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704B1 - 트리사이클아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트리사이클아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704B1
KR840000704B1 KR1019810002329A KR810002329A KR840000704B1 KR 840000704 B1 KR840000704 B1 KR 840000704B1 KR 1019810002329 A KR1019810002329 A KR 1019810002329A KR 810002329 A KR810002329 A KR 810002329A KR 840000704 B1 KR840000704 B1 KR 840000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hco2h
reaction
mixtur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314A (ko
Inventor
켄네스 아크질 랄프
Original Assignee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죤 씨. 젠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죤 씨. 젠킨스 filed Critical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riority to KR1019810002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704B1/ko
Publication of KR83000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리사이클아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벼의 병충해를 방제하는데 유용한 하기 구조식의 트리사이클아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본 발명은 벼의 병충해를 방제하는데 잘 알려진 살균제인 5-메틸-1,2,4-트리아졸[3,4-b] 벤조티아졸의 제조방법으로 신규이며 매우 경제적인 방법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트리사이클아졸로 잘 알려진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 제5132호(1976년 8월 7일)에 기술되어 있다.
상술한 특허에는 트리사이클아졸을 제조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설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이 더욱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Ⅱ)의 2-아미노-4-메틸벤조티아졸을 염화암모늄의 존재하에 하이드라진과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Ⅲ)의 2-하이드라지노-4-메틸벤조티아졸을 수득하고 이어서 반응혼합물을 수세하고 수세한 반응혼합물에 포름산을 가하고 트리사이클아졸이 형성될 때까지 반응혼합물을 방치하여 하기 구조식(Ⅰ)의 트리사이클아졸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해준다.
Figure kpo00002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중간생성물을 분리하지 않고 단일반응기내에서 진행시키므로 고수율과 순도가 높은 트리사이클아졸을 제공해준다.
1차공정에서 2-아미노-4-메틸벤조티아졸의 아미노그룹을 하이드라진으로 치환시킨다. 상기 공정은 염화암모늄의 존재하에 진행시키며, 수불혼화성 불활성 유기용매내에서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유기용매로는 1-펜탄올이며 그 이외에 다른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예로는 2-부탄올, 2-펜탄올, 3-펜탄올, 1-헥사놀, 3-헥사놀 및 그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하는 부탄올, 펜탄올, 헥사놀 등이며 알칸을 이외의 다른 용매로는 트리에탄올아민, 디메틸 설폭사이드, 설포란 등이다.
혼합물내에 적당량의 물이 존재하는 것은 위험하지 않으므로 하이드라진 수화물을 반응시약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적당량의 물이 함유된 하이드라진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무수염화암모늄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염화암모늄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경우 온화하게 수화된 결정형을 사용할 수 있다.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출발물질인 벤조티아졸 1몰당 염화암모늄 약 1몰과 하이드라진 약 5 내지 6몰이 필요하다. 상기량은 적당한 범위내에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5 내지 50% 범위내에서 과잉량의 염화암모늄을 사용할 수 있는데, 1몰 이하로 사용할 경우 수율이 감소된다. 또한 하이드라진을 5몰 이하로 사용하거나 6몰 이상으로 사용하여도 수율이 감소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용매, 벤조티아졸, 염화암모늄 및 하이드라진을 반응용기에 가할 경우, 혼합물의 온도를 상승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20 내지 130°로 상승시켜 주는 것이다. 약 110 내지 약 140°의 온도보다 약간 높은 온도 및 약간 낮은 온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반응혼합물을 정치시키고 바라는 온도에서 적당한 시간동안 교반시킨다. 예를 들면, 반응 온도가 바람직한 범위내로 될 경우 반응시간은 약 16시간이 적당하다.
1차반응단계가 완결된 경우, 반응혼합물의 온도는 내려주고 층을 분리시킨다. 아래층은 과잉의 하이드라진, 어떤 경우에는 염화암모늄의 잔사가 함유된 수층이고, 이것은 다음 뱃취에서 재사용하기 위해 보관하거나 폐기한다.
반응혼물의 상부층은 주로 중간물질인 2-하이드라지노-4-메틸벤조티아졸 및 유기용매로 구성되어 있으며 잔존하는 수용성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해야만 한다.
