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115B1 - 건조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건조기의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115B1
KR880000115B1 KR1019830002480A KR830002480A KR880000115B1 KR 880000115 B1 KR880000115 B1 KR 880000115B1 KR 1019830002480 A KR1019830002480 A KR 1019830002480A KR 830002480 A KR830002480 A KR 830002480A KR 880000115 B1 KR880000115 B1 KR 880000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time
heater
delay tim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187A (ko
Inventor
구니아끼 나가야스
세쯔조오 콘노
도시오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시다 도시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시다 도시히꼬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5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2Controlling the drying process in dependence on liquid cont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06F2103/10Humidity expressed as capacitance or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조기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건조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배기온도 및 건조율의 시간변화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전기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드럼 11 : 히이터
14 : 전극 15 : 더어미스터
21, 23 : 쌍방향다이리스터 26 : 건조레벨검출회로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적용하는데 바람직한 건조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압변동, 주위온도변동, 의류 및 양에 대응해서 자동적으로 항상 일정한 건조 마무리 상태를 얻는데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건조기는, 수동조작으로 타이머시간을 설정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으나 이 방법은 사용자의 사용체험에 따라서 상기의 타이머시간 설정을 행하기 때문에, 미건조나 과건조가 발생되기 쉽고, 과건조의 경우에는 에너지의 낭비가 되고 비건조의 경우에는 재차 타이머시간설정을 다시 새로 행해야 할 필요가 있는 등 사용상 불편이 생긴다.
또, 소정의 건조레벨에서 사전에 설정된 지연시간을 얻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으나, 의류의 종류나 양에 따라서, 상기의 설정시간을 사용자가 판단해서 결정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피건조물의 소정 건조레벨 이하의 건조 레벨의 상승정도가 전압변동, 주위온도변동, 의류의 종류 및 양 등에 의존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상기 온도상승정도에 부응한 지연시간을 설정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건조 마무리 상태를 얻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의류건조기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건조실을 이루는 회전드럼으로서, 이것은 외부상자(2)안에 회전가능토록 지지되어, 그 회전에 의하여 내부의 피건조물(3)을 교반한다.
(4)는 외부상자(1)내의 하부에 설치된 모우터로서, 이것은 벨트(5)를 개재해서 상기 회전드럼(1)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벨트(6)를 개재해서 팬케이스(7)내의 팬(8)을 회전시킨다. 이 팬(8)을 회전시키면 외부 공기가 흡기구부(9)로부터 외부상자(2)내에 흡입되어, 회전드럼(1)의 앞면에 배설됨과 동시에 외부상자(2)에 고정된 드럼앞판(10)내의 열풍생성용 히이터(11)에 의하여 영풍화되어서, 드럼앞판(10)의 통기구부(10a)로부터 회전드럼(1)내에 공급된다. 그리고, 회전드럼(1)내에서 피건조물(3)으로부터 습기를 뺏은 열풍은, 필터커버(12), 필터(13), 회전드럼(1)에 형성된 통기구부(1a) 및 팬케이스(7)의 통기구부(7a)를 개재해서 외부상자(2)밖으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해서 회전드럼(1)내의 피건조물(3)은 열풍건조된다.
(14)는 피건조물(3)와 접촉해서 그 전기저항을 검출하기 위한 전극으로서 상기 드럼앞판(10)의 회전드럼(1)에 면한쪽에 고정되어 있다. (15)는 온도검출소지인-의 저항온도특성을 가진 더어미스터로서, 회전드럼(1)내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 즉 배기온도를 검출하도록, 예를들면, 상기 팬케이스(7)의 배기통로부에 착설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열풍건조에 의해서 회전드럼(1)내의 피건조물(3)을 건조시켰을 때, 더어미스터(15)가 검출하는 배기온도와 피건조물(3)의 건조율의 시간적 변화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된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밝혀지고 있다. 즉, 전극(14)으로 검지하는 의류의 건조율을 배기온도의 후기상승범위내에서 보면, 배기온도의 변화가 급한 No.1과 같은 경우는, 그 건조율의 변화도 No.1과 같이 급하게 된다. 