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931B1 - 콘크리트와 같은 무거운 유동물질을 위한 2개의 실린더 펌프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와 같은 무거운 유동물질을 위한 2개의 실린더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931B1
KR880000931B1 KR8200393A KR820000393A KR880000931B1 KR 880000931 B1 KR880000931 B1 KR 880000931B1 KR 8200393 A KR8200393 A KR 8200393A KR 820000393 A KR820000393 A KR 820000393A KR 880000931 B1 KR880000931 B1 KR 880000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utting ring
shutter device
cutting
fa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390A (ko
Inventor
쉬빙 프리드리히
Original Assignee
프라드리히 쉬빙
프리드리히 빌 쉬빙, 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렝크터 하프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12376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8000093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프라드리히 쉬빙, 프리드리히 빌 쉬빙, 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렝크터 하프퉁 filed Critical 프라드리히 쉬빙
Publication of KR830009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7/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having positively-driven valving
    • F04B7/0084Component part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04B7/0088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istribution members and the housing
    • F04B7/0092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istribution members and the housing for oscillating distribution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Slurry pumps, e.g.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크리트와 같은 무거운 유동물질을 위한 2개의 실린더 펌프
제1도는 셧터장치의 작동 싸이클을 보여주기 위해서 제2도의 선 B-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2개의 실린더 피스톤 펌프의 공급 실린더의 입구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실시예를 단순화된 형태로 도시하고, 아래에는 절단링 위에 직접 작용하는 정수력학적 압력의 다이어 그램을 보여주는 제2도에 상응한 도면.
제4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제3도에 상응하는 다이어 그램으로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제9도는 실시예의 특수한 작동 조건을 제3도 내지 제7도와 상응하는 다이어 그램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셧터 장치 9 : 면판
14 : 절단 링 19, 20 : 정지면
23 : 가요성 고무 링(또는 스프링) 28 : 자유 표면
33, 34 : 환형 연장부 31, 35, 30, 36 : 시이트
본 발명은 콘크리트와 같은 무거운 유동 물질용의 2개의 실린더 펌프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펌프는 구멍뚫린 면판을 가로 질러 피보트 가능하고 절단 링에 의해 면판에 대해 밀폐되는 셧터 장치를 지니며, 그 절단링은 셧터 장치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직사각형 단면의 가요성 고무링과 결합되는 후방부에서 셧터 장치상에 지지됨으로서 면판에 대해 탄성적으로 밀어 붙여진다.
이러한 펌프는, 콘크리트에서는 모래 및 자갈 입자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치수의 입자들로 구성되는 비교적 많은 양의 물질을 취급해야 한다. 작동에 있어서, 셧터 장치는 배출 실린더를 공급 도관에 연결시키고 인입 실린더를 저장 용기에 연결시키도록 실린더 속의 피스톤 행정 리듬으로 주기적 운동을 수행한다.
절단링은 면판에 대해 밀폐부를 제공하여, 셧터 장치가 이동할때 서로 연관된 부분들의 운동을 방해하는 재료 속에 존재하는 고체입자를 부순다. 따라서, 절단링은 면판에 대해서 상당한 압력으로 밀어 붙여져야 한다. 한편으로는, 절단링은 그 자신과 면판의 마모를 보상하도록 면판과 셧터 장치에 대해 이동 가능하여야 한다.
절단링이 셧터 장치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압축 응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23 63 270호).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선회 파이프 형태인 셧터 장치는 선회 아암에 의해 제어 샤프트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는데, 그 제어 샤프트는 선회 아암에 압축 응력을 가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은 기계부품의 가요성 변형이 면판 근처에 틈새를 발생시키며, 면판과 절단링의 큰 마모량에 대한 보상이 불가능한 단점을 지닌다.
이러한 기계적인 압축응력이 수력학적 압축 응력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는데(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2,835,590호), 이것은 선회 파이프 형태인 셧터 장치가 실린더 개구부들 중 하나와 일직선으로 배치될 때 큰 접촉 압력이 발생되게 변화 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선회 동작이 시작해서 끝날때 까지, 접촉압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은 틈새를 형성하는데, 이는 운반 물질의 단단한 입자 때문에 위험하게 된다. 더우기, 유압으로 압축 응력을 가하는 것은 유압 액체에 의한 콘크리트의 오염 때문에 문제가 된다.
