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692B1 - 유체분석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분석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692B1
KR880001692B1 KR1019850004116A KR850004116A KR880001692B1 KR 880001692 B1 KR880001692 B1 KR 880001692B1 KR 1019850004116 A KR1019850004116 A KR 1019850004116A KR 850004116 A KR850004116 A KR 850004116A KR 880001692 B1 KR880001692 B1 KR 880001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fluid
container
impedance
analysis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557A (ko
Inventor
브라이언 왈레스 패트릭
웨인 무어 래리
Original Assignee
애보트 래버러 토리즈
죠셉 엠. 버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44847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8000169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애보트 래버러 토리즈, 죠셉 엠. 버닉 filed Critical 애보트 래버러 토리즈
Publication of KR860000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G01F23/26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9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spiration or dispense of liquids
    • G01N2035/1025Fluid level sen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체분석용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분석용 장치의 일부분의 개요도 및 블록을 조합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탐침중의 하나의 개요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전기전도샤시 14 : 테스트 스테이션
16, 16' : 컴테이너 18, 18' : 이온화된 유체
20, 20' : 탐침 22 : 축방향 개구
24 : 팁 28 : 전도수단
30 : 임피던스 31 : 탐침크플링수단
40 : 회로 43, 44, 45, 46, 47, 61 : 단자
48 : 가변 콘덴서 49 : 고정 콘덴서
60 : 기계수단 51 : 탐침선택수단
66 : 콘덴서 70 : 전원장치
72 : 고정저항기 74 : 가변저항기
80 : 빛 방출 다이오드 84 :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혈청과 같은 그러한 유체내의 구성 성분들은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 및 방법은 전형적으로는 큐베트(cuvette)로서 알려진 투명한 실험용기내의 혈청의 샘플에 시약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시약은 통상적으로 혈청 샘플의 소정의 구성 성분을 굳혀서 어떤 수단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분석을 위해 그 성분을 격리시킨다.
분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서로 다른 시약은 물론 혈청샘플은 처음에는 적절한 컨테이너내에 배치된다. 이때 탐침은 소량의 시약과 혈청 샘플 각각을 빨아들여서 이들을 잘 알려진 방식으로 분석하기 위해 큐베트내에 배치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탐침은 통상적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전자기술의 제어하에 차례로 있는 기계적인 암에 의해 조작된다. 비록 이 기술이 성공적이었다고 할찌라도 이는 어떤 경우에는 잘못을 범할 그러한 장치와 방법을 제공할 어떤 결점과 결함이 없지는 않다. 특히 시약 및 혈청 샘플유체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탐침들을 분석결과에 꺼꾸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호 오염 및 다른 문제들에 노출된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시약들은 물론 분석될 혈청 샘플의 조성이 서로 다른 성분들을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큐베트내에 한가지 시약을 가하기 위해 사용된 탐침이 이어서 서로 다른 시약을 옮기기 위해 사용될때, 첫번째 시약의 잔류물이 가끔 다음의 시약과 혼합하여 이 시약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혈청의 한가지 샘플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 탐침이 이어서 새로 다른 혈청 샘플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때 이 후자의 샘플이 전자의 샘픔의 잔류물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어느 경우도 상호오염은 혈청의 샘플에 대해 잘못된 분석을 초래하여 테스트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혈청과 같은 그러한 유체 샘플들의 분석에 유용한 장치 및 방법의 개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들 개선은 특히 보다 작은 샘플 체적들이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그러한 장치에서 유체레벨을 감지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호 오염의 가능성이 최소화 되고, 분석의 정확도가 강화되는 그러한 유체를 분석하기 위한 개량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들은 여러가지 특징 및, 잇점들과 함께, 유체의 일부를 컨테이너로부터 분석용 테스트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탐침으로 이용하는 형태의 유체 분석용 장치에서 성취된다. 