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772B1 - 공기 분사식 직기의 위입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분사식 직기의 위입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772B1
KR880000772B1 KR828201037A KR820001037A KR880000772B1 KR 880000772 B1 KR880000772 B1 KR 880000772B1 KR 828201037 A KR828201037 A KR 828201037A KR 820001037 A KR820001037 A KR 820001037A KR 880000772 B1 KR880000772 B1 KR 880000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auxiliary
guide element
air
r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8201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294A (ko
Inventor
간지 쓰지
Original Assignee
고시바 헤이지
쓰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시바 헤이지, 쓰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시바 헤이지
Publication of KR830009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06Construction of the nozzles
    • D03D47/302Auxiliary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 분사식 직기의 위입보조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장치와 그에 관련된 부분들의 일 실시예의 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보조장치의 부분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R : 보조바디 3 : 보조공기가이드요소
R : 바디 10 : 공기가이드요소
11 : 차단부분
본 발명은 공기분사식 직기의 위입(緯入)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사 이동로를 한정하기 위한 공기가이드 채널을 마련하기 위해서 바디가 위입방향에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공기가이드요소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분사식 직기의 바디에 의해 위입조절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된 형태의 공기분사식 직기에 있어서, 각 위사는 주요노즐을 통해 분출되는 분사공기에 끌려서 위입을 위한 나란히 배열된 공기가이드 요소들에 의해서 형성된 공기가이드 채널을 통하여 이동되며, 각 공기가이드 요소는 앞면의 절단된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주요노즐을 통해 분출되는 분사공기가 안정되고 성공적인 위입을 위한 위사이동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을 때 보조노즐들은 결과적으로 위사이동중에 수반되는 부가적인 분사공기분출을 지원하기 위하여 위입방향에 규정된 간격을 두고 바디앞에 배열된다.
각 사 가이드 요소의 차단부분이 앞으로 열려 있어서, 공기 가이드 채널을 통해 이동되는 분사공기가 밖으로 새는 경향이 있다. 공기가이드 채널로 부터 피할 수 없는 그러한 공기 누출을 보충하기 위해서 분사공기의 양이 증가해야 하기 때문에 동력소모량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안정된 위입이 불가능한 사이에 분사공기가 위사를 공기가이드 채널, 즉 정상적인 위사이동로를 벗어나서 던져 넣게 되는 것은 매우 심각하다.
그러한 폐단을 피하기 위해서 공기 가이드채널로 부터의 공기누출을 줄이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공기가이드요소 차단부분의 앞면구멍을 최소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최소로된 앞면 구멍의 존재는 공기가이드요소와 그의 조오(Jaw)로 개구를 형성하는 경사들을 걸어 올리게 됨으로써 정상적인 바디침운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서, 공기가이드요소 차단부분의 앞면구멍을 적게 하는 것을 매우 실행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가가이드 채널을 규정하는 공기가이드요소의 형태에 있어서 어떠한 변경없이 더욱 안정된 위입을 위한 공기가이드 채널로 부터의 공기누출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근본적인 측면에 따라, 각 공기가이드요소의 앞면구멍은 일시적으로 공기가이드 채널에서 분사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고 공기가이드 채널로 부터 공기 누출을 감소하기 위해서 적어도 위입운동 동안 독립부재로 덮어 씌우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장치의 일 실시예는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바디(R)의 각 공기가이드요소(10)에는 앞으로 구멍이 난 차단부분(11)이 있으며, 일직선의 공기가이드 채널은 위입방향에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공기가이드요소(10)의 차단부분(11)으로 형성된다. 각 공기가이드요소(10)는 공기가이드요소(10)에 연결된 차단부분을 향하게 되어 있는 빗과 같은 선단을 가진 보조공기가이드요소(3)를 앞면에 수용한다. 결론적으로, 공기가이드요소(10)의 배열에 의해 형성되는 바디(R)는 앞면에 배열된 보조공기가이드요소(3)의 배열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바디(AR)를 수용한다. 직기의 바디침운동 동안에 보조공기가이드요소(3)는 바디(R)의 바디침운동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도면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정지위치에 놓여 있는 반면에, 공기가이드요소(10)의 차단부분(11)의 앞면구멍을 덮기 위해서 다음 위입운동 동안은 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작동위치로 진행한다.
