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242B1 - 지폐감별기 - Google Patents

지폐감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242B1
KR880001242B1 KR1019830004322A KR830004322A KR880001242B1 KR 880001242 B1 KR880001242 B1 KR 880001242B1 KR 1019830004322 A KR1019830004322 A KR 1019830004322A KR 830004322 A KR830004322 A KR 830004322A KR 880001242 B1 KR880001242 B1 KR 880001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banknote
state
b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526A (ko
Inventor
장보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30004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242B1/ko
Publication of KR850002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폐감별기
제1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동작플로우챠트.
제3도는 본 발명의 동작파형도.
제3a도는 전원투입과 준비완료 동작관계의 파형도.
제3b도는 이상시켄스와 운전록크신호간에 대한 파형도.
제3c도는 운전록크신호와 모우터 및 삽입록크신호동작 관계의 파형도.
제3d도는 강제반환시켄스의 파형도.
제3e도는 지폐걸림시켄스의 파형도.
제3f도는 감별시켄스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폐감별장치부 2 : 신호검출분석부
3 : 마이컴 4 : 에스크루우(ESCROW ; E/C)장치부
5 : 반송 및 에스크루우모우터 6 : 신호출력부
A : 지폐 B : 지폐검지센서부
C : 에스크루우전자식 D : 출금(出金)센서
E : 광검출부 F : 자기검출부
G : 신호정형분석부 H : 중앙처리장치(CPU)
I : 모우터(K)제어부 J : 동기 제어부
K : 모우터 L : 동기센서
N : 전원 M : 인터페이스(INTERFACE)
P : 코인체인저 및 자동판매기 EA : 광위치검출부
EB : 광파장검출부
본 발명은 금전유통의 자동화를 위하여 지폐를 감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된 종래의 금전처리기계에 있어서, 주화류의 감별처리기는 많이 보급되어 있는 편이지만 지폐류는 화폐감별이 용이하지 못하여 금전유통을 자동화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폐유통의 자동화에 대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새로 발행되는 지폐상의 여러가지 감별요소를 식별하여 지폐의 자동처리에 이용하므로써 자동예금기, 자동지불기, 은행업무기기, 각종 상품판매기, 오락기 및 동작교환기 등 각종 금전자동유통장치의 효과적이고 광범위한 사용을 구현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지폐검지센서(B)와 에스크루우전자식(C) 및 출금센서(D)로 구성되는 지폐감별장치부(1)에 지폐(A)를 투입시켜서 광위치검출부(EA), 광파장검출(EB), 자기검출부(F) 및 신호정형분석부(G)로 구성되는 신호검출분석부(2)에서 자기 및 적외선반응에 의한 제정보(지폐의 크기, 형상, 폭, 특수물질의 유무, 파장등)를 정형분석하여 마이컴(3)내 중앙처리장치(H)에 공급하도록 하고, 중앙처리장치(H)에서 기억된 정보와 비교판별하여 판정된 신호를 출력단을 통해 모우터제어부(I) 및 동기제어부(J)로 구성된 에스크루우장치부(4)와 인터페이스(M)로 구성되는 신호출력부(6)에 공급하여 지폐(A)를 입금 또는 반금시키는 에스크루우장치부(4)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며, 이러한 출력신호로서 모우터(K)와 동기센서(K)로 구성되는 반송 및 에스크루우 모우터(5)를 제어하여 지폐의 입금 및 반환동작이 실시되도록 함과 동시에 신호출력부(6)의 출력신호를 코인체인저 및 자동판매기(P)와 같은 급전유통기기의 구동신호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E는 광검출부, N은 전원, ①∼⑦은 지폐검지센서(B)의 신호선, ⑧∼⑪은 광 및 자기검출부(E)(F)의 신호선,
Figure kpo00001
은 신호정형분석부(G)의 출력선,
Figure kpo00002
는 에스크루우장치부(4)의 입력선,
Figure kpo00003
은 에스크루우전자석(C)의 신호선,
Figure kpo00004
은 모우터(K)의 신호선,
Figure kpo00005
은 출금센서(D)의 신호선,
Figure kpo00006
는 동기신호선, ø1∼ø9는 신호출력부(6)의 출력단을 나타낸다.
제1도는 상기한 구조로 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로, 전원(N)을 온상태로 해 주게 되면 지폐감별기의 메인부에 지불시 사용할 지폐가 없을 경우 및 감별기의 고장시 이외에는 지폐감별기에 있는 외부표시등에 의해 정상동작상태임이 표시되게 된다.
