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195B1 - 전극헤드 - Google Patents

전극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195B1
KR890003195B1 KR1019840005933A KR840005933A KR890003195B1 KR 890003195 B1 KR890003195 B1 KR 890003195B1 KR 1019840005933 A KR1019840005933 A KR 1019840005933A KR 840005933 A KR840005933 A KR 840005933A KR 890003195 B1 KR890003195 B1 KR 890003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head
electrical conductor
electrical
boron nitride
hexagonal bo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629A (ko
Inventor
요시다까 요시가와
마사히데 쯔까모또
유따까 니시무라
히또시 오노
데쯔히로 사노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시다 도시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817853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68955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17853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689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18212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72734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시다 도시히꼬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2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9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multi-stylus heads
    • B41J2/395Structure of multi-stylus head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극헤드
제1도 (a)∼제1도(c)는 종래의 전극헤드의 사시도.
제2도는, 육방정질화붕소 소결체를 사용한 경우를 설명하는 사시도.
제3도는, 육방정질화 붕소화 열경화성 수지를 혼합한 성형체를 사용한 경우를 설명하는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전극헤드의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전극헤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31, 41 : 전기적 도체 22, 23 : 육방정질화붕소의 소결체
24 : 홈 32, 43 : 성형체
42 : 전기적 절연체
본 발명은, 전기신호로 변화된 도형 혹은 화상을 기록체상에 기록하는 전극헤드에 관한 것이다.
근년, 사무자동화로 인하여 여러가지의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전기신호를 가시상으로 변환하는 기록장치, 소위 프린터의 수요는 대단한 것이며, 종래부터 여러가지의 방식에의한 기록장치가 제작되고있다.
방전파괴 기록지를 사용하는 기록장치, 증착알루미층, 흑색층, 기지층으로된 방전파괴기록지의 증착알루 미층에 전압을 인가한 전극을 접촉시켜, 접촉부분을 가열 혹은 방전파괴에 의해서 증착 알루미를 제거하고, 밀바탕의 흑색층을 노출시켜서 기록을 헹하는 것이다. 그때문에 양호한 "써넣기"를 행하려면, 제1도(a)와 같이 전극침(11)을 노출시켜, 접촉을 확실하게 행하도록 "써넣기"전극이 제작되어있다. 여기서(12)는 수지로된 고정재, (13)은 리이드이다. 수지에 매설하여 전극침을 노출(돌출) 시키지않는 제1도(b)와 같은 경우는 전극침(14)의 주위가 파괴되어, 여기에 기록시에 발생하는 먼지가 고여서 전극끼리의 절연이 손상되어, 양호한 "써넣기"를 할수없다. 또, 제1도(c)와 같이 알루미나(Al2O3) 기판(15)상에 텅스텐전극(16)을 형성해서 얻은 전극헤드에서는, 고정재인 알루미나 기판이 견고하기 때문에 기록을할때 방전파괴기록지상에 주사선 흠집이나서 양호한 "써넣기"를 할수없게 된다.
이와같은 이유로 돌출된 전극침을 튼튼한것으로 만들지 않으면안되며, 굵고 단단한 재료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다침(多針)은 어렵고, 높은 해상기록을 기능케하는 전극헤드를 얻을수 없었다.
다른 기록방식, 전해 기록(ELECTROLYTIC ELECTROGRPHY). 통전 전사기록(ELECTRO-CARBON-TRANSFER PRINTING) (더·저널 오브 더 인스티튜트 오브 이메이지 에렉트로니스즈 엔지니어즈 오브재팬 Vo1.11 No1 제3면∼9면(1982))등에 있어서도 동일한 헤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은 결점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기록체상에 높은 해상기록을 가능케하고 장수명의 전극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길쭉한 전기적도체와, 상기 전기적도체를 고정하는 육방정 질화 붕소를 함유하는 고정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쭉한 전기적 도체의 선단을 노출시켜서 기록체와의 사이에 전기신호를 인가 하므로서, 전기신호에 따른 화상을 기록체상에 기록하기위한 전극헤드이다. 이 전극헤드는 기록을할때, 전기적 도체의 주위가 파괴되거나, 기록시에 발생하는 먼지가 부착하지 않는것과, 기록지에 대서 이동시켜도 기록지에 흠집이 나지않는것 등으로 인자품질이 뛰어난 기록을 가능케한 전극헤드이다. 또, 본 발명의 전극헤드는 전극을 돌출시키지않고 고정재에 매설 혹은 적층되어있기 때문에 전극이 가늘어도되고, 전극의 길이도 자유로 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해상으로 장수명의 전그헤드를 얻어진다.
