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481B1 - 트리사이클라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트리사이클라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481B1
KR880002481B1 KR1019860006530A KR860006530A KR880002481B1 KR 880002481 B1 KR880002481 B1 KR 880002481B1 KR 1019860006530 A KR1019860006530 A KR 1019860006530A KR 860006530 A KR860006530 A KR 860006530A KR 880002481 B1 KR880002481 B1 KR 880002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xylene
mixture
ethylene glycol
formic acid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146A (ko
Inventor
케네스 애크길 랄프
노리오 마쓰우라
후미야 다부찌
Original Assignee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메어리 앤 턱커
엘랑코 이하라 가부시끼가이샤
이하라 케미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가나자와 데이이찌
모찌즈끼 노부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메어리 앤 턱커, 엘랑코 이하라 가부시끼가이샤, 이하라 케미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가나자와 데이이찌, 모찌즈끼 노부히꼬 filed Critical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70002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4-thia-1-azabicyclo [3.2.0] hep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penicillins, penem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6Peri-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리사이클라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도열을 유발시키는 원인인 미생물 피리클라리아오리자에의 방제에 널리 공지된 항진균제인 5-메틸-1,2,4-트리아졸로[3,4-b]벤조티아졸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특히 효과적인 신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생성물은 "트리사이클라졸"이라는 일반명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계속 이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트리사이클라졸은 1977. 9. 20일자 등록 미국특허 제4,064,261호, 1980. 1. 22일자 등록 일본특허 제984,228호, 1976. 8. 7일자 등록 대한민국 특허 제5,132, 그리고 1977. 10. 13일자 등록 대만특허 제N19543호에 기술 및 특허청구되어 있다.
이들 특허에 트리사이클라졸을 제조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기술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방법이 그들 방법보다 더 우수하다.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I)의 트리사이클라졸을
Figure kpo00001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다음구조식(II)의 2-아미노-4-메틸벤조티아졸을
Figure kpo00002
약 100°내지 약 150°의 온도하 에틸렌글리콜 및 염산 존재하에서 하이드라진 또는 그 수화물과 반응시켜서 다음구조식(III)의 2-하이드라지노-4-메틸벤조티아졸을
Figure kpo00003
생성시키고, 반응혼합물을 약 100°이하로 냉각후 크실렌을 가하고 ; 혼합물을 약 10°내지 약 45°정도로 계속해서 냉각하, 층분리가 일어나도록 하고 ; 에틸렌글리콜층을 제거하고 ; 증류수를 가하고 ; 혼합물이 분리되도록 하고 ; 수용층을 제거하고 ; 혼합물을 중화시키기에 충분한 양보다 약간 과량의 비가역성 산 포착제를 크실렌층에 가하고 ; 중화된 크실렌층을 약 100°내지 약 120°의 액체온도에서 증류시켜서 물과 크실렌의 공비혼합물을 제거하고 ; 에틸렌글리콜이 실질적으로 모두 제거될때까지 혼합물을 계속 증류하여 에틸렌글리콜과 크실렌의 공비혼합물을 제거하고 ; 만약 필요하다면 혼합물을 약 100°이하고 냉각하고 ; 2-하이드라지노-4-메틸렌 벤조티아졸의 몰당에 대하여 무게 농도가 약 80% 이상인 포름산을 적어도 약 5몰 이상 혼합물에 가하고 ; 목적생성물이 생성될때까지 혼합물을 상승된 온도에서 유지시켜주는 등의 단계로 특징지워진다.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혼합물로부터 과량의 포름산을 증류제거시켜서 회수하며 ; 필요하다면 크실렌을 첨가하여 유동성 반죽상태로 만들로 충분한 물과 혼합하여 무기물 불순물을 용해시킨 다음 결정을 분리해낸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모든 온도는 도 섭씨로 표시한다.
