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846Y1 - 접는 유모차용 연결 구조물 - Google Patents

접는 유모차용 연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846Y1
KR890003846Y1 KR2019850015087U KR850015087U KR890003846Y1 KR 890003846 Y1 KR890003846 Y1 KR 890003846Y1 KR 2019850015087 U KR2019850015087 U KR 2019850015087U KR 850015087 U KR850015087 U KR 850015087U KR 890003846 Y1 KR890003846 Y1 KR 890003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onnecting member
axis
shaft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5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642U (ko
Inventor
겐조우 갓사이
Original Assignee
아프리까 갓사이 가부시끼가이샤
겐조우 갓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까 갓사이 가부시끼가이샤, 겐조우 갓사이 filed Critical 아프리까 갓사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66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6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8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04Construction of the ma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2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foldable width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6Foldable with a scissor-lik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008Plural distinct articulation axes
    • Y10T403/32032Plural ball and sock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631Universal ball and sock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631Universal ball and socket
    • Y10T403/32681Composite ball
    • Y10T403/32704Stud extends into b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42Pitmans and connecting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는 유모차용 연결 구조물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접는 유모차가 펼쳐진 상태의 전방 사시도.
제2도는 제1도는 접는 유모차의 후방 사시도.
제3도는 접는 유모차가 접어진 상태의 전방 사시도.
제4도는 펼쳐진 상태의 접는 유모차에서 교차봉과 뒷다리 연결부재간의 연결 및 상기 교차봉과 전방 연결부재간의 연결을 도시한 부분 하단 사시도.
제5도는 볼 조인트의 한 부분을 형성하는 삽입체의 정면도.
제6도는 볼 조인트의 다른부분을 형성하는 제1 소켓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제1 소켓의 정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제1 소켓의 우측면도.
제9도는 볼 조인트의 다른부분을 형성하는데 제2 소켓의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제2 소켓의 정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제2 소켓의 우측면도.
제12도는 교차봉과 교차봉을 연결하기 위한 뒷다리 연결부재와 전방 연결부재를 도시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주요부품 도면.
제13도는 제12도에서 선 A-A을 절취한 확대 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에서 상응하나 유모차나 펼침 상태와 접힘상태 사이의 중간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제13도에 상응하는 제14도의 상태에 상응하는 상태의 도면.
제16도는 제12도 및 제14도에 상응하고 유모차가 접힌상태의 도면.
제17도는 제13도 및 제15도에 상응하고 제16도의 상태에 상응하는 상태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뒷다리 연결부재 13 : 전방연결부재
19 : 제1 교차봉 20 : 제2 교차봉
25 : 삽입체 26 : 구형헤드부
27 : 샤프트 28 : 관통구
29 : 제1 소켓 30, 39 : 반구형 내면
31,38 : 반구형 외면 32,39 : 보울형부분
33,40 : 부착부분 34,41 : 신장구멍
36 : 제2 소켓 43 : 핀
47 : 제1축 48 : 제2축
본 고안은 접는 유모차에서 사용하는 볼조인트를 구비한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출원인과 동일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특허공보 제50705/1982호(이는 미합중국 특허 제4,317,581호와 일치함)에 기술된 바와 같은 기본적인 접는 구조의 유모차에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 공보에 기술된 유모차는 유모차를 펼쳐진 상태에서 접힌상태로 변환시킬 때, 높이, 길이 및 폭의 3방향에서의 치수가 축소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방향에서 발생하는 접힘운동은 서로 조작상으로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접는 유모차를 관찰하면, 접는 조작중에 발생하는 부품의 운동은 단일평면에 한정되지 않고 3차원 공간을 요구함을 알수 있다. 예를 들면, 한 부품과 이에 연결된 다른부품 사이에서 단일축에 대해서만 회전하게 하는 연결부를 사용하면, 상기 연결부의 용도가 부족함을 알게 되고, 오히려 제1축에 대한 회전과 소정의 각도로 제1축을 교차하는 제2축에 대한 회전을 허용하는 소위 유니버설 조인트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한 형태로써 볼 조인트를 생각할 수 있다.