또 다른 개선된 해결책(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2,632,816호)으로는, 절단링이 선회 아암의 연결부에 연결됨으로써 전술된 선회 아암에 연결된 선회 파이프 형태인 셧터 장치에 응력을 가하지 않고 절단링이 압축응력을 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 의해서는 절단링과 면판상의 큰 마모량이 모든 방향으로 보상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장치는 언제든 팀새의 형성을 방지하지 못한다.
운반 물질의 정수력학적 힘에 의해서, 그리고 공급 도관상에 고정된 직사각형 단면의 밀폐링의 축방향 압축에 의해서 S형 선회 파이프 형태인 셧터 장치가 면판에 대해서 정수학력적으로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것이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29 03 749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가요성 고무링의 기계적인 압축 만이 낮은 축방향의 힘을 발생시키는데, 이것은 시이트가 가용성 고무링을 그 내부 표면의 전체 축방향 길이를 따라 내측으로 굽어지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절단링은 그의 자유로운 이동을 부여하도록 구형 표면이 서로 작용하는 베어링 상에서 지지 되는데, 이것은 연판과 절단링 위의 마모를 보상한다.
밀폐링의 배열, 선회 파이프 및 그 S 형상은 바람직한 작동을 수행하는데 문제들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형태의 선회 파이프 속에서 운반되는 물질의 점성은 압력을 특정한 값으로 강하시킨다. 또한, 펌프를 작동시킬때, 예를 들어 셧터 장치가 막히면 압력 강하가 갑자기 증가한다.
이런 경우에, 절단링은 단지 탄성적으로 압축 응력을 받아서 너무 작은 힘으로 압축된다. 절단링의 구성 부분용의 수평 베어링은 상당한 문제들을 부여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미 공지된 해결책(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26 14 895호)로 부터 출발한다.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유동 물질의 정수력학적 압력으로 절단 링의 후방부를 더 크게 압축시키기 위하여, 유동 물질의 정수학력적 압력으로 절단 링의 밀폐 표면을 덜 압축함으로써 면판상에 증가된 힘으로 절단링을 압축하는 정수력학적 압력차를 성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직사각형 단면일 수 있는 밀폐링의 일부가 절단 링에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압축 응력을 가할 수 있도록, 절단링을 반경 방향으로 밀폐하는데 필요한 밀폐링에 압축 응력을 가하는 개념을 기초로 한다. 그러나, 작동시에는 이러한 반경 방향 압축 응력이 면판상으로의 절단링의 압축 응력으로 변화될 수 없다.
그러나, 펌프는 압축 작동뿐 아니라 흡입 작동으로도 작동해야 하기 때문에 밀폐링은 종종 펌프의 흡입작동중에 그 시이트로 부터 상승하여 유동 물질내에 잠긴다.
더우기, 셧터 장치의 선회 이동 중에 면판상으로의 절단링의 불 충분한 압력이 성취되기 때문에 가요성 고무 밀폐링과 절단링이 수력학적 압력에 의해서만 압축 응력을 받는 다는 단점이 있다.
마모에 대한 보상이 몇개의 결합 로드(tie rod)로 선회 파이프 베어링을 다시 조임으로써 가능해 진다. 그러나, 이는 선회측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 부터의 미소한 이탈 조차도 셧터 장치의 심각한 손상과 파괴를 유발시킬수 있기 때문에 펌프에 심각한 위험을 야기시킬 수 있다. 절단링의 큰 마모량은 보상될 수 없어서 틈새의 형성이 마모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야기된다.
더우기,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밀폐링과 함께 사용되는 금속의 팽창 장치로는 이러한 링의 그 시이트로 부터 상승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실제로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형태의 펌프로서 셧터 장치의 작동 중에도 절단링을 면판 위에 신뢰성 있게 압축시키고 가요성 고무링의 소실에 대한 염려 없이 면판과 절단링의 마모를 자동적으로 보상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구멍 뚫린 면판을 가로 질러 피보트 가능하고 절단링에 의해 면판에 대해 밀폐되는 셧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링이, 셧터 장치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직사각형 단면의 가요성 고무링과 결합되는 후방부에서 셧터 장치 상에 지지 됨으로써 면판에 대항하여 탄성적으로 밀쳐지는 콘크리트같은 무거운 유동 물질용의 2개 실린더 펌프에 있어서, 셧터 장치 상에 절단 링의 길이의일부를 배치하기 위한 안내부, 환형의 가요성 링의 표면의 일부가 자유롭게 남도록 링의 양측부에서 링의 단면의 더 긴 변과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환형 연장부를 각기 포함하는 절단 링 및 셧터 장치 상의 가요성 링 용 시이트, 셧터 장치 상에 절단 링을 배치하기 위한 상기 안내부에 절단 링이 삽입되는 범위를 한정하는 절단 링 및 셧터 장치 상의 정지면들에 의해 특징 지워지는 2개 실린더 펌프가 제공된다.