바꾸어 말하면, 보조바디(AR)는 규정된 계획에 따라 정지위치와 작동위치사이를 왕복하도록 배열된다. 위임운동 동안 공기가이드 채널에서 분사공기의 방향이 작동위치로 기록된 공기가이드요소(10)와 보조공기가이드 요소(3)에 의해서 조절되기 때문에 공기가이드 채널로 부터 분사공기의 누출을 잘 막을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보조공기가이드요소의 왕복운동을 일으키는 운전기구의 일실시예가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보조공기가이드요소(3)의 배열은 위입방향에 뻗어 있는 슬아이드 바아(slide bar)(15)에 의해 보조공기가이드요소의 아래쪽 선단에 지지되어 진다. 다수의 경사홈(25a)은 공기가이드요소(10)의 배열을 유지하는 슬레이(25)의 앞면에 형성되고 슬라이드 바아(15)는 위입방햐에 수직적으로 뻗어있는 경사홈(25a)에 활주하여 수용되는 다수의 가이드 바아(16)의 꼭대기에 고정된다. 가이드 바아(16)의 아래쪽 선단은 측면 핀(17)으로 서로 연결된다.
두 갈래진 레버(18)는 직기의 슬레이(25)와 록킹축(rocking shaft)(23)으로 연결된 슬레이 스워드(slay sword)(21)의 측면에 고정된 측면핀(19)에 의해 레버의 정점에서 선회된다. 두 갈래진 레버(18)의 도려진 부분의 상부가지(18a) 말단에 측면핀(17)의 세로 단면이 적절히 수용된다. 두 갈래진 레버(18)의 하부가지(18b)의 말단은 직기틀(Framework)(F)에 공정된 판(7)에 형성된 캠홈(cam slot)(70)에 수용된 로울러(20)을 회전하도록받치고 있다.
슬레이(25)와 더불어 슬레이 스워드(21)가 바디침운동을 위해 록킹축(23)의 축봉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두 갈래진 레버(18)는 이 회전운동(swing motion)을 계속하고 두 갈래진 레버하부가지(18b)에 지지된 로울러(20)는 캠홈(70)에서 왕복 운동한다.
그래서, 두 갈래진 레버(18) 전체로서, 로울러(20)와 계합된 캠홈(70)의 굴곡때문에 측면핀(19)에 대해 회전한다. 두 갈래진 레버(18)의 이 회전운동은 슬레이(25)의 경사홈(25a)에서 대응하는 가이드 바아(16)의 왕복 슬라이딩 운동(sliding motion)을 일으킨다. 이것은 슬아이드 바아(15)와 슬라이드 바아(15)에 의해 지지된 보조공기가이드 요소(3) 배열의 왕복운동으로 동시에 열결한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슬레이드 스워드(21)가 바디침운동을 위해 록킹축(23)의 축봉에 대하여 도면에서 보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두 갈래진 레버(18)는 앞으로 즉 도면에서 왼쪽으로 움직인다.
그 다음, 로울러(20)를 계합하는 캠홈(70)의 전방으로 내리받이로 경사진 굴곡때문에, 두 갈래진 레버(18)는 측면핀(19)에 대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도록 힘이 가해지고, 두 갈래진 레버의 상부가지(18a)는 보조공기가이드요소(3), 즉 보조바디(AR)의 배열이 바디침운동의 정지된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측면 핀(17)을 통하여 가이드바아(16)를 아래 쪽으로 끌어 당긴다. 바디침운동 후 그다음 위입운동이 막 시작되면, 슬레이 스워드(21)는 위입운동을 위해 록킹축(23)의 축봉에 대하여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두 갈래진 레버(18)는 후방으로, 즉 도면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그 다음, 로울러(20)를 계합하는 캠홈(70)의 후방으로 오르막인 굴곡때문에 두 갈래진 레버(18)는 측면핀(19)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돌도록 힘이 가해지고 두 갈래진 레버의 상부가지(18a)는 보조공기가이드요소(3), 즉 보조바디(AR)의 배열이 공기가이드요소(10)의 차단부분(11)의 앞면구멍을 덮는 보조공기가이드요소(3)의 선단들에 대하여 작동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측면핀(17)을 통하여 위쪽으로 가이드 바아(16)를 밀친다.