이 장치는 전도수단이 컨테이너내의 유체와 저촉할 때 임계변화를 일으키기에 적합한 탐침을 포함하는 탐침 및 임피던스 수단과 관련된 전도수단을 포함한다. 회로수단은 임피던스의 임계변화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산출하기 위한 임피던스 수단에 결합된다. 회로수단에 결합된 기계적인 수단은 제어신호를 받고서 켄테이너내의 탐침의 위치를 설정하며, 이것에 의해 유체내의 탐침의 깊이가 최소화 될 수 있고, 따라서 탐침이 그후에 서로 다른 유체를 이동하는데 사용될 때 탐침에 들러 붙은 잔류유체의 량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유체의 일부를 컨테이너로 부터 장치내의 테스트 스테이션으로 이동하기 위해 유체분석 장치에 사용된 탐침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컨테이너를 장치의 전도면상에 지지하고, 탐침에 연합된 면과 전도수단과의 사이에 첫번째 캐패시턴스를 설정하고, 전도수단이 컨테이너내의 유체와 접촉하도록 탐침을 컨테이너속으로 이동시키고, 탐침의 그러한 이동의 결과로서 전도면과 유체와의 사이에 두번째 캐패시턴스를 설정하고, 그리고 두번째 캐패시턴스가 설정된 후 탐침의 이동을 멈추며, 이것에 의해 유체내의 탐침의 깊이가 최소화 되도록 한 여러 단계들을 포함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에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혈청과 같은 그러한 유체의 조성 성분들을 분석하기 위한 장치(10)의 일부분이 도식적으로 도해되어 있다. 장치(10)는 지면으로서 하기에서 언급될 기준전위에 연결된 전지전도 샤시(12)를 포함한다. 샤시(12)는 이온화된 유체(18)를 보유하는 켄테이너(16)를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샤시(12)는 또한 제2의 이온화된 유체(18')를 보유하는 제2의 컨테이너(16')를 지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장치(10)가 혈청의 조성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컨테이너(16)내의 유체(18)는 분석될 혈청의 샘플을 표시한다. 게다가 종래의 혈청분석이 특별한 조성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해 혈청샘플과 반응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시약들을 사용하므로 컨테이녀(16')내의 유체(18')는 이 분석에 유용한 다양한 시약들 중의 하나를 대표한다.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컨테이너(16, 16')는 전기적으로 부도체이며, 양호하게는 스티렌 또는 고밀도 포리에틸렌으로 형성된다.
또한, 장치(10)는 컨테이너(16)내에 보유된 유체(18)내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탐침(20)을 포함한다.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탐침(20)은 금속, 양호하게는 300시리이즈 스테인스 스틸로 형성된다. 탐침(20)은 전형적으로는 유체(18)(혈청)의 샘플을 흡인하여 그 샘플을 기계수단(50)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장치(10)의 테스트 스테이션(14)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유사하게, 장치(10)는 양호하게는 컨테이너(16')내에 보유된 유체(18')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제2탐침(20')을 포함한다.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탐침(20')은 전기적 전도성 중합체, 양호하게는 전도성 폴리프로피렌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된다. 탐침(20)에서 처럼, 탐침(20')은 유체(18')(시약)의 샘플을 흡인하여 이 샘플을 기계수단(50)에 의해 장치(10)의 테스트 스테이션(14)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기계수단(50)으로부터 탐침(20, 20')까기의 점선은 그 사이의 기계적 연결의 도식적인 표시이다). 혈청과 시약 샘플들이 테스트 스테이션(14)으로 이동된 후, 이들은 당해 기술에서 공지된 방식으로 분석이 진행되는 큐베트(도시되지 않음)내에 첨가된다.
탐침(20, 20')의 어느 하나는 기계수단(50)에 연합된 종래의 기계적 탐침 선택수단(51)에 의해 기계수단(50)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계수단(50)은 탐침(20, 20')을 각각의 컨테이너(18, 18')속으로 선택적으로 삽이한 다음, 탐침으로 테스트 스테이션(14)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단순한 기계적인 아암, 복잡한 로봇시스템 또는 다른 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기계수단(50)이 어떤 형태를 취하던지 양호하게는 회로수단(40)의 제어하에서 작동된다. 회로수단(40)은 연합된 임피던스수단(30)에 의해 차례로 영향을 받는다.