상기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으로 명백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1]
제2도는 본 발명의 전극헤드의 사시도이다.
제도에 있어서 (21)은 길쭉한 전기적 도체(예를들면 구리선)이며, (22)(23)은 육방정질화붕소(예를들면, 전기화학공업(주)제의 덴카보론나이트 라이드)의 소결체이다, 도면의 전극헤드는, 전기 화학공업(주)제의 덴카보론 나이트 라이드 소결체로서, 등급이 인 육방정 질화붕소(22)에, 다이싱장치(PICING SAW)를 사용해서 피치 100μm, 홈폭 65μm, 홈깊이 60μm, 홈(24)을 내서, 이홈(24)에 선경이 60μm의 피복동선을 매입한후, 상기 육방정질화붕소의 소결체(22)와 동등한 소결체(23)로 상기 피복동선을 압압고정시키고 있다.
이 전극 헤드를 방전 파괴기록지를 사용한 기록장치에 장착하여 인자한경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① 인자품질(5만문자 인자후의 도드형상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② 기록시에 발생하는 먼지가 부착하기 어렵다.
③ 방전파괴기록지에 흠집을 내지않게 인자할수있다.
④ 기록시의 열로 고정재가 열화되지 않는다.
⑤ 높은 해상기록이 가능하다.
이것들은 육방정질화붕소가 가지고있는 윤활성, 내열성, 전기절연성, 마모성, 가공성이 우수하다고하는 특징 때문인것이다.
본 실시에에서는, 전기적 도체의 선재로서 피복동선을 사용했으나, 피복되어 있지않는 것으로도된다. 그러나, 높은 해상이 될수록 전기적 도체간의 피치가 좁아지기 때문에, 전기적 절연체로 피복되어있지 않은것으로는 전기적 도체끼리의 접촉에 주의하면서 배선처리를 할필요가 있으나, 전기적 도체를 전기적 절연체를 피복한것을 사용하면 손쉽게 배선처리를 할수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전기적 도체의 선재로서 피복동선을 사용한것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말을할수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의 전극헤드의 고정재인 육방정질화붕소 소결체의 육방정질화붕소 함유량을 65, 70, 75, 80, 85, 90, 95, 99, 100중량%로 변화시킨 소결체(100중량% 이외의 소결체에는 B2O3, CaO, SiO潢, AlO, 유되어있다)를 고정재로 사용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전극헤드를 방전파괴기록지상에 인자시켜서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표 1]
h-BN 함유량과 전극헤드로서의 평가
Figure kpo00002
표1에 있어서, 인자품질이란 상기한 바와같이 5만문자 인자후의 도드형상의 안전성을 평가한 것이다. 먼지의 부착곤란도는, 5만문자 인자후의 전극헤드 선단의 오염의 정도이다. 경도는 방전파괴기록지에 인자할때, 방전파괴기록지에 흠집을 내지한게 인자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한 것이다. 난연성은 UL구격 94에 준한 것으로서, 시험편의 두께를 1/16인치로 평가한 것이다. 가공성은, 소결체의 제작용이도, 및 기계가공의 용이도이다.
