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701Y1 - 원격 조작이 가능한 카메라용 후레쉬 - Google Patents

원격 조작이 가능한 카메라용 후레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701Y1
KR890002701Y1 KR2019860002726U KR860002726U KR890002701Y1 KR 890002701 Y1 KR890002701 Y1 KR 890002701Y1 KR 2019860002726 U KR2019860002726 U KR 2019860002726U KR 860002726 U KR860002726 U KR 860002726U KR 890002701 Y1 KR890002701 Y1 KR 890002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camera
transistor
xenon lamp
sc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2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5250U (ko
Inventor
임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림
유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림, 유상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림
Priority to KR2019860002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701Y1/ko
Publication of KR8700152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52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격 조작이 가능한 카메라용 후레쉬
제1도는 본 고안의 작용 상태 설명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AT : 전지 A : 발진 및 정류 회로
C : 전해 콘덴서 B : 크세논 램프 드라이브 회로
Ne : 네온 램프 Ts : 테스트 버튼
2 : SCR PTR : 포토 트랜지스터
TR :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카메라 본체로 부터 수십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원격 조작이 가능하게 한 카메라용 후레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어두운 곳에서 사진 촬영을 하기 위한 광원으로서 크세논 램프의 섬광(閃光)을 이용한 휴대용 카메라후레쉬가 널리 보급되고 사용하여 왔으나, 일반적인 후레쉬의 크세논 램프의 광량은 상당히 제한 되어 있는 것이어서 넓은 장소에서 촬영을 하게 될 경우나 다소간 먼 거리에 있는 물체를 촬영하게 되는 경우에는 광량이 부족하여 사진이 어둡게 되거나 피사체인 물체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원하는 사진을 얻을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수십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물체는 촬영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십수미터의 물체를 촬영할 수 있는 강력한 광선을 발하는 대형의 크세논 램프를 장착한 후레쉬가 일부에 보급된 바 있으나, 이는 우선 그 가격이 대단히 고가이고 전력 소모가 심하여 전지를 자주 교체하여 주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원거리에 있는 물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제한된 광량이 방사상으로 퍼져 나아가는 것이어서 근 거리에 있는 물체에는 빛의 도달량이 많으므로 강한 반사광을 발하게 되는 반면에 원거리에 있는 물체 일수록 빛의 도달량이 급격히 줄어 들므로 반사광이 미약하여 원거리 촬영시에는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하므로 널리 보급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용 후레쉬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카메라용 후레쉬 내부에 카메라 본체의 후레쉬에서 발사되는 광선에 감응하여 원거리에서 동시에 섬광을 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서 원거리에 있는 피사체나 넓은 장소에 있는 피사체 등을 촬영자가 의도 하는 형태로 촬영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 스위치(SW1)와 전지(BAT)를 발진 및 정류 회로(A)에 접속하고 그 출력을 병렬 접속된 전해 콘덴서(C) 및 네온 램프(Ne)에 인가함과 동시에 크세논 램프 드라이브회로(B)에 인가되게 하여 카메라(1)의 접점이나 테스트 버튼(Ts)에 의하여 크세논 램프(Xe)에서 섬광을 발하도록 한 공지의 카메라용 후레쉬에 있어서, 트랜지스터(TR)의 클렉터에 저항(R1))의 일단을 접속하며 그 타단과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에 포토트랜지스터(PTR)의 클렉터 및 에미처를 각각 접속하고 트랜지스터(TR)의 에미터를 저항(R2)(R3)을 거쳐서 SCR(2)의 게이트 및 캐소드에 연결하며 그 애노드를 테스트버튼(Ts)의 일측에 접속하고 테스트 버튼(Ts)의 타단은 발진 및 정류 회로(A)의 타측 출력과 트랜지스터(TR)의 에미터 및 포토트랜지스터(PTR)의 에미터에 접속된저항(R4)그리고 병렬 접속된 전해 콘덴서(C1)및 제너 다이오드(ZD)의 타측을 공통 접속시키며 발진 및 정류회로(A)의 일측 출력과 저항(R5) 및 스위치(SW2) 그리고 전해 콘덴서(C1)및 스위치(SW2) 그리고 전해 콘덴서(C1) 및 제너다이오드(ZD)의 일측 그리고 포토트랜지스터(PTR)의 콜렉터 및 저항(R1)의 타단을 연결하여서된 것이며, R6,R7는 바이어스용 저항이고, 3은 카메라에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이며 4는 공지의 일반적인 후레쉬이고 5는 본 고안에 의한 후레쉬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근 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스위치(SW2)를 "OFF" 전원 스위치(SW1)를 "ON"시키면 일반적인 카메라용 후레쉬로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전원 스위치(SW1)를 켜는 순간 전지(BAT)의 전압은 발진 및 정류 회로(A)에 내장된 발진회로에 의하여 고전압으로 바뀌고 DC로 정류되어 출력되는 것이며 이는 전해 콘덴서(C)와 네온 램프(Ne)인가 되면서 전해 콘덴서(C)를 충전시키기 시작한다.