긴 행정 스프링이 가요성 고무 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잘 알려져 있듯이. 이러한 링은 압축시에 그 체적을 변화시키지 않는 프와송 체(Poisson's body)를 형성한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정지면에 의해서 제한된 절단링의 축 방향 이동은, 그것을 위치시키는 장치내에의 최대 삽입시에 절단링을 그것의 안내부내로 최대로 삽입하면 가요성 고무링이 압착되어 시이트로 부터 상승되어, 예컨데, 운반 물질에 의해 이동될 수 없도록 선택된다. 다른 한편으로 2개의 환형의 연장부 사이의 가요성 고무링의 자유 표면은, 이러한 링이 압축으로 파괴되지 않고 필요한 접촉 압력이 성취될 수 있도록 시이트의 치수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 의해서, 작동시에 안내 수단내에 삽입되는 절단링의 후방부 길이는, 마모 발생시에 절단링이 축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고 마모가 심한 경우에 피보트 작동중에 경사질 수 있어서 마모를 보상할 수 있을 만큼 짧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긴 행정의 가요성 환형 고무 스프링으로, 시이트 사이의 환형의 스프링 자유 표면은 운반 물질의 정수력학적 압력을 받는다. 그러나, 환형의 스프링의 기계적인 압축 응력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절단링을 면판 위에 압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힘들은 절단 링의 여러 표면을 상의 정수력학적 힘에 의해서 절단 링의 정수학력적 압력과 결합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가요성 고무링 및 절단링 상의 고무링용 시이트가 운반 물질의 정수력학적 압력을 받으며, 가요성 링은 절단링이 면판 위에 압착되도록 기계적으로 압축 응력을 받는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는 여러가지 표면에 의해서 절단링의 정수력학적 압력과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면판쪽의 절단링의 전방면으로 부터 취해진 압력이 일정하지 않지만 압력이 내측으로 부터 외측으로 감소되는 함수에 따라 분배된다는 사실로부터 출발할 수 있다. 링의 시이트가 내측에 위치되는 한, 절단링의 면판과 반대족 면 및 가요성 고무 시이트는 완전히 정수력학적 압력을 받기 때문에, 여러 가지 표면에 걸쳐 절단링을 정수력학적으로 압축시키는 것이 절단링의 원통형 내부표면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수력학적 압축의 정도는 절단링의 링표면 위에 존재하는 힘의 차가 완전한 보상이 발생될 때까지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다른 장점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몇개의 실시예의 하기 설명에 기술된다.
무거운 물질을 위한 2개의 실린더 펌프의 2개의 공급 실린더의 파이프 기구 측부상의 개구부의 내연부가 제1도에 도번(1) 및 (2)으로 도시된다. 상세히 도시안된 셧터 장치(3)(제2도)가선회 축(5) 둘레로 원호(4)를 따라서 피보트 된다. 쇄선(6) 및 (7)에 의해서 도시된 그 제한 위치에서, 피보트 장치(3)는 도시되지 않은 공급 도관과 하나의 공급 실린더를 연결시키며, 다른 공급 실린더는 인입 용기에 연결되어 인입 용기로 부터 콘크리트를 끌어 들인다. 따라서, 이송 운동 중에, 유동 물질이 인입용기 속에서 넘겨지면 셧터 장치의 압력이 잠깐 낮아진다.
제2도에 따르면, 공급 실린더로 부터의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8)이 면판(9)으로 덮혀지며, 면판은 하우징(8)속의 대응 개구부(11)와 일렬로 정렬되는 각각의 공급 실린더용 구멍(10)을 지닌다. 면판은 평평한 헤드(13)를 지니는 나사(12)에 의해서 하우징(8)에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링(14)은 셧터 장치(3)와의 연결부를 제공한다. 변형예로서, 절단링(14)은 중간링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절단링은 셧터 장치(3)의 실리더 단부(16)에 형성된 안내부(15)내에 놓인다. 안내부는 셧터 장치(3) 단부(16)의 원통형 표면(17)과 그에 대응하는 절단링(14)상의 원통형 표면(18)으로 구성된다. 작동에 있어서, 절단링(14)은 안내부(15) 내에 길이(a) 만큼 삽입된다.
