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968Y1 - 필기구 캡 - Google Patents

필기구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968Y1
KR880000968Y1 KR2019850009677U KR850009677U KR880000968Y1 KR 880000968 Y1 KR880000968 Y1 KR 880000968Y1 KR 2019850009677 U KR2019850009677 U KR 2019850009677U KR 850009677 U KR850009677 U KR 850009677U KR 880000968 Y1 KR880000968 Y1 KR 880000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itting wall
pipe
outer cylinder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9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045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수한양행
Priority to KR2019850009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968Y1/ko
Publication of KR8700020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0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9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기구 캡
제1(a)도, 제1(b)도는 본 고안에 따른 1실시예의 필기구 캡종단면도.
제2(a)도, 제2(b)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필기구 캡 종단면도.
제3도는 필심파이프의 부분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제5(a)도, 제5(b)도는 본 고안에 따른 1실시예의 필기구 캡종단면도.
제6(a)도, 제6(b)도는 본 고안에 또다른 실시예의 필기구 캡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필심파이프
2a : 리브 3 : 캡
3a : 제1끼움벽부 3b : 제2끼움벽부
3c : 돌설부 3d : 슬릿트
3e : 리브
본 고안은 필기구의 필심파이프나 외통에 제조상의 오차가 생기더라도 상기 필심파이프나 외통에 원활히 끼워 맞춰지도록 한 필기구의 캡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샤아프펜슬과 같은 필기구의 필심파이프나 외통에 끼워 맞추도록한 캡이 많이 고안되어 있지만 기계적인 대량생산의 제조공정에서 그 칫수가 기준치에서 약간씩 변경되어 생산되어 지므로서 캡이 필심파이프나 외통에 너무 강하게 끼워지거나, 아니면 아주 약하게 끼워져 서로 끼워 맞추기가 어렵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필심파이프나 외통이 사출 성형제품으로된 경우에는 비교적 제조상 오차는 적지만 압출 성형제품으로 된 경우에는 원형의 정확도나 내외경의 제조오차가 많이 일어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되어 진 것으로서, 필심파이프 또는 외통을 제조함에 있어 제조오차가 생겨도, 그에 대응하여 이들을 집어물게 되는 형식으로 가깝게 형성시켜 놓은 제1및 제2끼움벽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의해서 필심파이프나 외통에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된 필기구캡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1 실시예를 들어 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a)도, 제1(b)도 및 제2(a)도, 제2(b)도는 필기구 외통(1)내의 필심파이프(2)에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 맞춰진 캡(3)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관한 캡(3)은 필심파이프(2)의 바깥원주면 쪽에 위치하는 제1끼움벽부(3a)와 이 제1끼움벽부(3b)내측에 인접하여 돌출되어 있으면서 필심파이프(2)의 안쪽 원주 면쪽에 위치하는 제2끼움벽부(3b)를 갖는 내측돌출부(3c)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부호 3d는 직경방향의 신축작용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슬릿트(3d)이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필심파이프(2)에 제조공정상 오차가 생겨 설계칫수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진 경우에는, 제1(a)도 및 제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끼움벽부(3a)를 필심파이프(2)의 바깥원주면쪽에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 결합시킴으로서 캡(3)을 필심파이프(2)에 끼워 맞춘다.
또, 캡(3)이 필심파이프(2)에 확실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하기 위해 제3도에서와 같이, 필심파이프(2)의 바깥원주 벽면 또는 안쪽원주벽면(도시되지 않음)에다 리브(2a)나 홈을 형성시키거나 다각형상으로 성형해도 좋으며, 이와는 반대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3)의 제1및 제2끼움벽부(3a, 3b)에 리브(3e)를 형성시키거나 다각형상으로 성형해도 좋다.
제5도는 외통(1)에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 맞춰놓은 캡(3)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이 실시예에서도 제1끼움벽부(3a)와, 제2끼움벽부(3b)가 소정의 인접거리로 밖에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설계칫수보다 직경이 클 경우에는, 제5(a)도와 같이, 제1끼움벽부(3a)가 외통(1)의 바깥원주면쪽에 착탈할 수 있도록 끼워 맞춰지고, 이와는 반대로 설계칫수보다 직경이 적은 경우에는 제5(b)도와 같이 제2끼움벽부(3b)가 외통91)의 안쪽 원주면쪽에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 맞춰진다.
또 제6(a)도,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및 제2끼움벽부(3a, 3b)에 리브(3e)을 형성시킨다든지 외통 또는 필심파이프(2)를 제1및 제2끼움벽부(3a, 3b)양쪽에서 끼워 결합되어 지지하고 있도록 양끼움벽부의 간격을 형성시켜 놓아도 좋다.
또 이 실시예에서도 외통(1) 또는 캡(3)에 리브나 다각형상 또는 홈등을 형성시켜 양자간 끼워맞춤이 부드럽게 되도록 해도 좋다.
그런데 본 고안은 샤아프펜슬이나 볼펜등 필기구 전반에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필심파이프 또는 외통을 집어물고 있는 형식으로 제1및 제2끼움벽을 형성시켜 놓았기 때문에 필심파이프나 외통의 제조에 제조오차가 생겨나도 그것에 대응하여 제1 또는 제2끼움벽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의해서 그들을 쉽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끼워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필심파이프(2) 또는 외통(1)의 바깥원주면쪽에 위치하는 제1끼움벽부(3a)와 상기 제1끼움벽부(3a)의 내측방향으로 돌설되어 상기 필심파이프(2) 또는 외통(1)의 내경원주상에 위치하는 제2끼움벽부(3b)가 형성된 내측돌설부(3c)를 갖추고, 상기 제1및 제2끼움벽부(3a, 3b)가 외통(1)가 필심파이프(2)의 내·외원주면상에 접촉하여 끼워지도록 된 필기구 캡.
KR2019850009677U 1985-07-27 1985-07-27 필기구 캡 KR880000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9677U KR880000968Y1 (ko) 1985-07-27 1985-07-27 필기구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9677U KR880000968Y1 (ko) 1985-07-27 1985-07-27 필기구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045U KR870002045U (ko) 1987-03-16
KR880000968Y1 true KR880000968Y1 (ko) 1988-03-17