생성물이 함유된 층을 열탕으로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생성물과 물의 혼합물을 승온에서 수분동안 교반시킨다. 반응혼합물의 온도는 약 80 내지 100°이어야 한다. 층을 다시 분리하고 하층의 물층을 폐기한다. 가장 유리한 조작으로는, 유기용매를 중간생성물인 하이드라지노-벤조티아졸로부터 제거해야만 한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1차단계에서 사용한 동일반응용기내에서 중간생성물로부터 용매를 증류시킨다.
모든 유기용매가 반응용기로부터 증류될 경우, 포름산을 고체의 중간생성물에 가해준다. 이때 과잉의포름산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화학당량적 양론의 약 10 내지 약 15배 되는 과잉량을 사용하면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화학당량적 양론의 약 10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며 하기 실시예에서 볼 수 있다.
포름산을 수용액 형태로 공급하거나, 포름산이 순수한 경우, 출발화합물 1kg당 열탕을 0.5l 범위내에서 적당량 가할 수 있다. 이어서 혼합물이 균일 용액이 될 때까지 고체 중간생성물을 액체 수용성 포름산과 가열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가열하고 반응이 완결될 때가지 교반한다. 혼합물의 환류온도, 약 110°에서 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반응이 완결된 경우, 혼합물로부터 물과 과잉량의 포름산을 증류시킨다. 액상의 온도가 약 140°에 달할 때가지 계속 증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높은 온도에서 계속 증류시키며 물-포름산이 상당한 정도로 제거되므로 최종 생성물의 분리를 개선시켜 준다. 수율은 낮고 최종공정에서 최종생성물의 순도가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을 경우,수용성 포름산은 증류제거할 필요가 없다.
증류말기에 용기내에 있는 액체는 바라는 생성물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약 100°로 냉각하고 물과 공비되게 높은 비점을 가진 상당량의 용매를 가한다. 바람직한 용매로는 크실렌 또는 에틸벤젠이며 톨루엔 및 벤젠도 사용할 수 있는데, 비점이 약간 낮으므로 덜 유리하다. 출발물질 1kg당 약 2 내지 3l의 범위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류기의 내용물을 환류되도록 재가열시키고 용축물이 용기로 돌아오기 전에 용축물로부터 물과 포름산을 분리시킨다. 용축물에는 순수한 용매만 남을 때가지 계속 환류 및 물층을 분리시킨다.
이어서 용매로부터 생성물을 결정화시킨다. 결정화에 사용하는 가장 바람직한 용매의 양은 출발물질 1kg당 약 3.3l이다. 그러므로 증류단계에서 동량의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며, 결정화를 진행시킬 경우 용매를 더 가해준다. 뜨거운 상태의 용매-생성물용액을 약 20 내지 25°로 냉각시키고 냉각하는 동안 교반시킨다. 냉각단계에서 용매로부터 생성물이 결정화된다.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용매로부터 생성물을 쉽게 분리하며 용매 및 물로 더 세척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과정을 하기 실시예로 더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글라스라인이 달린 4000l의 증류기에 641kg의 2-아미노-4-메틸벤조티아졸, 1250l의 1-펜탄을, 209kg의 염화암모늄, 1563kg의 하이드라진 하이드레이트를 가한다. 혼합물을 교반하며 가열하고 액상의 온도가 128°될 때까지 물을 증류 제거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110 내지 122°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하고 1000l의 1-펜탄올을 더 가하고 가열을 중지한다. 교반을 중지하고 약 30분동안 층이 분리되도록 정치하고 아래층을 제거폐기한다. 이어서 상층에 500l의 열량을 매우 서서히 가하고 혼합물의 온도를 95°까지 조절하고 약 15분간 교반시킨다. 이어서 층을 분리하여 하층을 제거 폐기한다.
혼합물에 500l의 열탕을 더 가해주고 혼합물을 교반하며 가열한다. 액상의 온도가 145°가 될 때까지 혼합물로부터 물과 용매를 증류시킨다. 이어서 교반을 중지하고 증류가 중지될 때까지 진공하에서 혼합물을 가열한다. 이어서 진공을 중지하고 용기를 질소로 채우고 2015kg의 포름산 및 300l의 열탕을 가한다. 고체가 용해될 때까지 고체를 가열하고 이때 교반을 시작하고 혼합물을 환류하에 2시간 교반한다. 이어서 환류를 중지하고 액상의 온도가 140°가 될 때까지 물과 포름산을 증류제거하고 이 온도에서 혼합물을 1시간동안 환류하에 교반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110°까지 냉각시킨다.