셧터 장치(3)의 단부(16)의 전방면 상의 정지면(19)과 절단링(14)의 외측 환형 플랜지(21)상의 정지면(20)은 절단링이 안내부(15)내로 삽입되는 길이를 한정하는 정지부로서 작용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3도에 도시되어 있지만, 작동에 중요한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셧터 장치(3)의 제한 위치 내에서, 절단링(14)이 개구부(1) 또는 (2)를 에워싼다. 펌프의 작동 중에 셧터 장치의 선회 운동이 수행되면, 절단링과 면판 사이에 도입된 운반 물질은 셧터 장치가 제한 위치에 도달되기 직전에 완전히 절단되어야 한다.
절단링과 면판사이의 절단 동작 중에 절단링(14)의 충분한 지지를 위하여, 절단링은 짧은 거리(a)에서만 직접 지지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환형의 가요성 고무 스프링(23)상에 지지된다.
환형 스프링의 최초의 횡단면은 직사각형이다. 환형 스프링은 짧은 직사각형 변(24, 25)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반면에 긴 직사각형 변(26, 27)이 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환형의 스프링이 장치와 조립되면, 이것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서 축 방향으로 압축 응력을 받는다. 따라서, 환형 스프링은 시이트 사이에 놓이는 표면을 따라 구부러진 형상을 지닌다.
환형 스프링(23)의 시이트는 한편으로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표면(17)의 원통형 연장부(29) 및 도시된 실시예에서 셧터 장치(3) 및 절단 링(14)의 각각의 은촉홈(rabbet)들에 의해 형성된 반경 방향 표면(30, 31)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시된 모든 실시예에서, 제4도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것 같이, 환형 플랜지(33, 34)가 셧터 장치(3)와 절단링(14) 상에 형성되고, 이들은 환형의 가요성 고무 스프링(23)의 표면(35, 36)과 부분적으로 겹친다.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환형 플랜지(33, 34)사이의 표면(28)이 자유롭게 남기 때문에 정수력학적 압력을 받는다. 그러므로, 펌프의 공급 행정 중에, 절단링(14)은 환형 스프링(23)의 기계적인 초기 압축 응력과 절단 링 상에 지탱되는, 환형 스프링에 작용되는 운반 물질의 정수력학적 압력에 의해 면판(9) 상으로 압축된다. 중간직경 Dz(제4도)은 안내부(15)에 의해서 결정된다. 면판상의 절단링(14)의 접촉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 한계는 직경 Di로 표시되며, 반면에 이러한 접촉 표면의 외측 한계는 직경 Da을 지닌다.
하기의 원리에 따라 정확히 작동시킬 수 있다. 중간 직경이 접촉 표면의 외측 직경에 가까원 질수록 면판상의 절단 링의 압축 방향으로 정수력학적 압력의 초과가 발생한다. 만약 중간 직경이 접촉 표면을 이등분 하면, 압력 평형이 이루어진다. 만약 중간직경이 더 작아지면, 면판으로 부터 절단링을 상승시키는 정수력학적 압력차가 발생한다. 이로써, 환형 스프링의 초기 압축에 의해 발생된 압력에 정수력학적으로 보충하지 않고 환형 스프링의 압력만이 작용하게 할 수 있다.
제3도의 도번(32)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한 틈새가 허용되는 경우에 면판과 접하는 절단링(14)의 밀폐표면(37) 또는 면판상의 마모가 발생하면, 절단링이 경사질 수 있고, 따라서 전체 표면 접촉이 새로운 위치 및 마모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보장된다.