이어 사용자가 상기 외부표시등이 온상태로 있을 경우에 지폐(A)를 지폐감별장치부(1)에 투입시켜 주게 되면, 투입된 지폐(A)는 에스크루우전자서(C)의 록크에 의해 지폐감지센서부(B)와 에스크루우전자석(C)의 사이에 놓여지게 되는바, 이때 지폐감지센선부(B)에 설치된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구성된 지폐투입검출센서 및 지폐폭검출센서와, 자기파장검출부 및 적외선파장검출센서에 의해 지폐의 기본정보, 예컨대 지폐의 위치와 폭, 색상 및 지폐에 함유된 광물의 양들이 검출되어 신호선(①∼⑦)을 통해 신호검출분석부(2)에 공급되게 되고, 신호검출분석부(2)에서는 공급되어진 지폐감지정보를 정형분석해서 그 결과에 대한 신호를 신호선(⑧∼⑪)을 통해 중앙처리장치(H)에 보내주게 되며, 중앙처리중치(H)는 입력되어진 신호정보와 기억되어 있던 해당 지폐에 대한 정보를 비교해서 진권여부를 판별한 후 신호선
Figure kpo00007
을 통해 모우터제어부(I)에 신호를 보내주게 된다.
또한, 모우터제어부(I)는 공급된 판별신호에 따라 에스크루전자석신호선
Figure kpo00008
을 통해 에스크루우전자석(C)에 중앙처리장치(H)의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출력신호를 보내줌으로써 에스크루전자석(C)의 록크에 의해 걸려져 있는 지폐(A)를 반환 및 통과시져 주게 된다.
이어 제2도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 의거 본 발명에 따른 지폐감별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지폐감별기장치에 전원을 투입(공급)해 주게 되면 일단 지폐감별기는 내부시스템의 이상유무를 판별하게 되는바, 이대 내부시스템에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 신호검출분석부(2)로 부터 준비완료신호가 출력되게 됨으로써 전시스템은 지폐감별을 위한 대기상태로 되게 된다.
한편 내부시스템에 이상이 발견되게 되면 예컨대 지폐감별기내에 잔돈지불용 화폐가 없거나 또는 감별기의 고장등과 같은 이상이 발겨되게 되면, 모우터제어부(I)로부터 에스크루우전자석신호선
Figure kpo00009
을 통해서 에스크루우전자석(C)으로 수입금지신호가 전송되게 됨으로써 에스크루우전자석(C)의 록크가 열리지 않게 되어 지폐(A)가 투입도지 못하게 된다.
한편, 수입금지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지폐(A)를 투입해 주게 됨으로써 지폐는 지폐검지센서부(B)에 설치되어 있는 지폐투입검출센서와 지폐폭검출센서로 구성된 광위치검출부와, 자기파장검출부 및 적외선파장검출센서 및 적외선감광검출센서로 구성된 광파장검출부 등에 의해 지폐의 제정보 예컨대, 지폐의 색상 및 지폐에 함유된 광물의 양등이 검출되어 신호검출분석부(2)에 보내지게 된다. 이어, 신호검출분석부(2)에서는 공급되어진 신호를 분석해서 즉, 입력신호에 따른 출력신호를 중앙처리장치(H)내에 보내주게 되고, 이 중앙처리장치(H)에서는 신호검출분석부(2)로 부터 입력되어진 데이터와 중앙처리장치(H)내에 기억되어져 있던 해당 지폐에 대한 제정보 예컨대, 상기 색상 및 광물의 양에 대한 정보등을 비교해서 진권인지 위권인지를 판별하게 되는바, 이때 위권이라고 판정되면 거절신호가 모우터제어부(I)를 통해 모우터에 전송되어 지폐반송이 이루어지고, 진권이라고 판정되면 입구센서전(①)으로 부터 출구센서선((2))까지의 시간오차를 감별하여 시간오차가 기준치와 상이하게 되면 지폐(A)를 다시 반환하여 이때는 지폐(A)의 연속투입시에도 지폐(A)를 반환하게 된다.
또한, 지폐감별기의 메인부(main part)상태를 체크하여 수입금지신호가 있을때에도 투입된 지폐(A)는 반환된다. 수입금지신호가 없어서 진권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진권신호출력을 메인부로 송출시키기 위한 신호가 출력되어 에스크루우(E/C)가 이루어지므로써 투입지폐는 수금된다. 이어 수금이 완료되면, 다시 대기상태로 환원되지만 지폐투입자의 자의적인 환불지시명령이 입력되게 되면 지폐(A)는 반환되게 된다.