볼조인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축에 대한 회전과 제2축에 대한 회전을 허용하는 연결부로써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방향으로 연장된 축에 대한 회전을 허용하는 그러한 볼조인트가 접는 유모차에 사용된다면, 반대로 유모차의 펼침 및 접힘 조작을 하는데 필요한 운동만을 허용함이 양호할 것이다.
보통, 볼조인트는 구형 관절을 형성하기 위해 소켓에 수용된 볼이 소켓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조립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을 달성하려면 복잡한 부품을 사용해야 하고, 조립 작업자체도 종종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접는 유모차에 사용하기 위해 접는 유모차의 부드러운 펼침 및 접힘 조작을 방해하는 볼 조인트의 자유도를 제한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한 연결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연결 구조물은 접는 유모차의 부품을 형성하는 제1도 및 제2도 부재가 상기 유모차의 접힘 조작중에 소정의 각도로 서로 교차하는 제1도 및 제2도 축에 대하여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되어 있는 볼조인트를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면 본 고안은 접는 유모차의 어떤 연결부에 대해서도 적용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연결구조물에 포함된 볼조인트는 함께 결합했을 때 구형관절을 구성하는 소켓과, 상기 소켓내에 수용되기 적합한 삽입체를 구비한다. 소켓은 동심원의 반구형 외면 및 내면으로 규정되어 상단이 개방된 보울형부분과, 상기 보울형 부분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착부분을 구비하는데, 보울형 부분의 바닥에는 반구형 내면의 직경보다 작은폭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신장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삽입체는 반구형 내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외면을 가지는 구형 헤드부와, 상기 구형 헤드부에서 방사사으로 연장하는 샤프트를 구비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소켓은 부착부분을 거쳐 제1부재에 고정되고, 반면에 삽입체는 반구형 헤드부가 소켓의 보울형 부분에 수용되고 샤프트가 소켓의 신장구멍을 통과한 상태에서 샤프트를 거쳐 제2부재에 고정된다.
이러한 조립상태에서, 신장구멍내에서 축에 관한 샤프트의 회전운동은 상기 제1축에 대하여 발생하고 피보트운동은 상기 제2축에 대하여 발생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하여, 볼조인트의 일부를 형성하는 삽입체는 샤프트가 신장 구멍에서 이용가는한 한계내에서 소켓에 관하여 이동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접는 유모차가 펼침 및 접힘조작을 할때, 제1 및 제2 부재는 볼조인트에 의해 서로에 관하여 구속을 받으면서 3차원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속은 제1 및 제2 부재가 일정한 상대운동을 실시할수 있게하며, 유모차의 펼침 및 접힘조작을 원할하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또, 본 고안의 연결구조물에 사용된 볼조인트는 실제로 단지 2개의 간단한 부품인 소켓과 삽입체로 구성되어 있다. 소켓 및 삽입체를 조립하여 구형 관절을 형성하는데 있어서는, 소켓의 신장구멍에 삽입체에 샤프트를 관통하여 삽입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일반적인 볼조인트에서와 같이 삽입체가 분할된 소켓내에 조립된 후 이 분할된 소켓을 일체로 고정한다고 하는 복잡한 작업은 불필요하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다른 목적, 특징, 개념 및 장점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접는 유모차의 실예를 도시한다. 제1도는 유모차가 펼쳐진 상태의 전방 사시도이다. 제2도는 유모차가 펼쳐진 상태의 후방 사시도이다. 제3도는 유모차가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접는 유모차는 유모차의 우측면 및 좌측면에 배치된 부재와, 이들 측면상의 부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다른부재를 가진다.
유모차의 좌측면 및 우측면을 구성하는 부재는 기본적으로 한쌍의 팔걸이 (1), 한쌍의 앞다리 (2), 한쌍의 뒷다리 (3), 한쌍의 상부 지지봉 (4), 한쌍의 하부 지지봉 (5) 및 한쌍의 좌석 지지봉 (6)를 포함한다.
상기 부재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설명하면서 유모차를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각각의 팔걸이 (1)는 세로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되고, 앞다리 (2)는 팔걸이 (1)의 비교적 앞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앞다리 (2)는 하단부에 전륜 (7)을 가진다. 슬라이더 (8)는 앞다리 (2)에 세로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뒷다리 (3)는 관련된 슬라이더 (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뒷다리 (3)는 하단부에 후륜 (9)를 가진다.