보조공기가이드요소(3)의 배열의 기록은 주요노즐을 통한 분사공기의 최초 분출을 조절한다.
보조노즐이 부가적인 분사공기의 분출을 위해 사용될 때 그 노즐들은 보통 원할한 바디침운동을 방해받지 않는 위치에 슬레이(25)에 고정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공기가이드요소(10) 배열에 의해 형성된 공기가이드 채널에서 되도록 가까운 위치에 보조노즐들을 일시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추세로, 보조노즐들(SN)은 본 발명에 따라 슬라이드 바아(15)에 직접한 혹은 간접적으로든 상관없이 연결될 수 있다. 전환하면, 보조공기가이드요소(3)의 배열은 상기 기술된 위치에 대해 보조노즐들(SN)의 왕복운동을 일으키는 운전기구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가이드요소(10)의 차단부분의 앞면 구멍은 일시적으로 보조공기가이드요소(3)으로 덮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동력소모를 줄이기 위한 공기가이드 채널로 부터 공기 누출을 감소시키게 되어 중요하며, 이것은 에너지 축적에 크게 기여한다. 또한 공기가이드 채널을 벗어나서 위치를 던져 넣은 바람직 하지 못한 것은 보다 안정된 위입운동을 위해 방지될 수 있다.

Claims (3)

  1. 보조바디(AR)는 위입방향에 배열되고 공기가이드 채널을 향하여 있는 그들의 선단을 지니면서 바디(R)의 정면에 위치하게 되는 보조공기 가이드요소(3)의 배열에 의하여 형성되며, 또 보조바디(AR)는 보조공기 가이드요소(3)의 선단이 적어도 위입운동 동안 공기가이드요소(10)의 차단부분(11) 앞면 구멍을 일시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공기가이드 채널에서 더 가까운 작동위치와 정지위치 사이에 바디(R)에 대해 수직적인 왕복운동을 위해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입방향에 배열되고 앞면구멍을 가진 차단부분(11)이 있는 공기가이드요소(10)의 배열에 의해 형성된 바디(R)로 구성되어지는 공기분사식 직기의 위입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 바디(AR)가 적어도 하나의 보조노즐(SN)을 갖추고 있는 곳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장치.
  3. 제 1 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바아(15)가 보조공기가이드요소(3)의 밑부분에 연결되고, 캠작동 레버(18)는 직기의 슬레이 스워드(21)위의 소정의 피보트(pivot)(19)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며, 또 캠 작동레버(18)의 회전운동은 공기가이드 채널에 대해 수직적인 슬라이드 바아(15)의 왕복운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보조장치.
KR828201037A 1981-03-11 1982-03-11 공기 분사식 직기의 위입보조장치 KR880000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1034666U JPS6113568Y2 (ko) 1981-03-11 1981-03-11
JP56-034666(??) 1981-03-11
JP34666 1981-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294A KR830009294A (ko) 1983-12-19
KR880000772B1 true KR880000772B1 (ko) 1988-05-06

Family

ID=1242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8201037A KR880000772B1 (ko) 1981-03-11 1982-03-11 공기 분사식 직기의 위입보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85850A (ko)
EP (1) EP0060237B1 (ko)
JP (1) JPS6113568Y2 (ko)
KR (1) KR880000772B1 (ko)
DE (1) DE326627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302626A (nl) * 1983-07-22 1985-02-18 Rueti Te Strake Bv Pneumatische weefmachine met een tijdens de inslagfase vrijwel rondom gesloten tunnel voor het inslagtransport.