임피던스 수단(30)은 도선(32)을 거쳐 탐침 커플링 수단(31)에 연결된다. 커플링 수단(31)은 통상적으로 탐침(20)이나 또는 탐침(20')으로부터 잭을 수용하기 위한 소켓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탐침(20) 또는 탐침(20')은 회로 임피던스의 부분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탐침(20)이나 탐침(20')은 회로 매개변수를 회로내에서 변경시키기에 적합한다.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임피던스의 임계변화는 탐침(20)이 유체(18)에 삽입되거나 또는 탐침(20')이 유체(18')에 삽입된 후 일어난다. 이러한 임피던스의 임계변화는 회로수단(40)으로 하여금 기계수단(50)의 작동의 어떤 특징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케 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장치(10)와 관련하여 사용된 탐침(20)과 같은 그러한 탐침의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탐침(20)은 양호하게는 꺼꾸로된 원추형의 구성에 가까운 테이퍼진 형상을 가진다. 특히, 탐침(20)은 길이가 대략 7.62㎝(대략 3인치)이고, 상부의 약 1.016㎝(대략 0.4인치)의 직경으로부터 바닥의 약 0.127㎝(대략 0.05인치)의 직경까지 좁아지고 있다.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탐침은 유체를 흡인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러므로 축방향 개구(22)는 중앙에 가까운 단부(26)로부터 말단의 팁(24)까지 탐칩(20)의 중앙 아래로 연장한다. 개구(22)는 시약과 같은 그러한 소량의 유체를 흡인하여 그 량을 테스트 스테이션(14)의 쿠베트속으로 인가시키기 위해 흡입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탐침(20)은 양호하게는 금속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참조번호 28로 표시된 전도수단에 의해 특징된다. 이 특별한 구성이 구현된다 면, 본 발명은 흡인탐침 또는 특별한 전도물질에 제한될 필요는 없고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명백히 정의된다.
탐침(20')은 탐침(20)의 구성에 유사하지만 양호하게는 전도성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탐침(20')은 또한 전도수단에 의해 특징으로 된다. 이후에 더욱 명백하게 될 이유들에 대해, 탐침(20)에 연합된 전도수단(28)과 탐침(20')에 연합된 전도수단은 양호하게는 실질적으로 각 탐침들의 말단의 팀까지 완전히 연장한다.
각 탐침에 연합된 전도수단은 연합된 컨테이너 속으로 탐침으로 삽입하고 그 결과 그곳에 보유된 유체와 접촉하기 전에 장치(10)의 접지된 샤시(12)에 의해 탐침 캐패시턴스를 설정한다.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유체(18)와의 그러한 접촉전의 탐침(20)의 탐침 캐패시턴스는 14pf이다. 같은 상황하에서 탐침(20')의 탐침 캐패시턴스는 역시 약 14pf이다. 한편 탐침(20)의 전도수단(28)이 컨테이너(16)내에서 유체(18)와 접촉할 때, 탐침 캐패시턴스는 약 16pf까지 증가한다. 이것은 전도수단(28)이 이온화된 유체(18)와 접촉할 때, 이 유체가 효과적으로 확대된 용량성 "판"이 되어 탐침 캐패시턴스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일어난다. 동일한 이유로, 탐침(20')과 연합된 탐침 캐피시턴스는 연합된 전도수단이 유체(18')와 접촉할 때 약 25pf까지 증가한다. 따라서, 탐침(20, 20')과 연합된 탐침 캐패시턴스(및 상호 연결된 임피던스)는 이들 각각의 전도수단이 이들의 대응한 컨테이너내의 이온화된 유체와 접촉할 때 임계변화를 일으킨다.
제1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탐침(20)이나 또는 탐침(20')은 하나의 탐침 또는 다른 탐침이 수단(31)을 경유하여 도선(32)에 연결될 때 임피던스 수단(30)의 부분을 형성한다. 이때 이 임피던스는 회로수단(40)에 인가된다. 회로수단(40)의 작동은 제3도를 참조로 하면 더욱 잘 이해될 수가 있다.
