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871Y1 -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871Y1
KR890003871Y1 KR2019860015601U KR860015601U KR890003871Y1 KR 890003871 Y1 KR890003871 Y1 KR 890003871Y1 KR 2019860015601 U KR2019860015601 U KR 2019860015601U KR 860015601 U KR860015601 U KR 860015601U KR 890003871 Y1 KR890003871 Y1 KR 890003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edly attached
rope
elevator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5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965U (ko
Inventor
이동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15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871Y1/ko
Publication of KR8800079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9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8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가"부를 발췌하여 하방에서 올려다본 상태도.
제4(a)도, 제4(b)도는 본 고안의 도어개폐용 로프의 설치상태 발췌도로서, 제4(a)도는 최측도어 구동용 로프이고, 제4(b)도는 우측도어 구동용 로프이다.
제5도는 종래의 도어구동장치 설치상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b : 좌, 우측도어 2a, b : 행거
4 : 후레임 5 : 구동모우터
7 : 감속풀리 8, 9 : 구동풀리
10 : 동력전달부재 11, 12 : 로프
13, 14 : 아이들풀리 15 : 취부장치
16a, b : 볼트부재 17a, b : 너트부재
18a,b : 압축스프링체 20 : 취부판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도어(해치도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구동장치를 종래의 링크식에서 로프식으로 개선하여 설치공간이 협소한 곳에서 사용하기 편리하며,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토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본체 입구측에 설치되어 자체 동력으로 개폐동작되는 종래의 해치도어의 구동장치를 보면, 도면 제5도에서와 같이 몸체의 출입구상에 위치하는 베이스(100)의 일측에 각각 구동모우터(5')와 구동풀리(101)가 동력전달 부재(10')로서 상호 연결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구동풀리(101)의 전면 양측 대향부에는 각각 고정링크(102)와 연결링크(103). 그리고 하측단을 좌, 우측 도어(1a') (1b') 상부의 행거(2a') (2b')에 각각 고정부착시킨 "L"형 링크(104)가 핀으로서 연결 설치되므로서, 구동모우터(5')가 정,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링크결합체의 작동으로 양측 도어(1a') (1b')가 가이드레일(105)을 타고 슬라이딩 개폐동작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도어 구동장치는 동력의 전달이 링크결합체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므로서, 많은 설치공간과 구동시에도 많은 작동공간을 필요로하여 설치공간이 협소한 건물에서는 설치가 매우 곤란하고 많은 제약을 받을뿐만 아니라, 또한 상기 링크결합체는 제조나 조립 또는 설치에 따라 그 길이가 약간씩 가변되므로서 좌, 우측 도어가 엘리베이터의 중심위치에 배치되지 못하여 제품의 품질과 신뢰도가 저하됨은 물론이고, 링크결합체의 제조원가가 상당히 비싼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도어구동장치의 위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쌍의 연동풀리로부터 좌, 우측도어의 각각에 로프를 권회연결 설치하여 최소한의 설치공간과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양측 도어의 중심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일치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을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풀리(3a) (3b)를 구비한 행거 (2a) (2b) 하방에 고정 부착된 상태로 엘리베이터 입구 상부에 위치하는 후레임(4)의 가이드레일(41)에 슬라이딩 자재토록 결합 설치된 좌, 우측 케이지 도어(1a) (1b)의 구동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도면 제1도, 제2도에서와 같이 후레임(4) 상부 일측에는 구동모우터(5)가 고정설치되었고, 중앙부위에 고정 설치된 스위치박스(6)의 중심축(61)에는 상기 구동 모우터(5)로부터 체인이나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부재(10)가 연결된 감속풀리(7)와, 그 전방에 1쌍의 연동풀리 (8) (9)가 삽입 고정설치되었다.
그리고, 상기 연동풀리(8) (9)에는 도면 제4(a)도, 제4(b)도에서와 같이 좌, 우측 로프(11) (12)의 일측단부가 클램프(81) (91)로서 고정 부착되면서, 좌측 로프(11)는 연동풀리(8)를 정방향으로 권회하여 후레임(4) 좌측방에 설치된 아이들풀리(13)를 통해 우측도어(1b)상의 행거(2b) 일측에 고정 설치된 취부장치(15)에 따른 일측을 고정 결합시켰으며, 우측로프(12)는 그와 반대방향으로 인출되어 우측 아이들풀리(14)를 통해 다른 일측단부위를 취부장치(15)에 고정결합 설치하였다.
이때, 상기 우측도어(1b)는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취부장치(15)에 좌, 우측로프 (11) (12)의 말단부가 각기 소정의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 결합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측도어(1a)는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행거(2a) 상부에 고정부착된 로프고정구(19)를 이용하여 좌측로프(11)의 상부(즉, 연동풀리(8)에서 좌측 아이들풀리(13)사이) 일측부위와 견고하게 결합되므로서 로프(11)의 감김과 풀림 동작시 도어(1a)가 개폐동작 되도록 하였다.
