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565B1 - 고접착성 폴리올레핀 성형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접착성 폴리올레핀 성형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565B1
KR890002565B1 KR1019830004764A KR830004764A KR890002565B1 KR 890002565 B1 KR890002565 B1 KR 890002565B1 KR 1019830004764 A KR1019830004764 A KR 1019830004764A KR 830004764 A KR830004764 A KR 830004764A KR 890002565 B1 KR890002565 B1 KR 890002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ona discharge
film
treatment
discharge treatment
atmo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499A (ko
Inventor
쓰도무 이사까
히까루 나가노
Original Assignee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쟈다니 슈우지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78126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66430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912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36333A/ja
Application filed by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쟈다니 슈우지로오 filed Critical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23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1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electric discharge treatment
    • B29C59/1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electric discharge treatment in an environment other than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접착성 폴리올레핀 성형물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상황을 표시한 개념도.
제2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전측 전극을 예시하는 겨냥도.
제3도는 수반(隨伴) 공기층의 파괴상황을 표시한 설명도.
제4도는 전극커버의 1예를 표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금속드럼 2 : 전극커버
3 : 방전측 전극 5 : 가스분출구
6 : 필름
본 발명은 고접착성 폴리올레핀 성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코로나 방전처리효과를 실생산 레벨로 충분히 높이고 각종 소재에 대한 접착성이 개선된 폴리올레핀 성형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제 필터나 성형물의 코로나 방전처리는 오래전부터 행해지고 있고 특히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등의 폴리올레핀 필름의 표면 개질에는 없어서는 안되는 기술로서, 그 적용범위는 점점 확대되어 가는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처해가기 위해서는 코로나 방전에 의한 처리 효율자체를 향상시켜 그 가능성을 탐구할 필요가 있으며, 지금까지에도 광범위에 걸친 개량연구가 전개되고 있으나 아직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는 상황에 있다.
예컨대 플라스틱 성형품의 코로나 방전처리법으로서 일본국 특공소 48-17747호에 볼수있듯이 방전부에 유기용제를 공급하므로써 방전면의 화학변화를 촉진시키는 기술이 있으나 잔류 용제가 문제가 되는 성형물에 대한 적용은 곤란하다.
또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Vol. 15, p. 1365-1375(1971)에는 불활성가스 분위기하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는 기술이 기재되고 처리분위기에 의한 활성화 또는 열화 등의 영향이 시사되기에 이르고 대기분위기를 예컨대 저산소 분위기로 치환하여 처리를 하는 기술도 제안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런종류의 종래법, 예컨대 특공소 56-18881호의 방법에서는 대량의 불활성가스를 필요로 하므로 코스트 상승으로 된다는 문제가 있고 또 특개소 57-23634호의 방법(주행필름에 대한 불활성 분위기하의 코로나 방전기술)에서는 필름에 수반하여 휩쓸려 들어오는 대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특수한 시일드 구조가 필요하여 장치주위가 복잡해지고 그리고도 아직 완전 내지 거의 완전한 불활성 분위기가 보장될리도 없어 저처리레벨을 감수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와같이 종래의 개선처리법에서 충분한 성과를 올릴수가 없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가 있다.
즉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한 포인트는 방전처리부에 있어서의 가스분위기에 있다고 생각되지만 종래의 개선법에서는 단순히 처리계내나 체임버내의 가스분위기만을 문제로 하고 있으며 피처리물 표층부의 수반류(隨伴流)(외기)에 의한 차폐 장해를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뱃치식에 의해 정지상태로 처리를 하면 상기와 같은 장해는 경감되겠지만 그래서는 공업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하여 시장가격이 상승하므로, 한정된 용도로 밖에 실용화할 수가 없다. 더우기 상기와 같은 연속처리로 높은 처리효과를 얻으려고 하면 자연히 처리속도는 저하하지 않을수 없게 되지만 그래서는 피처리물 표면이 손상되어서 외관불량, 접착성불량, 블록킹 증대등의 문제가 파생해 나온다.