각각의 상부 지지봉 (4)은 상단부가 관련된 팔걸이 (1)의 비교적 후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부 지지봉 (5)은 한 단부가 뒷다리 (3)의 중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상부 지지봉 (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각각의 좌석 지지봉 (6)은 전단부가 앞다리 (2)의 중간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부 지지봉 (4)과 하부 지지봉 (5)사이의 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슬라이더 (8)는 앞다리 (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팔걸이 (1)의 피버트 전방에 놓인 위치에서 팔걸이 (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견인봉 (10) (제3도 및 제4도)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유모차의 우측면과 좌측면에 배치된 상기 여러부재를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수단은 한쌍의 앞다리 (2)사이에 연결된 앞다리 연결부재 (11)와, 한쌍의 뒷다리 (3) 사이에 연결된 뒷다리 연결부재 (12)를 포함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유모차의 펼쳐진 상태에서 하부로부터 취한 부분사시도를 도시한 제4도에서, 상기 수단은 한싸의 좌석 지지봉 (6) 사이에 연결된 2개의 폭방향 연결부재, 즉 전방연결부재 (13)와 후방 연결부재 (14)를 포함한다. 제1도, 제2도 및 제3도를 비교해 보면, 유모차는 접혀진 상태에서는 폭방향의 치수가 축소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앞다리 연결부재 (11), 뒷다리 연결부재 (12), 전방연결부재 (13) 및 후방연결부재 (14)는 제각기 중간에서 접혀지고, 이들의 접힘운동은 유모차의 우측면과 좌측면이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게다가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에는 역 U자형상의 푸쉬로드 (15)가 제공된다. 세로로 연장하는 푸쉬로드 (15)의 2부분의 하단부는 상부 지지봉 (4)을 따라 연장하고 이에 실제로 고정된다. 수평으로 연장하는 푸쉬로드 (15)의 부분은 다른 폭방향 연결수단의 경우와 동일하게 중간에서 접혀진다.
또한, 유모차의 중간부분에는 좌석 (16)이 형성된다. 좌석 (16)은 한쌍의 팔걸이 (1)와 한쌍의 좌석 지지봉 (6)에 의해 유지되고, 전방 및 후방 연결부재 (13,14)상에 놓인다. 좌석 (16)의 등받이 부분은 유지봉 (17)에 의하여 유지된다. 몸통 보호대 (18)는 팔걸이 (1)의 각 전단부 사이에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이몸통 보호대 (18)는 접혀질 수 있으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팔걸이 (1)가 서로 접근할때에 접혀진 상태가 된다.
제4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연결부재 (13)와 뒷다리 연결부재 (12)사이에는 서로 X자형으로 교차하는데 제1 교차봉 (19) 및 제2 교차봉 (20)이 배치된다.
상기 교차봉 (19,20)은 전방연결부재 (13)와 뒷다리 연결부재 (12)의 각각의 접힘운동을 서로 연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조물 제1 및 제2 교차봉 (19,20)간의 연결과, 전방 연결부재 (13)와 뒷다리 연결부재 (12)간의 연결에 적용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조물에 대해서는 제5도 이하를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제, 이러한 접는 유모차의 펼침 및 접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유모차의 펼침상태에서, 한쌍의 상부 및 하부 지지봉 (4,5)은 적절한 고착수단에 의하여 일렬로 연장되어 유지된다. 게다가, 앞다리 및 뒷다리 (2,3)는 각각의 하단부에서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팔걸이 (1)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앞다리 연결부재 (11), 뒷다리 연결부재 (12), 전방연결부재 (13) 및 후방 연결부재 (14)의 각각의 대향단부는 최대 거리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를 접을려고 할때는, 먼저 고착수단이 해제된다. 다음에 접는 작업을 시작할때는 후술하는 여러동작이 거의 동시에 진행된다.