전술한 방법은 효율적이며, 트리사이클라졸을 고수율로 얻어짐이 확인되었다. 본 방법을 사용하면 더 이상의 비싼 정제 과정없이도 고순도의 생성물을 일관되게 얻을 수 있으므로, 작물에 대한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농업적인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벙법의 주요 이점은 2-아미노-4-메틸벤조티아졸로부터 단일 단계를 거쳐 트리사이클라졸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공정의 첫단계에서, 염산(고농도가 바람직함)과 에틸렌글리콜의 존재하에서 2-아미노-4-메틸벤조이타졸(AMBT)을 하이드라진 또는 하이드라진 수화물과 반응시킨다. 첫단계에서 다른 유기용매는 존재치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에틸렌글리콜을 재순환시킬 경우 약 5% 내지 10%의 크실렌(V/V)을 사용하도록 한다. AMBT의 농도는 중요하며 500ml의 에틸렌글리콜 당 약 1g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농도는 그람몰당 약 300ml 내지 약 750ml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농도가 그람몰당 용매의 500ml에 근접해야 최적의 결과가 얻어진다.
비록 과량의 산이 어떤 작용을 하는 것 같지는 않지만 반응 혼합물에 AMBT의 몰당 적어도 약 1몰의 염산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수 % 과량 내지는 약 50% 과량 범위 정도의 소과량의 산 정도는 조작자의 재량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후술하겠지만 에틸렌글리콜 용매는 재순환시킬 수 있고, 또 재순환되어야 하며, 어느 정도의 산이 이 용매를 따라 함께 재순환된다. 조작자는 다음 배취를 계산할때 재순환되는 에틸렌글리콜을 분석하여 그안에 남아있는 산의 양을 고려해야만 한다.
AMBT의 몰당 적어도 약 3몰의 하이드라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이드라진의 정확한 양은 임계적이 아니지만, 반응혼합물중 하이드라진이 약 3몰을 넘지 않으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 약 5몰 이상의 많은 양을 사용하여도 별다른 문제는 없지만 어떤 이점이 있는것도 아니다. 약 5몰 정도로 과량의 하이드라진을 사용하는 것은 권장할만하지 않다. 다시 재순환 방법을 사용할땐 재순환된 에틸렌글리콜에서의 하이드라진 양을 측정하여 이를 고려해주어야 한다. 하이드라진은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경제적이고 편리한 정도에 따라 순수한 상태 또는 수화물 상태를 사용한다.
첫단계의 반응혼합물이 제조되면, 이를 약 100°내지 150°내지의 상승된 온도까지 가열한다. 이러한 조작에는 혼합물에서 기화되는 유기물 기체를 응축하여 반응용기중의 농축물로 되돌려보내는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반응혼합물이 한 용기로부터 다음 단계의 용기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응용기를 증류용기로서 장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120°내지 약 140°의 온도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25°내지 약 130°의 온도에서 AMBT를 하이드라진과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종 혼합물의 비등점을 목적하는 조작온도까지 상승시키기 위하여 소량의 수분을 증류제거시키는 것이 특히 배취가 재순환된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거나 하이드라진 수화물의 희석용액이 사용될때에는 필요하다. AMBT를 하이드라지노 중간물질(HBT라 명칭)로 전환시키는데 충분히 필요한 반응시간은 약 1-4시간이다. 최적시간은 각 경우에 조작자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조작온도, 그리고 장치를 자나는 중의 생산율에 비교하여 주어진 경우의 생성물의 고수율의 상대적 중요성들에 좌우된다.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면 혼합물을 식힌다. 정확한 온도가 중요한 것은 아니나, 약 100°이하까지는 식혀야 하며, AMBT의 그람몰당 약 400ml정도의 일반적인 범위의 크실렌을 가한다. 크실렌의 정확한 양은 임계적이지 않지만 에틸렌글리콜의 그람몰당 약 300 내지 400ml의 일반적 범위의 양을 또는 에틸렌그리콜 부피의 약 40-80%, 특히 약 60-70%에 해당하는 양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실렌을 가하면 즉시 혼합물에서 HBT가 침전하기 시작한다. HBT가 침전하는 동안 혼합물을 약 10°내지 약 4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25°, 그리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주위온도까지 식힌다. 혼합물이 식으면 교반을 중지하고 매우 부드러운 상태로 하여 에틸렌글리콜과 크실렌층을 분리한다. HBT의 침전물은 윗층인 크실렌층에 속하게 된다.
