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496Y1 - 자동급수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자동급수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496Y1
KR870002496Y1 KR2019840000201U KR840000201U KR870002496Y1 KR 870002496 Y1 KR870002496 Y1 KR 870002496Y1 KR 2019840000201 U KR2019840000201 U KR 2019840000201U KR 840000201 U KR840000201 U KR 840000201U KR 870002496 Y1 KR870002496 Y1 KR 870002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detection means
control unit
photoelectric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0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797U (ko
Inventor
진계산
Original Assignee
진계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계산 filed Critical 진계산
Priority to KR2019840000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496Y1/ko
Publication of KR8500057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7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4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2Spout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급수 수도꼭지
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보인 것으로
제 1 도는 본고안에 의해 자동급수 수도꼭지의 일부 전결한 정면도.
제 2 도는 제1도의 종단 측면도.
제 3 도는 전체적인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 4 도는 전자밸브실의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꼭지부 2 : 전자벨브실
3 : 조정조작부 4 : 베이스체
5 : Y형 엘보 6a,6b : 내,외측의 각 카바
7 : 광전검출수단 8 : 전자케이스
6 : 전압변환아답터 10 : 급수관로
22 : 전자코일 23 : 플렌저
24 : 간막이판 25 : 간막이
27 : 스프링 30 : 걸어마춘통
34 : 회동축 34a : 회동축(34)의 돌편
35: 통형으로 된 제어부 37,37a : 구멍
본 고안은 자동급수 수도꼭지의 고안에 관한 것으로서 이용자의 손이 꼭지 아래에 위치하면 자동적으로 급수가 되고 손을 치우면 자동적으로급수가 정지되어 사용 전후하여 콕크 또는 밸브를 각각 개폐조작하는 번잡을 없이 함과 동시에 소비되는 물의 양을 최저한의 상태로 하여 유리한 급수사용을 가능케 하려는 것이다. 수도물은 꼭지로부터 토해내어 급수되고, 이러한 급수사용에 있어서는 콕크 또는 밸브를 개폐하여야 함은 주지된 바와 같다.
따라서 구체적인 사용에 있어서는 먼저 콕크 또는 밸브를 열고 이어서 세정과 같은 조작을 한 뒤 다시 콕크 또는 밸브를 닫을 필요가 있다. 즉, 사용하기 이전에 그만큼 물이 토해 나오는 것이 되고, 또 다 사용한 뒤에 있어서도 그만큼 무의미하게 방류하는 것을 피할 수는 없다.
따라서 사용하고자 하는 전후에 콕크 또는 밸브를 열거나 닫는 조작을 하는 것이 실제에 있어서는 상당히 번잡하다. 특히 이와같은 수도물을 사용하는 경우 손가락등이 더러워졌을 때에는 물론 더러워진 손으로 상기한 바와같은 조작을 하는 것은 당해 조작부를 더럽히는 것이 되며, 목적하는 손을 씻은 뒤 다시 콕크등의 개폐조작부를 씻지 않으면 아니되어 아주 번잡하게 된다. 또 이와 같이 씻을 때에는 적당히 습기가 있는 조건하에 비누와 같은 세제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피하므로 이러한 비누등을 손가이락이나 손바닥 전부에 바르고 다시 세제를 충분히 바른 상태에서 씻어야 하므로 이와 같이 세제를 바르고 또 씻는 조작을 하는 동안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급수할 필요가 없다. 물론 급수에 의해 필요없이 세제 성분이 씻겨나가는 일도 있으나 실제의 씻는 동안에 있어서는 그 사이 밸브 콕크 등을 닫아 급수를 정지시키는 일은 거의 없이 급수를 토해내는 그대로 그와같은 조작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 동안에 있어서의 수자원의 손실은 대단하다. 반대로 이들 세제를 바르거나 씻는 조작에 있어서 일일이 콕크 등을 개폐한다면 전술한 바와같은 번잡성이 더욱 심하게 됨은 당연하다. 