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167Y1 - 컴팩트카메라용 보조스트로보 - Google Patents

컴팩트카메라용 보조스트로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167Y1
KR960005167Y1 KR2019910025871U KR910025871U KR960005167Y1 KR 960005167 Y1 KR960005167 Y1 KR 960005167Y1 KR 2019910025871 U KR2019910025871 U KR 2019910025871U KR 910025871 U KR910025871 U KR 910025871U KR 960005167 Y1 KR960005167 Y1 KR 960005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be
light
section
compac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5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373U (ko
Inventor
이성동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원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5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167Y1/ko
Publication of KR9300153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3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1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6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G03B2215/0571With second light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컴팩트카메라용 보조스트로보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를 보인 설명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서의 감지회로부의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휘도검출부 2, 7 : 발진부
3 : 축전부 4 : 셔터부
5, 9 : 발광부 6 : 스트로보
8 : 충전부 10 : 감지회로부
PTR : 포토트랜지스터 SD : 전력제어소자
CT : 작동제어단자 CH : 초우크코일
R1 : 저항
본 고안은 컴팩트카메라용 보조스트로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거리 촬영시나 단체촬영시 보조스트로보의 빛에 의한 충분한 광량으로 양호한 사진을 얻도록 하는 컴팩트카메라용 보조스트로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널리 보급되어 있는 컴팩트카메라는 소형의 스트로보가 내장되어 있고, 이러한 스트로보는 매우 협소한 카메라내부에 극히 제한된 부피로 조립되어야 하므로 축전을 위한 메인 콘덴서의 부피를 작게할 수 밖에 없고, 그 결과 소용량의 것을 사용할 수 밖에 없으므로 실내가 아닌 광 확산이 불가피한 실외에서는 대부분 노출 부족현상이 발생되어 양호한 사진을 얻기가 어려우며 특히 원거리 촬영이나 단체사진 촬영을 할 경우에는 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광량의 제약이 불가피한 컴팩트카메라와는 별도로 피사체의 주변에 설치한 스트로보에 의한 빛과 보조스트로보에 의한 빛이 함께 입사되어 원거리 촬영시나 단체촬영시 충분한 광량으로 양호한 사진을 얻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촬영방법을 도시한 본 고안의 사용상태로서, 제1도에서와 같이 피사체를 공지의스트로보가 부착된 컴팩트카메라로 촬영을 할시 컴팩트카메라의 스트로보에서 발생된 빛이 피사체에 도달함과 동시에 보조스트로보의 감지부에도 도달하므로 보조스트로보 역시 발광되어 피사체에 근접하여 설치된 보조스트로보에 의한 빛이 피사체를 충분히 조사하므로 원거리이거나 단체사진 촬영을 할 경우에도 컴팩트카메라에는 컴팩트카메라의 스트로보에 의한 빛과 보조스트로보에 의한 빛이 함께 입사되어 충분한 광량을 제공할 수 있어 노출이 적정한 양질의 촬영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도에서와 같이, 카메라의 주위환경에 의하여 밝고 어두운 정도를 CDS 등에 의하여 감지하는 휘도검출부(1)와, 휘도검출부의 출력에 의하여 주위의 휘도가 낮은 경우 작동이 개시되는 발진부(2)와, 발진출력을 축적시키기 위한 축전부(3)와, 셔터부(4)에 의해 축전부의 출력을 인가하기 위한 발광부(5)로 구성된 컴팩트카메라용 스트로보(6), 충전부(8)의 출력으로 작동되는 발광부(9)와, 발광부의 빛만을 감지하여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지회로부(10)들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회로부(10)는 제3도에서와 같이 포토트랜지스터(PTR)와 전력제어소자(SD),초우크코일(CH)과 저항(R1) 그리고 전원단자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메라의 셔터를 눌렀을 시 주위의 강도가 낮은 경우에는 휘도검출부(1)의 작동으로 발진부(2)가 작동을 개시하여 축전부(3)에 많은 전하량을 축전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축전부(3)에 충전이 완료되었을 시 사용자가 셔터를 누르면 셔터부(4)에서의 출력전압이 발광부(5)를 작동시켜 축전된 전하를 일시에 방전시켜 섬광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섬광은 감지회로부(10)에 인가되어 상기한 바와 동일한 과정으로 얻어진 축전되 전하가 발광부(9)에서 일시에 방전되면서 또 하나의 섬광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스트로보에 의한 작동은 카메라의 스트로보에 의한 섬광을 발생과 거의 동시에 시차가 무시될 정도의 빠른 동작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카메라에 입사되는 광량은 카메라의 스트로보와 보조스트로보에 의한 광량을 합한 충분한 광량이므로 적정한 노출을 얻게 되어 컴팩트카메라를 이용한 원거리의 촬영시에도 노출부족의 우려는 없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단체사진 촬영시에는 넓은 면적에 걸쳐 고른 광량의 분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보조스트로보를 2개 이상 사용함으로써 컴팩트카메라를 이용하여 화면전체에 걸쳐 고른 광량의 분포가 이루어진 단체사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보조스트로보의 작동에 있어서 외부의 불빛에 의하여 오동작을 일으키게 하여서는 안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제3도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초우크코일(CH)을 포토트랜지스터(PTR)의 베이스와 에미터에 접속하고 전원단자와 포토트랜지스터(PTR)의 콜렉터와 에미터 그리고 저항(R1) 및 전력제어소자 (SD)의 게이트와 캐소드를 직렬접속하고 SCR(SD)의 애노드와 캐소드가 발광부(9)의 작동제어단자(CT)에 접속시킨 일예로서, 평상시에는 주위의 광도가 어떠하던지 간에 포토트랜지스터(PTR)의 미터전위 보다 높아 질수 없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포토트랜지스터(PTR)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의 스트로브 섬광이 입사되면 섬광이 포토트랜지스터(PTR)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날카로운 펄스가 발생한다.
이러한 펄스는 포토트랜지스터(PTR)의 베이스에 인가된 초우크코일(CH)이 여기전력을 일으키게 하고 이는 포토트랜지스터(PTR)에 순간적인 하이레벨의 전압을 인가하여 포토트랜지스터(PTR)가 순간적으로 턴온되면서 발광부(9)를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력제어소자(SD)의 게이트에 트리거전압이 인가되어 전력제어소자(SD)가 턴온되면서 발광부(9)의 작동제어단자(CT)에 신호가 인가되어 발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스트로보에 의한 섬광의 발생시에만 보조스트로보의 발광부가 작동되어 피사체에 충분한 광량이 공급되어 적정한 노출상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컴팩트카메라와 동기되어 작동가능한 보조스트로보를 제공함으로써 컴팩트카메라가 갖는 광량의 부족을 극복할 수 있게 되어 야간이나 저휘도 상태의 조건에서 원거리 촬영이나 단체사진 촬영시 충분한 광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양호한 사진을 얻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정정) 발진부(7), 충전부(8), 스트로보의 발광부(9)를 구비하고 있는 보조스트로보를 갖는 컴팩트카메라에 있어서, 외부공급전원을 공급받는 콜렉터, 베이스와 에미터 양단간에 접속되는 초우크코일(CH)을 갖는 포토트랜지스터(PTR), 상기 외부공급전원과 에미터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저항(R1), 상기 저항(R1) 및 외부공급전원의 공통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력제어소자(SD), 일정량의 전하를 갖고 있는 상기 충전부(8)의 전하를 발생시켜 광량을 스트로보발광부(9)를 통해 발휘하도록 하는 감지회로부(10)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카메라용 보조스트로보.
KR2019910025871U 1991-12-31 1991-12-31 컴팩트카메라용 보조스트로보 KR960005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871U KR960005167Y1 (ko) 1991-12-31 1991-12-31 컴팩트카메라용 보조스트로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871U KR960005167Y1 (ko) 1991-12-31 1991-12-31 컴팩트카메라용 보조스트로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373U KR930015373U (ko) 1993-07-28
KR960005167Y1 true KR960005167Y1 (ko) 1996-06-22

