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971Y1 - 전자 사진 복사기의 화상선단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사진 복사기의 화상선단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971Y1
KR880002971Y1 KR2019850016529U KR850016529U KR880002971Y1 KR 880002971 Y1 KR880002971 Y1 KR 880002971Y1 KR 2019850016529 U KR2019850016529 U KR 2019850016529U KR 850016529 U KR850016529 U KR 850016529U KR 880002971 Y1 KR880002971 Y1 KR 880002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solenoid
arra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6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835U (ko
Inventor
조진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16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971Y1/ko
Publication of KR8700108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8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9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1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sheet regist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61Aligning or deskew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사진 복사기의 화성선단 유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복사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장치의 제어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드럼 2 : 어라인로울러
3 : 급지로울러 4 : 가이드
4' : 이송로 5 : 회전축
6 : 스토퍼 7 : 작동간
8 : 코일스프링 9 : 솔레노이드
9' : 작동봉 10,11 : 센서
12 : 스캐너 14 : 마이크로 스위치
본 고안은 전자 사진 복사기의 화상선단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지 이송로에 이송로 개폐용 스토퍼를 설치하고 원고를 주사하는 스캐너의 이송위치와 용지이송로에 공급되는 복사용지의 이송위치를 감지하는 스위치 및 센서를 설치하여 복사용지가 드럼에 정확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한 화상선단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레지스터로울러(Register Roller)를 전자 클러치로 구동하였는바, 이는 급지로울러로 카세트내의 용지를 일정시간 회전시켜 용지의 선단이 레지스터로울러에 끼이면서 더 이상 이송되지 못하고 급지로울러와 레지스터로울러 사이에서 어느 정도의 루우프(Loop)를 형성한 상태에서 습지로울러가 정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광학계가 원고를 스캐닝(scanning)하기 시작하여 조정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위치 검지용 센서의 신호가 중앙 콘트롤부에 전달되어 그 콘트롤부의 제어에 의하여 레지스터로울러 구동 클러치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로울러의 회전으로 복사용지가 이송되어 용지 선단부의 일정 위치부터 복사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급지로울러로 부터 이송된 용지가 정지된 레지스터로울러의 입구에서 정지할때에 상하측 레지스터로울러의 일정한 위치에 용지의 전단이 정지하지 못하고 또한 전자 클러치가 단락되는 시간이 일정하지 못하여 복사된 상태의 용지 선단이 불규칙하였을 뿐 아니라, 급지로울러가 복사용지를 이송할때에 슬립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루우프가 형성되지 못하여 용지의 선단 전체가 레지스터로울러에 접촉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경우에는 복사용지가 바르게 이송되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이송되어 복사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거나 구겨지게 되는 결함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장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복사용지의 이송로를 개폐하는 스토퍼와 스캐너의 이송위치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그리고 복사용지가 이송로에 이송되는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어라인로울러(Align roller)에서 배출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화상의 선단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게 한 것인바,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사진 복사기의 드럼(1) 전방에 설치된 어라인로울러(2)와 급지로울러(3) 사이에 복사용지의 이송을 안내하는 용지 가이드(4)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어라인로울러(2)의 전방에 회전축(5)을 설치하여 그 회전축(5)의 일측 외주면에는 용지 가이드(4)의 이송로(4')를 개폐하는 용지 스토퍼(6)를 고정하고, 회전축(5)의 외주면 타측에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작동간(7)의 일단을 상기 용지 스토퍼(6)와 대향되게 고정함과 아울러 그 작동간(7)의 타단에는 작동간(7)을 어라인로울러(2)측으로 탄지하는 코일스프링(8)을 고정하고, 또한 그 작동간(7)의 타단에는 작동간(7)을 코일스프링(8)의 탄지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솔레노이드(9)의 작동봉(9')을 고정하는 한편, 용지 스토퍼(6)에 의하여 폐쇄되는 이송로(4')의 전방부에는 복사용지 이송위치 감지용 센서(10)를 설치하고 어라인로울러(2)의 후방에는 복사용지가 어라인로울러(2)에서 배출되는 시점을 감지하는 센서(11)를 설치하며 공지의 스캐너(12) 및 본체(13)에는 와이어로프 접속편(12a)으로 스캐너(12) 이송위치 검출하는 마이크로스위치(14)르 설치한 것이다.
한편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이는 급지로울러(3)에 의하여 이송된 복사용지가 센서(10)의 위치에 도달되면 이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 전달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5)의 제어에 따라 일정한 지연 시간을 갖고 급지로울러(3)의 회전을 단속시켜 루우프를 형성하고, 한편에서는 스캐너(12)가 제2도를 기준하여 우측으로 이송되어 그 스캐너(12)의 접속편(12a)이 마이크로스위치(14)를 단락시키고 이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 전달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5)의 제어에 따라 전원이 솔레노이드(9)에 인가되어 솔레노이드(9)가 작동됨에 따라 용지 스토퍼(6)가 이송로(4')를 개방하여 루우프의 힘으로 용지를 어라인로울러(2)에 보내면 항상 회전하는 어라인로울러(2)에 물려서 용지가 어라인로울러(2)에서 빠져나가기 시작하고 용지 끝단이 지나감을 센서(11)가 감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 전달시켜 솔레노이드(9)에 전원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사기의 작동버튼을 눌러 복사가 개시되어 급지로울러(3)의 회전에 따라 이송된 복사용지의 위치를 센서(10)가 감지하여 이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 전닳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5)의 작용에 의해 일정한 지연시간을 갖고 이송로(4')를 폐쇄하고 있는 용지 스토퍼(6)에 걸리어 루우프를 형성하면서 정지하게 된다.
한편에서는 광학계의 구동에 따라 스캐너(12)에 고정된 접속편(12a)이 우측으로 이송되면서 마이크로스위치(14)를 단락시켜 그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 전달되면 솔레노이드(9)에 전원이 인가되어 솔레노이드(9)의 작동봉(9')이 삽입됨에 따라 회전축(5)이 회전하게 되어 용지 스토퍼(6)가 이송로(4')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로(4')를 개방되면 루우프로된 복사용지의 굽힘력이 복사용지를 계속 회전하고 있는 어라인로울러(2)로 이송시키므로 복사용지와 드럼(1)에 착샹되는 원고의 상과의 타이밍을 정확히 잡아주게 될 뿐 아니라 종래의 결점인 전자 클러치의 부착시간 오차에 대한 선단불일치 현상이 배제되고 센서(10)에 의하여 복사용지와 급지로울러(3) 사이의 슬립(slip)에 의한 루우프 부족현상이 유발되는 우려가 해소되며, 항상 일정한 량의 루우프를 형성하여 복사용지가 어라인로울러(2)에 물릴때 복사용지의 선단 전면이 모두 닿게되어 용지의 사행(斜行)이나 구겨짐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복사용지가 어라인로울러(2)에서 완전히 배출되면 센서(11)가 이를 검지하여 그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 보내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5)의 제어에 따라 솔레노이드(9)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므로 회전축(5)이 코일스프링(8)의 복원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스토퍼(6)가 이송로(4')를 폐쇄하게 되어 다음 용지의 정확한 이송을 위해 대기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된 본 고안 화상선단 유지장치는 어라인로울러의 전방에서 용지 스토퍼(6)의 복사용지를 대기시키고 센서(10)에 의하여 급지로울러(3)의 회전을 정지시키어 항상 일정한 량의 루우프를 형성하며 스캐너(12)의 위치 검지스위치(14)에 의하여 복사용지의 선단의 일치되도록 솔레노이드(9)를 온시켜 복사용지를 드럼에 착상되는 원고의 상과 타이밍을 일치시켜 이송하게 되므로 화상선단 일치가 항상 될수 있는 이점등이 있다.