그러므로, 반송이 완료되면 다시 접속점
Figure kpo00010
의 대기상태로 환원되고, 그렇지 않으면 지폐(A)가 통과할 수 있는 일정한 시간까지 반송(返送)이 완료되어 모우터(K)가 정지하게 된다.
또 타임오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접속점
Figure kpo00011
의 상태가 재개되고, 정해진 시간이후까지 지폐(A)가 남아 있을 경우에는 접속점
Figure kpo00012
의 상태로 부터 모우터(K)가 계속 동작하게 되며 모우터(K)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지폐이상상태에 따르는 반송동작의 해제가 이루어져 다시 대기상태로 돌입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동작플로우챠트에 의해서 실시되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회로동작과 파형도에 입각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a도에 도시된 파형도는 상기한 바와같은 전원(N)투입시 신호검출분석부(2)에서의 준비완료 동작관계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여기에는 에스크루우전자석(C)록크에 지폐가 없을 경우와 있을 경우로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다.
우선, 전원(N)을 투입시켜 주게되면, 전원(N)은 (3-1a)에 도시된 바와같은 파형으로 공급되게 되는바, 지폐감별장치부(1)의 지폐갑지센서부(B)에서 감별된 신호는 지폐감지센서부(B)에 있는 수광 및 발광소자로 된 지폐감지센서에 의해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즉, 수광소자와 발광소자사이에 지폐가 놓여 있을 경우에는 "H"레벨로 출력되어지고, 상기 수광소자 및 발광소자사이에 지폐가 놓여지지 않은 경우에는 "L"레벨이 출력되게 된다.
또한, 기기의 정상상태 및 이상상태를 표시해 주는 램프신호와, 타이머신호 및 운전록크신호는 기기가 전원(N)투입후 초기상이태로 부터 정상상태로 되게 되는 소정시간(4sec)동안 온상태로 되고, 신호출력부(6)에 있는 다른 주변기기 접속용 릴레이접점은 오프상태로 되게 된다. 또한, 신호검출분석부(2)로 부터 준비완료신호는 네가티브 오프상태에서 네가티브 온상태로 변경된 후 감별기 내부에 지폐(A)가 없을 때 이외의 신호는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감별기내부에 지폐가 투입되게 됨으로써 투입된 지폐(A)를 감별할 수 있는 기간동안에는 감별신호가 온(ON)상태로 되고 그후 신호검출분석부(2)와 마이컴(3) 및 에스크루우장치부(4)에 전원(N)이 (3-1c)와 같은 파형인 온(ON)상태로 공급되며, 타이머신호는 (3-1d)와 같이 오프(OFF)상태로 있다가 감별신호가 온(ON)상태에서 오프(OFF)상태로 된 후 4초동안 온(ON)상태로 됨으로써 전기기가 안정상태로 돌입된다. 따라서 지폐검지센서(B)에서 지폐(A)의 제정보가 검출되어 신호검출분석부(2)에 공급되므로 신호검출분석부(2)의 운전록크신호는 (3-1e)와 같은 파형인 온(ON)상태로 되었다가 정상동작에 필요한 4초의 기간이 지난후에 오프상태로 변경되어 전기기를 자유자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준비완료 신호도(3-1f)와 같이 내가티브 오프(OFF)상태를 유지하다가 네가티브 온(ON)상태로 변경된다.
이상과 같이 투입된 지폐(A)가 위권일때는 신호검출분석부(2)에서 출금센서(D)와 모우터제어부(I)로 반송신호를 보내 주게 됨으로써 모우터(K)는 모우터제어부(I)의 신호에 따라 지폐(A)를 반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때 위권인 지폐(A)가 나오기전에 모우터제어부(I)에서 발생된 에스크루우전자석(C)록크의 해제신호가 에스크루우전자석신호선
Figure kpo00013
을 통해 에스크루우전자석(C)록크를 해제시켜 주어 지폐(A)는 감별기밖으로 반송되어 진다. 그리고, 지폐(A)가 지폐검지센서(B)를 통과할때 지폐(A)의 이상이 검지된 경우의 그 신호파형은 제3b도와 같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제3b도는 이상 시켄스와 운전록크신호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형도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운전록크신호(3-2h)와 준비완료신호(3-2i)는 지폐감별기내에서 이상상태가 발생했을 경우의 파형을 구분해서 도시해 놓은 것이다.