정수력학적 압력이 제3도의 하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절단링(14)은 원통형 내측표면(38)을 지닌다. 표면(29)까지의 정수력학적 압력이 작용되는 절단링의 후방부(39)는 반경 방향으로 균일하게 정수력학적 압력을 받으며, 전방면(41)상의 정수력학적 압력은 곡선(4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력학적 압력이 내측으로 부터 외측으로 감소한다. 합성력은 화살표(42, 43)로 도시되어 있는데, 면판(9)의 방향으로 절단링(14)에 작용하는 정수력학적 힘이 힘(43)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알수 있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 절단링(14)의 전방면(41)상의 원추형 요홈(44)에 의해 절단링(14)을 상승시킴으로써 절단링 상에 작용하는 힘(45)은 거의 힘(46) 만큼 크다. 그러나, 힘(47, 49)도 역시 절단링 상에 작용하며 이들은 필수적으로 평형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형 스프링(23)을 초기에 압축시킴으로써 만족스러운 밀폐와 현저히 작은 양의 마모가 대부분이 재료로 성취된다.
제5도에 따르면, 절단링(14)의 압출력은 제3도와 제4도에서의 압축력 사이에 있다. 힘(50)과 (51)은 평형되어 있다. 힘(52)과 (53)은 같은 크기가 아니다.
힘(52)이 절단링(14)을 면판에 대해서 정수력학적으로 압착시킨다.
동시에, 짧게 안내된 절단링(14)은 변형된 환형 스프링(23)에 의해서 정수학적 부하를 받고 기계적으로 압축 응력을 받는다.
지지 링(54)은 가요성 고무링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시키며 도번(5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큰 틈새를 허용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셧터 장치(3)상의 하중은 어떤 금속의 접촉 없이 절단링으로 전달된다.
제6도의 다이어 그램에 따르면, 절단링의 안내부가 표면(17, 18)에 의해서, 제2도에서와 같은 축방향 위치에 있지 않고 환형 스프링(23)뒤에 축방향으로 놓이며, 따라서 정지면들(19)이 절단링(14)의 전방면상에 있고 환형 플랜지(21)가 셧터 장치(3)의 외측 부상에 있다. 따라서, 제1도 내지 제3도에 따른 실시예와는 반대로, 마주한 정지면(20)이 셧터 장치(3)상에 있다.
정수력학적 접촉 압력(59, 60)이 불평형 되어 있고, 따라서 면판(9)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정수력학적 접촉 압력(59)이 단일 작용 압력(60)보다 크다.
제7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6도에 따른 실시예에 도시된 전체적인 형태를 지니는 절단힝(14)내의 환형의 가요성 고무 스프링(23)의 축방향 시이트(31)가 셧터 장치(3)내의 대응하는 시이트(30)와 마주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되어 있다.
따라서, 정수력학적 접촉 압력(61, 62)은 같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절단링(14)은 면판(9)상에 환형 스프링(23)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압축되지만 정수력학적으로 압축되지 않는다.
제8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환형 스프링(23)이 유동 물질의 정수력학적 압력은 받지 않으나 모든 작동 조건에서 기계적으로 압축 응력을 받는다. 따라서, 셧터 장치(3)의 안내부(15) 및 환형 연장부(34)가 외측 부상에 배치된다. 면판(9)상으로 절단링에 압축 응력을 가하도록 정수력학적 압력을 받는 셧터 장치(3)의 전방면(63)과 환형 표면(64)이 절단링의 이동을 제한하는 정지면으로서 작용함으로써, 표면(65)이 제8도의 다이어그램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정수력학적 압력을 받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요성 고무의 환형 스프링(23) 그 밀폐기능을 상실하고, 제8도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밀폐 기능을 절단링(14)의 안내 표면(17)내의 홈(67)속에 형성된 0링(66)에 의해서 수행된다.
제8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정수력학적 압력을 받고 있는 셧터 장치(3)와 절단링(14)의 환형 표면이 서로 마주 보는 링(68)과 (69)위의 축방향 힘이 같지 않게 형성된다. 아래로 압착력(68)이 미는 힘(69)보다 크다.
제8도의 실시예에서, 정지면들(63, 64)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한다. 이러한 현상은, 예를 들어서, 갑작스런 철회중에, 즉, 절단링(14)을 면판(9)으로 부터 상승될때, 너무 단단한 입자가 절단되고 환형 스프링(23)이 설계 범위 이상으로 압축된 경우에 발생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는 매우 드물게 발생된다.
가요성 고무링(23)은 필요한 경우에 제공되는 지지링(54)을 고려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 진다.