또한, 우측도어(1b)의 행거(2b) 일측에 고정부착되어 좌, 우측 로프(11) (12)의 말단부를 각기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취부장치(15)의 구조를 보면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취부판(20)의 양측방으로 돌출된 선단 내부에는 각기 로프(11) (12)의 말단부가 삽입 압착 고정되었으며, 취부판(20)내부에 위치하는 후방의 나사부에는 이탈방지용 너트부재(17a) (17b)가 결합설치된 소정길이의 볼트부재(16a) (16b)가 각기 압축스프링체(18a) (18b)로서 탄동 설치되므로서, 양측 로프(11) (12)이 늘어남을 보상하여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동모우터(5)가 시계방향으로 정회전하면 동력전달부재(10)로서 전달받은 동력은 감속풀리(7)를 통해 알맞은 속도록 감속되어 연동폴리(8) (9)에 전달되어 그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로프 취부장치(15)에 소정의 장력으로 연결 설치된 좌측로프(11)는 풀리고 우측로프(12)는 감기는 동작이 행해져서, 우측로프(12)가 취부장치(15)를 우측으로 당겨주므로서 우측도어(1b)가 열리고, 우측로프(12)의 말단부 역시 상기 취부장치(15)에 고정결합된 상태이므로 길이만큼 좌측로프를 이끌고 나갈때 좌측방의 아이들풀리(13)측으로 이동되는 상부 일측과 고정구(19)로서 고정 결합된 좌측도어(1a)가 함께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구동모우터(5)가 역방향으로 돌게되면 좌측로프(11)가 감기면서 취부장치(15)를 좌측으로 당김에 따라 우측도어(1b)가 닫히게 됨과 동시, 우측으로 이동되는 좌측로프(11)의 상부를 따라 좌측도어(1a)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레임(4) 상부에 구동모우터(5)를 고정 설치함에 있어서, 그 사이에 방진고무(21)를 삽입시킨 상태로 고정부착하면 가이드레일(41)과 행거를 통해 카내의 승객에게 전달되는 구동모우터(5)의 구동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서 승객의 불쾌감을 감소시키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은, 도어의 개폐구동 장치가 종래의 링크 결합체 방식에서 로프 구동방식으로 개선됨에 따라 그 설치공간 및 작동공간을 최소화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능하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할뿐만 아니라, 제작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양측 도어의 닫힘 중심위치가 항시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와 품질이 저하됨을 방지할 수 있는 특출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부 일측에 구동용 모우터(5)를 설치한 후레임(4)의 가이드레일(41)에 롤러를 구비한 행거 (2a) (2b)를 통해 슬라이딩 자재토록 결합 설치된 좌, 우측 도어 (1a) (1b)의 개폐용 구동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후레임(4)의 중앙 상부 일측에는 스위치박스(6)의 축을 이용하여 감속풀리(7)와 1쌍의 연동풀리(8) (9)가 삽입 고정설치되며, 각각의 연동풀리 (8) (9) 일측에 클램프(81) (91)로서 일측단부위를 고정부착시킨 좌, 우측 로프(11) (12)가 각기 후레임(4) 양측의 좌, 우측 아이들풀리(13) (14)를 권회하여 그 말단부위는 우측도어(1b)상의 행거(2b)에 고정 부착설치된 취부장치(15) 양측에 각각 소정의 장력으로 고정 부착 설치됨과 동시, 좌측로프(11)의 상부 일측에는 좌측도어(1a)상의 행거(2a)와 고정부착된 로프고정구(19)가 고정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취부장치(15)는 우측행거(2b)상에 고정 부착된 취부판(20)과, 그 양측벽을 통해 돌출된 선단부에는 좌, 우측 로프(11) (12)의 말단부가 고정 압입 설치되고 내측에 위치하는 후단의 나사부에는 이탈방지용 너트버재(17a) (17b)를 결합시킨 소정길이의 볼트부재(16a) (16b)가 압축스프링체(18a) (18b)로서 각각 탄동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KR2019860015601U 1986-10-13 1986-10-13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KR890003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5601U KR890003871Y1 (ko) 1986-10-13 1986-10-13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5601U KR890003871Y1 (ko) 1986-10-13 1986-10-13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965U KR880007965U (ko) 1988-06-29
KR890003871Y1 true KR890003871Y1 (ko) 1989-06-08

Family

ID=19256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5601U KR890003871Y1 (ko) 1986-10-13 1986-10-13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87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171B1 (ko) * 2000-06-01 2002-08-0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도어개폐장치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965U (ko) 198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8846A (en) Light duty elevator door operator
EP0464720A1 (en) Drive device of slide door
US7328934B2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H06240947A (ja) 乗物のスライドドア用のドア開閉装置
JPH06257346A (ja) 乗物のスライドドア用のドア開閉装置
US20070251148A1 (en) Window Regulator
US4691475A (en) Window regulator
JPH06264666A (ja) 乗物のスライドドア用のドア開閉装置
JPH11314522A (ja) 特に自動車用のスライドドアの操作装置
US4823512A (en) Wire-type window regulator with wire tensioner
KR890003871Y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JP2001003638A (ja) 車両用電動スライドドア装置
US3062066A (en) Power operator mechanism for a folding partition
JPH068142Y2 (ja) エレベ−タドアの駆動装置
JP3407817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オペレーター
KR960008458Y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개폐장치
JP2000026053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開閉装置
JP3317082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ー装置
KR100675664B1 (ko) 엘리베이터의 벨트 텐션 보상장치
JPH08259152A (ja) エレベータドアの駆動装置
KR900002618Y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KR950007710Y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KR970001063Y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닫힘속도 저감장치
KR100347171B1 (ko) 엘리베이터 도어개폐장치의 구조
JPH07102953B2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