또한 종전의 대기 분위기하에서의 코로나 방전처리에서는 피처리물의 표면이 산화를 받아서 표면에 산화 열화물이 생성하므로 처리정도를 빨리 해도 접착성을 일정 레벨이상으로 향상시킬수는 없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사정에 착안하여 폴리올레핀 성형품에 대하여 공업적 생산레벨로 고도의 접착성을 부여할수 있는 코로나 방전처리법의 개발을 기하여 연구를 진행시켜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연구의 결과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구성은 적어도 1쌍의 전극을 대향시켜서 이루어진 코로나 방전처리 장치에 폴리올레핀 성형품을 연속적으로 통하여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함에 있어 처리면에 대하여 공기조성 이외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단독 또는 혼합기체를 내뿜어서 피처리표면의 100Å 이내의 박층에 있어서의
Figure kpo00001
이하
Figure kpo00002
, 비라고 표시한다 및
Figure kpo00003
의 코로나 방전처리전·후에 있어서의 변화량의
Figure kpo00004
를 1.8 내지-3.5, 마찬가지로 피처리 표면 100Å 이내의 박층에 있어서의 코로나 방전처리후의
Figure kpo00005
비를 3이상으로 하는 점에 요지가 존재한다.
본 발명방법이 적용되는 폴리올레핀 성형품으로서는 필름이나 시이트 및 섬유, 파이프, 테이프, 직물, 부직포등의 장척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들 성형물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으로서는 공지의 여러가지의 것을 들수 있으나 필름용 또는 시이트용의 대표적인 폴리올레핀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1, 폴리-4-메틸 펜텐-1, 폴리헥센등의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구성단위를 70중량%정도 이상 함유하는 각종 공중합체, 프로필렌 구성단위를 40중량%정도이상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블렌드물등을 들수있다. 또 이들의 폴리올레핀에 의해 구성되는 성형물속에는 필요에 따라서 안정제, 활제, 내블록킹제, 방습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투명화제 ,산화방지제, 내광제, 대전(帶電) 방지제, 염료, 안료등의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고 코로나 방전의 실시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은 단독 및 복합의 여하를 불문하고 모두 본 발명의 대상으로서 포함된다. 필름에는 무연신필름, 1축(軸) 연신필름, 2축연신필름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리올레핀 성형물을 처리대상으로 하고 적어도 1쌍의 전극을 대향시켜서 이루어진 코로나 방전처리장치에 상기 성형물을 연속적으로 통하여 표면처리를 행하나 이 처리에 있어서 처리면에 공기조성이외의 조성으로 된 단독 또는 혼합기체〔구체적으로는 공기로부터 공기조성의 일부를 적당량 제거시킨 것이나 공기에 공기조성의 일부를 적당량 추가시킨것, 또한 N2, H2, Ar, CO2, O2, O3, Xe, Kr등 불활성가스나 이온성가스의 단독 또는 혼합가스등을 포함하지만 (단 공기는 제외)다음부터는 편의상 불활성가스라고 약기한다〕를 내뿜는다.
바람직하기는 공기중의 질소농도보다 질소 농도를 높인 상태에서 내뿜는다.
내뿜는 속도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기는 상기 폴리올레핀 성형물의 송입속도의 1%이상으로 한다.
그리고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는바와 같이 피처리 표면의 100Å 이내의 박층에 있어서의 코로나 방전처리전·후의
Figure kpo00006
비 및
Figure kpo00007
비를 엄밀하게 규정하므로써 각종 소재(예컨대 금속 : 각종 잉크, 특히 셀룰로오스계 잉크, 수성잉크등 : 수지, 예컨대 염화비닐리덴계 단독 또는 공중합체나 관능기 함유 수지등)의 접착성이 극히 우수한 폴리올레핀 성형물을 얻은 수가 있다.
다음에 실시예 도면에 준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명백히 해가겠으나 도면에 표시한 방전측 전극의 구조나 배열, 또한 커버의 형상등은 대표예에 지나지 않으며 또 도면에서는 플라스틱 필름에 대한 적용예를 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이들의 설명의 취지에 반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서 설계를 변경하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개념을 표시한 요부단면도, 제2도는 방전측 전극의 일부를 표시한 사시도로서 도면중의 1은 금속드럼, 2는 전극커버, 3은 방전측 전극, 4는 가스공급관, 5는 가스 분출구, 6은 주행필름을 표시한다. 즉 필름(6)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는 금속드럼(1)에 대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부터 도입되고, 다시 화살표 C방향으로 인출되어가나 도시하지 않은 고전압 발생기에 접속되어 있는 방전측전극(3)과 폴리에스테르, 에폭시수지, 세라믹, 클로르술폰화 폴리에틸렌, EP 고무등으로 커버된 금속드럼(1)과의 사이에 수백 KC/S의 고주파로 수천 내지 수만볼트의 고전압을 걸므로서 발생하느 고압코로나의 영향을 받고 예컨대 자연의 대기중에 있으면 오존이나 산화질소가 생성하여 필름(6)의 표면에 카르보닐기나 카르복실기를 생기게 함으로써 표면이 극성화된다.