이와같이 하여 일정한 시간이 경과 한 후에는 전해 콘덴서(C)의 충전이 완료되어 그 양단에는 발진 및 정류회로(A)의 출력 전압이 그대로 나타나면서 네온램프(Ne)도 방전 개시 전압을 얻어 점등 된 상태가되며, 이때 사용자가 테스트 버튼(Ts)을 "ON"시키거나 플러그(3)를 카메라(1)에 꽂고 셔터를 눌러 그 접점이 "ON"되게하면 전해 콘덴서(C)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은 크세논 램프(Xe)를 통하여 방전 하므로 섬광을 얻을 수 있게되는 것이고, 만일 포토트랜지스터와 SCR등의 부품을 사용한 광량 자동 제어식 회로(일명 싸이레스타 오-토회로)가 크세논램프 드라이브 회로(B)에 추가되었다면 이때의 광량은 주위의 광량을 감안하여 자동 조절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하여 일반적인 카메라용 후레쉬로써 사용하다가 넓은 장소나 원거리에 있는 물체를 촬영하게 될 경우 또는 피사체의 그림자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 경우등에는 본 고안에 의한 후레쉬를 적절한 장소에 스탠드를 이용하여 적정한 발광 위치 및 각도로 설치하고 전원 스위치(SW1)와 스위치(SW2)를 "ON"시키며, 한편 촬영할 카메라(1) 본체에 또 다른 일반적인 공지의 카메라용 후레쉬(4)를 장착 한 후 셔터를 누르면 이 후레쉬(4)와 본 고안의 후레쉬(5)가 동시에 섬광을 발하여 원거리 촬영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카메라(1)의 셔터를 누르면 공지의 후레쉬(4)에서 섬광을 발하는데, 후레쉬로써 촬영을 하게 되는 장소는 예외 없이 어두운 곳이어서 이 섬광은 별다른 잡 광선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본 고안에 의한 후레쉬(5)의 포토트랜지스터(PTR)에 인가되므로 포토트랜지스터(PTR)의 클렉터와 에미터가 턴온(Turn ON)상가 되고 이에 스위치(SW2)를 통하여 유입된 DC전류가 흐르므로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의 전위는 종전의 베이스 바이어스 전위보다 상승하게 되므로 이는 트랜지스터(TR)에서 증폭되어 트랜지스터(TR)역시 턴온되며 그 클렉터 및 에미터로 상기의 DC전류가 흘러 저항(R2),(R3)을 경유하여 SCR(2)게이트와 캐소드에는 턴온에 필요한 전압 이상이 인가된다.