층분리가 일어나면 에틸렌글리콜층을 제거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다음 배취에서 재순환시킨다. HBT를 함유하는 크실렌층을 증류수로 세척하고 수용층을 분리한다. 다음 비가역적인 산 포착제로 작용하는 염기를 가하여 HBT를 함유하는 크실렌층을 중화시키면 고온에서도 안정한 염이 생성된다. 대표적인 이런 형태의 염기에는 수산화알칼리금속, 중탄산알칼리금속, 또는 탄산알칼리금속이 있다. 나트륨, 칼륨 및 리튬이 "알칼리 금속"의 영역에 포함되며, 이중 나트륨 및 칼륨, 특히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산염이 바람직하다. 염기의 양은 크실렌층중의 잔여 염산을 중화시키기에 충분한 정도의 과량의 염기를 가해준다.
중화된 혼합물을 증류하면 증류수 및 에틸렌글리콜, 그리고 출발화합물 약간이 제거된다. 혼합물이 약 100-110°까지 가열되면 수분과 크실렌의 공비 혼합물이 끓기 시작한다. 비록 실질적이지는 않지만 응축물을 공비 증류로부터 층 분리기를 통하여 통과시키고, 분리된 크실렌은 반응혼합물로 되돌려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실렌-수분 증류는 수분이 완전히 제거될때까지 약 120°의 온도에서 계속한다. 이 온도 근처에서 과량의 하이드라진도 또한 증류제거된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점중의 하나는 수분이 증류제거된 후에 증류되기 시작하는 에틸렌글리콜-크실렌공비 혼합물을 이용하여 에틸렌글리콜을 제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공비 혼합물은 바람직한 조건인 감압하에서는 약 75-100°의 온도에서 제거되며, 표준 압력에서는 약 136-143°의 온도에서 제거되는데 모든 에틸렌글리콜이 혼합물에서 완전히 제거될때 이 온도에 도달하게 되며, HBT가 실제적으로 순수한 크실렌 중에서 현탁액의 형태로 남는다.
증류물은 에틸렌글리콜-크실렌 공비 혼합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크실렌을 혼합물로 되돌려 보내고 에틸렌글리콜을 회수하여 다음 공정에 다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문가들이라면 "크실렌"이 사실상 오르토, 메타 및 파라-크실렌의 3가지 이성체의 혼합물이기 때문에 그 비등점이 가변적이라는 사실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상업적인 크실렌의 비등점은 함유하는 3가지 이성체의 상대적인 양에 따라 작은 범위내에서 변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상업적 크실렌은 3가지 크실렌 이성체와 더불어 에틸벤젠도 또한 함유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모든 에틸렌글리콜이 크실렌-HBT 현탁액으로부터 제거되면 혼합물의 온도를 내려주는데 필요하다면 HBT를 분리하지 않은채 약 100°아래로 내린다.