한편 종래예 같으면 대기중의 산소에 의해서 필름표면에 접착성을 저해하는 산화열화물이 생성하여 표면을 차폐한다.
그러나 본도예라면 코로나 방전의 분위기전체를 전극커버(2)에 의해서 대기로부터 차단하는 동시에 방전측 전극(3)에 가스 분출구(5)를 설치하여 필름(6)의 표면에 향해서 불활성가스를 내뿜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장해가 해소되고 필름(6)표층부에 대한 코로나 방전효과를 최대한으로 높일수가 있다. 이상황을 더욱 상술하면 화살표 B방향에 따라서 상당한 고속도로 진입해오는 필름(6)의 표면에는 약간이지만 수반공기층이 형성되어 있어서 코로나 방전부의 분위기가 불활성가스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필름(6)의 표면자체는 여전히 대기분위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는 제3도에 표시한바와 같이 불활성가스를 필름 표면에 강하게 내뿜어서 수반공기층(7)을 분기류(8)에 의해 파괴 분산시키므로써 필름표면을 불활성가스에 의해서 거의 완전히 치환한다. 수반공기층(7)을 파괴분산 시키는데 필요한 분기류(8)의 유속은 피처리물의 형상이나 치수 및 처리장치에 대한 반입속도등에 의해서 변하므로 일률적으로 정할수는 없으나 실험의 결과 수반공기층(7)의 진입속도(환원하면 피처리물의 반입속도)를 기준으로하여 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았다.
즉 불활성가스의 분기류속을 피처리물의 반입속도의 1%이상, 바람직하기는 10%이상, 더욱 바람직하기는 40%이상으로 해주면 수반공기층(7)을 실질상의 불합리가 없을 정도까지 높일수가 있다.
또한 피처리물의 반입속도는 일반적으로 1 내지 500m/분 정도이다.
이와같은 조건을 채용함으로써 수반공기층을 파괴 분산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동시에 코로나 방전부의 근방을 불활성가스 분위기로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1도에 표시한 전극커버(2)는 분위기 보지용으로서의 기능보다도 오히려 전극(3)을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는 기능과 수반류를 조금이라도 억제하는 기능의 쪽이 강하게 기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때로 전극커버(3)를 떼내는 수도 있으나 불활성가스의 소비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분위기 보지용으로서의 기능을 다시한번 고쳐볼것이 소망되며 예컨대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커버(2)의 하단(필름측)을 조르는 동시에 도관(10)으로부터 불활성가스를 커버(2)내에 도입하면 이 가스는 사면(9)의 내면에 따라서 수속(收束)되도록 화살표방향으로 흐르고 커버(2)의 입구에 있어서 가스 커어튼 효과가 발휘된다.
즉 수반공기층의 침입이 입구측에서 차단되고 전극커버(2)의 가치가 한층 향상된다.
단 필름(6)의 출구측(제4도의 우측)에 대하여는 커버(2)내의 가스가 주행필름(6)에 수반하여 배출되어 가므로 시일성 내지는 대기침입 차단성에 대하여는 입구측만큼의 배려를 할 필요성은 없으나 상술한바와 같이 불활성가스 소비량을 적게 한다는 의미에 있어서는 입구측과 마찬가지의 배려를 한다는 것은 뜻이 있는 것이다.
더우기 커버(2)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있어서 상술의 시일기능을 적어도 발휘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주행속도에 대하여 적어도 0.2%이상, 바람직하게는 10%이상의 속도로 필름면에 방출시킬 것이 소망된다. 또한 불활성가스의 분출속도에 대하여는 가스분출구(5) 및 커버(2)의 출입구의 어느것에 대하여도 하한측만을 설명하였으나 상한에 대하여는 실질상 제한을 둘 필요가 없고 경제성과 최종제품의 요구품질과를 어울려서 적당히 결정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처리조건을 설정하므로써 코로나 방전의 처리 효과가 높여지고 접착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되나 이와같은 효과를 상시 안정적으로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피처리물의 처리전·후에 있어서의 표면 특성제원을 정량적으로 파악해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더우기 연구를 진행시켰다.