회로수단(40)은 발진기/전압 검출기로서 작용하는 장치(42)를 포함한다.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장치(42)는 단자(43 내지 44)의 제1그룹과 단자(45내지 47)의 제2그룹을 포함하여, 복수개의 단자들을 가지는 집적회로 LM1830이다.
양호하게는 10내지 120pf 사이에서 조정할 수 있는 가변 콘덴서 (48), 그리고 약 50pf의 고정 콘덴서(49)는 병렬로 장치(42)의 단자(43,44)에 연결되어 있다. 콘덴서(48)는 50KHz에서의 대략 3.4볼트 최대치의 출력신호가 단자(45)에서 장치(42)에 의해 발생되도록 조정된다. 장치(42)의 단자(45)는 고정저항기(72)와 가변저항기(74)를 통해 연결된다.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고정저항기(72)와 가변저항기(74)는 각각 대략 1M과 2M이다.
가변저항기(74)는 양호하게는 노드(77)와 고정1.2K 저항기(76)를 경유하여 연결수단(31)에 연결된 와이퍼암(75)를 가진다. 도선을 거쳐 탐침(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잭(도시되지 않음)이 연결수단(31)에 결합될 때, 탐침(20)은 제1도의 블록(30)에 의해 표시된 임피던스 수단의 부분을 형성한다. 그 대신, 도선을 거쳐 탐침(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잭(도시되지 않음)이 연결수단(31)에 결합된다면 탐침(20')은 임피던스 수단(30)의 부분을 형성한다.
탐침(20)이 연결수단(31)에 연결된다고 가정하면, 고정저항기(76)의 저항과 조합하여 있는 탐침 캐패시턴스(전도수단(28)과 장치(10)의 접지된 샤시(12) 사이에 설정됨)는 가변저항기(74)의 와이퍼암(75)의 작동에서 기인한 저항과의 분로된 관계에 있는 임피던스를 형성한다. 이 임피던스는 장치(42)의 단자(45)에서 발생된 출력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킨다. 이때 감소된 진폭신호는 연산증폭기(60)입력(61)에 인가된다. 연산증폭기(60)는 종래의 것으로 입력(61)에서 인가된 신호의 이득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신호는 0.01mf 콘덴서(66)를 거쳐 장치(42)의 단자(46)로 통과된다.
장치(42)의 단자(46)에 인가된 신호가 충분한 진폭을 가진다면, 이것은 단자(47)의 전압레벨을 "고전위"로부터 접지로 변화시키게 될 것이다. 이것은, 차례로, 2.2K 저항기(81)와 빛 방출 다이오드(80)를 통해 전원장치(70)(+24볼트)초부터 단자(47)로 전류통로를 설정한다. 이 전류는 잘 알려진 원리에 따라 다이오드(80)를 조명한다. 그리하여, 다이오드(80)는 탐침(20)이나 탐침(20')이 각 컨테이너(16, 16')내의 유체와 접촉하지 않을 때 조명된다. 그리하여, 다이오드(80)는 탐침(20)이나 탐침(20')이 각 켄테이너(16, 16')내의 유체와 접촉하지 않을 때 조명된다. 물론, 단자(46)의 전압이, 탐침(20)과 연합된 전도수단이 켄테이너(16)의 유체와 접촉할 때(또는 그대신 탐침(20')과 연합된 전도수단이 켄테이너(16')의 유체와 접촉할 때)일어나는 상황에서, 단자(47)에서의 출력을 "고전위"에서 부터 접지로 변경시키기에 불충분한 진폭을 가진다면, 전류통로는 다이오드(80)를 거쳐 설정되지 않고, 다이오드는 조명되지 않을 것이다.
단자(47)에서의 전압이 "고전위"를 유지할 때, 전원장치(70)로부터의 전압은 제너 다이오드(82)를 거쳐 제너 다이오드(86)에 의해 스퍼리어스 신호로부터 보호된 접지된 방출기 트랜지스터(84)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 전압은 트랜지스터(84)를 전도시켜서 미리 비교적 높은 상태에 있는 콜렉터를 접지한다. 높은 상태에서부터 트랜지스터(84)의 콜렉터에서의 접지까지의 변환은,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기계수단(50)에 인가된 제어신호를 구성한다.