다음 과량의 포름산을 반죽상태의 크실렌-HBT에 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몰의 포름산이 HBT가 몰당에 대하여 사용되는데 10.5몰의 포름산을 사용해도 좋은 결과가 나온다. 10.5몰 이상의 포름산을 사용해도 별다른 문제는 없지만 많은 양을 사용하는 것은 이익이 되지 않으므로 약 10.5몰의 과량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포름산의 농도가 무게비로 적어도 약 80%, 바람직하게는 약 85-95%로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고농도의 포름산은 작은 몰수의 포름산을 사용할 경우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재순환시킨 포름산을 사용할 경우엔 그 농도를 점검해보는 것이 중요하며, 재순환된 포름산을 증류시키거나 순수한 포름산을 가하여 필요한 고농도로 농축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혼합물을 가열하고, HBT가 트리사이클라졸로 바뀔때까지 상승된 온도에서 적당히 교반시켜 준다. 바람직하고도 가장 편리한 온도는 대기압 환류온도, 약 100-110°이다. 하지만 반응온도는 임계적이 아니고, 약 50-150°범위의 편리한 상승된 온도로 할 수 있다. 물론 화합물의 비등점을 올리기 위하여 대기압 이상의 온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반응시간은 약 4시간 정도이지만, 전술한 바와같이 경우에 따라 조작자가 조정할 수도 있다.
트리사이클라졸이 생성됨에 따라 반응용기중의 포름산층에 용해되고, 따라서 반응이 완결되면 실질적으로 생성물은 크실렌에 남아있지 않게 된다. HBT의 각 몰당에 대하여 작은 량의 포름산을 사용할 경우에는 크실렌을 제거하는 동안 공비 증류시키면 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실렌층은 층분리를 이용하여 반응 용기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고 또는 다음 단계에서까지 반응용기에 남아있을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든 과량의 포름산은 증류 제거한다. 용기내의 내용물을 대기압의 경우에는 약 100-110°로 가열하여 포름산을 증류시킨다. 만약 크실렌이 용기중에 남아 있으면 과량의 포름산은 공비 증류시켜서 모두 제거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모든 포름산이 제거되면 최종 액체 온도는 크실렌중의 이성체 혼합물에 따라 약 139-141°가 된다. 물론 부분 진공하 상응하는 낮은 온도에서 증류시킬 수도 있다.
한편, 증류를 시작하기전 크실렌층이 반응용기로부터 제거된 경우에는 과량 포름산의 약 80%(V/V)만이 증류로 제거된다. 이 경우, 액체온도가 대기압하 약 130°가 되면 증류를 멈추고 용기중의 내용물 온도를 어느정도 식히고 크실렌을 첨가하는데 생성물의 그람몰당 약 300-400ml 범위의 양이 편리하다. 혼합물을 재가열하고 최종 액체온도가 대기압하에서 약 139-141°가 될때까지 증류시켜서 잔여 포름산을 제거한다.
이 상태에서, 반응 용기중의 내용물은 트리사이클라졸이 크실렌에 녹아있는 용액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대적으로 소량의 유기 및 무기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다. 혼합물이 식으면 크실렌을 조금 첨가하여, 현탁액을 편리하게 뿜어주어 여과할 수 있도록 한다.
현탁액을 어느 정도 식히고 증류수와 혼합하여 무기불순물을 녹여내는데, 통상적으로는 현탁액을 증류수에 가하도록 한다. 출발 AMBT의 그람몰당 약 100-200ml의 증류수가 적당하다.
혼합물을 약 상온 이하까지 식히고, 적당한 여과기 또는 원심분리기로 수집한다. 마지막으로 여과물에 증류수와 크실렌을 가하여 세척하여 목적하는 순도를 얻고, 세척한 고체를 건조시킨다. 고체의 온도가 약 100-110°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는한 어떤 형태의 건조장치라도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전술한 바람직한 조건에 따라 반응을 진행시킬때 수율은 투입된 AMBT의 양에 기초하여 약 85-93%의 이론치를 가지며, 그 생성물은 약 98%의 순도를 갖는다. 게다가 반응에 투입된 에틸렌글리콜, 크실렌, 대부분의 하이드라진과량, 그리고 대부분의 염산들이 재순환될 수 있으며, 과량의 포름산을 증류시켜 회수한 약간을 98% 상업적 포름산과 혼합하여 80% 포름산으로 재조성하면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가열 및 냉각 쟈켓, 교반기, 응축기, 층분리기, 그리고 회수 및 수집 밸브등을 장치한 적당한 유리-내장 반응기에 8000l의 재순환된 에틸렌글리콜(873kg의 하이드라진 일수화물과 355kg의 염산을 함유), 1400kg의 AMBT, 그리고 460kg의 하이드라진 일수화물(100%)을 충전시킨다. 더 이상의 염산을 필요하지 않다.