Claims (1)

  1. 전자 사진 복사기의 드럼(1) 전방에 설치된 어라인로울러(2)와 급지로울러(3) 사이에 용지 가이드(4)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어라인로울러(2)의 전방에 설치한 회전축(5)의 외주면 일측에는 용지 가이드(4)의 이송로(4')를 개폐하는 용지 스토퍼(6)를 고정하고 타측에는 코일스프링(8)에 의해 어라인로울러(2)측으로 탄지되는 작동간(7)을 고정하며 또한 그 작동간(7)에는 솔레노이드(9)의 작동봉(9')을 코일스프링(8)과 대향되게 고정하는 한편, 이송로(4')에는 복사용지 이송위치를 감지하여 급지로울러(3)의 회전을 정지케하는 감지센서(10)를 설치하고, 공지 스캐너(12)에 근접한 구조물에는 스캐너(12) 이송위치를 검지하여 솔레노이드(9)를 온시키는 마이크로 스위치(14)를 설치하며, 어라인로울러(2)의 후방에는 복사용지 배출 시점을 감지하여 솔레노이드(9)를 오프시키는 감지 센서(11)를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복사기의 화상선단 유지장치.
KR2019850016529U 1985-12-10 1985-12-10 전자 사진 복사기의 화상선단 유지장치 KR880002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6529U KR880002971Y1 (ko) 1985-12-10 1985-12-10 전자 사진 복사기의 화상선단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6529U KR880002971Y1 (ko) 1985-12-10 1985-12-10 전자 사진 복사기의 화상선단 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835U KR870010835U (ko) 1987-07-13
KR880002971Y1 true KR880002971Y1 (ko) 1988-08-23

Family

ID=1924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6529U KR880002971Y1 (ko) 1985-12-10 1985-12-10 전자 사진 복사기의 화상선단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9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835U (ko) 198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2399A (en) Sheet feeding device having sheet edge sensor
EP0153598B1 (en) A method of feeding and conveying copying papers in a copying machine and an apparatus for practicing the same
US4809969A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and registration system therefor
US4917371A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and registration system therefor
JP2560714B2 (ja) 用紙搬送装置
US4638989A (en) Device to prevent transport of poorly aligned copy paper
KR880002971Y1 (ko) 전자 사진 복사기의 화상선단 유지장치
JPS58139944A (ja) 給紙装置
JPS6132836A (ja) 複写機の原稿送り方法
JP3319180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2000086019A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2000280554A (ja) 画像形成装置の紙搬送装置
JPH0780635B2 (ja) 両面像形成装置の自動原稿搬送装置
JP4044996B2 (ja) 画像形成装置
JPS6246843A (ja) 給紙装置
JP2797316B2 (ja) 特殊用紙送り装置
KR101043393B1 (ko) 화상형성장치
JP3946105B2 (ja) 用紙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KR940005129B1 (ko) 급지방법
JP2560779B2 (ja) 用紙のループ量制御装置
JP2000309450A (ja) 給紙装置
JPH04337747A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送り装置
JPH066126Y2 (ja) 給紙装置
JPH10167525A (ja) 用紙搬送装置
JP200101923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