상부 및 하부 지지봉 (4,5)은 하부 지지봉 (5)이 실제로 뒷다리 (3)의 하부 절반을 따라 연장하도록 접는다. 이에 따라 역 U자형 푸쉬로드 (15)는 비교적 낮은 위치로 오게 된다. 또한, 하부 지지봉 (5)의 상기 운동과 함께 상부 지지봉 (4)을 동반하는 팔걸이 (1)는 후미 단부가 하강하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팔걸이 (1)의 전단부는 상향으로 이동하므로, 슬라이더 (8)는 견인봉 (10)에 의하여 앞다리 (2)를 따라 위로 당겨진다. 앞다리 (2)에서의 슬라이더 (8)의 활주운동은 앞다리 연결부재 (11)를 접히게 된다.
즉, 앞다리 연결부재 (11)는 대향 단부에서 제2 슬라이더 (21)에 연결된다. 제2슬라이더 (21)는 슬라이더 (8)와 동일한 방법으로 앞다리 (2)위에서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들의 활주운동은 연결봉 (22)에 의하여 서로 관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슬라이더 (8)가 한쌍의 앞다리 연결부재 (11)와 한쌍의 앞다리 (2)사이에 연결되므로, 제2 슬라이더 (21)의 상향 활주운동에 반응하여 앞다리 연결부재 (11)는 그 접힘부분을 하향으로 돌출시키도록 접혀진다.
또한, 조작자의 손으로 역 U자형 푸쉬로드 (15)의 수평부분을 접고, 앞다리 연결부재 (11)를 접으면, 유모차의 우측면 및 좌측면을 구성하는 부재는 서로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에 따라, 한쌍의 좌석 지지봉 (6)간의 거리는 축소되고, 전방 연결부재 (13)가 접혀진다. 전방 연결부재 (13)의 접힘운동은 연결봉 (24)을 통해 후방연결부재 (14)에 전달된다. 이때에,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며 평행상태 (완전한 평행상태는 아님)을 이루는 제1 및 제2 교차봉 (19,20)은 전방연결부재 (13)와 뒷다리 연결부재 (12)사이에서 이들을 밀어주는 작용을 함으로써 전방 연결부재 (13)와 뒷다리 연결부재 (12)를 대향하는 방향으로 접는다.
반대로 유모차를 접힌상태에서 펼칩상태로 변화시킬 때는 상기 작업을 역순서로 실시한다.
본 고안에서 특징으로 하는 제1 및 제2 교차봉 (19,20)과 뒷다리 연결부재 (12) 또는 전방 연결부재 (13)가 연결 되었을 때, 2가지 회전운동, 즉 하나는 제1축에 대하여, 다른 하나는 소정의 각도로 제1 축과 교차하는데 제2축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뒷다리 연결부재 (12) 또는 전방 연결부재 (13)와 제1 및 제2 교차봉 (19,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운동은 단일 평면상의 동작만으로 제한받지 않는다.
이것은 뒷다리 연결부재 (12)가 한쌍의 뒷다리 (3) 사이에 부착되어 있고, 전방 연결부재 (13)가 한쌍의 좌석 지지봉 (6)사이에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한쌍의 뒷다리 (3)와 좌석지지봉 (6)이 서로 관련된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이동하기 때문이다.
제5도 내지 제11도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부품을 제각기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품을 결합하면 간단한 구조의 볼조인트가 된다.
제5도는 볼조인트는 하나의 구형관절 성분을 형성하는 삽입체 (25)의 정면도이다. 삽입체 (25)는 실제로 구형의 외면을 가지는 구형헤드부 (26)와, 상기 구형헤드부 (26)에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샤프트 (27)를 구비한다. 삽입체 (25)는 샤프트 (27)의 축을 따라 연장하는 관통구 (28)가 형성되어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에서는 볼조인트의 다른 구형 관절성분을 형성하는데, 제1소켓 (29)이 도시되어 있다. 제6도는 평면도, 제7도는 정면도, 제8도는 우측면도이다. 제1소켓 (29)는 상단면 (도시된 위치에서는 하부면) 이 개방되어 있으면서 동심원의 반구형 내면 및 외면 (30,31)으로 규정된 보울형 부분 (38)과, 상기 보울형부분 (32)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착부분 (33)을 구비한다. 보울형 부분 (32)의 바닥 (도시된 위치에서 보울형 부분(32) 의 상측 부분과 일치함)에는 반구형 내면 (30)의 직경보다 작은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신장구멍 (34)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부착부분 (33)에는 부착구멍 (35)이 형성되어 있다.