혼합물을 교반해주며 125-130°까지 가열하고 2시간동안 같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교반한다. 혼합물을 95°아래로 식히고 2900l의 크실렌을 가한 현탁액을 30-35°까지 식힌다. 교반을 중지하고 층분리가 일어나기를 기다려 아래층의 에틸렌글리콜층을 제거하여 연속하는 단계로 재순환시킨다.
반죽상태의 크실렌-HBT에 2000l의 증류수를 가하고, 이 현탁액을 15분간 교반해준다. 교반을 중지하고 층분리가 일어나면 아래층의 수용층을 제거한다.
반죽상태의 크실렌-HBT에 10kg의 탄산나트륨을 가하고, 이 현탁액을 교반해주며 비등점까지 가열하고 기체를 응축하여 층분리기를 통과시킨다. 크실렌-수분 공비 혼합물을 제거하고 농축물의 크실렌층을 용기로 되돌려보낸다. 실질적으로는 모든 수분이 혼합물로부터 제거되는 온도인 110°로 액체 온도가 도달할때까지 공비증류를 계속해준다. 크실렌-에틸렌글리콜 공비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증류시키고 혼합물의 액체 온도를 85°까지 식혀서 그 온도를 유지시킨다. 이 공기 증류로부터의 응축물을 층분리기에서 분리하여 크실렌은 용기로 되돌려보내고 에틸렌글리콜은 재사용을 위하여 보관한다. 실질적으로 모든 에틸렌글리콜이 제거될때까지 공비 증류를 계속한다. 반죽상태가 된 물질을 60-65°까지 식힌다. 이 두번째 반죽상태는 실질적으로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처리되었으며, 첫번째 반죽상태와 합하여 다음의 공정을 계속한다.
합해진 반죽에 교반해주면서 3230kg의 93.7% 포름산 수용액과 전술한 공정에서 회수된 1180kg의 76% 포름산 수용액을 가한다. 용기의 내용물을 비등점까지 가열하고, 기체를 응축시켜 층분리기를 통과시킨다. 크실렌 층은 제거하여 다음 단계에 사용하도록 보관하고 포름산층은 용기로 되돌려 보낸다. 실질적으로 모든 크실렌이 제거될때까지 공비증류를 계속한다. 용기의 내용물을 2시간동안 약 110°에서 환류 교반한다. 증류를 시작하고 응축물을 적당한 용기에 수집한다. 용기중의 액체온도를 관찰하면서 액체 온도가 130°가 될때까지 증류를 계속한 후 용기의 내용물을 110°아래로 식히고 전에 보관해둔 크실렌과 150l의 새 크실렌을 가한다. 혼합물을 비등점까지 가열하고 기체를 응축하여 층분리기를 통과시킨다. 크실렌-포름산 공비 혼합물은 다음 단계에 사용하도록 보관해두고, 크실렌층은 용기로 되돌려 보낸다. 증류는 응축물이 실질적으로 순수한 크실렌이 되는 온도인 142°로 액체 온도가 도달할때까지 계속한다. 이때에 2065l의 크실렌을 가하고 이 혼합물을 1시간동안 교반해준다. 30°까지 식힌 후 8000l의 증류를 담고 있는 교반용기로 옮기고 15분 동안 교반한다.
반죽을 바스켓 원심분리기로 여과하여 고체 생성물을 수집한다. 생성물을 소량의 증류수 및 크실렌으로 원심분리기 위에서 세척하여 수집하여 큰 건조기에서 건조한 후 실질적으로 모든 크실렌이 제거될때까지 70°로 진공 가열한다.