즉, 투입된 지폐(A)의 상태에 따라 적외선발광다이오드램프가 끊어졌을 경우에는 적외선발광다이오드에 대한 신호는 (3-2a)와 같이 되고, 투입된 지폐(A)에 대한 지폐의 특성화된 인쇄상태의 센싱이 진행될때에 패턴램프가 끊어지게 되는 파형은 (3-2b)와 같이 되는바, 이 신호가 지폐검지센서선(①∼⑦)을 통해 신호검출분석부(2)에 인가되고, 신호검출분석부(2)의 램프절단(끊어짐)신호선
Figure kpo00014
으로 출력되는 램프절단신호는 상기 파형(3-2a)와 (3-2b)가 결합된 파형(3-2c)으로 출력되어 이때에는 운전록크신호(3-2h)가 온상태로 되고, 준비완료신호(3-2i)가 네가티브 온상태로 되어 지폐감별기는 오프상태로 되게 된다.
한편, 상기(3-2c)와 같은 파형이 발생되어진 후 외부에 있는 에스크루우스위치신호(3-2d)가 인가되게 되면 마이컴(3)내에 있는 중앙처리장치(H)의 모우터록크신호선
Figure kpo00015
을 통해 모우터록크신호(3-2e)가 발생되고, 이어 모우터록크신호(3-2e)가 네가티브온상태로 변경된 후에도 지폐걸림플립플롭신호(3-2f)와 지폐의 이상 걸림 플립플롭신호(3-2g)가 순차적으로 발생됨에 따라 신호검출분석부(2)와 에스크루우장치부(4)사이에 운전록크신호(3-2h)가 발생하게 됨으로서 이때는 지폐(A)의 진권이 아닌 것으로 판별되고, 신호검출부(2)의 준비완료신호선(⑮)을 통해서 중앙처리장치(H)에 공급되게 되는 신호파형 (3-2i)은 네가티브 온상태로 중앙처리장치에 다시 판별되어 감별기는 비동작상태로 되게 된다.
위와 같은 동작은 지폐(A)가 위권이때와 이상상태가 발생될 때 동작되는 과정이고, 지폐(A)가 진권일 때에는 에스크루우전자석(C)을 통과하게 되는 지폐(A)의 제정보(지폐의 길이, 자기기록상태, 고유파장, 특수물질의 유무등)가 지폐검지센수부(B)에서 검지되어 신호선을 통해서 신호검출분석부(2)에 공급되는데, 신호검출분석부(2)는 광검출부(E)와 자기검출부(F) 및 신호정형분석부(G)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폐검지센서부(B)에서 입구센서선(①)과 출구센서선((2))를 통한 신호는 지폐(A)의 길이 및 폭에 대한 정보로서 광검출부(E)의 광위치검출부(EA)에 인가되고, 또 제1, 제2, 제3의 적외선 센서선(③)(④)(⑤)을 통과하는 신호는 지폐(A)의 고유파장 및 기타정보로서 광검출부(E)의 광파장검출부(EB)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광검출부(E)에서는 지폐의 위치를 검출해냄과 더불어 적외선반송에 의한 지폐의 크기라던지 형상을 검출해서 검출된 신호들을 신호정형분석부(G)에 공급하게 되고, 이 경우 지폐검지센수부(B)로 부터 자기센서선(⑥) 및 특수물질반응센서선(⑦)을 통과하는 신호가 지폐(A)의 자기기록상태와 특수물질의 유무상태 정보로써 자기검출부(F)에 인가된다.
이로부터 자기검출부(F)에서는 자화(磁化)에 의해 지폐의 크기 및 형상을 검출해 낸 다음 그 검출된 신호를 신호정형분석부(G)에 공급해 주게되므로 신호정형분석부(G)는 광검출부(E)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정형화해서 중앙처리장치(H)에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정형분석된 신호가 입구위치신호선(⑧), 광파장신호(⑨), 자기신호선(⑩) 및 출구위치신호선(⑪)을 통해 마이컴(3)에 공급되면, 마이컴(3)의 중앙처리장치(H)는 각 화폐의 종류에 따른 기준치와 투입된 지폐(A)의 상황에 다른 정보를 비교하여 진권인가 위권인가의 여부를 판별하여 판별된 정보를 에스크루우장치부(4)와 신호출력부(6)에 각각 공급해 주게되고, 이때 상기 정형분석된 신호는 신호정형분석부(G)로 부터 표1에서와 같은 각종 출력신호로서 마이컴(3)에 공급된다.