기계수단(50)은 양호하게는 탐침의 하강을 멈추게 하고 그러므로써 컨테이너내에서 탐침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제어신호에 반응한다. 탐침에 연합된 전도수단이 용기내의 유체와 접촉한 후에 제어신호가 거의 즉시 발생되므로, 그리고 전도수단이 탐침의 말단의 팀에 위치되므로, 탐침의 유체속에 깊이는 바람직하게 최소화된다. 이것은 탐침에 들러붙은 잔류유체의 량을 감소시키며, 이는 탐침이 이어서 다른 유체속으로 배치될 때 일어나는 교차오염의 량을 감소시킨다.
장치(10)의 양호한 작동은 이제 설명될 수 있다. 처음에, 컨테이너(16)와 같은 그러한 이온하된 유체의 컨테이너는 접지된 샤시(12)와 같은 그러한 장치(10)의 전도면상에 지지된다. 네1탐침 캐패시턴스는 접지된 샤시(12)와 탐침(20)과 연합된 전도수단(28) 사이에 설정된다. 기계수단(50)은 탐침(20)의 말단의 팀(24)에서 전도수단(28)이 컨테이너(16)의 이온화된 유체(18)와 접촉하도록 탐침(20)을 컨테이너(16) 속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이 일어나면, 제1캐피스턴스 보다 더 큰 제2캐피시턴스가 설정된다. 임피던스내의 이러한 변화는 장치(60)의 단자(61)에서 발생된 출력신호를 크게 감소시킨다. 이렇게 감소된 출력신호는 다이오드(80)를 통해 차례로 전류통로를 막는 장치(42)의 단자(47)에서 나타나는 비교적 높은 전압을 야기시킨다. 그 결과, 다이오드(80)에 의해 방출된 빛이 꺼진다.
장치(42)의 단자(47)에서의 비교적 높은 전압의 존재가 트랜지스터(84)의 베이스에 충분한 전압을 인가시키고 이로 인해 그 트랜지스터를 턴-온 시킨다. 트랜지스터(84)가 턴-온하면, 높은 상태에서 부터 접지된 상태까지의 변환이 콜렉터에서 일어나며, 그 결과 기계수단(50)에 인가된 제어신호를 초래한다. 제어신호를 받으면 기계수단(50)은 자동을 탐침(20)의 하강을 정치시키며, 그럼으로써 탐침(20)이 유체(18)내에 잠겨지는 깊이를 최소화한다.
이때 유체(18)는 콘테이너(18)로부터 흡인되어 잘 알려진 방식으로 분석을 위해 테스트 스테이션(14)에 이동된다. 물론, 전도수단(28)이 유체(18)와의 접촉에서 취해지면 곧장 탐침 캐패시턴스는 장치(42)의 단자(47)에서 접지가 일어나는 것을 감소시킨다. 물론 이것은 다이오드(80)를 조명하여 탐침(20)이 유체(18)와 접촉하지 않는다는 것을 신호한다. 이것은 또한 트랜지스터(84)의 베이스에 지금까지 인가된 전압을 감소시켜서, 콜렉터에서 이전에 발생된 제어신호를 제어한다. 이 제어신호의 존재는(그의 연합된 전자기술의 제어하에서) 전도수단(28)이 유체(18)와 접촉할 때까지 기계수단(50)이 컨네이너(16) 속으로 탐침(20)을 다시 낮추게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유체의 교차 오염을 최소화시키며, 그럼으로써 분석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신뢰할만한 결과에 기여한다. 게다가, 본 설계는 약 10마이크로미터의 최소 유체 샘플체적을 허용하고, 유체증발에 관련된 지금까지의 많은 문제점들을 감소시키며, 장비 및 작동경비에서 실질적인 절약을 달성한다.
지금까지 기술된 것은 혈청과 같은 그러한 유체의 분석에 유용한 개선된 방법 및 장치이다. 비록 양호한 실시예가 여기에 기술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진실한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형 및 적용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게 명백해 질 것이다. 그러한 모든 변형 및 적용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포함된다.

