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038B1 - α-L-아스파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α-L-아스파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038B1
KR880000038B1 KR1019850006763A KR850006763A KR880000038B1 KR 880000038 B1 KR880000038 B1 KR 880000038B1 KR 1019850006763 A KR1019850006763 A KR 1019850006763A KR 850006763 A KR850006763 A KR 850006763A KR 880000038 B1 KR880000038 B1 KR 880000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m
acid
adjusted
hydrochloride
y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774A (ko
Inventor
유무영
안순호
이상무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제일제당 주식회사
손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제당 주식회사, 손영희 filed Critical 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50006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038B1/ko
Publication of KR87000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α-L-아스파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정제방법
본 발명은 상업적으로 유용한 펩타이드 감미료인 α-L-아스파틸-L-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이하 α-APM이라 약칭한다)의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제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0.3-6N 염산용액을 사용하여 α-APM 및 그 이성체인 β-APM의 염산염을 형성시킨후, α-APM 염산염이 α-APM의 합성시에 생성된 여타의 불순물들 및 미반응의 물질들 보다 용해도가 비교적 낮은 것을 이용하여 용해도의 차에 의해서 α-APM의 염산염을 분리 정제하는 미국특허 제3,798,207호가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따라 α-APM을 정제할 경우에는, 염산용액내의 α-APM의 농도가 낮으면 생성되는 염산염의 결정화가 불충분하게 되고, α-APM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α-APM이 용매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 염산염의 생성수율이 낮아질뿐만 아니라, 다른 불순물의 혼입도 용이하게 되어 정제효과가 떨어지므로 그 정제 수율은 α-APM 염산염의 결정화 조건에 크게 좌우 되는 단점이 있었다.
실제로 본 발명자등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1N내지 2N염산용액내의 α-APM의 적종농도는 대략 50g/l 내지 100g/l의 범위였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α-APM의 회수율을 최고 80%까지 달성할수 있으므로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도 저렴하여 공업적으로 상당히 유용한 방법이기는 하나, α-APM의 수율이 어느정도 제한되는 단점과 α-APM의 구성물질인 L-페닐 알라닌은 고가의 물질이기 때문에 α-APM 염산염 결정의 모액내에 잔존하는 L-아스파라긴산 및 L-페닐알라닌으로 구성된 물질들을 가수분해시켜 각각 L-아스파라긴산 및 L-페닐 알라닌의 형태로 정제, 회수하는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할 필요가 있고 이와같은 회수물량이 증가함에 따른 비용도 상승하게 되므로 이 방법의 상업적 유용성은 감소하게 된다.
또 다른 종래의 방법으로는 α-APM을 특정한 방향족 화합물과 반응시켜 불용성 화합물을 생성시켜 분리한 다음, 신처리하여 방향족 화합물을 유리시키고 이를 에테르로 추출함으로써 α-APM만을 정제하는 방법(Bulletin of the chemical Society of Japan, 45, 942-943(1972))이 있으나 이 방법은 방향족 화합물로 베타레소실산(β-resoreylic acid)을 사용한 경우에는 그 정제 효과 및 수율이 매우 탁월한 장점이 있으나, 공정이 복잡하고 과량으로 사용되는 베타레소실산이 고가이기 때문에 공업적으로는 유용한 것이 못되었다.
상기한 두가지의 정제방법을 비교하면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kpo00001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방법들의 단점을 해결하면서 공업적으로 유히한 α-APM의 정제방법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 α-APM 염산염 결정의 모액을 베타레소실산으로 처리하여 잔류의 α-APM을 회수하므로써 전체적으로 매우 높은 수율로 α-APM을 회수 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α-APM 염산염 결정을 여과한 후의 모액을 중화한 다음, 적당량의 베타레소실산을 가하면 잔존의 α-APM과 베타레소실산이 반응하여 불용성의 어덕트(adduct)가 형성, 석출하게 되며 이것을 여과한 후, 산으로 처리하여 어덕트로부터 베타레소실산을 유리시킨 다음, 에테르로 베타레소실산을 추출해 내어 순수한 α-APM만을 회수하는 것이다.