[표 1]
신호정형분석부(G)의 출력선
Figure kpo00016
여기서, 표1과 같은 출력신호는 중앙처리장치(H)에 입각되어 각종 화폐종류 및 각 상황에 따른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데이터와 비교되어 투입지폐의 전위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또 판별된 신호는 마이컴(3)의 중앙처리장치(H)를 통해 신호출력부(6)와 에스크루우장치부(4)에 공급됨에 따라 에스크루우장치부(4)에 공급되는 출력신호는 표2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표 2]
에스크루우장치부(4)의 입력선
Figure kpo00017
상기 표2와 같은 입력신호는 중앙처리장치(H)에서 판별되는 신호로서 모우터제어부(I)와 동기제어부(J)로 구성되는 에스크루우장치부(4)에 공급되므로 에스크루우장치부(4)에서는 지폐(A)가 반금 및 입금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에스크루우전자석(C)신호선
Figure kpo00018
을 통해 에스크루우전자석(C)을 작동시키는 한편, 모우터 신호선
Figure kpo00019
을 통해 모우터(K)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반송 및 에스크루우모우터(5)에 있는 동기센서(L)에서의 동기신호는 동기신호선( T20 )을 통해 에스크루우장치부(4)의 동기제어부(J)에 공급되어 모우터(K)를 검지동작에 알맞는 일정속도로 동기시켜 주게 된다.
이어, 상기한 고정을 통해 정상적으로 감별된 지폐(A)의 각종신호는 마이컴(3)의 중앙처리장치(H)에서 신호출력부(6)에 공급되는데, 이 경우 상기 신호출력부(6)는 주로인터페이스(M)로써 구성되고, 이 신호출력부(6)를 통과하는 출력신호는 다음과 같다.
ø1은 (+)전원, ø2는 올리젝트(ALL REJECT)신호, ø3는 중지신호, ø4는 1000원 합격신호, ø5는 입금신호, ø6은 반환(返還)신호, ø7은 동작중 신호, ø8은 100원(주화)거스름 없음 신호, ø9는 (-)신호.
여기서 상기한 각종신호는 금전유통기기인 코인체인저 및 자동판매긱(P)의 구동신호로서 기능하도록 적용해 줄 수 있게 되는데, 이와같이 적용시키는 경우에 있어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종신호를 코인체인저에 적용시키는 경우는 입금된 지폐(A)의 금액에 해당하는 상품의 판매신호를 판매기에 송출해 주는 한편, 금액의 차액이 발생했을 때에는 거스름돈이 지불되도록 해 줄 수가 있다.
또, 동전교환기에 적용시키는 경우에는 입금된 지폐의 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폐의 종류와 매수에 맞게 교환해서 지불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자동예금기에 적용시키는 경우에는 입금된 지폐의 금액을 입수(入受)한 다음 기존의 예치금액과 동시에 정산해서 카드에 프린팅 및 기억시키게 해 줄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을 각종 금전유통기기에 적용시키면 어떤 목적으로 응용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지폐(A)가 투입되어 일어나는 여러가지 관계에 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c도는 운전록크신호와 모우터(K) 및 삽입록크신호의 상호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신호검출분석부(2)와 에스크루우장치부(4)사이의 운전록크신호(3-3a)가 네가티브오프도는 상태에서 마이컴(3)의 중앙처리장치(H)의 모우터 정, 역회전신호선
Figure kpo00020
을 통과한 신호(3-3b)(3-3d)가 모우터(K)를 구동시키게 되는데, 중앙처리장치(H)의 모우터정회전 신호선
Figure kpo00021