Claims (10)

  1. 유체의 일부와 접촉하기 위한 탐침을 사용하여 유체를 분석하는데 유용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탐침에 연합된 전도수단과, 상기 전도수단이 컨테이너내의 상기 유체와 접촉할 때 임게변화를 받기에 적합한 임피던스 수단과, 상기 임피던스의 임계변화에 반응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임피던스수단에 연결된 회로수단과, 상기 제어신호를 받고 상기 켄테이너 내에서 상기 탐침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회로수단에 연결된 기계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분석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은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분석용 테스트 스테이션으로 상기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분석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컨테이너를 지지하기 위한 샤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분석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는 상기 전도수단 및 상기 샤시에 의해 정의된 캐패시턴스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분석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이온화되며 상기 전도수단의 상기 유체와의 접촉은 상기 임피던스 수단을 상기 임계변화를 받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분석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수단은 상기 탐침의 선단의 팁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분석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도물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분석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물질은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분석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폴리프로피렌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분석용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물질은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분석용 장치.
KR1019850004116A 1984-06-13 1985-06-12 유체분석용 방법 및 장치 KR880001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2014784A 1984-06-13 1984-06-13
US620147 2000-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557A KR860000557A (ko) 1986-01-29
KR880001692B1 true KR880001692B1 (ko) 1988-09-06

Family

ID=24484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116A KR880001692B1 (ko) 1984-06-13 1985-06-12 유체분석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97244A (ko)
EP (1) EP0164679B1 (ko)
JP (1) JPH067112B2 (ko)
KR (1) KR880001692B1 (ko)
CA (1) CA1268814A (ko)
DE (1) DE358640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5286A (en) * 1988-02-25 1991-09-03 Olympus Optical Co., Ltd. Device for aspirating a fixed quantity of liquid
JPH063395B2 (ja) * 1988-08-26 1994-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面検出機能を有する分析装置
DE69126690T2 (de) * 1990-04-06 1998-01-02 Perkin Elmer Corp Automatisiertes labor für molekularbiologie
WO1992022879A1 (en) * 1991-06-13 1992-12-23 Abbott Laboratories Optical imaging for positioning and cell counting
JP2564628Y2 (ja) * 1991-08-01 1998-03-09 東亞医用電子株式会社 試薬分取装置における泡検知装置
DE4203638A1 (de) * 1992-02-08 1993-08-12 Boehringer Mannheim Gmbh Fluessigkeitstransfereinrichtung fuer ein analysegeraet
JP3152727B2 (ja) * 1992-03-31 2001-04-03 株式会社東芝 ノズル型分析装置
US5270210A (en) * 1992-07-16 1993-12-14 Schiapparelli Biosystems, Inc. Capacitive sensing system and wash/alignment station for a chemical analyzer
DE4331997A1 (de) * 1993-09-21 1995-03-23 Boehringer Mannheim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Mischung von Flüssigkeiten
US5550059A (en) * 1994-02-23 1996-08-27 Bayer Corporation Fluid sensing pipette
DE19750642C2 (de) * 1996-11-19 1998-11-26 Hitachi Ltd Analysator mit Pipettiersonde
EP0913671A1 (de) * 1997-10-29 1999-05-06 Roche Diagnostic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lüssigkeitstransfer mit einem Analysegerät
JP3577917B2 (ja) * 1997-10-31 2004-10-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分析装置
DE19919305A1 (de) 1999-04-28 2000-11-02 Roche Diagnostic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lüssigkeitstransfer mit einem Analysegerät
