거리 및 상기 고형물 도입구와 상기 오목부의 저면의 안돌레부와의 사이의 거리를 상기 고형물 배출관에 의한 고형물의 흡입이 가능한 범위의 크기에 수납되도록 상기 오목부의 저면의 폭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심분리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 도입구의 일부가 상기 경사진 저부의 최하부 부근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형물 도입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다수의 관통구멍을 지니는 둘레벽을 구비하며, 이 관통구멍을 통하여 탈액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심분리기.
  7.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닫힌 (관통구멍을 지니고 있지 않음) 둘레벽을 가지며, 바스켓내에 생긴 액층에 스키밍 파이프를 삽입하여 이 스키밍 파이프를 통하여 액을 배출함으로써 탈액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8.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그의 하부가 회전축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심분리기.
  9.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그 상부가 회전축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
KR1019850002945A 1985-02-01 1985-05-01 원심분리기 KR890003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016452A JPS61178052A (ja) 1985-02-01 1985-02-01 遠心分離機
JP60-16452 1985-02-01
JP16452 1985-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290A KR860006290A (ko) 1986-09-09
KR890003963B1 true KR890003963B1 (ko) 1989-10-14

Family

ID=1191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945A KR890003963B1 (ko) 1985-02-01 1985-05-01 원심분리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52254A (ko)
EP (1) EP0191965B1 (ko)
JP (1) JPS61178052A (ko)
KR (1) KR890003963B1 (ko)
AT (1) ATE44476T1 (ko)
DE (1) DE3571403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722B1 (ko) * 2005-11-02 2006-12-21 몽 필 김 곡물 분쇄기의 분쇄물 포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3868U (ko) * 1988-08-29 1990-03-02
DE3904358C2 (de) * 1989-02-14 1997-09-11 Guntram Krettek Schäl- und Austragsvorrichtung
AU629937B2 (en) * 1989-05-04 1992-10-15 Nqea Australia Pty. Limited Feed distribution and control arrangement
US5087127A (en) * 1990-07-05 1992-02-11 Benjamin Knelson Removal of concentrate from a centrifugal separator
JP2576905Y2 (ja) * 1991-01-17 1998-07-23 ローランド株式会社 自動リズム演奏装置
IT1254625B (it) * 1991-11-19 1995-09-28 Dispositivo e procedimento per il trattamento di acque fangose e di scarico.
US5316685A (en) * 1992-07-30 1994-05-31 Gran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 containing same
US5733238A (en) * 1995-10-24 1998-03-31 Carr Separations, Inc. Scraping assembly having angularly offset scraper blades for removing solids from an imperforate bowl centrifuge
JP3313286B2 (ja) 1996-01-17 2002-08-12 株式会社松本機械製作所 遠心ろ過方法及び装置
CN102179318B (zh) * 2010-12-29 2013-06-05 安徽普源分离机械制造有限公司 用于立式离心机卸料装置的吹气结构
CN104998769B (zh) * 2015-07-02 2017-05-10 蚌埠市兴利离心机制造有限公司 一种卸料装置可调节式离心机
CN110496712B (zh) * 2019-10-17 2021-05-11 张嗣远 一种立式刮刀中心卸料过滤离心机
KR102504657B1 (ko) * 2019-11-18 2023-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압 원심 탈수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42747A (en) * 1924-03-04 1925-06-16 Verney Vincenzo Centrifugal machine
US2894634A (en) * 1957-01-30 1959-07-14 Raffineries & Sucreries Say So Centrifuges
FR206069A (ko) * 1970-06-09
US3779450A (en) * 1972-03-29 1973-12-18 Pennwalt Corp Basket centrifuge
DE2260461C3 (de) * 1972-12-11 1980-06-04 Krauss-Maffei Ag, 8000 Muenchen Filterzentrifuge
US3937397A (en) * 1974-08-28 1976-02-10 The De Laval Separator Company Basket centrifuge
CH604907A5 (ko) * 1975-11-14 1978-09-15 Sandoz A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722B1 (ko) * 2005-11-02 2006-12-21 몽 필 김 곡물 분쇄기의 분쇄물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178052A (ja) 1986-08-09
ATE44476T1 (de) 1989-07-15
US4652254A (en) 1987-03-24
KR860006290A (ko) 1986-09-09
JPS6244982B2 (ko) 1987-09-24
EP0191965A1 (en) 1986-08-27
DE3571403D1 (en) 1989-08-17
EP0191965B1 (en) 1989-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963B1 (ko) 원심분리기
EP0879091B1 (en) Solids scraping assembly for a centrifuge
SU1181556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епрерывного экстрагировани жидкости из текущих суспензий
US5328441A (en) Imperforate bowl centrifugal separator with solids gate
DE60142182D1 (de)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mit automatischer feststoffentleerung
US3936378A (en) Rotary strainer
US4534755A (en) Centrifuges
JP2662538B2 (ja) 生海苔の異物分離除去装置
JPH0975613A (ja) 竪型ドラムスクリーン
KR900000028B1 (ko) 유분농도 측정에 있어서의 전처리용 원심분리기
JP3418785B2 (ja) 生海苔洗浄機及び生海苔洗浄方法
JP2534445Y2 (ja) 遠心分離機
JPS59173151A (ja) 遠心分離機
JPS5824366A (ja) 遠心分離機
JPS6158228B2 (ko)
CN212041007U (zh) 一种能快速排料的卧式刮刀卸料离心机
GB2115319A (en) Centrifug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2009119334A (ja) 遠心分離機
JPH0632201Y2 (ja) 遠心分離機を利用した固形物分離装置
JPS6028553B2 (ja) 遠心分離機
JP2005021849A (ja) 遠心分離機
JPS588343Y2 (ja) 遠心分離機
JP2784900B2 (ja) 各処諸機能の技術的改善による高性能留取型遠心分離機.
RU2096092C1 (ru) Фильтрующая центрифуга для разделения суспензий
KR100267930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