CS256450B1 (en) * 1985-10-23 1988-04-15 Josef Joch Weft picking channel of jet loom
CZ290564B6 (cs) * 1997-12-23 2002-08-14 Vúts Liberec A. S. Vzduchový tkací stroj se zařízením k ovládání přifukovacích trysek
BE1012030A3 (nl) * 1998-06-10 2000-04-04 Picanol Nv Inrichting voor een weefmachine.
CZ287210B6 (cs) * 1999-01-22 2000-10-11 Vúts Liberec A. S. Zařízení k ovládání přifukovacích trysek vzduchového tkacího stroje
CN102634912B (zh) * 2012-03-30 2014-03-26 青岛天一集团红旗纺织机械有限公司 用于喷气织机的开筘引纬辅助机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32836A1 (de) * 1968-07-04 1970-01-15 Elitex Zd Y Tectilniho Strojir Luftkonfusor
NL172769C (nl) * 1970-11-20 1983-10-17 Scheffel Walter Inslagdraad-toevoerinrichting voor een schietspoelloos weefgetouw.
CH554434A (de) * 1973-06-20 1974-09-30 Rueti Ag Maschf Webmaschine mit einrichtungen zum eintragen der schussfaeden mittels eines fluidums.
JPS5418955A (en) * 1977-04-26 1979-02-13 Scheffel Walter Weaving machine with warping apparatus
JPS56118927A (en) * 1980-02-18 1981-09-18 Tsudakoma Ind Co Ltd Auxiliary injection method and apparatus in fluid jet type loom
CH645418A5 (de) * 1980-03-27 1984-09-28 Rueti Ag Maschf Einrichtung zur fuehrung eines mittels eines stroemenden fluidums angetriebenen schussfadens im webfach einer webmaschine.
US4357963A (en) * 1980-05-16 1982-11-09 Walter Scheffel Loom with weft picking by a flow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13568Y2 (ko) 1986-04-26
DE3266276D1 (en) 1985-10-24
EP0060237B1 (en) 1985-09-18
KR830009294A (ko) 1983-12-19
EP0060237A1 (en) 1982-09-15
JPS57147276U (ko) 1982-09-16
US4485850A (en) 198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772B1 (ko) 공기 분사식 직기의 위입보조장치
JPH0713337B2 (ja) 織機の杼口内における横糸支持グリッパの運動案内装置
US4031926A (en) Loom with means for introducing the filling threads by means of a fluid
US5183084A (en) Rapier guide with two series of guide elements
KR100634900B1 (ko) 기계식 직조기용 보조노즐
KR910008970B1 (ko) 공기분사직기용 씨날삽입시스템
US4384597A (en) Method for supplemental fluid ejection on a shuttleless loom and an auxiliary nozzle used therefor
KR880000771B1 (ko) 유체분사식 직기의 주분사 노즐들을 변위시키는 방법과 장치
US4392517A (en) Weft picking method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me
EP3483318B1 (en) Weft insertion device for rapier loom
US4649965A (en) Picking arrangement for a weaving machine
US4147187A (en) Shuttle
KR900008680B1 (ko) 유체 분사식 직기용 위사 저류장치
JPH05339844A (ja) 織機におけるテープ形又はロッド形グリッパーの案内装置
US899586A (en) Weft-replenishing mechanism for looms.
US3370617A (en) Device for storing a length of weft and introducing it into a shed
JPS6183350A (ja) 空気噴射式織機の補助空気噴出装置
KR850001113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안내장치
EP0101492B1 (en) Weft yarn insertion channel
US44073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vely removing weft from air insertion guidance tube
JPS6253617B2 (ko)
US4646790A (en) Cutting mechanism for a weaving machine
US4554954A (en) Loom for weaving flat fabric
RU2146733C1 (ru) Ткацкий станок,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ручной
JP2544556Y2 (ja) 断片織機の緯糸張力付与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