그 결과 (1) 피처리물 표면의 100Å 이내의 박층에 있어서의
Figure kpo00008
비 및
Figure kpo00009
비의 코로나 방전처리전·후에 있어서의 변화량의 비
Figure kpo00010
및 (2) 마찬가지로 필름표면 100Å 이내의 박층에 있어서의 코로나 방전처리후의
Figure kpo00011
비를 엄밀히 관리하여 둠으로써, 고도의 접착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상기(1)에 대하여는
Figure kpo00012
가 1.8내지 -3.5가 되도록, 또 상기(2)에 대하여는 처리후의
Figure kpo00013
가 3이상이 되도록, 코로나방전의 처리조건 및 처리분위기를 엄밀히 콘트롤하므로써, 예컨대 금속, 각종 인쇄잉크(특히 셀룰로우스계 잉크나 수성잉크등), 염화비닐리덴계 단독 또는 공중합수지나 관능기함유 수지등의 각종 합성수지등과의 접착성을 비약적으로 높일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표면특성의 측정법은 여러가지 있으나 가장 적한합 것을 ESCA 법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Figure kpo00014
이라는 요건을 충족시키는 폴리올레핀 성형물은 종래의 처리조건에서도 때로는 얻을수가 있고, 또 공지의 질소가스 분위기하에서의 코로나 방전처리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하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연속처리를 대상으로 하는 종래법에서 상기와 같은 고레벨의
Figure kpo00015
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적인 설비를 요하므로, 공업적 규모에서의 실용화는 곤란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채용하면, 비교적 간단한 설비로
Figure kpo00016
비를 용이하게 3이상까지 높일수가 있다.
한편 플라스틱재의 각종 소재와의 접착성이 ESCA법에서 구해지는 N의 생성비율(C에 대한)에 의해 단순히 결정된다는 보고도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보고는 접착성에 영향을 끼치는 일측면만을 포착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덧붙여서 말하면 소재에 대하여 N성분을 블렌드하면
Figure kpo00017
비는 증대하나, N함유성분인 대전방지제나 활제를 혼합하는 것만으로는 접착성이 향상되지 않으며 오히려 저하한다는 사실을 생각한다면
Figure kpo00018
비의 증대가 접착성과 직결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그리하여 접착성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용인에 대하여도 검토를 행한바 상기
Figure kpo00019
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 코로나 방전처리효과 즉, 접착성 향상효과를 거의 정확히 나타내고 이것이 1.8 내지 -3.5로 되는 처리를 받은 것은 목적에 들어맞는 고레벨의 접착성을 발휘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덧붙여서 말하면 처리후에 있어서의 표층부 100Å 이내의
Figure kpo00020
이 가령 3이상을 나타낸 것이라도
Figure kpo00021
가 1.8을 넘으면 코로나 방전처리 효과가 불충분하며 고레벨의 접착성을 얻을수가 없다.
이와같은 의미에서 본발명에서는 도시한것과 같은 처리법을 채용하고 또한 상기
Figure kpo00022
비가 3이상,
Figure kpo00023
가 1.8이하로 되게끔 처리조건을 콘트롤 하는것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은 대략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코로나 방전처리조건을 규정하는 동시에, 처리전·후에 있어서의 표층부의
Figure kpo00024
비 및
Figure kpo00025
비의 변화량으로부터 처리효과를 상시 파악하도록 하였으므로 각종소재와의 접착성이 뛰어난 폴리올레핀 성형물을 확실히 얻을수가 있게 되었다.
다음에 실시예를 표시함.
또한 실험예에서 채용한 표면특성의 평가법은 다음과 같다.
(1) 헤이즈 : JIS-K-6714에 의해 측정
(2) 인쇄잉크 접착력
시판의 셀로판용 인쇄잉크를 사용, 그라비아 인쇄기로 적색 및 백색의 인쇄를 하였다.
인쇄후 통상의 방법으로 동시 건조하고, 시판 셀로판 테이프(니찌반사제)에 의한 테이프 박리시험, 비비는 시험 및 긁는 시험을 행하였다.
