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133Y1 - 튜블라리벳트 냉간압축성형기의 v블록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튜블라리벳트 냉간압축성형기의 v블록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133Y1
KR890000133Y1 KR2019840004301U KR840004301U KR890000133Y1 KR 890000133 Y1 KR890000133 Y1 KR 890000133Y1 KR 2019840004301 U KR2019840004301 U KR 2019840004301U KR 840004301 U KR840004301 U KR 840004301U KR 890000133 Y1 KR890000133 Y1 KR 890000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tubular
cam
lever
mo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4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9880U (ko
Inventor
김양기
Original Assignee
이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근 filed Critical 이상근
Priority to KR2019840004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133Y1/ko
Publication of KR8500098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98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5/00Making pins or nails with attached caps or with coated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튜블라리벳트 냉간압축성형기의 V블록 이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이동장치가 착설된 냉간압축성형기의 사시도.
제2(a)도는 본 고안 이동장치의 작동설명 측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우측면도.
제3도는 냉간압축으로 튜블라리벳트를 성형하는 공지의 성형물과 금형의 성형작동설명도로, 제3(a)도는 절단철선에 대한 냉간압축성형의 출발과정, 제3(b)도는냉간압축성형과정, 제3(c)도는 핀형의 압축성형물을 밀어내자 곧 V블록의 V형함입부에로 위치시키는 과정, 제3(d)도는 V블록으로부터 튜블라리벳트가 자중낙하되는 과정.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숫자부호 : 1은 캠, 2는 축체부 3은 캠접촉롤러, 3'는 일측단부, 4는 횡간형지렛대, 5는 종간유삽체, 6은 종간체, 7은 롤러, 7'는 롤러축, 8은 코일스프링, 8'는 타측단부, 9는 롤러, 10은 코일 스프링, 11은 V블록이동장치.
문자부호(공지부) : B는 V블록, C는 갑체부, K는 V블록구동간, F는 상측기대부, H는 함입부, M은 절단철선, M-1은 머리부성형용금형, M-2는 튜우브부성형금형, P는 핀형, P-1은 플라이휠, S는 V블록구동간스프링, T는 튜블라리벳트, V는 V형 함입부, L은 구동간받침대.
본 고안은 원료철선을 합당한 길이로 절단 및 이송하면서 이 절단철선을 튜블라리벳트로 냉간압축성형하는 공지인 튜블라리벳트 냉간압축성형기에 착설되는 V블록왕복이동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튜블라리벳트의 성형법과 V블록왕복이동장치의 작용상태는 공지이다.
이 공지의 성형법과 V블록의 작용상태를 제3도에 따라 설명하면, 머리부성형용금형(M-1)과 압축작동하는 핀형(P)내삽의 튜우브부성형용금형(M-2)과의 사이에 절단철선(M)을 위치시키고서 제3(b)도에서와 같이 냉간압축하여 이들 두개의 금형 (M-1)(M-2)사이에서 냉간압축성형된 튜블라리벳트(T)가 튜우브부성형용 금형(M-2)내에 수장되게 한다. 이때에 V블록(B)은 제3(a)도 및 제3(b)도에서와 같이 이들 금형(M-1)(M-2)의 중간부 및 인근부에 위치된다. 다음에는 제3(c)도에서와 같이 튜우브성형용금형(M-2)속에서 압축성형된 튜블라리벳트(T)를 핀형(P)이 공간부에로 밀어내는 찰나에는 핀형(P)에 삽지된 그대로 밀려나온 튜블라리벳트(T)가 임시 위치하도록 V블록(B)의 위치로 이동시켜서 V블록(B)의 V형함입부(V)내로 튜블라리벳트(T)가 위치되게한 다음에 핀형(P)이 원위치로 복원되면, V형함입부(V)내에 잔존하는 튜블라리벳트(T)는 자중에 의하여 V블록(B)의 V형함입부(V)로부터 굴러 떨구어지게 함으로서 튜블라리벳트의 냉간압축성형과정이 완결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V블록(B)도 원위치에로 복원이동한 다음에 상술의 작동을 되풀이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냉간성형법과 V블록(B) 및 V블록구동간(K) 및 구동간받침대(L)등은 본 고안에서도 마찬가지로 이용한다.