특히, 연한 가요성 성질을 지니는 천연고무가 고려될 수 있지만, 부타디엔 혼합 폴리머라이드(butadience mixture ploymerides), 또는 브다티엔 비닐 피리딘(vinyl pyridine)폴리머라이드도 고려된다.
이러한 형태의 환형 스프링으로, 절단링은 제어 상태중에만 면판상에 정수력학적으로 압착될 수 있으며, 필요하면, 정수압이 발생된 후에도 압착된다.

Claims (6)

  1. 구멍 뚫린 면판을 가로 질러 피보트 가능하고 절단 링(14)에 의해 면판(9)에 대해 밀폐되는 셧터 장치(3)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 링(14)이, 셧터 장치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직사각형 단면의 가요성 고무링(23)과 결합되는 후방부에서 셧터 장치상에 지지됨으로써 면판(9)에 대항하여 탄성적으로 밀쳐지는 콘크리트 같은 무거운 유동 물질용의 2개 실린더 펌프에 있어서, 셧터 장치(3)상에 절단 링(14)의 길이(18)의 일부를 배치하기 위한 안내부(15), 환형의 가요성 링(23)의 표면의 일부(28)가 자유롭게 남도록 링의 양측부에서 링의 단면의 더 긴변(27)과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환형 연장부(33, 34)를 각기 포함하는 절단 링(14) 및 셧터 장치(3)상의 가요성 링(23)용 시이트(31, 35 : 30, 36), 셧터 장치(3)상에 절단 링(14)을 배치하기 위한 상기 안내부에 절단 링이 삽입되는 범위를 한정하는 절단링(14) 및 셧터 장치(3)상의 정지면들(19, 20)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2개 실린더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셧터 장치(3)상에 절단 링(14)을 배치하기 위한 안내부(15) 및 환형 연장부(34)가 셧터 장치(3)의 외측부상에 배치되고, 셧터 장치(3) 및 절단 링(14)에는 절단 링(14)을 면판(9)상으로 밀치는 정수력학적 압력을 받으며 역시 정지면으로 작용하는 환형 면(63, 6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셧터 장치(3)상에 절단 힝(14)을 배치하기 위한 안내부가 셧터 장치(3)의 내측에 배치되고, 가요성 링(23)이 자유 표면(28)이 유동 물질의 정수력학적 압력을 받으며, 정지 면들(19, 20)은 절단 링(14)과 셧터 장치(3) 각각의 서로 마주하는 면들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링(14)이, 원통형 내표면(38)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링(14)이, 면판(9)을 향하여 벌어지고 유동 물질의 정수력학적 압력을 받는 원추형 내표면(44)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 링(14)상의 가요성 고무 링(23)용의 시이트(31, 35)가 셧터 장치(3) 상의 시이트(30, 36)와 마주하여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KR8200393A 1981-01-31 1982-01-30 콘크리트와 같은 무거운 유동물질을 위한 2개의 실린더 펌프 KR880000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10321 1981-01-31
DE3103321A DE3103321A1 (de) 1981-01-31 1981-01-31 "zweizylinder-dickstoffpumpe, vorzugsweise betonpumpe mit einem von einer zylinderseitigen brillenplatte abwechselnd schwenkenden schaltorgan"
DEP.3103321.0 1981-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390A KR830009390A (ko) 1983-12-21
KR880000931B1 true KR880000931B1 (ko) 1988-05-31

Family

ID=6123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393A KR880000931B1 (ko) 1981-01-31 1982-01-30 콘크리트와 같은 무거운 유동물질을 위한 2개의 실린더 펌프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2) US4465441A (ko)
EP (1) EP0057288B1 (ko)
JP (1) JPS57146068A (ko)
KR (1) KR880000931B1 (ko)
AR (1) AR226945A1 (ko)
AT (1) ATE8923T1 (ko)
AU (1) AU553485B2 (ko)
BR (1) BR8200501A (ko)
CA (1) CA1180946A (ko)
CS (1) CS231990B2 (ko)
DD (1) DD201819A5 (ko)
DE (2) DE3103321A1 (ko)
ES (1) ES508758A0 (ko)
GR (1) GR76388B (ko)
HU (1) HU183790B (ko)
MX (1) MX156254A (ko)
PL (1) PL138540B1 (ko)
SU (1) SU1160942A3 (ko)
YU (1) YU43251B (ko)
ZA (1) ZA824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2404B1 (de) * 1982-12-24 1986-06-04 Friedrich Wilh. Schwing GmbH Zweizylinderdickstoffpumpe, vorzugsweise Betonpumpe
DE3905355C2 (de) * 1989-02-22 1994-06-23 Schlecht Karl Rohrweiche für Zweizylinder-Dickstoffpumpen
US5037275A (en) * 1987-06-27 1991-08-06 Karl Schlecht Pipe junction switch for two-cylinder thick-material pump