제9도 내지 제11도에서는 제1 소켓 (29)의 원리와 동일하지만, 제1 소켓 (29)과는 다른 장소에서 사용되는 제2 소켓 (36)이 도시되어 있다. 제2 소켓 (36)은 제1 소켓과 유사하게 반구형 내면 및 외면 (37,38), 보울형 부분 (39), 부착부분 (40), 신장구멍 및 부착구멍 (41,42)을 구비한다. 제2 소켓 (36)이 제1 소켓 (29)과 다른점은 부착부분 (40)의 부착 위치인데, 부착부분 (40)은 보울형 부분 (39)의 바닥에서보다 멀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보울형 부분 (39)의 높이도 높아진다.
제12도는 펼쳐진 유모차의 아래에서 바라본 제1 및 제2 교차봉 (19,20)을 도시하는데, 이들 교차봉 (19,20)은 도면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다. 제13도는 제12도에서 선 A-A를 절취하여 부분 단면을 도시한 제1 및 제2 교차봉 (19,20)의 확대 도면이다. 먼저, 제12 및 제13에서 제1 및 제2 교차봉(19,20)과 뒷다리 연결부재 (12) 또는 전방 연결부재 (13)간의 연결에 관련한 연결구조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교차봉 (19,20)은 제8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부착부분 (33,40)의 횡단면과 유사한 타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관으로 제각기 형성된다.
제12도에 도시된 관계에 설명하면, 제1 및 제2 교차봉 (19,20)은 제1 교차봉에 제2 교차봉을 포개어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된다. 제1 및 제2 교차봉은 교차점에서 핀 (43)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피보트 된다.
제1 교차봉 (19)은 대향 단부에 고정된 제1 소켓 (29)을 가진다. 즉, 제1 소켓 (29)의 부착부분 (33)은 제1 교차봉 (19)의 단부내에 삽입되고, 제1 교차봉 (19)과 제1 소켓 (29)은 부착구멍 (35)을 관통하는 리벳 (44)에 의하여 함께 고정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2 교차봉 (20)은 대향단부에서 리벳 (45)으로 고정된 제2 소켓 (36)을 가진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교차봉 (19,20)은 일직선을 이루기 때문에, 교차봉의 중첩부위는 제1 및 제2 교차봉 (19,20)의 단부 사이에서 높이차이를 초래한다. 즉, 제2 교차봉 (20)의 단부는 제1 교차봉 (19)의 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그러나, 제12에서 제1 교차봉 (19)의 단부와 제2 교차봉 (20)의 단부는 동일한 부재, 즉 뒷다리 연결부재 (12) 또는 전방 연결부재 (13)에 연결되기 때문에, 어떤 수단으로 이 높이 차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높이차이를 조정함에 따라, 제1 및 제2 소켓 (29,36)의 부착부분 (33,40)간의 위치차이는 효율적으로 처리된다.
다음에, 제1 및 제2 소켓 (29 또는 36)과 결합하여 구형 관절을 형성하도록 적용된 삽입체 (25)를 부착시키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삽입체 (25)는 제1 소켓 (29)에 대해서도, 제2 소켓 (36)에 대해서도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제1 소켓 (29)과 관련하여 뒷다리 연결부재 (12)에 삽입체를 부착시키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구형 헤드부 (26)가 제1 소켓 (29)의 보울형 부분 (3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샤프트 (27)는 뒷다리 연결부재 (12)에 접촉할 때까지 신장구멍 (34)을 통해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삽입체 (25)는 관통구 (28)를 통과하는 핀형부재 (46)에 의하여 뒷다리 연결부재 (12)에 고정된다. 덧붙여, 이때에 흔들거림이 없는 안정된 조작을 보장하기 위하여, 보울형 부분 (32)의 반구형 외면 (31)이 뒷다리 연결부재 (12)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샤프트 (27)의 길이와 보울형 부분 (32)의 두께를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다른 연결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동일한 참고 부호로 동일한 부품을 지적하여 반복적인 설명을 회피하기로 한다.
