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405B1 - 클러치 카바 조립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클러치 카바 조립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405B1
KR890003405B1 KR1019850003748A KR850003748A KR890003405B1 KR 890003405 B1 KR890003405 B1 KR 890003405B1 KR 1019850003748 A KR1019850003748 A KR 1019850003748A KR 850003748 A KR850003748 A KR 850003748A KR 890003405 B1 KR890003405 B1 KR 890003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clutch cover
tip
bend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951A (ko
Inventor
마모루 오구보
다가유기 이와사기
겐지 미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다이킨세이사꾸쇼
아다치 마사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다이킨세이사꾸쇼, 아다치 마사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다이킨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50007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583Diaphragm-springs, e.g. Belleville
    • F16D13/585Arrangements or details relating to the mounting or support of the diaphragm on the clutch on the clutch cover or the pressure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1/00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10T29/49915Overedge assembling of seated part
    • Y10T29/49922Overedge assembling of seated part by bending over projecting pro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709Overedge assembling means
    • Y10T29/53717Annular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96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by de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클러치 카바 조립체의 제조방법
제1a도∼제1d도는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되는 클러치 카바 조립체의 각 공정의 계략적인 단면도.
제2도는 클러치 카바 조립체의 완성품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3도는 벤딩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4a도∼제4c도는 종래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러치 카바 2 : 누름판
3 : 배면돌기 4 : 다이어프램 스프링
5,6 : 와이어링 7 : 탭
8 : 릴리이즈 베어링 9 : 환형상 콜러치카바 본체
12 : 탭선단부 13 : 탭의 본체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다이어프램 스프링형의 마찰 클러치 카바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어프램 스프링 형 클러치에 있어서는 누름판에 힘을 가하기 위한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클러치 카바의 탭(돌기부)에 의해 와이어 링을 거쳐서 지지하도록 한 구조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런대 이 구조는 이 클러치 카바의 안쪽둘레에 여러개의 탭을 일체로 마련하여 구부리고, 탭에 의하여 한 쌍의 와이어 링을 안쪽둘레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탭 선단부를 더욱 구부려서 와이어 링을 다이어프램 스프링과 반대측에서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 탭의 형상이 복잡하다. 따라서, 그와 같은 클러치 카바 조립체를 제조할 때에는 클러치 카바의 가공 공정 수가 많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탭의 구부림 오차등에 의해 와이어 링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원활한 릴리이즈 특성을 얻기가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가공 공정수의 저감과 치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환형상의 클러치 카바 본체를 형성하고, 클러치 카바 본체의 안쪽둘레에서 대략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연장하는 여러개의 탭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탭의 선단부를 클러치 카바의 축방향의 안쪽방향과 중심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구부리는 제1의 공정, 클러치 카바의 본체와 상기 탭 선단부 사이의 탭 본체를 클러치 카바의 축방향의 안쪽 방향과 중심쪽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구부리는 제2의 공정, 탭에 1쌍의 와이어 링 및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조립시켜서 상기 탭 본체를 클러치 카바의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구부리면서 탭 선단부를 클러치 카바 본체의 안쪽둘레부 측으로 구부리는 제3의 공정을 포함하는 클러치 카바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으로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클러치 카바 조립체의 각 공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제2도는 클러치 카바 조립체와 완성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우선, 제2도를 참조하여 완성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클러치 카바(1)은 바깥둘레부가 엔진의 플라이 휠(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고, 누름판(2)를 바깥둘레 측 및 배면측(제2도에서 우측)에서 덮고 있다. 누름판(2)의 배면 돌기(3)에는 환형상의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바깥둘레부가 맞닿고 있다. 스프링(4)의 반경 방향의 중앙부분의 양쪽면에는 1싸의 와이어 링(5),(6)이 접촉하고 있다. 와이어 링(5),(6)은 스프링(4)의 지점을 구성하는 부재로써, 클러치 카바(1)의 탭(7)에 의해 안쪽둘레 측 및 스프링(4)와 반대측에서 지지되어 있다.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안쪽둘레부에는 릴리이즈 베어링(8)이 누름판(2)와 반대측에서 대향하고 있다. 릴리이즈 베어링(8)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링크 기구를 거쳐서 클러치 페달에 연결되어 있다. 이 페달을 밟게되면 릴리이즈 베어링(8)이 스프링(4)의 안쪽둘레부를 누르고, 이로인해 스프링(4)에서 누름판(2)에 가해지는 누르는 힘이 해제되어 클러치가 차단된다. 또 페달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4)가 탄성에 의해 누름판(2)를 눌러서 누름판(2)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 클러치 디스크의 페이싱을 플라이 휠에 밀착시켜서, 클러치가 접속한다.