한편, 소정건조율 이하의 배기온도의 변화가 완만한 No.2의 경우에는, 그 건조율의 변화도 N.2와 같이 완만해지므로, 소정의 건조율(A)로부터 완전건조율(B)에 이르는 시간은, 배기온도의 상승정도 11, 12(예를들면, 일정시간 내의 온도 상승치 또는 일정온도 상승치에 소요되는 시간)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건조율(A)로부터 완전건조율(B)에 이르는 시간(T1)(T2)(이하 지연시간이라 함)은 배기온도의 상승정도가 급하면 급할수록 짧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것을 전원전압으로 생각하면 전원전압이 높을수록 배기온도의 상승정도가 급하게 되므로 지연시간은 짧아진다. 주위온도로 생각하면, 주위온도가 높을수록, 배기온도의 상승정도가 급하게 되므로, 지연시간은 짧아진다. 또, 의류의 종류도 생각하면, 화섬 등 얇은것이 무명 등 두꺼운 것보다 배기온도의 상승정도가 급하게 되므로, 지연시간은 짧아진다. 또한, 의류의 양으로 생각하면, 양이 적을수록 배기온도의 상승정도가 급하게 되므로 지연시간은 짧아진다. 히이터용량으로 생각하면, 히이터용량이 클수록, 배기온도의 상승정도가 급하게 되므로, 지연시간은 짧아진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이용한 점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으며, 그 구체적 구성을 제3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3도는 건조기에 내장된 전기회로로서, 크게 나누어서, 상기모우터(4) 및 히이터(11)에의 급전회로(16)와, 이 급전회로(16)를 제어하는 제어회로(17)로 구성되어 있다. 히이터(11)는 교류전원(18)에, 전원스위치(19),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는 도어스위치(20) 및 급전을 제어하는 쌍방향성 다이리스터(21)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다. (22)는 히이터의 용량을 절환하는 스위치이다. 모우터(4)는 상기히이터(11)와 병렬로 쌍방향성 다이리스터(23)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회로(17)에 대해서 설명하면, (24)는 전압강하용 트랜스로서, 그 1차측은 상기 전원스위치(19)를 개재해서 교류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25)는 상기 트랜스(24)의 2차측에 접속된 다이오우드로서, 그 직류출력단자간에는 건조레벨검출수단, 즉 건조 레벨검출회로(26)가 접속되어 있다. (27)은 전압비교기로서, 그 +입력단자에는 저항(28)과 저항(29)의 접속점이 접속되어, 전압비교기(27)의 기준전압을 설정하고 있다.
또, 이 비교기(27)의 -입력단자에는 상기 전극(14)과 제너다이오우드(30)의 접속점이 접속되어 피건조물의 건조레벨에 상응한 전압이 입력되도록 되어있다. 한편, 전압비교기(27)의 출력단자에는, 저항(31)을 개재해서 광전커플러(32)내의 발광다이오우드(33)가 접속되어서, 상기 전압비교기(27)의 출력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있다. (34)는 광전커플러(32)내의 광트랜지스터로서, 상기 발광다이오우드(33)에 의하여 구동되고, 그 출력은 마이크로콤퓨터(35)에 입력된다. (36)은 저항이며, 상기 광트랜지스터(34)의 콜렉터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37) (38), 다이오우드(39a) (39b), 콘덴서(41) 및 제너다이오우드(42)는 교류전원(18)으로부터 직류전압을 얻도록 접속되어 있다. (40)은 상기 쌍방향성 다이리스터(21)의 구동용 회로이며, 마이크로 콤퓨터(35)의 지령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서, 트랜지스터와 저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과 같은 회로(도시는 하지않았음)를 별도로 설치하면, 모우터(4)의 운전을 제어하는 쌍방향 다이리스터(23)의 제어를 행할 수 있음은 말할것도 없다.
(43)은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회로이며, -의 저항온도특성을 가진 더어미스터(15)를 도시한 바와같이 접속하므로서 더어미스터(15)의 검출온도에 상응한 발진주파수를 얻을 수가 있다. 상기 회로 구성에서는 온도가 높아지면 발진주파수가 높아진다. 도한, 더어미스터(15)와 병렬접속된 저항(44) 및 직렬로 접속된 저항(45)은, 상기 온도와 발진주파수의 관계에 직선성을 갖게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46) (47) (48)은 저항, (49)는 제너다이오우드, (50)은 콘덴서, (51)은 전압비교기이다.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회로 (43)에서 얻는 발진주파수를, 마이크로콤퓨터(35)내에 설치된 하아드 카운터에 의하여 일정시간마다 검출해서, 더어미스터(15)의 검출온도를 알아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콤퓨터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건조레벨검출회로(26)에 의하여, 피건조물(3)이 소정의 건조율이 되었을때, 상기 더어미스터(15)에 의하여 검출온도를 기억하고, 상기 검출온도로부터 소정의 온도상승이 될때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하여, 이 시간에 따라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지연시간 설정부, 즉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지연시간 경과후, 쌍방향성 다이리스터(21)를 불도통으로 하기 위한 지령을 내는 출력부와, 상기 지연시간 경과후 소정시간 모우터(4)의 운전을 계속시키는 냉풍건조시간 설절부와, 상기 냉풍건조시간 경과후, 쌍방향성 다이리스터(23)를 불도통으로 하기 위한 지령을 내는 출력부를 내장하고 있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이제 젖은 의류를 회전드럼(1)에 넣고, 건조기의 도어를 닫고 전원스위치(19)를 넣으면, 히이터(11), 모우터(4) 및 제어회로(17)에 통전이 된다. 이때, 전극(14)으로 검지하는 피건조물의 전기저항치가 낮기때문에 전압비교기(27)의 출력단자에는, +전위의 출력신호가 나오고 있고, 이 때문에, 발광다이오우드(33)는 비동작상태를 유지하므로 열풍건조운전이 진행되며, 이에 따라서 회전드럼(1)내의 피건조물(3)의 건조율 및 더어미스터(15)에 의한 배기온도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승한다.