US7222526B2 (en) * 2004-06-17 2007-05-29 Ortho-Clinical Diagnostics, Inc Liquid measurements using capacitive monitoring
US7482939B2 (en) 2005-11-15 2009-01-27 Roche Molecular Systems, Inc. Electrical drop surveillance
EP2147317B1 (en) 2007-04-18 2017-08-0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ispense volume
DE102016205811A1 (de) * 2015-08-21 2017-02-23 Mahle International Gmbh Wasserstandsensoreinrichtung eines Kraftstofffilters
US11819840B2 (en) * 2017-12-28 2023-11-21 Formulatrix, Inc. Pipette tip for and method of automatically maintaining pipette tip depth in a fluid
EP3614151B1 (en) 2018-08-20 2023-07-19 F. Hoffmann-La Roche AG Method of operating a laboratory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94823A (en) * 1953-12-04 1958-05-14 Harry Colman A method of and means for indicating the presence of water in petrol tanks
US3119266A (en) * 1960-11-10 1964-01-28 Duane E Atkinson Level indicating system, method and probe
GB1071656A (en) * 1964-06-02 1967-06-07 Mirko Machacek Capacitive responsive apparatus
DE1288323B (de) * 1965-01-16 1969-01-30 Endress Hauser Gmbh Co Anordnung zur Ausloesung von Schaltvorgaengen in Abhaengigkeit von Kapazitaetsaenderungen
US4066412A (en) * 1966-04-26 1978-01-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utomatic clinical analyzer
DE2041678A1 (de) * 1969-09-06 1971-03-11 Greiner Electronic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Transferpipette
US3900289A (en) * 1971-04-12 1975-08-19 Abbott Lab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a compartment
US4198483A (en) * 1976-03-13 1980-04-15 Olympus Optical Company, Limited Pipette exchange apparatus
JPS5339184A (en) * 1976-09-21 1978-04-10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Separately sampling apparatus of blood serum
US4326851A (en) * 1980-10-24 1982-04-27 Coulter Electronics, Inc. Level sensor apparatus and method
JPS57132064A (en) * 1981-02-09 1982-08-16 Toshiba Corp Determinate quantity dispensing apparatus
JPS58147630A (ja) * 1982-02-26 1983-09-02 Fuji Fujita Gakuen 上層液の分取装置
DE3322657A1 (de) * 1983-06-23 1985-01-10 VEGA Grieshaber GmbH & Co, 7620 Wolfach Vorrichtung zur ueberwachung einer laenglichen, fuer die kapazitive fuellstandsmessung in einem behaelter vorgesehenen sonde auf abri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7112B2 (ja) 1994-01-26
KR860000557A (ko) 1986-01-29
EP0164679B1 (en) 1992-07-29
JPS6140551A (ja) 1986-02-26
DE3586408T2 (de) 1993-02-25
DE3586408D1 (de) 1992-09-03
EP0164679A3 (en) 1988-05-11
EP0164679A2 (en) 1985-12-18
US4897244A (en) 1990-01-30
CA1268814A (en) 199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692B1 (ko) 유체분석용 방법 및 장치
US5648727A (en) Capacitive level sensing pipette probe
JP2799302B2 (ja) 分析装置
US4326851A (en) Level sensor apparatus and method
US5493922A (en) Liquid level sensing probe and control circuit
JP3158054B2 (ja) 液体採取装置
US6270726B1 (en) Tube bottom sensing for small fluid samples
US5045286A (en) Device for aspirating a fixed quantity of liquid
EP2741087B1 (en) Method and system for fluid surface detection
US6413475B2 (en) Automatic analysis apparatus with liquid level detection function
JPH0217448A (ja) 空気式検出方式
JP2799301B2 (ja) 分析装置
US4777832A (en) Liquid level sensor, used in an automatic station for preparing immunologic dosages
US6107810A (en) Analyzer with function of detecting liquid level
EP0556336A1 (en) Sample pipetting method
US5582798A (en) Volume sensing device
JPH09133686A (ja) 液面検出装置および検出方法
JP6563114B2 (ja) 自動分析装置
JP3421556B2 (ja) 液面検出機能を備えた分析装置
JPH09127132A (ja) 液面検出装置
JPH01216268A (ja) 液体分注装置
JP3322604B2 (ja) 分注用チップ
JPH07213927A (ja) 液面センサー機能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ピペット
JPH03261864A (ja) 自動化学分析装置の液面検出装置
JPH08210896A (ja) 自動化学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7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