제12도 및 제13도와 함께 제14도 내지 제17도에 따라, 제1 및 제2 교차봉 (19,20)과 뒷다리 연결부재 (12) 또는 전방 연결부재 (13)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 구조물의 조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덧붙여, 제14도 및 제16도는 각각 제12도와 일치하고, 제14도에서는 펼침상태와 접힘상태사이의 중간상태의 유모차가 도시되어 있고, 제16도에서는 접힌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 제15도 및 제17도는 제13도와 일치하고, 제15도는 제14도의 상태를 도시하고, 제17도는 제16도의 상태를 도시한다.
먼저, 제12도, 제14도 및 제16도에서, 제1 및 제2 교차봉 (19,20)은 교차봉에 대해 수직이면서 제1 및 제2소켓 (29,36)의 보울형 부분(32,39)을 통과하는 뒷다리 연결부재(12) 및 전방 연결부재(13)에 관한 제1축 (47)(제13도)에 대해 회전함을 알 수 있다. 제1축 (47)에 대한 회전 운동은 신장구멍(34 또는41) 내부에서 자체의 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샤프트 (27)에 의하여 발생한다.
또, 제13도,제15 및 제17도를 참조하면, 교차봉(19,20)은 뒷다리 연결부재 (12)에 대해서도, 전방 연결부재 (13)에 대해서도, 제1축 (47)과 소정의 각도, 본 실시예에서는 직각으로 교차하는 제2축 (48) (제13도에 “.”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 “.”을 통과하는 도면에 직각인 직선이 제2축 (48)으로 된다)에 대하여 회전함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동안에 샤프트 (27)는 신장 구멍 (34 또는 41) 내에서 피보트 운동을 한다.
제15도 및 제17도를 비교하여 볼때, 제2 소켓 (36)에 있는 신장구멍 (41)에서 샤프트 (27)의 피보트 운동 범위는 신장구멍 (41)의 길이 방향 범위에 일치한다. 신장구멍 (41)의 길이방향 범위는 더 크게 할 수도 있지만, 적어도 접는 유모차의 펼침 및 접힘 조작중에 제1도 및 제2 교차통 (19,20)과 뒷다리 연결부재 (12) 또는 전방 연결부재 (13)의 변위에 의해 발생하는 신장구멍 (34 또는 41)에서의 샤프트 (27)의 피보트 운동 범위와 일치할 것을 요구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뒷다리 연결부재 (12) 또는 전방 연결부재 (13)에 삽입체 (25)를 고정시키는데, 핀형부재 (46)를 사용하였으나, 나사 또는 점착제와 같은 다른 고정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게다가, 제1 및 제2 교차봉 (19,20)에 제1 및 제2 소켓 (29,36)을 고정시키는 방법은 도시된 방법에 제한받지 않고, 다른 적절한 고정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결구조물을 적용시킬 수 있는 장소는 실시예에서 설명한 특정한 장소에 제한받지 않으며, 다른 여러가지 형식의 접는 유모차의 몇몇 다른 장소에도 적용시킬 수가 있다. 요약하면, 접는 유모차의 일부를 구성하는데, 제1 및 제2 부재를 접는 유모차의 펼침 및 접힘 동작중에 제1축 및 제1축과 소정의 각도로 교차한는데 제2축 둘레에서 서로에 회전가능하도록 함께 연결해야만, 본 고안의 연결구조물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소켓의 보울형 부분에 형성된 신장구멍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실예와 예증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및 한계내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7)

  1. 접는 유모차의 일부를 형성하는데, 제1 및 제2 부재를 상기 유모차의 접힘조작 동안에 제1축 (47)과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제1축을 교차하는데, 제2축 (48)에 대하여 제각기 회전가능하도록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볼조인트를 사용하는 연결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볼조인트는 서로 결합하여 구형 관절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소켓 (29,36)과 상기 소켓내에 수용되기 적합한 삽입체 (25)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은 반구형 내면 (30,37) 및 반구형 외면 (31,38)으로 규정되며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는 부울형 부분 (32,39)과, 상기 보울형 부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부분 (33,40)을 구비하고, 보울형 부분의 바닥에는 상기 반구형 내면의 직경보다 작은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장구멍 (34,4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체는 반구형 내면에 맞추어지도록 형성된 구형헤드부 (26)와 상기 구형 헤드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샤프트 (27)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은 부착부분을 거쳐 제1 부재에 고정되고, 