(가 ) 테이프 박리시험 평가기준
5 : 전혀 박리 안됨
4 : 잉크 박리면적이 약 5%미만
3 : 잉크 박리면적 5 내지 10%
2 : 잉크 박리면적 10 내지 50%
1 : 잉크 박리면적 50%이상
(나 ) 비빔시험(동일개소를 5회 비비고, 잉크의 탈락상황을 육안 판정함)
5 : 전혀 탈락없음.
4 : 선상으로 약간 탈락하나 실용상 문제 없음.
3 : 주름이 든 선상으로 수개소 탈락.
2 : 주름이 든 선상으로 다수개소 탈락
1 : 선상으로 다수, 폭방향에도 탈락이 있음.
(다 ) 긁는 시험
경질지상(硬質紙上)에 인쇄물을 깔고, 인쇄부를 긁어 잉크의 탈락상태를 조사하였다.
(3 ) 라미네이트 강도
셀로판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한후 폴리에틸렌 이민을 코우팅하여, 건조후 290℃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두께 80㎛로 되게끔 용융압출법으로 라미네이트 한다.
다음에 24시간 에이징한후, 필름과 폴리에틸렌층의 사이를 박리하고, 그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박리조건은 180도 박리, 속도 200mm/분으로 하였다.
(4 ) 그밖의 접착성
알루미늄의 증착성 및 염화비닐리덴 수지와의 접착성을 (2)항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5) ESCA법에 의한(N/C)비 및 (O/C)비
ESCA 스펙트럼 미이터 ES-200 형(국제전기주식회사제)를 사용하여, 필름표면의 탄소의 1s궤도 스펙트럼으로부터 구한 적분강도와, 질소의 1s궤도 스펙트럼으로부터 유기성 질소의 결합 에네르기에 대응하는 피이크로부터 구한 적분강도와의 비를 산출하고 그 적분비에 의거하여 탄소수 100개당의 질소수를 구하고 이 값을 (N/C)비라고 정의하여 나타냈다.
또 필름표면의 탄소와 산소의 비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탄소수 100개당의 산소수를(O/C)비를 하여 나타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N/C)비 및 (O/C)비는 모두 이 정의에 의한 것이다.
[실험예 1]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MI=4.0)을 사용, 상법에 따라 두께 20㎛의 2축 연신필름을 얻고 이것을 피처리 필름으로 하였다. 이 필름을 사용하여 제1표에 표시한 산소함유율의 질소가스를 내뿜으면서(吹
Figure kpo00026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였다. 또한 처리전력은 4000쥬울/㎡로 하였고, 또 비교를 위해, 대기분위기 및 처리분위기를 단지 질소가스로 치환한것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였다.
또한 처리속도는 어느것이나 20m/분으로 하였다.
[제1표]
Figure kpo00027
각 필름의 표층부 100Å 이내에 있어서의
Figure kpo00028
비 및
Figure kpo00029
비의 처리전 ; 후의 값, 및 얻어진 각 필름의 접착성 시험결과를 제2표에 표시하였다.
또 상기 필름을 인쇄하여 폴리에틸렌(PE)을 라미네이트한후 130℃의 열판에서 2초간 가열 가압한것에 대하여 라미네이트면의 접착강도를 조사한바 제3표의 결과가 얻어졌다.
[제2표]
Figure kpo00030
※PVDC :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제3표]
Figure kpo00031
제1표 내지 3표에서도 분명하듯이 코로나 방전처리를 대기 분위기에서 행한 경우(NO.1)는 물론 방전계를 단지 질소가스 치환한것 만으로도(NO. 2, 3, 4)
Figure kpo00032
를 저레벨로 억제할수가 없고 접착성은 불충분하다.