상술함과 같이 V블럭(B)을 작동시킴에 있어서는 캠으로 V블록(B)을 이동적으로 구동시킴이 긴요조건이 바, 종래의 냉간압축성형기에 착설된 V블록이동장치에서는, 캠을 냉간압축성형기의 상측기대부(F)의 일측에 재착하고서 V블록(B)을 상술함과 같이 이동적으로 구동시켰던 것이다. 그러므로 상측기대부(F)에 재착된 캠과 구동부인 플라이휠(P-1)과의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3조의 베벨기어(총합6개의 베벨기어)와 여러개의 볼베어링과 여러개의 롯드를 뫄두 정밀가공하여 착설함이 필수불가결의 요건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V블록이동장치는, 구조의 복잡다기로 인하여 고장의 기회가 많음은 물론이고 생산비와 수비가 그만큼 가중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V블록이동장치를 근본적으로 개량하여 6개의 베벨기어와 여러개의 롯드 및 볼베어링과 이에 수반되는 정밀가공 등이 모두 불필요하고 종래의 그것과 구조유사의 캠과 레버어(지렛대)와 종간체와 결합만으로 공지의 V블록구동간(K)과 V블록(B)이 작동되는 V블록이동장치를 얻음에 의하여 상술한 종래의 V블록이동장치에 내포된 상술한 구조복합과 정밀가공에 기인되는 제작비 및 수리비가중의 폐단이 배제된 V블록이동장치를 얻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의 예시도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효과를 다음에서 설명한다.
본 고안은, 함입부(H)가 함설되고서 회동하는 캠(1)이 결합되며, 냉간압축성형된 튜블라리벳트(T)를 튜우브부성형용금형(M-2)으로부터 핀형(P)이 밖으로 밀어낸 찰나에 V블록(B)의 궤적적 왕복이동으로 튜블라리벳트(T)가 V블록에 임시위치후 낙하하게 하는 튜블라리벳트 냉간압축성형기용의 V블록이동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캠(1)의 회동과 코일스프링(8)의 탄지력에 의하여 축체부(2)를 중심으로 하고서 유설한 횡간형 지렛대(4)의 지렛대식 승강작동과 횡간형지렛대(4)의 타측단부(8')의 작동을 따라서 승강작동하는 종간체(6)의 승강작동에 의하여 공지의 V블록구동간(K)착설의 V블록(B)이 상술한 공지의 궤적적 왕복이동을 수행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블라리벳트 냉간압축성형기용의 V블록이동장치(11)이다.
본 고안에 의한 V블록이동장치(11)의 착설위치를 예시하면 제1도의 표시와 같이, 공지의 함입부(H) 를 형성한 캠(1)은 플라이휠(P-1)의 인근부후측에 위치시켜서 갑체부(C)내에 착설된 피니온기어(이는 도면에서 보이지 않음)가 회동시키며, 횡간형지렛대(4)의 일측단부에 유설된 캠접촉롤러(3)가 회동하는 캠(1)에 접촉되게 하고서 횡간형지렛대(4)가 기대의 일측에 횡으로 위치되게 하는 것이고, 종간체(6)는 기대(F)에 착설된 종간유삽체(5)내에 승강자재히 유설하여 그 하측단부의 롤러측(7')에 코일스프링(8)을 착설하여 롤러(7)가 횡간형지렛대(4)의 타측단부(8')를 코일스프링(8)의 탄지력으로 간접탄지하게 함을 예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캠(1)의 횡등에 따라 함입부(H)에 횡간형지렛대(4)의 캠접촉롤러(3)가 위치되면 횡간형지렛대(4)의 타측단부(8')가 제2(a)도 제2(b)도 의 점선위치로 하강함에 따라 코일스프링(8)에 탄지된 종간체(6)가 점선의 위치까지 하강한다. 이 하강작동에 따라 코일스프링(10)에 탄지된 공지의 V블록구동간(K)이 제2(b)도의 점선부의 위치로 이동하여 V블록(B)의 V함입부(V)에로 핀형(P)에 의하여 밀려나온 튜블라리벳트(T)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횡간지렛대(4)의 일측단부(3')에 유설된 캠접촉롤러(3)는 캠(1)의 원주부에 접촉되므로 횡간형지렛대(4)의 타측단부(8')는 제2(a)도 제2(b)도에 표시된 원래의 위치즉 실선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핀형(P)도 제3(a)도 제3(d)도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작동이 캠(1)의 회동을 따라서 되풀이 한다.