표 1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육방정질화붕소 함유량이 65중량% 에서는 인자할때, 방전파괴기록지상에 고정재에의한 흠집이나서 인자품질을 나쁘게했다. 육방정질화붕소 함유량이 70중량% 이상으로 소결한 고정재를 사용한 전극헤드는, 방전파괴기록지상에 고정재에의한 흠집도없고 인자품질이 우수했다. 그러나, 70중량%로는 전극헤드와 방전파괴기록지와의 접촉상태에 의해서는 흠집을 내는수도 있다. 또, 100중량%의 소결체는 소결시키는 것이 곤란(소결조건이 기타의 소결체를 소결시키는 것보다 고온, 고압을 필요로 한다.)하기 때문에, 전극헤드의 고정재에 적합한 육방정질화붕소 소결체는, 육방정질화붕소를 75∼99중량% 함유한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서, 실시예 1과같은 구성의 것으로, 길쭉한 전기적 도체의 고정재로 육방정질화부소와, 열경화성수지(예를들면, 전기화학공업(주)제의 덴카 보론나이트 라이드 분말과 에폭시계 수지)를 혼합해서 경화시킨, 성행체를 사용한 전극헤드이다 . 이 전극헤드는, 전기화학공업(주)제의 덴카보론 나이트 라이드 분말로 등급이 GP인 육방정질화붕소 분말과 에폭시수지(비스페놀 A형수지)를 혼합해서 경화시킨 성형체(육방정질화붕소를 60중량% 함유한것)에, 다이싱장치를 사용해서 피치 100μm, 흠폭 65μm, 홈깊이 60μm의 흠을내서, 상기홈에 길쭉한 전기적 도체로 선경이 60μm의 피복동선을 매설한후, 상기 육방정질화붕소 분말과 에폭시수지와의 혼합물인 성형체와 동등한 성형체로 상기 피복동선을 압압해서 고정했다.
이 전극헤드를 방전파괴기록지를 사용한 기록장치에 장착하여, 인자했을 경우도 실시예 1과 동등한 특징이 있다.
다음에, 상기 에폭시수지에 육방정질화붕소의 함유를 0, 10, 20, 30, 40, 50, 60, 70, 80, 90중량%로 변화시켜서 경화된 각각의 성형체를 고정재로 사용한 전극헤드에 대해서도 상기한 바와같이 방전파괴기록지를 사용한 기록장치에 장착하여 방전파괴기록지상에 인자시켜서 평가한 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표 2]
h-BN 함유량과 전극헤드로서의 평가
Figure kpo00003
표2에 있어서, 인자품질, 먼지의 부착곤란도, 경도, 난연성, 가공성은 실시예 2와같은 평가방법이다. 표2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육방정질화붕소 함유량이 10중량% 이하에서는, 종래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전극의 주위가 인자할때의 열등에 의해서 파괴되고, 거기서 기록시에 발생하는 먼지가 부착해서 전극에 변형이나, 단선이 발생하여 전극헤드로서는 사용할 수 없게된다. 또, 육방정질화붕소 함유량이 95% 이상이되면 성형체를 얻을 수 없고 (너덜너덜하게 부서저버림)전극헤드로서 평가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육방정질화붕소 분말의 함유량이 20∼90중량%의 성형체를 고정재로한 전극헤드가 좋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80중량%의 성형체를 고정체로한 전극헤드가 보다 큰효과를 발휘하는 것이었다.
[실시예 4]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 사시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31)은 스트라이프 형상의 전기적 도체(예를들면 구리)로서, (32)는 육방정질화붕소와 열경화성수지(예를들면 전기화학공업(주)제의 덴카보론나이트 라이드 분말과 에폭시계수지)를 혼합해서 경화시킨 성형체이다. 도면의 전극헤드는, 전기화학공업(주)제의 덴카보론나이트 라이드 분말로 등급이 GP인 육방정질화붕소 분말과 에폭시수지(비스페놀 A형수지)를 혼합해서 경화시킨 성형체(육방정질화붕소를 60중량% 함유한것)상에 무전해 도금으로 구리를 35μm 적층한후, 스트라이프형상(선간 50μm, 선폭 50 μm)의 전극을 광부식으로 형성하고있다.
이 전극헤드를 방전파괴기록지를 사용한 기록장치에 장차하여, 인자한 경우도, 실시예 1과 동등한 특징이 있다.
다음에, 상기에폭시 수시에 육방정질화 불소의 함유를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95중량%로 변화시켜서 경화된 각각의 성형체를 고정재로 사용한 전극헤드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같이 방전파괴기록지를 사용한 기록장치에 장착하여 방전파괴기록지상에 인자 시켜서 평가한 결과는 실시예 3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5]
제4도(a)는, 포상체(
Figure kpo00004
狀體)의 정면도로서, (41)은 전기적 도체(예를들면 동선)이며 (42)는 적기적 절연체(예를들면 폴리에스텔)이다. 이것은 통상의 직기등을 사용해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제4도(b)는, 포상체를 사용한 전극헤드로서, (41)은 전기적 도체(예를들면 구리), (42)는 전기적 절연체(예를들면 폴리에스테르), (43)은 육방정질화붕소와 열경화성수지(예를들면 전기화학공업(주)제의 덴카보론 나이트 라이드 분말과 에폭시계수지)를 혼합해서 경화시킨 성형체이다. 전기적 도체로서 50μm의 동선을 사용하고, 전기적 절연체로서 20μm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해서 포상체를 짠다. 이 포상체의 전기적 도체의 피치는 100μm이다.