을 통과한 모우터정회전 신호파형도(3-3b)이 네가티브 온상태로 될때 모우터(K)는 (3-3c)와 같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반면, 모우터(K)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역방향신호가(3-3d)와 같이 발생되면 정방향회전은 일시 중지되었다가 역방향신호가 없어진 후에 다시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운전록크신호(3-3a)가 (3-3d)와 같이 네가티브 온상태가 되거나 준비완료신호가 오프상태인 경우에는 모우터정회전신호(3-3b)가 네가티브 온상태가 되어도 모우터정회전 동작상태(3-3c)는 오프상태로 되어 지폐감별기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와달리 운전록크신호(3-3d)와 같이 네가티브 온상태로 되면 모우터(K)는 역방향으로 동작하게 되고, 운전록크신호(3-3a)가 네가티브 오프, 온상태나 준비완료신호가 오프상태인 경우에는 모우터역회전신호가 (3-3d)와 같은 네가티브 온상태가 되어도 모우터(K)의 동작은 (3-3E)와 같이 오프상태로 되어 지폐감별기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H)의 출력선
Figure kpo00022
을 통한 삽입록크신호(3-3F)는 삽입된 지폐(A)를 에스크루우전자석(C)에 의해 록크시키도록 적용하는데 이러한 삽입록크동작은 상시 록크형(3-3h)은 모우터(K)가 역회전으로 진행될때 에스크루우전자석(C)의 록크가 해제되어지는 반면, 상시 열림형(3-3g)은 중앙처리장치(K)의 출력선인 삽입록크신호선
Figure kpo00023
을 통한 삽입록크신호(3-3f)가 네가티브 온상태로 될때 에스크루우전자석(C)이 록크되어지며, 상기 네가티브 오프상태에서는 에스크루우전자석(C)의 폭크가 열리게 되어 지폐(A)를 반환해 주도록 되어 있고, 상시 열림형(3-3g)의 준비완료신호(오프상태나 운전록크신호(3-3a)가 네가티브 온상태로 될때는 에스크루우전자석(C)의 록크가 잠긴다.
또, 제3d도가 파형도는강제 반환시켄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중앙처리장치(H)의 모우터역회전 신호선
Figure kpo00024
을 통한 모우터역회전신호(3-4a)가 네가티브 오프상태에서 네가티브 온상태로 스위칭변경되면 모우터(K)는 (3-4b)에서와 같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지폐(A)를 반환(返還)시킨 다음 정상상태로 복귀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중앙처리장치(H)의 출력선
Figure kpo00025
을 통한 신호는 삽입록크작동상태가 (3-4c)와 같이 상시 록크형으로서 모우터(K)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에스크루우전자석(C)의 록크를 해제시켜 지폐가 반환되도록 제어해주게 된다.
그러므로 지폐(A)가 감별기내에 있을 경우에 출력되는 (3-4d)와 같은 삽입신호는 모우터역회전신호(3-4a)가 네가티브 온상태인 경우에 네가티브 온상태의 신호를 발생시켜 에스크루우전자석(C)를 동작시키게 되며, 지폐가 감별기 입구부로 밀려나온 후에 출력되는 입구신호(3-4e)는 네가티브 오프상태에서 네가티브 온상태로 되었다가 다시 네가티브 오프상태로 되어 지폐(A)가 감별기내부로 부터 나오게 되므로 이후 감별기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제3e도의 파형도는 지폐걸림시켄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시켄스에서는 정상상태와 이상상태로 구분되고 있다. 즉, 지폐가 정상상태일 때는 신호검출분석부(2)에 입구신호선(⑫)을 통한 입구신호가 (3-5a)와 같이 네가티브온상태로 되며, 그후 삽입신호선(⑬)을 통한 삽입신호는 (3-5b)와 같이 네가티브 온상태로 되는 한편, 신호검출분석부(2)에서 정형분석된 신호기 이상상태로 검지되면 삽입신호는 (3-5b)와 같이 네가티브 오프상태로 되고, 신호검출분석부(2)의 출력선
Figure kpo00026
을 통한 지폐걸림신호(3-5g)가 네가티브 온상태로 된 후에 운전록크신호(3-5h)사 발생되므로 지폐(A)는 감별기로 부터 나오게 된다.
그리고 모우터(K)의 정, 역회전상태(3-5c)는 정상상태에서 온상태로 모우터(K)의 정방향으로 동작하다가 중앙처리장치(H)내에서 지폐걸림을 판별하는 타이머상태가 (3-5d)와 같이 지폐걸림타이머는 오프상태로 되므로 중앙처리장치(H)내의 지폐걸림플립플롭신호(3-5e)가 정상 및 이상상태에서 오프상태로 되었다가 이상상태(5초)동안 온상태로 되고, 걸림신호(3-5g)와 운전록크신호(3-5h)가 온상태로 된 다음 모우터(K)동작의 정, 역회전 상태(3-5c)는 이상상태(5초동안)를 거치는 동안 역회전되어 걸렸던 지폐(A)를 배출시켜 주게 된다.