혼합물에 1500l의 크실렌을 가하고 혼합물을 재가열하고, 응축물이 물과 포름산을 함유하지 않을 때까지 물분리기를 사용하여 응축물이 용기로 되돌아오도록 환류하에 교반시킨다. 이어서 내용물에 600l의 크실렌을 더 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동안 일정온도에서 교반시키고 혼합물을 재빨리 20 내지 25°까지 냉각하고 슬러리를 원심 분리시켜 고체 생성물을 회수한다. 원심분리상에서 생성물을 크실렌, 물 및 다시 크실렌 소량으로 세척하고 50 내지 70°의 진공하에서 건조시킨다.
645kg의 5-메틸-1,2,4-트리아졸로 [3,4-b] 벤조티아졸이 생성되며 크실렌으로 재결정시키면 621kg(이론치의 86%, 순도 94.7%)이 수득된다.
대한민국 특허 제5132호에 기술된 방법으로 생성물을 동정한 결과 융점은 179 내지 184°이다.

Claims (1)

  1. 구조식(Ⅱ)의 2-아미노-4-메틸벤조티아졸을 염화암모늄의 존재하에 하이드라진과 반응시켜 구조식(Ⅲ)의 2-하이드라지노-4-메틸벤조티아졸을 수득하고 이어서 반응혼합물을 수세하고 수세한 반응 혼합물에 포름산을 가하고 트리사이클아졸이 형성될 때까지 반응혼합물을 방치하여 구조식(Ⅰ)의 트리사이클아졸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03
KR1019810002329A 1981-06-27 1981-06-27 트리사이클아졸의 제조방법 KR840000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329A KR840000704B1 (ko) 1981-06-27 1981-06-27 트리사이클아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329A KR840000704B1 (ko) 1981-06-27 1981-06-27 트리사이클아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314A KR830006314A (ko) 1983-09-20
KR840000704B1 true KR840000704B1 (ko) 1984-05-21

Family

ID=1922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329A KR840000704B1 (ko) 1981-06-27 1981-06-27 트리사이클아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74340B (zh) * 2023-07-10 2024-04-05 湖北航天化学技术研究所 一种苯基炸药类含能共晶化合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314A (ko) 198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2270A (en) Process for producing 4,4'-dihydroxydiphenylsulfone of high purity
JP2791482B2 (ja) アルキル化2―(2―ヒドロキシフェニル)ベンゾトリアゾールの液体混合物の製造方法
JPH0656773A (ja) N−フェニルマレイミドの製造方法
EP0640076B1 (en) Triazolinone ring formation in tert-butanol
US4267347A (en) Method for direct preparation for 1,2,4-triazole from hydrazine and formamide
KR840000704B1 (ko) 트리사이클아졸의 제조방법
US5393905A (en) Purification of amido-carboxylic acids
JP2661899B2 (ja) トリシクラゾールの合成法
GB2048868A (en) Preparation of 2',6'-dialkyl - n - alkoxymethyl - 2 - chloroacetanilides
US4354042A (en) Process for making N,N,N',N'-tetraacetylethylenediamine
KR830000275B1 (ko) 트리사이클아졸의 제법
US4992585A (en) Process for producing α-chloroacetoacetic acid monomethylamide
US5440045A (en) Triazolinone ring formation in tert-butanol
HU180743B (en) Process for preparing triciolazole
US5616723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3-amino-5-methylpyrazole
GB2051040A (en) Processes for Preparing and Recovering N-Alkylethylenediamines
JPS60202839A (ja) ジヒドロキシベンゾフエノンの製造方法
EP0724586B1 (en) Process for preparing n-(2,6-dichloro-3-methylphenyl)-5-7-dihalo[1,2,4]triazolo[1,5a]pyrimidine-2-sulfonamide by cyclization and halo-dehydroxylation
WO2004060897A1 (en) Industrial process for preparing environmentally safe tricyclazole
CA1130297A (en) Method of making 2,3-dihydro-5,6-diphenyl- 1,4-oxathiin
US4140714A (en) Process for preparing N-(1,1-dimethyl-3-oxobutyl)acrylamide from a 2-vinyl-1,3(4H)oxazine sulfate
JP2672145B2 (ja) フロログルシンおよびレゾルシンの製造方法
KR820002346B1 (ko) 2-히드라지노-4-메틸벤조티아졸의 제조 방법
JP2002514634A (ja) スルフェンイミドの製造方法
CZ5296A3 (en) Process for preparing n,n-dibenzylbispid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