상기 포상체를, 육방정질화붕소와 에폭시수지(비수페놀 형수지)를 혼합해서(육방정질화붕소를 60중량% 함유한것) 두께 3㎜의 시이트형상으로 성형한것에 적층하여, 상기 시이트를 경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포상체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전기적 도체의 각각의 선단이 노출되게 연마하해서 10개/㎜의 전극헤드를 얻었다. 이 전극 헤드를 방전파괴기록지를 사용한 기록장치에 장착하여, 인자한 경우도 실시예 1과 동등한 특징이있다.
다음에, 상기 에폭시수지에 육방정질화붕소의 함유를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95, 중량%로 면화시켜서 경화된 각각의 성형체를 고정재로 사용한 전극헤드에 대해서도 상기한 바와같이 방전파괴기록지를 사용한 기록장치에 장착하여 방전파괴기록지상에 인자시켜서 평가한 결과는 실시예 3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의 것으로, 길쭉한 전기적 도체의 고정재로서 육방정질화붕소와 활석과의 혼합물을 열경화성수지(예를들면 전기화학공업(주)제의 덴카 보론나이트 라이드 분말과 일본 탈크(주)제의 활석분말의 혼합물과 에폭시계수지)를 혼합해서 경화시킨 성형체를 사용한 전극헤드이다.
이 전극 헤드는, 전기화학공업(주)제의 덴카보론 나이트 라이드 분말로서 등급 GP의 육방정질화붕소와 일본탈크(주)제의 활석분말로 순도 99% 이상의 활석과의 혼합물을 에폭시수지(비스페놀 형수지)에 혼합해서 경화시킨 성형체(육방정질화붕소와 활석과의 혼합물이 60중량% 함유되고, 그중 육방정질화붕소가 25중량%을 점하고 있음)에 다이싱장치를 사용해서 피치 100μm, 홈폭 65μm, 홈깊이 60μm, 의 홈을내서, 상기 홈에 길쭉한 전기적 도체로 선경이 60μm의 피복동선을 매설한후, 상기 육방정질화붕소와 활석과의 혼합물을 에폭시수지로 혼합해서 경화시킨 성형체와 동등한 성형체로 상기 피복동선을 압압해서 고정하고 있다.
이 전극헤드를 방전파괴기록지를 사용한 기록장치에 장착하여, 인자한 경우로 실시예 1과 동등한 특징이있다.
다음에, 육방정질화붕소는 상기한 바와같이 뛰어난 제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고가한재료이기 때문에, 전극헤드로서도 고가한것이 되어버린다. 한편, 활석은 값싼재료 이기는 하나, 육방정질화붕소 보다 약간특성이 뒤 떨어진다. 그래서ㅡ 육방정질화붕소와 활석을 배합하므로서, 특성, 코스트공히 만족시키는 배합바를 발견하였다.
육방정질화붕소와 활석의 배합비를 바꾸어서 상기 에폭시수지에 함유시킨 성형체를 고정재로 사용하고, 상기한 방법으로 얻은 전극헤드를, 방전파괴기록지를 사용한 기록장치에 장착하여 방전파괴기록지상에 인자시켜서 평가하고, 육방정질화붕소와 활석의 최적 배합비의 검토를 했다. 그들의 종합평가를 표시한 것이다.
표 3은, 표 2와 같은 항목의 채크를하여, 그들의 종합평가를 표시한 것이다.