생성물은 본 명세서의 전반부에서 언급한 특허들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3014kg의 트리사이클라졸(93.1% 수율)이었는데, 액체 크로마토그라피 분석에 의하면 98.7%의 순도를 가졌다.
[실시예 2]
가열 및 냉각 쟈켓, 교반기, 응축기, 층분리기, 그리고 응축물 회수 및 수집밸브 등을 장치한 적당한 유리-내장 반응기에 8000l의 재순환된 에틸렌글리콜(864kg의 하이드라진 일수화물 및 355kg의 염산을 포함), 1400kg의 AMBT, 그리고 470kg의 하이드라진 일수화물(100%)을 가한다. 더 이상의 염산은 필요하지 않다.
혼합물을 교반해주면서 125-130°까지 가열하고, 그온도를 유지시키면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95°아래로 식히고 2900l의 크실렌을 가하여 이현탁액을 30-35°까지 식힌다. 교반을 중지하고 층분리가 일어나기를 기다려 아래층인 에틸렌글리콜층을 제거하여 연속되는 단계로 재순환시킨다.
반죽상태의 크실렌-HBT에 2000l의 증류수를 가하고, 이 현탁액을 15분 동안 교반해준다. 교반을 중지하고, 층분리가 일어나기를 기다려 아래층의 수용층을 제거한다.
반죽상태의 크실렌-HBT에 10kg의 탄산나트륨을 가하고, 이 현탁액을 교반하며 비등점까지 가열하고, 기체를 응축하여 층분리기를 통과시킨다. 크실렌-수분 등비 혼합물을 제거하고, 응축물의 크실렌층은 용기로 되돌려보낸다. 증류는 실질적으로 모든 수분이 혼합물로부터 제거되는 온도인 110°로 혼합물의 액체온도가 도달할때까지 계속한다. 에틸렌글리콜이 실질적으로 모두 제거될때까지 표준압력에서 증류를 계속하여 에틸렌글리콜과 크실렌의 공비 혼합물을 제거한다. 반죽을 65-70°까지 식히고 교반해주면서 2184kg의 95% 약 104°까지 가열하고 4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다. 혼합물을 55-60°까지 식히고 교반해주면서 2184kg의 95% 포름산 수용액과 전단계에서 회수된 3092kg의 69.7% 포름산 수용액을 가한다. 용기의 내용물을 비등점인 약 104°까지 가열하고 4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다. 혼합물을 55-60°까지 식히고, 교반을 중지한 후, 층분리가 일어나기를 기다려 아래층인 포름산층을 다음 단계를 위하여 제거한다.
크실렌층은 재사용을 위하여 보관한다. 이 두번째 반죽은 실질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처리되었으며, 전술한 포름산과 합하여 다음의 공정을 계속한다. 혼합물을 비등점까지 가열하고, 기체를 응축하여 적당한 용기에 수집한다. 첫번째 3600kg의 포름산 증류물을 버리고 액체 온도가 130°까지 되도록 방치한다. 잔여 포름산 증류물은 재사용을 위하여 보관한다. 액체를 110°까지 식히고 전에 보관해둔 크실렌과 150l의 새크실렌을 가한다. 혼합물을 비등점까지 가열하고 기체를 응축하여 층분리기를 통과시킨다. 크실렌-포름산 공비 혼합물을 다음 공정에 재사용하기 위하여 보관하고, 크실렌층은 용기로 되돌려 보낸다.
증류는 응축물이 실질적으로 순수한 크실렌만으로 이루어지는 온도인 142°로 액체 온도가 도달할때까지 계속한다. 이때 2065l의 크실렌을 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해준다. 혼합물을 30°까지 식히고 8000l의 증류수를 담고 있는 교반용기에 옮기고 15분 동안 교반해준다.