DE3824466A1 (de) * 1988-07-19 1990-01-25 Putzmeister Maschf Mehrzylinder-dickstoffpumpe
US5302094A (en) * 1988-07-19 1994-04-12 Putzmeister-Werk Maschinenfabrik Gmbh Tube switch for a double-cylinder sludge pump
DE3904862C2 (de) * 1989-02-17 1996-01-18 Schlecht Karl Rohrweiche für Zweizylinder-Dickstoffpumpen
DE3905366C2 (de) * 1989-02-22 1996-07-11 Schlecht Karl Rohrweiche für Zweizylinder-Dickstoffpumpen
JP3145488B2 (ja) * 1992-07-10 2001-03-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ポンプのs形ゲートバルブ摺動面密着装置
US5332366A (en) * 1993-01-22 1994-07-26 Schwing America, Inc. Concrete pump monitoring system
DE19528288C1 (de) * 1995-08-02 1996-02-29 Putzmeister Maschf Zweizylinder-Dickstoffpumpe
PT1053401E (pt) * 1998-02-04 2003-08-29 Putzmeister Ag Bifurcacao tubular para bomba de materiais espessos de dois cilindros
US6443718B1 (en) 2000-02-14 2002-09-03 Multiquip, Inc. Shuttle valve for concrete pump
US6857861B2 (en) 2002-05-15 2005-02-22 Kennametal Inc. Ring for concrete pump
US6986303B2 (en) * 2003-07-15 2006-01-17 Reed Llc Displacement shift valve and pumping apparatus and methods using such a valve
GB2416569A (en) * 2004-07-27 2006-02-01 Clarke Uk Ltd Method of and a pump for pumping drill cuttings
US20060193738A1 (en) * 2005-02-26 2006-08-31 Friedrich Schwing Pump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ly conveying a viscous material
DE102005008938B4 (de) * 2005-02-26 2007-01-25 Schwing, Friedrich, Dipl.-Ing. Pump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Förderung breiiger Massen
WO2007111689A2 (en) 2005-11-08 2007-10-04 Good Earth Tools, Inc. Sealing rings for abrasive slurry pumps
US7832269B2 (en) 2007-06-22 2010-11-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ackaging multiple measurands into a combinational sensor system using elastomeric seals
DE102009005318B3 (de) 2009-01-16 2010-09-30 Schwing, Friedrich, Dipl.-Ing. Verfahren zur Förderung breiiger Massen und Pumpvorrichtung zur Förderung breiiger Massen
DE102009052381A1 (de) 2009-11-09 2011-05-26 Schwing Gmbh Dichtungselement, insbesondere für Dickstofffördervorrichtungen
DE102013010768A1 (de) * 2013-06-28 2015-01-15 Schwing Gmbh Umschaltvorrichtung für eine Dickstoffpumpe
DE102013215990A1 (de) * 2013-08-13 2015-02-19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Zweizylinder-Dickstoffpumpe mit Rohrweiche
EP3282125A1 (de) 2016-08-11 2018-02-14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Dickstoffventil
DE102016225920A1 (de) * 2016-12-21 2018-06-21 KSB SE & Co. KGaA Kreiselpumpe mit einer Zerkleinerungsanordnung
ES2704178B2 (es) * 2017-09-14 2019-10-23 Railtech Sufetra S A Zócalo de hormigón para vías ferroviarias, vía ferroviaria que incorpora dichos zócalos y método de instalación de la vía
DE102018119973A1 (de) * 2018-08-16 2020-02-20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Schwenkrohr für Zweizylinder-Dickstoffpumpen
DE102018132476A1 (de) * 2018-12-17 2020-06-18 Schwing Gmbh Absperrschieb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217434A (ko) * 1972-12-21 1974-06-25
DE2362670A1 (de) * 1973-12-17 1975-06-19 Gerd Wolfgang Schellenberg Kolbenpumpe, insbesondere zum foerdern von beton und anderen breiigen massen
DE2614895A1 (de) * 1976-04-07 1977-10-20 Schlecht Karl Beton-rohrweiche