탭(7)은 클러치 카바(1)의 환형상 본체(9)의 안쪽둘레에 간격을 두고 여러개 마련하고 있고, 다이어프렘 스프링(4)의 열린구멍(10)을 통해서 누름판(2)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탭(7)의 선단부(12)는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구부러져서 와이어 링(6)을 스프링(4)와 반대측에서 지지하고 있다.
카바 본체(9)와 탭 선단부(12)사이의 탭(7)의 본체(13)은 열린구멍(10)을 통해서 스프링(4)와 대략 직각으로 연장하여 와이어 링(5),(6)의 안쪽둘레를 지지하고 있다.
상술한 클러치 카바 조립체는 제1도에 도시한 공정에 따라서 제조한다.
(1) 블랭킹 공정(제1a도)
환형상의 카바 본체(9)와 탭(7)의 블랭크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카바 본체(9)와 탭(7)은 전체가 평탄하게 성형되어 있다.
(2) 드로우잉 공정(제1b도)
카바 본체(9)에 벤트부(15)가 성형되고, 동시에 탭(7)의 선단부(12)가 구부러지기 때문에, 탭 선단부(12)는 클러치 카바(1)의 안쪽(제2도의 누름판(2)측) 및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경사져서 선단부(12)와 본체(13)사이의 각도 d는 둔각으로 된다.
(3) 트리밍 공정(도시하지 않음)
클러치 카바의 블랭크에 트리밍이 실시된다.
(4) 리스트라이 킹(벤딩) 공정(제1c도)
탭 본체(13)이 카바본체(9)에 대해 구부러지므로, 탭 본체(13)은 카바 본체(9)에 대해서 클러치 카바(1)의 안쪽 및 반경 방향의 안쪽을 향해서 경사져서 탭 본체(13)과 카바 본체(9)사이의 각도 D는 둔각으로 된다.
또, 탭 선단부(12)는 클러치 카바 본체(9)에서 멀리 떨어져서 반경방향의 바깥쪽을 향해서 탭 본체(13)에서 돌출된다.
(5) 천공 및 선삭공정(도시하지 않음)
소정부분에 선반에 의한 천공 및 절삭가공이 실행된다.
(6) 벤딩공정(제1d도)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양측에 와이어 링(5),(6)을 배치한 상태에서 스프링(4)의 열린구멍(10)으로 탭(7)이 통과한다.
이 상태에서 탭 본체(13)이 카바 본체(9)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될 때까지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구부러진다. 동시에 탭 선단부(12)가 탭 본체(13)에 대해서 스프링(4)측(클러치 카바본체(9)의 안쪽둘레부 측)으로 구부러져 탭 선단부(12)와 탭 본체(13)사이에 각도가 대략 90도 보다도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와이어 링(5),(6)은 안쪽둘레 측 및 스프링(4)와 반대측에서 탭(7)에 의해 덜컹거리지 않는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 벤딩 공정은 제3도에 도시한 장치에 의해 실행된다.
즉, 다이어프램 스프링(4) 및 와이어 링(5),(6)을 조립시켜 놓은 클러치 카바(1)은 탭 선단부(12)를 위로해서 아래쪽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위쪽금형(20)을 하강시킨다. 위쪽금형(20)은 탭(7)을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는 벤딩부(21)과 아래쪽 방향으로 구부리는 벤딩부(22)를 마련하고 있다. 이 벤딩부(21)은 처음의 경사상태(실선으로 표시한 상태)에 있는 탭 선단부(12)와 탭 본체(13)을 반경 방향의 바깥쪽 방향으로 안내해서 구부리고, 벤딩부(22)는 와이어 링(6)의 윗쪽까지 구부러져서 탭 선단부(12)를 아래쪽으로 구부린다.