Family

ID=1932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5871U KR960005167Y1 (ko) 1991-12-31 1991-12-31 컴팩트카메라용 보조스트로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1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373U (ko) 199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8986B2 (en) Slave flash controlling device and slave flash device
KR970006278B1 (ko) 충전량에 따라 자동 발광하는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JPS633294B2 (ko)
JP2001337376A (ja) ストロボ装置
US2002017175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quantity of light from flash lamp externally attached to digital camera
KR960005167Y1 (ko) 컴팩트카메라용 보조스트로보
JP2002328416A (ja) ストロボ装置
GB2105490A (en) Electronic flash
JP3742667B2 (ja) ストロボ発光装置
NL8006077A (nl) Elektrische flitsinrichting.
KR890002701Y1 (ko) 원격 조작이 가능한 카메라용 후레쉬
US200400706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strobe charging
KR930002203Y1 (ko) 플래쉬 회로
JP4250351B2 (ja) ストロボ装置
JP3360755B2 (ja) ストロボ装置及びスチルビデオカメラ
JPS60100125A (ja) 閃光装置
JPH1184511A (ja) 光学データ露光回路
JP2641097B2 (ja) フラッシュ装置
JPH11237665A (ja) 電子画像撮影装置
JPS59119337A (ja) 電子カメラシステム
JP2003131284A (ja) ストロボを備えたカメラ
JP2003315879A (ja) ストロボ内蔵カメラ
JPH11109457A (ja) 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用閃光装置
JPH06208897A (ja) ストロボ調光回路
JPS58102226A (ja) 電子閃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