특시 NO.3및 4에 대하여는 본발명에 있어서의 하나의 요건인 처리후의
Figure kpo00033
비는 만족하고 있느나
Figure kpo00034
의 값이 지나치게 크기때문에 충분한 접착성을 얻을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산소농도를 종래예(NO.2, 3)에 근사시킨 경우에도 이것을 방전처리면에 내뿜으면(실험예 NO.5, 6) 처리후의
Figure kpo00035
비가 효과적으로 상승하는 동시에
Figure kpo00036
도 1, 8이하의 낮은 값으로 되고 사용한 모든소재에 대하여 뛰어난 접착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들의 결과에서도 분명하듯이 코로나 방전처리에 있어서는 방전 분위기전체의 O2농도로 파악하는 것 만으로는 불충분하며 피처리면에 불활성가스를 적극적으로 내뿜어서 수반공기층을 파괴 확산시켜서 방전명의 O2농도를 저감하는 것이 극히 중요한 요건이 된다. 또한 NO.4의 비교에 필름에서도 실용 가능하다고 생각되나 전체적으로 접착성 레벨이 낮고 또한 특히 가열처리에 의해 셀로판과의 접착성이 극단적으로 저하하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실험예 2]
피처리 필름으로서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도오요오 보오세끼사제 파이렌 필름-OT, P-2061, 20㎛)을 사용하여 제4표에 표시한 조건으로 코로나 방전을 행하였다. 또한 실험 No.7내지 12에 대하여는 질소가스량을 필름 폭 1m에 대하여 8㎥/hr.m 일정하게 하고 실시예의 경우의 가스취부 속도는 1.8/초로 하였다.
또 실험 No.13 내지 16은 가스공급량을 변경하여 필름 배출측에 있어서의 필름표면의 산소농도를 조정한 예이나 단지 처리 장치내에 가스를 불어넣는 방법(비교예 : No.13 및 14)의 경우는 필름표면에 가스를 내뿜는 방법(실시예 : No.14 및 15)의 경우에 비하여 3 내지 8배량의 가스를 공급하지 않으면 동등의 산소농도를 얻지 못하다.
상기에서 얻어진 각필름의 접착성을 제5표에 일괄하여 표시함.
[제 4 표]
Figure kpo00037
[제5표]
Figure kpo00038
제4, 5표에서도 분명하듯이 처리속도, 처리전력 및 분위기중의 O2농도가 거의 동등하게 되도록 설정한 경우에도 단지 장치내에 불활성가스를 불어 넣는것만으로는(비교예 : No. 7 내지 9 및 13, 14)필름표면에 수반공기층이 형성되어 처리효율이 저하하기 때문에, 특히
Figure kpo00039
를 저레벨로 억제할수가 없고, 접착성을 충분히 높일수 없으나, 필름표면에 불활성가스를 불어넣으면(실시예 : 10내지 12 및 15, 16)수반공기층이 이분기류에 의해 파괴 제거되어 처리효율이 높아 지기때문에
Figure kpo00040
을 극히 저레벨로 할수가 있고, 각종 소재에 대한 접착성은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실험예 3]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에, 폴리옥시에틸렌 (n=20)스테아린산에스테르(수지전량 기준으로 0.4중량%) 및 스테아린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마찬가지의 0.2중량%)를 혼합하여 제막용 원료조성물을 얻고, 상법에 의해 25㎛두께의 2축 연신필름을 제조하였다. 이것을 피처리 필름으로 하고 산소함유율 0.0008용량%의 질소가스를 5m/초의 취부속도로 분사하면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행하였다.
또 사용전력은 4800쥬울/㎡로 하고 처리속도는 20m/분으로서 처리분위기의 산소농도는 0.008용량%로 되어 있었다.
또 비교를 위해 처리분위기를 단지 질소가스로 치환한 것에 대하여 마찬가지의 코로나 방전처리를 행하고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 발명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실험결과는 제1표에 명기하였다. 그리고 동표의
Figure kpo00041
비 및
Figure kpo00042
비는 필름의 표층부 100Å이내에 있어서의 값이다.
[실험예 4]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에, 올레인산 소트비탄 에스테르(수지전량 기준으로 0.4중량%)를 혼합하고,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제막하였다.
질소가스의 취부속도를 10m/초로 한 외에는 실험예1과 같은 조건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행하고 얻어진 필름을 마찬가지로 비교한바 제6표에 명기한 결과를 얻었다.
[제6표]
Figure kpo00043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제1표로 이해할수 있듯이 본발명예의 접착성은 종래에 없이 강해져 있고 유기첨가제를 사용하여도 극히 우수하였다.