이와같이해서 성형된 탭(7)에 있어서 본체(13)이 벤딩부(21)에 의해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므로, 본체(13)은 와이어링(5),(6)의 안쪽둘레에 덜컹거림이 없는 상태로 확실하게 끼워 맞추어지고, 선단부(12)가 벤딩부(22)에 의해 아래쪽 방향으로 구부러지므로 선단부(12)는 와이어 링(5),(6) 및 다이어프램 스프링(4)를 축방향(제3도의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덜컹거림이 없는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한다. 다라서, 스프링(4)와 와이어 링(5),(6)이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므로 제2도에 도시한 완성품에서의 스프링(4)는 원활하게 작동하여 우수한 동작 특성을 유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드로우잉 공정(제1공정의 일부)에서 탭 선단부(12)를 탭 본체(13)에 대해서 경사지게 (둔각을 형성하도록) 구부리고, 리스트라이킹 공정 (제2공정) 에서 탭 본체 (13)을 카바 본체 (9) 에 대해서 경사지게 (둔각을 형성하도록)구부리며, 벤딩 공정(제3공정)에서 탭 선단부(12)와 탭 본체(13)을 소정의 자세까지 구부리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공정수의 저감 및 조립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고, 구체적으로는 제4도의 종래 제품과 비교해서 공정수를 2배로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소화 58-39820호에 기재된 제4도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제4a도와 같이 우선 탭 선단부(12)가 탭 본체(13)에 대해서 직각으로 구부러진다. 다음에 제4b도와 같이 탭 본체(13)이 카바 본체(9)에 대해서 둔각을 이루도록 구부러진다.
다음에 제4c도와 같이 스프링(4)와 와이어 링(5),(6)이 조립되어 탭 본체(13)은 카바 본체(9)에 대해서 직작으로 구부러 진다.
이 종래 방법에서는 제2공정(제4b도)에서 탭 본체(13)의 길이 M을 조립 상태의 다이어프램 스프링(4)와 와이어링(5),(6)의 축 방향의 길이 m에 정확하게 일치시키지 않는한, 스프링(4)와 와이어 링(5),(6)을 덜컹거림이 없는 상태로 유지할 수가 없다. 따라서, 각부의 치수 관리가 어렵고, 치수 오차등에 의해 각부에 덜컹거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상술한 것 이외의 종래 방법에서는 탭 선단부(12)를 직각으로 구부리기 전에 탭 본체(13)을 직각으로 구부리고, 이 상태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4)와 와이어 링(5),(6)을 조립하고, 다음에 탭 선단부(12)를 구부리는 것도 행하여 지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탭 선단부(12)를 최후에 구부리는 방법에서는 앞서의 공정에 있어서 탭 선단부(12)에 특별한 코이닝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또, 탭 본체(13)의 벤딩 공정과는 별도의 공정에서 탭 선단부(12)를 구부릴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비해서 공정수가 2배로 많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에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2)

  1. 클러치 카바 본체의 안쪽둘레에서 반경방향의 안쪽방향으로 연장하는 여러개의 탭을 갖는 클러치 카바의 환형상의 클러치 카바 본체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클러치 카바의 중심을 향해서 탭 선단부를 클러치 카바의 축 방향의 안쪽방향으로 연장시키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탭에 대해서 경사지게 상기 탭의 선단부를 구부리는 공정, 상기 클러치 카바의 중심을 향해서 클러치 카바의 축방향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탭 본체와 탭 선단부가 상기 클러치 카바 본체의 축방향 및 바깥쪽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클러치 카바 본체와 상기 탭선단부 사이의 상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탭에 대해서 경사지게 상기 탭 본체를 탭선단부의 구부리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구부리는 공정, 스프링의 지점을 형성하는 상기 스프링의 대응하는 측면에 각각 배치된 1쌍의 와이어 링과 함게 환형상의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클러치 카바의 탭 본채 및 탭 선단부에 조립하는 공정과 상기 클러치 카바의 반경방향의 바깥쪽 방향으로 탭 본체를 구부림과 동시에 상기 클러치 카바의 안쪽둘레를 향해서 바깥쪽의 와이어링의 주위에 걸쳐 탭 선단부를 구부리는 공정을 포함하는 클러치 카바 조립체의 제조 방법.