특히, 잔존의 α-APM과 베타레소실산의 반응에서 반응정도 및 어덕트의 용해도는 반응 PH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PH를 조절하는 것에 따라 α-APM의 회수율에 변화가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PH 3.1에서 3.3의 최대회수율(약94%)을 나타냈으며 이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에는 수율의 현저한 감소가 있었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이 α-APM염산염 결정의 모액에 잔존하는 α-APM을 회수하면, 가수분해하여 그 구성물질인 아니모산의 형태로 회수하여야 하는 물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은 물론이고 전체 물량을 베타레소실산으로 처리하여 정제하는 것에 비하여 처리 물량이 대폭 감소되므로 베타레소실산 및 에테르의 사용량 및 소모량도 약
Figure kpo00002
정도로 감소하게 된다. 더우기 본 발명자들은 베타레소실 산과 에테르의 혼합용액을 농축, 증발시킴으로써 베타레소실산 및 에테르의 소모량은 전체물량을 베타레소실산으로 처리하는 방법에 비하여 약
Figure kpo00003
정도가 된다.
그러므로 α-APM 염산염 결정의 모액내에 잔존하는 α-APM을 극히 소량의 시약을 사용하여 회수함으로써 α-APM을 고수율로 정제할 수 있게한 본 발명의 정제방법은 상업적으로 매우 유용한 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α-APM 5.0g, β-APM 2.0g, L-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염산염 0.5g, L-아스파라긴산 2.0g을 상온에서 2N 염산용액 50ml에 용해시킨 후, 냉장고에 하룻밤 보관한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여 α-APM 염산염 2수화물(α-APM HC1·2H2O)5.0g을 얻었다(수율80.2%).
α-APM염산염 결정의 모액에 탄산나트륨 약 0.5g을 가하여 PH를 5정도록 중화한 다음, 베타레소실산 0.9g을 가하고 PH를 5정도로 조절한다. 약6시간동안 교반한 후 냉장고에서 하룻밤 보관한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여 100ml의 증류수에 슬러리 시킨다. 염산용액으로 PH를 그 정도로 조절하여 베타레소실산을 유리시킨다.
유리된 베타레소실산은 에틸에테르 50ml로 추출해낸 다음, 남아있는 수층의 PH를 5종도로 조절하고 감압농축, 건조시켜 α-APM 결정 0.7g을 얻었다.(수율14%)
전체 α-APM의 회수율은 94.2%
[실시예 2]
실시예 1의 에틸에테르층을 감압증류하여 에틸에테르 45ml를 회수한다.
농축된 고체는 건조시킨후(0.73g)융점측정기로 융점을 측정한다. 측정된 융점은 225℃ 내지 227℃로 베타레소실산의 융점과 일치한다.
[실시예 3]
실시예1과 같이하여 얻은 중화된 α-APM염산염 결정의 모액에 실시예 2에서 회수한 베타레소실산 0.73g과 베타레소실산시약0.17g을 가한후, 실시예1과 같이 실시하여 베타레소실산을 유리시킨다. 유리된 베타레소실산을 실시예2에서 얻은 에틸에테르 45ml와 에틸에테르 시약 5ml로 추출하여 제거한 후, 실시예1과 같이 실시하여 α-APM결정 0.68g을 얻었다.(수율 13.6%)
전체 α-APM의 회수율은 93.8%
[실시예 4]
α-APM 5.0g,β-APM 2.0g, 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염산염 0.5g, L-아스파라긴산 2.0g을 물 500ml에 용해시킨다. 베타레소실산 6.1g을 가한후 PH를 3.2정도로 조절한다. 약 6시간동안 교반한 후, 냉장고에 하룻밤 보관한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여 500ml의 증류수에 슬리리 시킨다. 염산용액으로 PH를 2정도로 조절하여 베타레소실산을 유리시킨다. 유리된 베타레소실산을 에틸에테르 250ml로 추출해낸 다음, 남아있는 수층의 PH를 5정도로 조절하고 감압농축한 다음 건조시켜 α-APM결정 4.0g을 얻었다.(수율 90%)
[실시예 5]
실시예1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베타레소실산을 가한후 PH를 3.1 내지 3.3의 범위로 조절한다.