반죽을 바스켓 원심분리기를 통하여 여과하고 고체 생성물을 수집한다. 생성물을 원심분리기 위에서 소량의 증류수 및 크실렌으로 세척하고, 세척된 생성물을 수집하여 큰 건조기에서 건조시키고, 실질적으로 모든 크실렌이 제거될때까지 진공하 70°까지 가열한다.
생성물은 본 명세서의 전반부에서 언급한 특허들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2954kg의 트리사이클라졸(91.5%수율)이었는데, 액체 크로마토그라피 분석에 의하면 98.9%의 순도를 가졌다.

Claims (8)

  1. 구조식(II)의 2-아미노-4-메틸벤조티아졸을 약 100°내지 약 150°의 온도하 에틸렌글리콜과 염산 존재하에서 하이드라진 또는 그 수화물과 반응시켜서 구조식(III)의 2-하이드라지노-4-메틸벤조티아졸을 생성시키고, 혼합물을 약 100°이하로 냉각한 후 크실렌을 가하고 : 혼합물을 약 10°내지 약 50°정도로 계속해서 냉각시켜서 층분리를 시킨후 : 에틸렌글리콜 층을 제거한 크실렌층에 증류수를 가하고 : 다시 층분리를 시킨 크실렌층에 비가역성 산포착제를 가하고 : 중화된 크실렌층을 약 100°내지 약 120°의 액체 온도에서 증류시켜서 물과 크실렌의 공비혼합물 및 잔류 에틸렌글리콜을 제거하고 : 혼합물을 약 100°이하로 식히고 2-하이드라지노-4-메틸벤조티아졸의 몰당에 대하여 무게 농도가 약 80% 이상인 포름산을 적어도 약 5몰 이상 혼합물에 가하고 : 목적생성물이 생성될때까지 혼합물을 상승된 온도에서 유지시켜서 구조식(I)의 트리사이클라졸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04
  2. 제1항에 있어서, 과량의 포름산을 혼합물로부터 증류시키고 : 필요하다면 크실렌을 첨가하여 유동성 반죽으로 하고 : 혼합물을 충분한 양의 증류수와 합하여 무기 불순물을 용해시키고 : 냉각시켜서 결정 생성물을 분리함으로써 트리사이클라졸을 회수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2항에서, 에틸렌글리콜의 약 40% 내지 약 80%의 부피에 해당하는 양의 크실렌을 가하는 방법.
  4. 제3항에서, 에틸렌글리콜의 약 60% 내지 약 70%의 부피에 해당하는 양의 크실렌을 가하는 방법.
  5. 제1항에서 비가역성 산 포착제가 탄산염인 방법.
  6. 제1항에서, 포름산이 무게비로 약 85%의 농도를 가지는 방법.
  7. 제1항에서, 2-하이드라지노-4-메틸벤조티아졸의 각 몰에 대하여 5.0몰의 포름산을 사용하는 방법.
  8. 제1항에서, 2-하이드라지노-4-메틸벤조티아졸의 각 몰에 대하여 10.5몰의 포름산을 사용하는 방법.