  2. 특허 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선단부를 구부리는 공정은 상기 클러치 카바의 반경방향에 대해서 상기 탭 선단부를 둔각으로 형성하는 공정이고, 상기 탭 본체를 구부리는 공정은 상기 클러치 카바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의 바깥쪽 방향에서 클러치 카바 본체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탭 선단부가 돌출하도록 상기 클러치카바의 반경방향에 대해서 탭 본체를 둔각으로 형성하는 공정이며, 상기 구부리는 공정은 상기 탭 선단부 및 탭 본체를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탭 선단부의 와이어 링과 반대측의 면을 누르는 바깥쪽 방향으로 구부리는 벤딩부를 갖고, 상기 선단부 및 와이어 링 사이의 밀착 상태까지 상기 탭 선단부를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향해서 누르는 아래쪽 방향으로 구부리는 벤딩부를 갖는 프레스금형에 의해서 실행되는 공정인 클러티 카바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19850003748A 1984-05-31 1985-05-30 클러치 카바 조립체의 제조방법 KR890003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683 1984-05-31
JP59112683A JPS60256625A (ja) 1984-05-31 1984-05-31 クラツチカバ−組立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951A KR850007951A (ko) 1985-12-11
KR890003405B1 true KR890003405B1 (ko) 1989-09-20

Family

ID=1459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748A KR890003405B1 (ko) 1984-05-31 1985-05-30 클러치 카바 조립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42871A (ko)
JP (1) JPS60256625A (ko)
KR (1) KR890003405B1 (ko)
DE (1) DE3519239A1 (ko)
FR (1) FR2565136B1 (ko)
GB (1) GB21601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89558A (en) * 1986-04-26 1987-10-28 Automotive Products Plc Friction clutch
US4791801A (en) * 1987-08-03 1988-12-20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versible fuel assembly grid tab repair tool
GB2237076B (en) * 1989-10-05 1993-12-15 Automotive Products Plc Clutch cover assembly
GB2345944B (en) * 1995-12-05 2000-09-06 Luk Lamellen & Kupplungsbau Friction clutch
US6257043B1 (en) * 1999-12-30 2001-07-10 Unova Ip Corp. Modified flat hem apparatus and method
CN101823195B (zh) * 2010-02-24 2012-07-04 钱江弹簧(北京)有限公司 弹簧组合盘的制造工艺及其设备
JP2017057923A (ja) * 2015-09-16 2017-03-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43367A (en) * 1973-07-25 1976-07-21 Automotive Prod Co Ltd Friction clutches
US3939951A (en) * 1974-12-23 1976-02-24 Dana Corporation Diaphragm clutch spring having radial and rotational restraints
GB1514297A (en) * 1975-10-22 1978-06-14 Automotive Prod Co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 sub-assembly of a diaphragm spring clutch
DE2647703C2 (de) * 1975-10-22 1986-09-11 Automotive Products Ltd., Leamington Spa, Warwickshir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sammenbau von Reibungskupplungen
GB1482768A (en) * 1975-12-18 1977-08-17 Automotive Prod Co Ltd Friction clutches
US4109368A (en) * 1976-07-14 1978-08-29 Automotive Products Limited Method of assembling a sub-assembly of a diaphragm spring friction clutch
JPS5817227A (ja) * 1981-07-24 1983-02-01 Daikin Mfg Co Ltd クラツチカバ−組立体
JPS5839820A (ja) * 1981-09-01 1983-03-08 Aisin Seiki Co Ltd クラツチ装置のカバ−組部材
JPS5857519A (ja) * 1981-10-01 1983-04-05 Aisin Seiki Co Ltd クラツチ装置のカバ−組部材
US4555055A (en) * 1982-08-06 1985-11-26 Connolly James D Method of making centrifuge screen bask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60128A (en) 1985-12-18
FR2565136B1 (fr) 1988-11-04
FR2565136A1 (fr) 1985-12-06
GB2160128B (en) 1987-11-11
GB8513518D0 (en) 1985-07-03
DE3519239C2 (ko) 1987-06-25
US4642871A (en) 1987-02-17
JPS60256625A (ja) 1985-12-18
DE3519239A1 (de) 1985-12-05
JPH0446659B2 (ko) 1992-07-30
KR850007951A (ko) 198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405B1 (ko) 클러치 카바 조립체의 제조방법
US4744448A (en) Diaphragm spring clutch cover assembly
GB1569547A (en) Clutch assembly
GB2268986A (en) A friction clutch for a motor vehicle, and an elastic diaphragm for such a clutch.
US5054598A (en) Clutch cover assembly
US6095006A (en) Clutch drum, method of manufacturing clutch drum and apparatus for forming tooth profile
US6776274B2 (en) Assembly for vehicle driveline components
US7243770B2 (en) Clutch assembly including strengthening members
KR890003649B1 (ko) 클러치 카바 조립체의 제조 방법 및 장치
US6463659B2 (en) Multi-stage pulle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4667795A (en) Clutch cover assembly
US4633989A (en) Structure for supporting a diaphragm spring in a clutch
US4923046A (en) Cooling mechanism of a clutch cover assembly
US5586634A (en) Clutch mechanism,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US4782576A (en) Method for adjustment of machine parts
JP2000145815A (ja) 自動調心型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JP3974228B2 (ja) プレス成形装置
US4679683A (en) Clutch cover assembly
US5813507A (en) Diaphragm clutch cover with stop lugs capable of distinguishing between different cover types
JPS5947527A (ja) 摩擦クラツチ
GB151429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 sub-assembly of a diaphragm spring clutch
JPH0544713A (ja) リンクプレート係止構造
JPH0532659Y2 (ko)
JPH0332433A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の製造装置
US5104240A (en) Release bear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0201000657;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