건조가 진행되어, 피건조물(3)의 전기저항치가 높아져서, 그 값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면, 전압비교기(27)의 출력단자에는, -전위의 출력신호가 나와서, 발광다이오우드(33)가 동작한다. 이것을 광트랜지스터가 받아서, 마이크로콤퓨터(35)에 입력한다. 이때의 더어미스터(15)에 의한 배기온도가 기억되며, 그 값으로부터 소정의 온도상승, 예를들면 5도 상승하는데 소용되는 시간이 카운트된다.
이 카운트된 시간에 의하여, 상기 지연시간 설정부에서 지연시간이 결정되고, 그 지연시간이 경과하면, 건조율은 제2도에서의 B점에 도달하게 되므로, 마이크로콤퓨터의 출력부로부터 정지신호가 출력되어, 이 정지신호를 받은 구동용회로(40)가 쌍방향 다이리스터(21)를 불도통케하여 히이터(11)에 급전을 정지하고, 열풍건조에서 냉풍건조로 전환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용회로(40)와 쌍방향성 다이리스터(21)에 의해서 열풍건조운전을 정지시키는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냉풍건조가 소정시간 경과하면, 마이크로콤퓨터(35)의 출력부로부터 정지신호가 출력되고, 이 정지신호에 의하여 쌍방향성 다이리스터(23)를 불도통케하여 모우터(4)에의 급전을 정지하고 냉풍건조를 종료한다.
또한, 냉풍건조는 피건조물의 주름살방지 등의 위하여 행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들면 피건조물의 전기저항에 의하여 소정의 건조 레벨을 검출한 후의 건조 레벨의 상승정도에 따라서, 소정의 지연시간 열풍건조를 계속하고, 지연시간 경과후 자동적으로 열원의 동작이 정지하므로, 전압변동, 주위온도변동, 천의 종류 및 양, 히이터용량변동 등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항상 일정한 건조마무리상태를 얻을수가 있어,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며 또한 에너지 절약을 기할수가 있다.

Claims (1)

  1. 피건조물의 소정 건조레벨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소정의 건조레벨에 도달했을때 이후의 건조레벨의 상승정도에 따라서 소정의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소정의 지연시간 경과후, 상기 열풍건조운전을 정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건조기의 제어장치.
KR1019830002480A 1982-06-17 1983-06-03 건조기의 제어장치 KR880000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4919 1982-06-17
JP57-104919 1982-06-17
JP57104919A JPS58221996A (ja) 1982-06-17 1982-06-17 衣類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187A KR840005187A (ko) 1984-11-05
KR880000115B1 true KR880000115B1 (ko) 1988-03-12

Family

ID=1439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480A KR880000115B1 (ko) 1982-06-17 1983-06-03 건조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31305A (ko)
JP (1) JPS58221996A (ko)
KR (1) KR880000115B1 (ko)
AU (1) AU542714B2 (ko)
CA (1) CA12044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8678A (zh) * 2015-09-07 2017-03-1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干衣机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4194A (ja) * 1984-02-20 1985-09-07 三洋電機株式会社 衣類乾燥機の制御装置
JPS6297600A (ja) * 1985-10-25 1987-05-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衣類乾燥機の制御方法
JPH0779909B2 (ja) * 1986-07-11 1995-08-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乾燥機
US4763425A (en) * 1987-06-25 1988-08-16 Speed Queen Company Automatic clothes dryer
US4991313A (en) * 1990-01-22 1991-02-12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Gradual heat reduction for a clothes dryer
US5291667A (en) * 1990-04-26 1994-03-08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Electronic control of clothes dryer
JP3004455B2 (ja) * 1992-03-27 2000-01-31 株式会社東芝 乾燥機
DE4232135C2 (de) * 1992-09-25 1995-10-26 Bauknecht Hausgeraete Verfahren zur Überwachung und Steuerung eines Programmprozesses im Programmablauf eines Haushaltgerätes
JPH078691A (ja) * 1993-06-24 1995-01-13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KR950025142A (ko) * 1994-02-07 1995-09-15 배순훈 세탁기의 건조 제어방법
US5764542A (en) * 1996-01-11 1998-06-09 Eaton Corporation Noise filtering utilizing running average
US6047486A (en) * 1998-09-03 2000-04-11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a dryer
US6020698A (en) * 1998-10-09 2000-02-01 Whirlpool Corporation Timer for use with an electronic control in controlling an appliance
US6373032B1 (en) * 1999-06-10 2002-04-16 Maytag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 temperature range control
US6845290B1 (en) * 2000-05-02 2005-01-1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ryer appliance
US6493963B1 (en) 2001-05-25 2002-12-17 Mayta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ness detection in a clothes dryer
US6519871B2 (en) 2001-05-25 2003-02-18 Maytag Corporation Self programming clothes dryer system