이어, 제3f도의 파형도는 감별시켄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합격동작 및 불합격동작상태로 구분되고, 여기에서 지폐감별장치부(1)내의 지폐검지센서부(B)에 지폐(A)가 놓여진 경우에 지폐검지센서부(B)는 입구센서(3-6A), 제1감별센서(3-6C), 제2감별센서(3-6d) 및 출력센서(3-6E)의 순서로 지폐의 제정보를 검지하여 합격 및 불합격 상태를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또, 입구센서신호(3-6A)는 입구센서선(①)을 통해 광위치검출부(EA)에 공급되어 지폐(A)의 위치를 적외선 반응에 의해 검출하게 되고, 입구센서신호(4-6a)는 신호정형분석부(G)에서 정형분석파형으로 되어 입구 신호선(⑫)을 통해 출력된다.
이어, 입구신호선(⑫)을 통한 입구신호(3-6b)는 입구센서신호(3-6A)가 온상태일때 네가티브 온상태로 변환되고, 제1감별센서신호(3-6c)는 제1, 제2, 제3의 센서선(③, ④, ⑤)을 통해 광파장검출부(EB)에 공급된다.
그리고, 제2감별센서신호(3-6d)는 자기센서선(⑥)과 특수물질반응센서선(⑦을 통해 자기검출부(F)에 공급되고, 출구센서(②)을 통해 광위치검출(EA)에 공급되도록 제1, 제2 감별센서신호(3-6c)(3-6d)와 출구센선신호(3-6E)는 (3-6f)와 같이 결합되어 지게 되며, 이 결합된 신호는 신호검출분석부(2)에서 자기(磁氣)나 적이선반응에 의해 정형분석된 파형으로 삽입신호선(⑫)을 통해 삽입신호가(3-6f)의 네가티브 온상태로 나타나게 된다. 그러면, 지폐(A)가 감별기내에서 이상유무를 500ms시간동안 판정신호(3-6g)로 판정해 낸 다음 이 판정신호(3-6g)는 입구센서신호(3-6a)의 네가티브 온상태가 시작되는 상태로 부터 제2감별센서신호(3-6d)의 온상태가 끝나는 시점까지 지속된다.
또, 신호검출분석부(2)의 합격신호선(⑭)을 통한 네가티브 형태의 합격신호(3-6h)는 삽입신호(3-6g)가 온상태로 시작될때 부터 온상태로 되었다가 네가티브 삽입신호(3-6f)가 오프상태로 변환될때 오프상태로 변경된다.
또한, 투입된 지폐(A)의 상태가 합격신호(3-6h)로서 합격신호선(⑭)을 통해 마이컴(3)내의 중앙처리장치(H)로 송출되어 각종화폐의 종류판별과 삽입되는 지폐(A)의 여러가지상태로 따른 정보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정보와 비교판별해서 모우터정회전 동작파형(3-6i)을 입구센서신호(3-6A)가 네가티브 온상태로 시작될 때부터 제2감별센서신호(3-6D)의 온상태가 끝나는 시점까지 모우터(K)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출력해 주고, 이어 검지가 끝난후에는 오프상태로 변경되다가 감별기내에 홀드되고 있는 합격지폐를 받아 들이는 신호(3-6i)가 중앙처리장치(H)에서 비교판별된 다음 합격신호(3-6h)로서 온상태로 될때 모우터정회전 동작을 (3-6i)와 같이 온상태로 변경시키게 됨에 따라 모우터(K)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지폐(A)가 입금되게 된다.
이와달리, 불합격동작상태에서는 마이컴(3)내의 판정신호(3-6G)가 불합격신호를 발생할때부터 모우터는(3-6j)와 같이 역회전을 하게 되므로 지폐(A)는반금(返金)되게 된다.