물론 그와같은 개폐조작 등에 의해 소비되는 시간도 커지며 어느면으로나 상당한 불이익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그와같은 낭비가 불가피한 것으로 생각되어 아무런 문제도 되지 않은 것 같으나 상기와 같은 불이익이 일상생활에 있어 항상 되풀이된다고 하는 것은 대단히 불합리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검토를 거듭한 끝에 고안된 것으로 손가락등 씻어야 할 물체가 꼭지 아래쪽에 위치함으로서 자동적으로 급수하기 시작하고, 피 세정물체가 물러감으로서 자동적으로 급수를 정지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제1도,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꼭지부(1)의 양측에 전자밸브실(2)와 조정조작부(3)에 대칭되게 설치되고 꼭지부(1)에 통하는 급수관로(10)는 베이스체(4)의 상부토출구(41)로 연결되고, 베이스체(4)의 하단축에는 평행관로(42)가 형성되어, 이와같은 평행관로(42)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죄(42a,42b)에는 예를 들어 냉수관로(15)와 온수관로(16)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Y형엘보(5)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전기한 베이스체(4)의 중간부에 형성된 뒷받침(43)과 상기한 꼭지부(1)와의 사이에는 내. 외측의 카바체(6a,6b)가 전기한 턱받침(43)과 꼭지카바체(13)에 마추어지도록 되어 있으나 내측 카바체(6a)의 중간부에는 광전검출수단(光電檢出手段)(7)이 붙어져서 꼭지부(1)의 아래쪽에 위치한 손가락 기타의 물체를 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광전검출수단(7)의 앞면에는 투광성의 카바편(7a)이 설치되어 있다. 내. 외측의 카바체(6a,6b)의 양측에 튀어나온 환상의 연결좌(6c,6d)에 각각 링(62a,62b)를 통해 붙어져 있는 것이 상기한 전자밸브실(2)과 조정조작부(3)로, 전자밸브실(2)은 전자케이스(8)에 대한 카바체(81)에 단지 덛씌워 조임나사(21)로 고정하고, 또 조임나사(21) 부분이 덛씌운 판(20)을 고정한 것이다. 여기에 대해 조정조작부(3)는 중심부에 원통상을 하고 또 연결좌(6d) 및 조정조작부(3)의 중심축 방향에 위치시킨 회전축(34)의 둘레에 튀어나온 돌편(34a)을 받아 드려서 끼워마추는 홈(36)을 설치한 걸어마춘통(30)을 돌출되게 설치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끼워마추는 홈(36)에 회전축(34)의 돌편(34a)을 끼운 상태에서 조임나사(33)로 회전축(34)의 축심부에 나사 맞추어 고정시킨 것이어서 조정조작부(3)를 전, 후로 회동시킴으로서 회동축(34)을 회전하여 회동축(34)의 선단측에 형성한 통형으로 된 제어부(35)를 상술한 바 있는 평행관로(42)의 상단부 사이에서 이용자가 온수를 원하고자 할때 걸어마춘통(30)을 앞으로 회동하면 제어부(35)에 형성된 구멍(37)과 제어부(35)의 내공(35a)은 평행관로(42)의 유로(42c)와 연통되고 제어부(35)에 형성된 구멍(37a)과 평행관로(42)의 내공(42d)은 연통이 안되어 막히게 된다. 또한 이용자가 냉수를 원하고자 할 때 걸어마춘통(30)을 뒤로 회동하면 제어부(35)에 형성된 구멍(37a)과 제어부(35)의 내공(35a)은 평행관로(42)의 유로(42d)와 연통되고 제어부(35)에 형성된 구멍(37)과 평행관로(42)의 내공(42c)은 막히게 된다. 그리고 이용자가 냉수와 온수를 겸하고자 할 때 걸어마춘통(30)을 앞, 뒤의 중간으로 회동하면 제어부(35)에 형성된 구멍(37)과 평행관로(42)의 유로(42c) 및 제어부(35)에 형성된 구멍(37a)과 평행관로(42)의 유로(42d)는 각각 반반씩 연통하게 되어 물의 온도를 냉수와 온수의 급수가 혼합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용자는 필요로하는 물의 온도를 걸어마춘통(30)으로 앞, 뒤로 회동시켜 조절해 두고서 꼭지부(1)의 아래로 손을 위치하면 광전검출수단(7)이 감지하여서, 제어부(35)의 끝단 내공(35a)의 통로와 베이스체(4)의 깊숙히 형성된 유로(44)와의 통로를 통해 채워진 급수는 전자밸브실(2) 내에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전자밸브실(2)의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따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전기한 유로(44)와 베이스제(4)의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토출구(41)에 통하는 유로(46)와의 사이에 간막이(25)가 위치하고 있다. 즉, 간막이(25)는 베이스체(4)의 끼워마추어진 부분(45) 속에 설치된 가이드링(47) 내에 있어서 스라이드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또 그 중심부에 간막이판(24)에 잡아메어지고 이러한 간막이판(24)에 대해서 플랜저(23)의 선단이 있도록 되어 있다. 플랜저(23)는 전자코일(22) 내의 가이드(26) 속에 스프링(27)을 내장하여 설치되고, 선단에 플랜저시이트(28)이 붙여진 것으로서 전자코일(22)에 통전시킴으로서 스프링(27)의 탄럭을 넘어 간막이판(24)에서 이탈하고, 따라서 전기한 유로(44)에 액체 입력이 작용함으로서 간막이(25)를 밀어 올려 유로(46)에 흘러 들어가게 되고, 전자코일(22)에 대한 통전을 정지함으로서 스프링(27)의 작용으로 유로(46)에 압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광전검출수단(7)에서 피세정물체를 감지하게 되면 전자코일(22)에서 자극이 발생하여 플랜저(23)는 스프링(27)을 간막이판(24)에서 이탈시켜 주므로 유로(44)에 채워진 물은 수압으로 간막이(25)를 밀어올려 유로(46)를 통하고 토출구(41)를 통해서 꼭지부(1)로 배출되는 것이다.