Claims (1)

  1. 적어도 1쌍의 전극을 대향시켜서 이루어진 코로나 방전처리장치에 폴리올레핀 성형물을 연속적으로 통하여 코로나 방전처리를 행함에 있어, 처리면에 대하여 공기조성이외의 조성으로 된 단독 또는 혼합기체를 내뿜어서 (吹付)피처리물 표면의 100Å이내의 박층에 있어서의
    Figure kpo00044
    Figure kpo00045
    의 코로나 방전처리 전·후의 있어서의 변화량의 비
    Figure kpo00046
    를 1.8내지-3.5, 마찬가지로 피처리물표면 100Å 이내의 박층에 있어서의 코로나 방전처리후의
    Figure kpo00047
    를 3이상으로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접착성 폴리올레핀 성형물의 제조방법.〔상기에서(산소량/탄소량)비는 폴리올레핀 성형물 표면의 100Å 이내의 박층의 탄소수 100개당의 산소수이고, (질소량/탄소량)비는 폴리올레핀 성형물 표면의 100Å 이내의 박층의 탄소수 100개당의 질소수임.〕
KR1019830004764A 1982-10-08 1983-10-07 고접착성 폴리올레핀 성형물의 제조방법 KR890002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812682A JPS5966430A (ja) 1982-10-08 1982-10-08 高接着性ポリオレフイン成形物の製造方法
JP178126 1982-10-08
JP1191283A JPS59136333A (ja) 1983-01-26 1983-01-26 高接着性ポリオレフイン成形物の製造方法
JP11912 1983-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499A KR840006499A (ko) 1984-11-30
KR890002565B1 true KR890002565B1 (ko) 1989-07-18

Family

ID=26347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764A KR890002565B1 (ko) 1982-10-08 1983-10-07 고접착성 폴리올레핀 성형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563316A (ko)
KR (1) KR890002565B1 (ko)
FR (1) FR2534262B1 (ko)
GB (1) GB213103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995B1 (ko) * 2010-01-29 2014-09-23 니혼 파커라이징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처리 피막, 금속 표면 처리제 및 금속 표면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0388A (en) * 1984-10-19 1990-02-13 Biflex Development Partners, Ltd. Method for laminating polymeric sheet material
FR2578176B1 (fr) * 1985-03-04 1989-01-13 Electricite De France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un substrat plat par decharge couronne.
KR880000215A (ko) * 1986-06-10 1988-03-24 나까므라 히사오 시이트(sheet)상 물체의 플라즈마 처리장치
US4815714A (en) * 1986-08-04 1989-03-28 El Paso Products Company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microporous film
US4778634A (en) * 1986-08-04 1988-10-18 El Paso Products Company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orous film
DE3702982A1 (de) * 1987-02-02 1988-08-11 Horn Geb Paul Stephanie Bei der durchfuehrung von lackierarbeiten auf ein kfz oder einen teil davon aufbringbares bahn- oder haubenfoermiges abdeckmittel
JP2521696B2 (ja) * 1987-03-02 1996-08-07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接着性が改良されたポリオレフィン成形品の製造方法
US5527629A (en) * 1990-12-17 1996-06-18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Process of depositing a layer of silicon oxide bonded to a substrate of polymeric material using high pressure and electrical discharge
FR2670506B1 (fr) * 1990-12-17 1993-02-19 Air Liquide Procede de depot d'une couche d'oxyde de silicium liee a un substrat en polyolefine.
US5555982A (en) * 1994-12-29 1996-09-17 Stone Container Corporation Convertible shipping container-display apparatus
US5972176A (en) * 1997-10-03 1999-10-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rona treatment of polymers
EP1125972A1 (fr) * 2000-02-11 2001-08-22 L'air Liquide Société Anonyme pour l'é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édés Georges Claude Procédé de traitement de surface de subtrats polymères
JP2002118168A (ja) * 2000-10-10 2002-04-19 Murata Mfg Co Ltd 薄膜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7166342B2 (en) * 2001-12-27 2007-01-23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20040166337A1 (en) * 2003-02-20 2004-08-26 Toray Plastics (America), Inc.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high barrier metallized film for packaging
US20050249904A1 (en) * 2004-01-23 2005-11-10 Rajnish Batlaw Articles and process of making polypropylene articles having ultraviolet light protection by 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of polypropylene
US7442442B2 (en) * 2004-07-01 2008-10-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systems, and polymer substances relating to consideration of H2O levels present within an atmospheric-pressure nitrogen dielectric-barrier discharge
FR2911610B1 (fr) * 2007-01-24 2012-09-21 Air Liquide Procede de traitement de surface de substrats polymeres, substrats ainsi obtenus et leur utilisation pour la realisation de materiaux multicouches.