이렇게 하여 얻은 α-APM의 전체회수율은 94.2%였다.
[실시예 6]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베타레소실산을 가한후의 PH를 3.0으로 조절한다. 이렇게 하여 얻은 α-APM의 전체회수율은 92%였다.
[실시예 7]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베타레소실산을 가한후의 PH는 4.0으로 조절한다. 이렇게 하여 얻은 α-APM의 전체 회수율은 87%였다.

Claims (2)

  1. α-APM 염산염 결정의 모액을 중화한 후, 베타레소실산으로 처리하여 α-APM염산염 결정의 모액내에 잔존하는 α-APM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APM의 정제방법.
  2. 제1항의 α-APM의 정제방법에 있어서, 베타레소실산 처리시의 PH는 3.1에서 3.3의 범위로 조절한다는 것.
KR1019850006763A 1985-09-16 1985-09-16 α-L-아스파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정제방법 KR880000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6763A KR880000038B1 (ko) 1985-09-16 1985-09-16 α-L-아스파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정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6763A KR880000038B1 (ko) 1985-09-16 1985-09-16 α-L-아스파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정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74A KR870002774A (ko) 1987-04-13
KR880000038B1 true KR880000038B1 (ko) 1988-02-20

Family

ID=1924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763A KR880000038B1 (ko) 1985-09-16 1985-09-16 α-L-아스파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정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0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74A (ko) 198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27411B1 (en) Method of preparing alpha-l-aspartyl-l-phenylalanine methyl ester and its hydrochloride
KR100523154B1 (ko) 측쇄형아미노산을정제하는방법
KR100399509B1 (ko) 발린정제방법
US3988344A (en) Process for purifying saccharin
KR880000038B1 (ko) α-L-아스파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정제방법
JP3163661B2 (ja) α−L−アスパルチル−L−フェニルアラニンメチルエステル、及びL−フェニルアラニン、L−アスパラギン酸の回収方法
JP3823330B2 (ja) N−ホスホノメチルグリシンの単離方法
JP3162366B2 (ja) フェニルアラニンの単離方法
KR950010597B1 (ko)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JPH0699473B2 (ja) グリシル―グルタミンの製造方法
US3725465A (en) Preparation of l-3,4-dihydroxy-phenyl-alanine
JP2896259B2 (ja) フェニルアラニンの単離方法
US5225587A (en) Method of producing α-L-aspartyl-L-phenylalanine methyl ester hydrochloride
US4418016A (en) Method for recovering omega-amino-dodecanoic acid from crystallization mother liquors
US3920737A (en) Recovery of free methionine
JPS588028A (ja) ジペンタエリスリト−ルの分離方法
JP3316910B2 (ja) L−フェニルアラニンの回収方法
JPH061775A (ja) 3,6−ビス[(4−ヒドロキシフェニル)メチル−2,5−ジケトピペラジンの精製法
JPS5857420B2 (ja) Dl− フエニルグリシンノ コウガクブンカツホウホウ
JPS61172846A (ja) (±)−2−クロロプロピオン酸の光学分割法
JPH0336824B2 (ko)
KR850000059B1 (ko) α-L-아스파틸-L-페닐알라닌 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920000269B1 (ko) N-벤조일-l-아스파스탄의 정제방법
JPH0153867B2 (ko)
JPH057966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1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