DE2632816C2 (de) * 1976-07-21 1982-07-29 Friedrich Wilh. Schwing Gmbh, 4690 Herne Abdichtvorrichtung für eine Doppelzylinderpumpe, insbesondere für die Förderung von Beton
IT1114648B (it) * 1977-08-18 1986-01-27 Italiana Forme Acciaio Valvola distributrice a tre vie per pompe a due cilindri per calcestruzzo
DE2829181A1 (de) * 1978-07-03 1980-01-17 Scheele Maschf W Rohrweiche fuer eine betonpumpe
DE2851354A1 (de) * 1978-11-28 1980-06-04 Schwing Gmbh F Pumpe fuer breiige massen, vorzugsweise beton
DE2903749C2 (de) * 1979-02-01 1983-11-10 Karl Dipl.-Ing. 7000 Stuttgart Schlecht Kolbenpumpe mit S-förmig gekrümmtem Schwenkrohr
DE2921735A1 (de) * 1979-05-29 1980-12-04 Teka Bau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dichten einer betonpumpe
DE3042930A1 (de) 1980-11-14 1982-07-08 Stetter Gmbh, 8940 Memmingen Rohrweiche fuer betonpump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103321C2 (ko) 1987-05-07
EP0057288B1 (de) 1984-08-08
AR226945A1 (es) 1982-08-31
YU43251B (en) 1989-06-30
PL234875A1 (ko) 1982-08-02
DE3153268C2 (en) 1988-01-28
SU1160942A3 (ru) 1985-06-07
BR8200501A (pt) 1982-12-07
YU310081A (en) 1985-06-30
JPH0323754B2 (ko) 1991-03-29
GR76388B (ko) 1984-08-06
ZA82428B (en) 1983-01-26
CS231990B2 (en) 1985-01-16
AU7970082A (en) 1982-08-12
CS51082A2 (en) 1984-01-16
US4465441A (en) 1984-08-14
CA1180946A (en) 1985-01-15
EP0057288A1 (de) 1982-08-11
AU553485B2 (en) 1986-07-17
HU183790B (en) 1984-05-28
ES8302214A1 (es) 1983-01-01
USRE32657E (en) 1988-04-26
DE3103321A1 (de) 1982-08-12
ES508758A0 (es) 1983-01-01
MX156254A (es) 1988-07-29
PL138540B1 (en) 1986-10-31
JPS57146068A (en) 1982-09-09
KR830009390A (ko) 1983-12-21
ATE8923T1 (de) 1984-08-15
DD201819A5 (de) 198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931B1 (ko) 콘크리트와 같은 무거운 유동물질을 위한 2개의 실린더 펌프
US3942806A (en) Sealing ring structure
US4440404A (en) Packing arrangement
US5431415A (en) Seal with acute heel angle
US4637295A (en) Pump seal with curved backup plate
US4960039A (en) Cylinder with sleeve compacter seals for high pressure pumps
US5947003A (en) Hydraulic piston machine with friction-reducing layer on the cylinder and the cylinder bearing
WO1990000693A1 (en) A combination seal for sealing between two machine parts
FI70982B (fi) Pump av deplacementtyp
JPS6326464A (ja) 自己補償シ−ル
KR880000932B1 (ko) 중유동 물질을 이송하기 위한 펌프용 멀티웨이 밸브
US4516785A (en) Piston with a controlled expansion piston anti-extrusion ring
JPH0472104B2 (ko)
US4185837A (en) Fluid seal with lubricated sealing surfaces
US4155559A (en) Deformable seal for rotary mechanism
EP0656995B1 (en) Tube switch for a double-cylinder sludge pump
US4189172A (en) Pipe coupling
US4337017A (en) Hydraulic sleeve valve and seal arrangement for piston pump
CA2371537C (en) Elastomer energized rod seal with integrated backup ring
US4392655A (en) High-pressure seal with controlled deflection under pressure
JPH03506060A (ja) 2シリンダー濃密物質ポンプの管切り替え部
US5385353A (en) Sealing arrangement
US3759533A (en) Sealing means for rotating shaft
US2986345A (en) Thrust transmitting means for hydraulic jaw crushers
RU2131074C1 (ru) Уплотнение пары с возвратно-поступательным движение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