Family

ID=19244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9677U KR880000968Y1 (ko) 1985-07-27 1985-07-27 필기구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9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045U (ko) 198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151825U (ko)
JP5406255B2 (ja) 化粧料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880000968Y1 (ko) 필기구 캡
JPS5570738A (en) High pressure glass column for high speed liquid chromatograph
US3230574A (en) Means for sealing a wick type marking device
JP2008230180A (ja) グリップを有した筆記具
JP6637384B2 (ja) 筆記具等のキャップ
JPH0725731Y2 (ja) 試料管用キャップ
JPS6027Y2 (ja) まほうびんの口ゴム
JP2013035230A (ja) 筆記具用軸筒
JPS6142869Y2 (ko)
JP5363961B2 (ja) 筆記具
JPS6144858Y2 (ko)
JP4412587B2 (ja) 筆記具用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筆記具
JPS5837678Y2 (ja) シヤ−プペンシル
KR910007828Y1 (ko) 샤프 펜슬의 녹크장치
JPH1040748A (ja) 電線リングマーク
JP2000152988A (ja) 注射器の押し子
KR840001765Y1 (ko) 샤아프 펜슬
KR840001764Y1 (ko) 샤아프 펜슬
JPH025989Y2 (ko)
KR900006765Y1 (ko) 샤프펜슬의 녹크장치
KR200270395Y1 (ko) 양방향 필기구용 잉크통 및 그것이 내장된 양방향 필기구
JPH0528697U (ja) テンプレート
JPS597106Y2 (ja) シヤ−プペンシル等の筆記具用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