그러므로 SCR(2)은 턴온되며 이는 테스트버튼(Ts)을 누르거나 카메라(1)의 셔터를 누른것과 마찬가지 상태이므로 크세논 램프(Xe)는 섬광을 발하게 되는 바 이러한 동작은 극히 짧은 시간에 이루어 지는 것이므로 제1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카메라(1)의 셔터를 누르는 순간 종래의 공지된 후레쉬(4)와 본 고안의 후레쉬(5)는 동시에 섬광을 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위치(SW2)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압은 저항(R5)에서 전압 강하되고 전해 콘덴서(C1)및 제너 다이오드(ZD)에서 안정화 된후 포토트랜지스터(PTR)나 트랜지스터(TR)그리고 SCR(2)에 인가되는 것임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카메라(1) 본체에 장착한 카메라용 후레쉬(4)로 부터 약 50미터 떨어진 원거리에서도 정상 작동이 가능함이 실험에 의하여 입증되었다.
이와같이 하여 본 고안은 어두운 곳에서도 원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고가의 장비 없이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어서 대단히 편리하며, 뿐 만 아니라 넓은 장소에서 후레쉬에 의한 촬영을 하게 되는 경우에도 두 대의 후레쉬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광량 부족으로 인하여 촬영을 실패하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율이 희박하며 제작비의 추가 부담이 거의 없게 되어 염가로 제공할 수 있고 전문가나 아마츄어 사진가가 널리 간편하게 다용도로 활용 할 수 있게 되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전지(BAT)의 전압이 발진 및 정류 회로(A)에서 승압 및 정류된 후 콘덴서(C)및 네온 램프(Ne)그리고 크세논 램프 드라이브회로(B)에 인가되며 테스트 버튼(Ts)등에 의하여 크세논 램프(Xe)에서 섬광을 발하도록 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테스트 버튼(Ts)에 병렬로 SCR(2)의 애노드와 캐소드를 접속하고, 외부광에 의하여 동작하는 포토 트랜지스터(PTR)의 콜렉터나 에미터를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TR)에서 증폭된 신호 SCR(2)의 게이트에 인가되도록 접속하여서 된 원격 조작이 가능한 카메라용 후레쉬.
KR2019860002726U 1986-03-08 1986-03-08 원격 조작이 가능한 카메라용 후레쉬 KR890002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2726U KR890002701Y1 (ko) 1986-03-08 1986-03-08 원격 조작이 가능한 카메라용 후레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2726U KR890002701Y1 (ko) 1986-03-08 1986-03-08 원격 조작이 가능한 카메라용 후레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250U KR870015250U (ko) 1987-10-24
KR890002701Y1 true KR890002701Y1 (ko) 1989-04-29

Family

ID=1924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2726U KR890002701Y1 (ko) 1986-03-08 1986-03-08 원격 조작이 가능한 카메라용 후레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7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250U (ko) 198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22393A (en) Electronic strobe
KR970006278B1 (ko) 충전량에 따라 자동 발광하는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KR890002701Y1 (ko) 원격 조작이 가능한 카메라용 후레쉬
US4196458A (en) Photographic flashlight apparatus
JP2641097B2 (ja) フラッシュ装置
GB2025078A (en) Photographic exposure control
KR960005167Y1 (ko) 컴팩트카메라용 보조스트로보
JP3810189B2 (ja) ストロボ着脱識別装置
US4118715A (en) Electronic photoflash having a terminal board
JPS60100125A (ja) 閃光装置
JP2691274B2 (ja) ストロボ回路の充電状態検知装置
JP3212747B2 (ja) 閃光撮影装置
JPS6241304Y2 (ko)
JP3947325B2 (ja) ストロボ装置
KR920008985Y1 (ko) 광량 조절이 가능한 스트로보 플래쉬회로
JPS595853Y2 (ja) 自動調光電子閃光装置
JPH01178944A (ja) フラッシュ装置
JPS5953820A (ja) 増灯用閃光装置
JPH02105126A (ja) ストロボ内蔵カメラ
JP2002099032A (ja) ストロボ装置
JPS58102226A (ja) 電子閃光装置
JPS6127530A (ja) フオ−カルプレ−ンシヤツタ式カメラのストロボ装置
JPH0137071B2 (ko)
GB2103832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onic flash units
JPS623940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