[표 3]
Figure kpo00005
표 3에 있어서, 육방정질화붕소와 활석의 합계량이 20중량% 이하에서는, 종례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전극의 주위가 인자할때에 열등에 의해서 파괴되고, 거기서 기록시에 발생하는 먼지가 부착하여 전극에 변형이나 단선이 생겨서 전극헤드로서는 사용할 수 없게된다. 또, 육방정질화붕소와 활석과의 합계량이 95% 이상이 되면 성형체를 얻을 수 없고(너덜너덜 부서저버림) 전극헤드로서 평가할 수 없었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육방정질화붕소와 활석의 합계량이 25∼90중량%의 성형체를 고정재로한 전극헤드가 좋다. 그러나, 육방정질화붕소의 함유량이 5중량% 이상의 상기 범위내에있는 성형체를 고정재로 사용한 전극헤드를 평가한 경우에는, 육방정질화붕소가 가진 우수한 전극헤드를 평가한 경우에는, 육방정질화붕소가 가진 우수한 특성을 살릴수 없었으나, 육방정질화붕소의 함유량을 5중량% 이상으로하면 육방정질화붕소가 갖는 특성의 효과가 나타났다.
즉, 육방정질화붕소를 적어도 5중량% 이상 함유하고, 동시에, 육방정질화붕소와 활석의 합계량이 25∼90중량% 성형체를 전극헤드의 고정재로 사용하면 좋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서, 실시예 3와같은 구성의 것으로서, 길쭉한 전기적 도체의 고정재로 육방정질화붕소와 활석의 혼합물을 열결화성수지(예를들면, 전기화학공업(주)제의 덴카보론 나이트 라이드 분말과 일본탈크(주)제의 활석분말과의 혼합물과 에폭시계수지)를 혼합해서 경화시킨 성형체를 사용한 전극헤드이다. 이 전극헤드는, 전기화학공업(주)제의 덴카보론 나이트 라이드 분말로 등급 GP인 육방정질화붕소와 일본탈크(주)제의 활석분말로 순도 99% 이상의 활석과의 혼합물을 에폭시수지(비스페놀 형수지)에 혼합해서 경화시킨 성형체(육방정질화붕소와 활석과의 혼합물이 60중량% 함유되고, 그중 육방정질화붕소가 25중량%을 점하고있음)에, 무전해 도금으로 구리를 35μm 적층시킨후, 스트라이프형상(선간 50μm, 선폭 50μm)의 전극을 광부식으로 형성하고있다.
이 전극헤드를 방전파괴기록지를 사용한 기록장치에 장착하여, 인자한경우도 실시예 1와 동등한 특징이있다. 또, 육방정질화붕소와 활석과의 배합비에 대해서 평가한 결과도 실시예 7과 같았다.
[실시예 8]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실시예 4와같은 구성의 것으로, 종사(縱
Figure kpo00006
), 횡사(橫
Figure kpo00007
) 어느 한쪽이 전기적도체이고, 다른쪽이 전기적 절연체로 짠, 포상체를 사용한 전극헤드이다. 전기적 도체로서 50μm의 동선을 사용하고, 전기적 절연체로 20μm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해서 포상체를 짠다.
이 포상체의 전기적 도체의 피치는 100μm이다. 상기 포산체를, 전기화학공업(주)제의 덴카보론 나이트 라이드 분말로 등급 GP인 육방정질화붕소와 일본탈크(주)제의 활석분말로 순도 99% 이상의 활석과의 혼합물을 에폭시수지(비스페놀 형수지)에 혼합해서 두께 3㎜의 시이트 형상으로 성형한것에 적층하고, 상기 시이트를 경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포상체를 고정시킨다. 상기 시이트는 육방정질화붕소와 활석과의 혼합물이 60중량% 함유(1중, 육방정질화붕소가 25%를 점하고 있음)한 것이다. 상기 시이트에 상기 포상체를 고정시킨후, 전기적 도체의 각각의 선단이 노출되게 연마하여 10개/의 전극헤드를 얻었다. 이 전극헤드를 방전파괴기록지를 사용한 기록장치에 장착하여, 인자한 경우에도 실시예 1와 동등한 특징이있다. 또 육방정질화붕소와 활석의 배합비에 대해서 평가한 결과는 실시예 7과 같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체에 방전파괴기록지를 사용한 기록장치의 전극헤드로서 설명해 왔으나 다른 기록장치의 전극헤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기록체에 방전파괴기록매체, 전해기록지, 통전 전사기록지등을 사용한 기록장치의 전극헤드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전기적 도체로서도 구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전기적 도체라도 된다. 예를들면 스테인레스, 니켈, 텅스텐, 몰리브덴 등등을 들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록매체와의 접촉을 더욱 확실하게 하기위해서, 고정재가 기록매체와 접촉하는 면을 경사면으로 하면, 보다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같은 예를 제5도에 표시하였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몇개의 실시예를 인용했으나 본 발명을 알기쉽게 설명하기위한 것으로서 결코 본 발명을 이들 실시에에 한정돠는 것은 아니다.