JP2009012317A (ja) * 2007-07-05 2009-01-22 Shin Etsu Chem Co Ltd 剥離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21962B1 (ja) * 2017-08-09 2018-11-14 春日電機株式会社 表面改質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87403A (en) * 1953-12-22 1957-12-11 Celanese Corp Treatment of films of polyethylene resins
US3077428A (en) * 1956-06-29 1963-02-12 Union Carbide Corp Heat sealable polyethylene lamin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NL265915A (ko) * 1961-02-28
FR1296790A (fr) * 1961-02-28 1962-06-22 Du Pont Traitement de surface d'articles en matières polymères
NL281420A (ko) * 1961-07-27
US3255099A (en) * 1963-10-21 1966-06-07 Du Pont Surface treatment of polymeric shaped structures
DE1238651B (de) * 1964-06-11 1967-04-13 Kalle Ag Verfahren zum Versiegeln von biaxial verstreckten Folien aus Polyolefinen
GB1074663A (en) * 1964-08-31 1967-07-05 Nat Distillers Chem Corp Improvements in polyolefin substrate coatings
NL6908037A (ko) * 1968-06-06 1969-12-09
US3686374A (en) * 1970-03-23 1972-08-22 Du Pont Gas assisted electrostatic pinning
US3660549A (en) * 1970-03-23 1972-05-02 Du Pont Electrostatic pinning of dielectric film
FR2116910A5 (fr) * 1970-12-11 1972-07-21 Walter Jacques Procede pour le traitement en continu de la surface d'une couche de materiau,notamment plastique,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S5428872B2 (ko) * 1972-09-27 1979-09-19
JPS5371182A (en) * 1976-12-06 1978-06-24 Toray Ind Inc Gas barrier polypropylene film
JPS5550034A (en) * 1978-10-05 1980-04-11 Toray Ind Inc Surface-treatment of plastic
JPS6034970B2 (ja) * 1978-12-11 1985-08-12 昭和電工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重合体の成形物の表面を処理する方法
JPS6017342B2 (ja) * 1978-12-11 1985-05-02 昭和電工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重合体の成形物の表面処理方法
US4308223A (en) * 1980-03-24 1981-12-29 Albany International Corp. Method for producing electret fibers for enhancement of submicron aerosol filtration
JPS5723634A (en) * 1980-07-17 1982-02-06 Tokuyama Soda Co Ltd Discharge treating apparatus of plastic fil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995B1 (ko) * 2010-01-29 2014-09-23 니혼 파커라이징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처리 피막, 금속 표면 처리제 및 금속 표면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34262A1 (fr) 1984-04-13
GB2131030A (en) 1984-06-13
US4563316A (en) 1986-01-07
GB2131030B (en) 1986-07-09
GB8326915D0 (en) 1983-11-09
FR2534262B1 (fr) 1987-01-02
KR840006499A (ko) 1984-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565B1 (ko) 고접착성 폴리올레핀 성형물의 제조방법
US2935418A (en) Method for treating preformed polyethylene with an electrical glow discharge
KR0175682B1 (ko) 중합체 필름
EP0679680A2 (en) Product and process for polymeric article with improved surface properties
EP0127149B1 (en) A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 thermoplastic resin
JP3260140B2 (ja) 重合体状材料からなる支持体に接着させる酸化珪素の薄層を沈着させる方法
KR20180136394A (ko) 적어도 두 개의 접착 테이프 측면의 동시 플라즈마 에지 캡슐화 방법
CN103890060A (zh) 可印刷膜
JPS6142254B2 (ko)
JPH0224855B2 (ko)
JPH0342066A (ja) 塗装マスキング用フィルム
JPH0251451B2 (ko)
JPH0225935B2 (ko)
JPH059459B2 (ko)
US3377262A (en) Process of improving the printability of a polyester drafting film using an electricdischarge and heat
EP0870600B1 (en) Laminates
JPS628448B2 (ko)
US3245896A (en) Method of treating polypropylene film
JPS59191737A (ja) 高接着性ポリエステル成形物の製造方法
JPH062830B2 (ja) 高接着性複合ポリエステル成形物の製造方法
JPH0251450B2 (ko)
Schwab et al. Effect of Resin Additives on Corona Treatment of Polyethylene
JPH11293007A (ja) 表面改質した延伸ポリマ―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S6034970B2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の成形物の表面を処理する方法
JPH046453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8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