반면에 상기 삽입체는 구형 헤드부가 소켓의 보울형 부분에 수용되고 샤프트가 신장구멍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를 거쳐 제2 부재에 고정되고, 신장구멍 내부에서 자체축에 대한 샤프트의 회전 운동은 상기 제1축 (47)에 대한 회전운동을 초래하고 샤프트의 피보트 운동은 제2축 (48)에 대한 회전운동을 초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형부분 (32,39)의 반구형 외면 (31,38)이 제2 부재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소켓 (29,36)이 삽입체 (25)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삽입체 (25)는 샤프트 (27)의 축을 따라 연장하는 관통구 (28)를 가지며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는 핀형부재 (46)에 의하여 제2 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신장구멍 (34,41)의 세로방향 범위는 접는 유모차의 펼침 및 접힘 조작중에 발생되는 제1도 및 제2 부재의 변위에 따라 발생하는 신장구멍 (34,41)에서의 샤프트 (27)의 피보트 운동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서로 교차하면서 핀 (43)에서 회전가능하게 피보트식으로 지지되는 제1 및 제2 교차봉 (19,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중간에 접힘가능 부분을 가지면서 상기 핀의 양측면의 위치에서 제1 교차봉 (19)의 한 단부와 제2 교차봉 (20)의 한 단부에 각각 연결된 뒷다리 연결부재 (12)를 포함하고, 상기 볼조인트는 제1 및 제2 교차봉과 뒷다리 연결부재간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제1 교차봉 (19)의 다른 단부와 제2 교차봉 (20)의 다른 단부에 각각 연결된 전방 연결부재 (13)를 포함하고, 상기 볼조인트는 또한 제1도 및 제2 교차봉과 전방 연결부재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물.
  7. 제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교차봉 (19,20)은 일직선을 이루며 그들의 교차점에서 서로 겹쳐지므로 각각의 단부에서 높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제1 교차봉에 부착된 제1 및 제2 소켓 (29,36)의 부착부분 (33,40)의 위치가 제2 교차봉 (20)에 부착된 상기 소켓의 위치와 차이가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물.
KR2019850015087U 1984-11-19 1985-11-18 접는 유모차용 연결 구조물 KR8900038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5,442 1984-11-19
JP1984175442U JPH039497Y2 (ko) 1984-11-19 1984-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642U KR860006642U (ko) 1986-06-25
KR890003846Y1 true KR890003846Y1 (ko) 1989-06-08

Family

ID=15996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5087U KR890003846Y1 (ko) 1984-11-19 1985-11-18 접는 유모차용 연결 구조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645370A (ko)
JP (1) JPH039497Y2 (ko)
KR (1) KR890003846Y1 (ko)
AU (1) AU570172B2 (ko)
DE (1) DE3540871A1 (ko)
ES (1) ES296361Y (ko)
FR (1) FR2575797B1 (ko)
GB (1) GB2167119B (ko)
IT (1) IT120967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378B1 (ko) * 2001-12-14 2004-11-16 삼성전기주식회사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abl저항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6809A (en) * 1986-11-07 1989-08-15 Graco Metal Products Inc. Collapsible stroller with stowable tray
US4768895A (en) * 1987-06-08 1988-09-06 Avm, Inc. Captive ball and socket joint
US5092703A (en) * 1989-03-22 1992-03-03 Yorozu Manufacturing Corporation Ball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472224A (en) * 1992-04-04 1995-12-05 Jane, S.A. Foldable baby carriage frame and cradle seat couplable to same
ES2069455B1 (es) * 1992-04-21 1996-08-01 Jane Sa Chasis plegable para coches-silla infantiles.
ES2069458B1 (es) * 1992-09-21 1996-09-01 Jane Sa Asiento-cuna acoplable al chasis plegable de coches-silla infantiles.