상술함과 같으므로, 본 고안을 종래의 V블록이동장치의 구성과 비교시는, 본 고안은 다수개의 베벨기어와 롯드와 볼베어링 등 종래의 복합형 구조부를 모두 배제하고서도, 종래의 캠과 유사한 구조의 함입부(H)형성의 캠(1)을 사용하여 V블록(B)이 소정의 왕복이동을 수행하게 하는 V블로이동장치(11)로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그것보다 본 고안은 V블록의 이동을 종래의 그것과 같이 시키면서도 구조의 복합성이 대폭간결화된 V블록이동장치(11)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그것이 갖는 구조복합과 이에 따라는 정밀가공 등에 의한 원가부담가중의 폐단을 배제하는 V블로이동장치를 본 고안에 의하여 얻는 것이다.

Claims (1)

  1. 함입부(H)가 함설되고서 회동되는 캠(1)이 결합되며, 냉간압축성형된 튜블라리벳트(T)를 튜우브부성형용금형(M-2)으로 부터 핀형(P)이 밖으로 밀어낸 찰나에 V블록(B)의 궤적적 왕복이동으로 튜블라리벳트(T)가 V블록에 임시위치후 낙하하게 하는 튜블라리벳트 냉간압축성형기용의 V블록이동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캠(1)의 회동과 코일스프링(8)의 탄지력에 의하여 축체부(2)를 중심으로 하고서 유설한 횡간형지렛대(4)의 지렛대식 승강작동과 횡간형지렛대(4)의 타측단부(8')의 작동을 따라서 승강작동하는종간체(6)의 승강작동에 의하여 공지의 V블록구동간(K)착설의 V블록(B)이 상술한 공지의 궤적적 왕복이동을 수행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블라리벳트 냉간압축성형기용 V블록이동장치.
KR2019840004301U 1984-05-07 1984-05-07 튜블라리벳트 냉간압축성형기의 v블록 이동장치 KR890000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301U KR890000133Y1 (ko) 1984-05-07 1984-05-07 튜블라리벳트 냉간압축성형기의 v블록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301U KR890000133Y1 (ko) 1984-05-07 1984-05-07 튜블라리벳트 냉간압축성형기의 v블록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9880U KR850009880U (ko) 1985-12-10
KR890000133Y1 true KR890000133Y1 (ko) 1989-03-06

Family

ID=19234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4301U KR890000133Y1 (ko) 1984-05-07 1984-05-07 튜블라리벳트 냉간압축성형기의 v블록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1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9880U (ko) 198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619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 electrical battery pole or terminal
CN113894235A (zh) 一种铸件成型用锻打装置及其使用方法
KR890000133Y1 (ko) 튜블라리벳트 냉간압축성형기의 v블록 이동장치
CN116713395A (zh) 自动脱模的电机定子冲压装置
CN109013825A (zh) 一种切边和冲孔装置
CN104014691A (zh) 豌豆夹成型装置
CN112935099A (zh) 一种可快速脱模的冲压模具
CN108032639B (zh) 一种塑壳断路器热元件自动冲字装置及其操作方法
CN108637064A (zh) 一种多功能高效率汽车零部件冲压成型机
CN212461379U (zh) 一种用于磁芯压制成型和输送的自动化加工设备
US3495650A (en) Die casting machine with trimmer
KR810000521Y1 (ko) 헤딩 머신(Heading Machine)
CN214773302U (zh) 一种具有顶出机构的型模模具
CN220005988U (zh) 一种粉末冶金成型模具
KR910005540B1 (ko) 전자식 라이타의 압전소자에 있어서 타격해머의 제조방법
CN216065136U (zh) 一种冲孔落料装置
CN209478478U (zh) 制砖机模具
CN219053106U (zh) 一种带有自动送料功能的立式带锯床
KR930009502B1 (ko) 압전소자 타격용 타격해머의 제조방법
CN220760902U (zh) 一种钢质锻造活塞头的模具
US1387260A (en) Tire slabbing and punching press
CN212760988U (zh) 一种挖掘机斗齿制胚模具
CN214556744U (zh) 一种用于生产金属蓝牙耳机壳的模具
JPH0191923A (ja) 順送りプレス金型
CN219402130U (zh) 一种用于快速冷顶锻、安全性高的工艺装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