Claims (19)

  1.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길쭉한 전기적 도체(21, 31, 41)와, 상기 전기적 도체(21, 31, 41)를 고정하는 육방정질화붕소를 함유하는 고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적 도체(21, 31, 41)의 선단의 고정재가 기록매체와 접촉하는 면상에 노출하도록 구성된 상기 기록매체상에 상기 전기신호에 부응한 상을 기록하는 전극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적 도체는 고정재에 매설된 선재인 전그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선재는 각각 전기적 절연체로 피복되어있는 전극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재에 적층된 스트라이프 형상의 전기적 도체인 전극헤드.
  5. 제1항에 있어서, 전기적 도체는 종사, 횡사의 어느 한쪽이 전기적 도체이고 다른쪽이 전기적 절연체로 짠 포상체인 전극헤드.
  6. 제1항에 있어서, 고정재가 적어도 육방정질화붕소를 70중량% 함유하고있는 소결체인 전극헤드.
  7. 제6항에 있어서, 전기적 도체는 고정재에 매설된 선재인 전극헤드.
  8. 제7항에 있어서, 선재는 각각 전기적 절연채로 피복되어있는 전극헤드.
  9. 제6항에 있어서, 전기적 도체는 고정재에 적층된 스트라이프 형상의 전기적 도체인 전극헤드.
  10. 제6항에 있어서, 전기적 도체는 종사, 횡사의 어느 한쪽이 전기적 도체이고 다른쪽이 전기적 절연체로 짠 포상체인 전극헤드.
  11.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길쭉한 전기적 도체(21, 31, 41)와, 상기 전기적 도체(21, 31, 41)를 고정하는 육방정질화붕소와 열경화성수지를 함유하는 성형체(32,43)인 고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적 도체(21, 31, 41)체의 선단은 고정재가 기록매체와 접촉하는 면상으로 노출되게 구성된 상기 기록매체상에 상기 전기신호에 부응한 상을 기록하는 전극헤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육방정질화붕소의 함유량이 20∼90중량%인 전극헤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전기적 도체는 고정재에 적층된 스트라이프 형상의 전기적 도체인 전극헤드.
  14. 제12항에 있어서, 전기적 도체는 종사, 횡사의 어느 한쪽이 전기적 도체이고 다른쪽이 전기적 절연체로 짠 포상체인 전극헤드.
  15.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길쭉한 전기적 도체(21, 31, 41)와, 상기 전기적 도체(21, 31, 41)를 고정하는 적어도 열경화성수지에 육방정질화붕소와 활석과의 혼합물을 함유시킨 성형체(32, 43)인 고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적 도체의 선단은 고정재가 기록매체와 접촉하는 면상에 노출되게 구성된, 상기 기록매체상에 상기 전기신호에 부응한 상을 기록하는 전극헤드.
  16. 제16항에 있어서, 혼합물의 함유량이 25∼90중량%이고, 동시에, 육방정질화붕소의 함유량이 5중량%이상인 전극헤드.
  17. 제17항에 있어서, 전기적 도체는 고정재에 매설된 선재인 전극헤드.
  18. 제17항에 있어서, 전기적 도체는 고정재에 적층된 스트라이프 형상의 전기적 도체(21, 31, 41)인 전극헤드.
  19. 제17항에 있어서, 전기적 도체는 종사, 횡사의 어느 한쪽이 전기적 도체이고 다른 한쪽이 전기적 절연체로 짠 포상체인 전극헤드.