DE69302959T2 (de) * 1992-04-21 1997-01-30 Jane Sa Klappbarer Kinderwagenrahmen und koppelbarer Wiegesitz
US5363521A (en) * 1992-06-01 1994-11-15 Fisher-Price, Inc. Collapsible playpen
US5503418A (en) * 1994-09-08 1996-04-02 Cooper Industries, Inc. Offset tie rod end
US5622376A (en) * 1995-02-27 1997-04-22 Shamie; Louis Stroller with folding mechanism for compact collapsing arrangement
US5829771A (en) * 1996-10-02 1998-11-03 Hsu; Hsiu-Lu Foldable bicycle carriage
EP1488981A1 (en) * 2003-06-17 2004-12-22 Graziano Colombo Wheeled foldable frame, particularly for pushchairs, prams, wheelchairs and the like
CN106741095A (zh) * 2016-12-15 2017-05-31 昆山贝佳乐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推车前后撑管折合机构
JP2023513007A (ja) 2020-01-29 2023-03-30 グアバ ファミ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ンパクトなたたみ込みおよび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を有するベビ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39596A (en) * 1922-05-17 1925-05-26 Herbert S Powell Joint for springs
GB428649A (en) * 1934-06-08 1935-05-16 Thompson Prod Inc Improvements in a joint
DE918301C (de) * 1950-10-16 1954-09-23 Ehrenreich & Cie A Kugelzapfen ohne Vollkugel, insbesondere fuer die Lenkgestaenge von Kraftfahrzeugen
NL249053A (ko) * 1959-03-06
GB1439942A (en) * 1972-07-12 1976-06-16 Royale Baby Carriages Ltd Push chairs
JPS50705A (ko) * 1973-05-02 1975-01-07
JPS5029821U (ko) * 1973-07-15 1975-04-04
AT354003B (de) * 1976-01-15 1979-12-10 Herlag Holzwarenfabrik Kg kinderwagen
ZA783870B (en) * 1977-07-07 1979-07-25 Maclaren Ltd Andrews Lie back buggy
US4335900A (en) * 1978-07-24 1982-06-22 Henry Fleischer Collapsible frames for baby carriers
US4245850A (en) * 1979-07-27 1981-01-20 Hedstrom Co. Scissor frame lock
US4317581A (en) * 1979-10-13 1982-03-02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US4428598A (en) * 1981-07-27 1984-01-31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JPS58191317A (ja) * 1982-04-30 1983-11-08 Toyota Motor Corp ボ−ルジヨイント
US4564212A (en) * 1983-12-12 1986-01-14 Orlandino Michael J Baby stroller and frame structure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378B1 (ko) * 2001-12-14 2004-11-16 삼성전기주식회사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abl저항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972885A (en) 1986-05-29
JPH039497Y2 (ko) 1991-03-08
KR860006642U (ko) 1986-06-25
US4645370A (en) 1987-02-24
ES296361Y (es) 1989-05-01
JPS6188869U (ko) 1986-06-10
IT8522880A0 (it) 1985-11-18
ES296361U (es) 1987-10-16
GB2167119B (en) 1988-02-03
FR2575797B1 (fr) 1988-04-01
FR2575797A1 (fr) 1986-07-11
GB8528246D0 (en) 1985-12-18
AU570172B2 (en) 1988-03-03
IT1209671B (it) 1989-08-30
DE3540871A1 (de) 1986-05-22
GB2167119A (en) 1986-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846Y1 (ko) 접는 유모차용 연결 구조물
US20060083580A1 (en) Folding joint arrangement for foldable furniture
EP0027374A2 (en) Baby carriage
US4648651A (en) Collapsible support with armrests
US8696015B2 (en) Stroller
CN2922647Y (zh) 婴儿床
US5560055A (en) Collapsible playyard
US4700987A (en) Folding table mechanism
US7007968B2 (en) Baby carriage folding mechanism for a folding baby carriage
US4014591A (en) Collapsible chair
US20020000710A1 (en) Baby carriage
JPH0424252B2 (ko)
JP6753576B2 (ja) 折り畳み式椅子
JPH0126910B2 (ko)
EP3908496B1 (en) Child stroller frame
US4529245A (en) Collapsible chair
US4069524A (en) Collapsible child pen with improved hinge joint
US5025517A (en) Collapsible structure suitable for use as a portable play yard
GB2616533A (en) Child support apparatus and juvenile support assembly
US4515389A (en) Baby carriage and armrest for such baby carriage
JP2022501267A (ja) ベビーカー
CN209904853U (zh) 一种儿童推车
GB2050495A (en) Pivotable Joints
JPH01154069U (ko)
JPH075079B2 (ja) ベビ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