전기한 급수관로(10)는 꼭지의 카바체(13)에 팩킹을 통해 접속되는 것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꼭지부(1)에 대해서는 적당한 금망재와 같은 것을 붙일 수가 있다, 베이스체(4)에 있어서 하부의 평행관로(42) 부분은 외면에 나사길(48)이 형성되고, 이 부분은 세면기 기타의 세정용기 표면보다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한 나사길(48)의 넛드 기타의 조여매는 수단을 통해 고정되며, 이러한 고정에 있어서 턱받침(43)에 대해서는 가스킷트(17)를 붙이고 또 넛드(4b)에 의해 전기한 Y형엘보(5)를 접속하고 각 관료(15,16)에 연결된다.
상기한 검출수단(7)은 투광기와 수광기로 되며, 투광기에서 비추어진 광선이 물체에 의해 반사되었을 때 이러한 반사광을 수광기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한 광전검출수단(7) 및 전자코일(22)에 대한 전원공급에 관해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변환아답터(9)를 사용하여 100볼트 전후 또는 그 이상의 전원전압을 일례로 12볼트 정도로 저하시켜 공급하여, 만일의 누전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인체등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하고 콘넥터(91)를 통해 리이드선(92)은 베이스체(4)에 있어 축방향을 따라 외부에 형성된 절결부(49)내에 수용되어 광전검출수단(7)에 접속되고, 또 이 검출수단(7)에 있어서 적당한 파장으로 비추고 또 반 반사파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를 적당히 걸르고 증폭하고 또 반도체회로나 스위치 기구를 통해 전술한 전자코일(22)에 대해 통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광전검출수단(7)에 있어서는 손가락 기타의 물체가 15-30 이내로 접근했을 때 검출하여 상기한 바와같이 전자코일(22)의 통전을 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꼭지 아래쪽에 있어서 손가락 기타의 물체가 들어오는 것을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급수하고 또 흘러 나가는데 따라 자동적으로 급수를 차단하는 것이다. 즉, 콕크 또는 벨브의 손조작 기타의 방법에 의한 개폐조작을 전혀 필요치 않고 자동적으로 정확한 급수를 꾀하는 것이기 때문에 세정조작에 있어서의 번잡성을 없앰과 동시에 사용되는 물의 양을 절감하고 또 세정을 위한 시간낭비는 없애는 등의 작용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어서 실용상의 효과가 큰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손가락 기타의 물체의 근접을 검지하여 신호를 얻도록 하는 광전검출수단(7)과 이러한 광전검출수단(7)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밸브실(2)이 있고, 상기한 전자밸브실(2)에 의해 조작되는 칸막이(25)를 급수원에 통하는 유로 (42c)와 (42d)의 사이에 설치하여 전기한 광전검출수단(7)에 의한 검출신호로 꼭지부(1)에서 나오는 물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 수도꼭지.
KR2019840000201U 1984-01-11 1984-01-11 자동급수 수도꼭지 KR870002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201U KR870002496Y1 (ko) 1984-01-11 1984-01-11 자동급수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201U KR870002496Y1 (ko) 1984-01-11 1984-01-11 자동급수 수도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797U KR850005797U (ko) 1985-08-24
KR870002496Y1 true KR870002496Y1 (ko) 1987-07-29

Family

ID=1923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0201U KR870002496Y1 (ko) 1984-01-11 1984-01-11 자동급수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4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797U (ko) 198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3549B2 (en) Faucet system for sanitary fixtures
US7174577B2 (en) Automatic proximity faucet
US4856121A (en) Air gap faucet
US4891864A (en) Disabler and activation system for plumbing fixture
CN108757997B (zh) 一种具有双出水龙头的水路系统
US3314082A (en) Compartmented sink and associated liquid flow means
KR870002496Y1 (ko) 자동급수 수도꼭지
KR102409111B1 (ko)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US2703408A (en) Apparatus for rinsing bedpans
JPH0473333A (ja) センサ付き吐水装置
GB2084868A (en) Tap and plug actuator assembly
JP2002070096A (ja) 自動吐水装置
JP2002155549A (ja) 配管システムにおけるカップリング盤構造
JPS59155666A (ja) 自動水栓
KR900004286Y1 (ko) 세탁기의 액체세제 자동투입장치
JPH11280127A (ja) 水栓装置
JPH0768713B2 (ja) 自動水栓
JP2001107436A (ja) 水処理器
JP2000170979A (ja) 分岐水栓
JP3893680B2 (ja) 衛生洗浄装置
JPH0756379Y2 (ja) 自動水栓装置
JP3052752B2 (ja) 自動水栓
JP2001207497A (ja) 水栓装置
JPS5941265Y2 (ja) 分岐栓
JP2515267Y2 (ja) シャワーヘッド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