KR20030033900A (ko) * 2001-10-25 2003-05-0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건조기의 건조도측정장치
KR100556503B1 (ko) * 2002-11-2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건조 시간제어 방법
KR100480930B1 (ko) * 2003-08-12 200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건조 잔류시간 검출방법
KR100556806B1 (ko) * 2004-05-13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건조도 신호처리방법
KR101052778B1 (ko) * 2004-11-11 2011-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및 건조도 감지방법
KR100748963B1 (ko) * 2004-11-12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건조기/건조기의 건조 제어방법
US20060201021A1 (en) * 2005-03-14 2006-09-14 Maytag Corporation Clothes dryer wrinkle release cycle
US7475495B2 (en) * 2005-04-18 2009-01-13 Maytag Corporation Dryness sensor for clothes dryer
CA2505565C (en) * 2005-04-28 2008-09-16 Cam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es dryer
KR101253624B1 (ko) * 2006-03-14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건조시간 제어방법
KR100747589B1 (ko) * 2006-04-14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제어회로 및 그 행정 제어방법
EP2013403B2 (en) 2006-04-14 2016-12-07 LG Electronics Inc.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E102006025952A1 (de) * 2006-06-02 2007-12-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des Stillstands einer Trommel in einem Trommeltrockner, und hierzu geeigneter Trommeltrockner
US20070283592A1 (en) * 2006-06-08 2007-12-13 American Dryer Corporation Method of drying clothing by reducing heat at end of drying cycle
US20080184588A1 (en) * 2006-06-27 2008-08-07 Aktiebolaget Electrolux Auto coin
CA2599353C (en) * 2006-09-06 2011-05-24 Lg Electronics Inc.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CA2599375C (en) 2006-09-06 2011-06-21 Lg Electronics Inc.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DE102007059516A1 (de) * 2007-12-11 2009-06-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Trocknungszeitregelung in Geschirrspülmaschinen
CN107620193B (zh) * 2016-07-15 2021-02-0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干一体机烘干时间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2482A (en) * 1973-11-02 1974-07-09 Maytag Co Moisture sensing control for dryer
GB1521532A (en) * 1975-01-28 1978-08-16 Ti Domestic Appliances Ltd Thermally responsive systems
US4267643A (en) * 1979-12-04 1981-05-19 Haried John C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serving energy in laundry equipment
US4286391A (en) * 1980-02-11 1981-09-01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clothes dry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8678A (zh) * 2015-09-07 2017-03-1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干衣机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42714B2 (en) 1985-03-07
JPH0453558B2 (ko) 1992-08-26
AU1588583A (en) 1984-01-05
US4531305A (en) 1985-07-30
JPS58221996A (ja) 1983-12-23
CA1204481A (en) 1986-05-13
KR840005187A (ko) 198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115B1 (ko) 건조기의 제어장치
KR890004148B1 (ko) 의류건조기
US4112589A (en) Control system for drier
US3439431A (en) Microwave dryer control circuit
CA1238390A (en) Control system for clothes dryer
US3491458A (en) Electronic control circuit for a dryer with anti-wrinkle
US3404466A (en) Electronic dryer control
US3229379A (en) Control system for fabric dryer
US3475830A (en) Dryer control
US3436838A (en) Dryer control
US3398461A (en) Dryer with antiwrinkle cycle
KR940006248B1 (ko) 전극센서를 이용한 의류건조기의 건조제어장치 및 건조제어방법
KR0149033B1 (ko) 의류건조기의 제어장치
US3499230A (en) Dryer control
JPS58221997A (ja) 乾燥機の制御装置
KR940006251B1 (ko) 의류건조기의 건조시간 제어장치
JPS58221995A (ja) 乾燥機の制御装置
JPS58222000A (ja) 乾燥機の制御装置
JP3579083B2 (ja) 衣類乾燥機
JPS64235Y2 (ko)
KR0144205B1 (ko) 의류 건조기의 건조 장치 및 그 방법
JPH0693957B2 (ja) 乾燥機のヒ−タ制御装置
JPS6088600A (ja) 錠環式衣類乾燥機
JPH0559759B2 (ko)
JPS635535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