KR1019840005933A 1983-09-27 1984-09-27 전극헤드 KR890003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78537A JPS6068955A (ja) 1983-09-27 1983-09-27 電極ヘッド
JP58178536A JPS6068954A (ja) 1983-09-27 1983-09-27 電極ヘッド
JP182126 1983-09-29
JP58182126A JPS6072734A (ja) 1983-09-29 1983-09-29 通電ヘツド
JP178537 1996-06-19
JP178536 1996-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629A KR850002629A (ko) 1985-05-15
KR890003195B1 true KR890003195B1 (ko) 1989-08-26

Family

ID=2732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933A KR890003195B1 (ko) 1983-09-27 1984-09-27 전극헤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679054A (ko)
EP (1) EP0138469B1 (ko)
KR (1) KR890003195B1 (ko)
DE (1) DE348183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0159A (en) * 1987-07-16 1989-01-24 Fuji Xerox Co Ltd Printing recording head
US5488394A (en) * 1988-01-05 1996-01-30 Max Levy Autograph, Inc. Print head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162191A (en) * 1988-01-05 1992-11-10 Max Levy Autograph, Inc. High-density circuit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5070343A (en) * 1989-08-28 1991-12-03 Teikoku Piston Ring Co., Ltd. Printing head for resistive ribbon type printing apparatus
US5107283A (en) * 1989-12-27 1992-04-21 Nippon Steel Corporation Electrostatic recording head with improved alignment of recording electrodes
DE69114167T2 (de) * 1990-04-06 1996-06-20 Sony Corp Thermodruckkopf.
US9583358B2 (en) 2014-05-30 2017-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rdmask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pattern by using the hardmask composition
KR102287343B1 (ko) * 2014-07-04 2021-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KR102287344B1 (ko) 2014-07-25 2021-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KR102384226B1 (ko) 2015-03-24 2022-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KR102463893B1 (ko) 2015-04-03 2022-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US11034847B2 (en) 2017-07-14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rdmask composition, method of forming pattern using hardmask composition, and hardmask formed from hardmask composition
KR102433666B1 (ko) 2017-07-27 2022-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및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
KR102486388B1 (ko) 2017-07-28 2023-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핀 양자점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그래핀 양자점을 포함한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및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4232A (en) * 1965-01-06 1967-06-06 Ovitron Corp Power transmission cable
US3718936A (en) * 1971-06-16 1973-02-27 American Express Invest Electrostatic matrix head construction
JPS54141641A (en) * 1978-04-27 1979-11-05 Fujitsu Ltd Electrostatic recording electrode
JPS5587580A (en) * 1978-12-27 1980-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hermal head
JPS58153667A (ja) * 1982-03-08 1983-09-12 Nec Corp 多針記録電極
US4504696A (en) * 1983-04-04 1985-03-12 Woven Electronics Corporation Tubular woven controlled impedance cable
US4504340A (en) * 1983-07-26 1985-03-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terial and process set for fabrication of molecular matrix print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481835D1 (de) 1990-05-10
EP0138469A2 (en) 1985-04-24
EP0138469B1 (en) 1990-04-04
EP0138469A3 (en) 1987-12-16
US4679054A (en) 1987-07-07
KR850002629A (ko) 198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195B1 (ko) 전극헤드
EP0329421B1 (en) Heating unit
CN1078381C (zh) 含有导电聚合物的电器件
US4820170A (en) Layered elastomeric connector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US5362926A (en) Circuit substrate for mounting a semiconductor element
EP1284301B1 (en) Tin-silver coatings
CA1192062A (en) Conductor compositions
KR850004135A (ko) 납땜성 팔라디움-니켈 코팅
CN1356368A (zh) 连接材料
US4539576A (en) Electrolytic printing head
EP1585374A1 (en) Circuit board checker and circuit board checking method
CN1084918C (zh) 绝缘用玻璃组合物,绝缘糊料和厚膜印刷电路
CN1120390C (zh) 加热器以及利用该加热器的图象处理设备
Lutz et al. Flexible silicone adhesive with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CN218497873U (zh) 耐冲击抗震动厚膜印刷钢板电阻器
JPH118450A (ja) 金属ベース回路基板
JPS6068954A (ja) 電極ヘッド
CN217789917U (zh) 厚膜加热元件
JPS6068953A (ja) 電極ヘッド
CA1104200A (en) Print head electrode for metal paper printers
Nobel Electroplated Palladium-Silver (60/40 wt%) Alloy as a Contact Metal
JPS6068955A (ja) 電極ヘッド
JPS6072732A (ja) 通電ヘツド
JPS61288384A (ja) 電気用接点
EP0451727A2 (en) Thermal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8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