KR1019860006530A 1985-08-09 1986-08-08 트리사이클라졸의 제조방법 KR880002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6402685A 1985-08-09 1985-08-09
US764,026 1985-08-09
US764026 1985-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146A KR870002146A (ko) 1987-03-30
KR880002481B1 true KR880002481B1 (ko) 1988-11-19

Family

ID=2506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530A KR880002481B1 (ko) 1985-08-09 1986-08-08 트리사이클라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213814A3 (ko)
JP (1) JP2661899B2 (ko)
KR (1) KR880002481B1 (ko)
CN (1) CN1022568C (ko)
BR (1) BR8603793A (ko)
EG (1) EG17986A (ko)
IL (1) IL79614A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18115A4 (en) * 2003-01-07 2007-02-28 Indofil Chemicals Company INDUSTRIA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RICYCLAZOLE WITHOUT DANGER TO THE ENVIRONMENT
CN103833674B (zh) * 2014-03-13 2016-01-27 杭州师范大学 一种合成4-甲基-2-肼基苯并噻唑的方法
CN105906477B (zh) * 2016-05-24 2018-11-23 济南大学 一种连续共沸精馏分离甲苯-乙二醇混合物的方法
CN105906471B (zh) * 2016-05-24 2018-11-09 济南大学 一种连续共沸精馏分离间二甲苯-乙二醇混合物的方法
CN107827912A (zh) * 2017-11-03 2018-03-23 江苏恒隆作物保护有限公司 一种三环唑原药的生产方法
CN108948049B (zh) * 2018-06-04 2019-12-17 浙江禾本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固体超强酸合成三环唑的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26341A (en) * 1971-10-12 1978-02-14 Eli Lilly And Company Benzothiazole for controlling plant pathogenic organisms
IE38266B1 (en) * 1972-10-10 1978-02-01 Lilly Co Eli Improved exchange amination process
IL57808A (en) * 1978-08-03 1983-06-15 Lilly Co Eli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ricyclazole
JPS5767586A (en) * 1980-10-14 1982-04-24 Ihara Chem Ind Co Ltd Preparation of 5-methyl-1,2,4-triazolo(3,4-b)benzothiaz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603793A (pt) 1987-03-17
CN1022568C (zh) 1993-10-27
KR870002146A (ko) 1987-03-30
IL79614A0 (en) 1986-11-30
EP0213814A3 (en) 1988-07-20
EP0213814A2 (en) 1987-03-11
CN86104926A (zh) 1987-02-04
JPS6296493A (ja) 1987-05-02
EG17986A (en) 1991-08-30
JP2661899B2 (ja) 1997-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1528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5-furan-dicarboxylic acid
JP2008500389A (ja) 1,3−ジブロモアセトン、1,3−ジクロロアセトン及びエピクロロヒドリンの製造方法
KR880002481B1 (ko) 트리사이클라졸의 제조방법
TWI343370B (en) Method for producing ditrimethylolpropane
US3993651A (en) Triethylenediamine recovery
US6476271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ther-free salts of tetrakis(pentafluorophenyl) borate
JP4000721B2 (ja) 2,2,6,6−テトラメチル−4−オキソピペリジンの製造方法
JP2001512485A (ja) n−プロピルブロミドの同時生成を伴うテトラブロモビスフェノール−Aの製造法
JPH0475220B2 (ko)
JPH0112740B2 (ko)
JP4355489B2 (ja) 高純度2,2,2−トリフルオロエタノールの製造方法
KR840000704B1 (ko) 트리사이클아졸의 제조방법
JP2002514634A (ja) スルフェンイミドの製造方法
JPH0273033A (ja) 4,4―ジメチル―1―(p―クロロフエニル)ペンタン―3―オンの製造方法
JPH08176044A (ja) 2−t−ブチルハイドロキノンの製造方法
EP0724586B1 (en) Process for preparing n-(2,6-dichloro-3-methylphenyl)-5-7-dihalo[1,2,4]triazolo[1,5a]pyrimidine-2-sulfonamide by cyclization and halo-dehydroxylation
JPH0228588B2 (ja) Nnarukiruechirenjiaminruinoseizohoho
JPH043370B2 (ko)
JPS59137431A (ja) トリメチロ−ルヘプタンの製造方法
US2338569A (en) Preparation of coumarin-3-carboxylic acid
JPS63301843A (ja) パラヒドロキシベンズアルデヒドの精製法
JP3882859B2 (ja) 水加ヒドラジンの製造方法
KR830000275B1 (ko) 트리사이클아졸의 제법
KR790001514B1 (ko) N, n-디알릴디클로로 아세트 아미드의 제조법
JPS6021583B2 (ja) カプロラクタ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0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