중앙처리장치(H)의 출력선
Figure kpo00027
을 통한 에스크루우 정방향신호(3-6i)는 감별기내에 홀드되고 있는 합격지폐를 받아 들이는 신호로 되어 감별기가 합격신호(3-6g)를 인가받는 경우에 에스크루우 정방향신호(3-6i)파형으로 출력되고 에스크루우정바향 플립플롭신호(3-6m)는 모우터정회전 동작상태(3-6i)가 온상태일때 온상태로 동작하게 되므로 에스크루우 장치부(4)를 통해 모우터(K)가 정방향으로 구동되어 지폐(A)는 입금되고, 또한 불합격신호(3-6n)는 모우터역회전동작상태(3-6j)가 온상태일때 발생되어 모우터(K)를 역회전시키게 되므로 지폐(A)는 반환되게 되며, 이상 삽입동작상태(3-6K)는 입구신호(3-6b)의 온상태가 끝날때에 나타나게 되면서 불합격신호(3-6n)가 나타날때에 이상삽입동작상태(3-6K)는 오프상태로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진권인가 위권인가의 여부를 감별사능하게 제조된 새로운 지폐를 자기(磁氣) 및 적회선반응에 의해서 정형분석하여 각 지폐에 따른 크기와 형상의 오차를 검지해 낸 다음 이렇게 검지된 신호와 마이컴(3)에 기억된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진권 또는 위권의 판정을 해서 이 판정을 에스쿠루우장부(4)에 공급해줌으로써 지폐를 입금 또는 반금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을 하드웨어에 응용하고 응용된 기기를 동전교환기, 자동예금기, 자동판매기 등에 접속시키면 보다 광범위하고 효과적인 금전유통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광위치검출센서와 광파장검출센서 및 자기검출센서로 구성된 지폐감지센서부(B)와 에스크루우전자석(C) 및 출금센서(D)로 구성되는 지폐감별장치부(1)에 광위치검출부(EA), 광파장검출부(EB), 자기검출부(F) 및 신호정형분석부(G)로 구성되어 자기 및 적외선반응에 의한 지폐의 제정보를 정형분석하는 신호검출분석부(2)가 연결되고, 이 신호검출분석부(2)의 출력단에는 기억된 정상지폐의 정보와 투입지폐의 비교판별하여 위권, 진권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된 마이크로컴퓨(3)의 중앙처리장치(H)가 연결되며, 이 중앙처리장치(H)의 출력단에는 지폐(A)을 입금 또는 반금시키는 모우터제어부(I)와 동기제어부(J)로 구성되는 에스크루우장치부(4) 및 신호출력부(6)가 연결되고, 상기 에스크루우장치부(4)의 출력단에는 모우터(K)와 동기 센서(L)가 포함되어 있는 반송 에스크루우모우터(5)가 연결되며, 상기 신호출력부(6)의 출력단에는 지폐(A)의 입금 및 반환동작이 가능하도록 된 코인체인저 및 자동판매기(P)와 같은 금전유통기기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감별기.
KR1019830004322A 1983-09-14 1983-09-14 지폐감별기 KR880001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4322A KR880001242B1 (ko) 1983-09-14 1983-09-14 지폐감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4322A KR880001242B1 (ko) 1983-09-14 1983-09-14 지폐감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526A KR850002526A (ko) 1985-05-13
KR880001242B1 true KR880001242B1 (ko) 1988-07-12

Family

ID=1922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322A KR880001242B1 (ko) 1983-09-14 1983-09-14 지폐감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739B1 (ko) * 1998-07-28 2002-09-26 엘지전자주식회사 현금자동지급기의미인도또는잔류지폐회수장치
KR100792148B1 (ko) * 2006-12-27 2008-0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검지장치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526A (ko) 198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32362C (zh) 利用分隔卡半连续处理货币的方法
RU2361279C2 (ru) Способ подтверждения источника получения банкнот
KR900007891B1 (ko) 지폐의 수입 제어 방법
KR880001242B1 (ko) 지폐감별기
JP3874207B2 (ja) 入出金システム
JPH10334315A (ja) 自動取引装置
JPH087151A (ja) 媒体処理装置
JP2003175254A (ja) 遊技場の有価物管理システム
JP2010086441A (ja) 紙葉類搬送電子機器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JP2003157465A (ja) 紙幣取扱装置
JP2005111003A (ja) 遊技場システム、現金管理装置及び搬送異常検出方法
JP2809461B2 (ja) 現金管理システム
JPH0521809B2 (ko)
JP2006184991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3833420B2 (ja) 貨幣処理装置
JP2004215762A (ja) 遊技装置
JP6861467B2 (ja) 貨幣管理システム、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管理方法
JP3551434B2 (ja) 自動取引機の紙幣分配処理装置
JPS6255190B2 (ko)
JP2943354B2 (ja) 紙幣識別機の制御装置
JP2003126530A (ja) 遊技媒体貸出装置および紙葉類搬送制御システム
CN112489285A (zh) 钱币处理机
JP2003162749A (ja) 貨幣処理装置、貨幣処理装置の運用方法
JP6264094B2 (ja) 現金処理装置
JPH08101944A (ja) 自動取引装置の媒体量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6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