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174B1 - 슬라이드 파스너의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열(列)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의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열(列)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174B1
KR870002174B1 KR1019860004931A KR860004931A KR870002174B1 KR 870002174 B1 KR870002174 B1 KR 870002174B1 KR 1019860004931 A KR1019860004931 A KR 1019860004931A KR 860004931 A KR860004931 A KR 860004931A KR 870002174 B1 KR870002174 B1 KR 870002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guide
monofilament
die wheel
zigz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903A (ko
Inventor
야스히고 마츠다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7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44B19/44Securing metal interlocking members to ready-made stringe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5/00Producing elements of slide fasteners; Combined making and attaching of elements of slide fasteners
    • B29D5/04Producing elements of slide fasteners; Combined making and attaching of elements of slide fasteners the interlocking members being formed by continuous meander of filamentary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814Zip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16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forging and bending, cutting or punching
    • Y10T29/5117Fastener [zip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291Slide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의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열(列) 성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의 열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와인딩 유니트를 나타내는, 제1도의 부분절제 확대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III-III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IV-IV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5a도,제6a도,제7a도,제8a도는 모노필라멘트가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의 열로 점진적으로 성형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다이 휘일의 원주표면의 부분 확대 평면도.
제5b도,제6b도,제7b도,제8b도는제5a도,제6a도,제7a도,제8a도의 선 B-B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9도는 각종 부품들 각각의 운동 궤적을 나타내는 와인딩 유니트의 개략도.
제10도-제14도는 모노필라멘트가 와인딩 유니트에 의해 다이 휘일의 원주 표면 상의 1쌍의 핀 열들 주위에 점진적으로 감기는 방식을 나타내는, 다이 휘일의 원주 표면의 부분 확대 평면도.
제15도는 지그재그형태의 모노필라멘트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라 성형된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열의 일부분의ㅏㅏ 확대 평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이 휘일 2: 다이 휘일의 원주표면
3,4 : 핀 7 : 안내구멍
8 : 와인딩(winding)유니트 9,10 : 구동기구
11 : 안내판 12 : 연결판
17,17',18,19 : 아암 21 : 안내블록
30 : 안내블록호울더 40,10' : 안내지주
43 : 중앙홈 48 : 모노필라멘트
50 : 결합헤드 53 : 결함 엘레멘트
56 : 리프팅(lifting)유니트 57 : 벤딩(bending) 유니트
60 : 히이터 61 : 펀칭유니트
65 : 타격유니트 68 : 냉각유니트
69 : 배출유니트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파스너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모노 필라멘트로 부터 슬라이드 파스너의 연속적인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의 열(列)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나다 특허 제669,722호 및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 59-125,506호는, 원주 표면에 환상의 중앙 홈과 그 홈의 각 측부에 일열씩 배치된 원주방향으로 엇갈려 있는 핀들의 1쌍의 열들을 가진 가열된 다이 휘일을 구비한 결합엘레멘트 성형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이 종래의 장치는 또한 일련의 작업 유니트들, 즉 홈을 가로질러 지그재그 형태로 상기 핀들 주위에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모노 필라멘트를 감기 위한 와인딩(winding) 유니트, 하단부에서 하부 연결부분에 의해 서로 연결된 평행한 다리부들을 가진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블랭크(blank)들의 열을 형성하도록 상기 홈내에 상기 지그재그형의 모노 필라멘트를 압입하기 위한 벤딩(bending) 유니트, 1쌍의 측방 돌출부들을 각각 가진 결합 헤드들을 형성하도록 홈의 저부에 대하여 하부 연결 부분들을 형성하도록 서로로 부터 먼쪽으로 측방 외측으로 상기 평행한 다리부들의 상단부 부분을 구부리기 위한 타격 유니트(필요에 따라) 및 다이 휘일로 부터 완성된 결합 엘레멘트를 제거하기 위한 배출 유니트를 포함하며, 이들 작업 유니트들은, 상기 순서로 다이 휘일의 원주 표면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공지의 장치의 와인딩 유니트는, 다이 휘일의 원주 표면상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성형되도록 모노필라멘트를 안내하는 안내구멍을 가진 왕복동 안내판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그 안내판 및 안내 구멍이 다이 휘일의 원주 표면의 모선(母線)의 방향들로만 왕복운동 가능하기 때문에, 안내판의 왕복운동과 타이밍 맞게 간헐적으로 다이 휘일을 회전시키는 게이 필요하고, 따라서 생산률이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 휘일이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동안, 그 다이 휘일의 원주 표면상의 1쌍의 열의 원주방향으로 엇갈려 있는 핀들주위에 적당한 지그재그 형태로 모노 필라멘트가 연속적으로 감길수 있고 따라서 생산물이 향상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모노필라멘트로 부터 연속적인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열을 성형하기 의한 장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열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다이 휘일의 원주상으로 공급되는 모노 필라멘트가 통과하는 안내구멍을 가진 안내판을 구비한 와인딩 유니트를 가지고 있다. 그 안내판은 다이 휘일 원주상의 1쌍의 열의 원주방향으로 엇갈려 있는 핀들 주위에 모노필라멘트를 교대적으로 감기 위해 안내구멍이 전도된 8자형 곡선을 따라 운동하도록 다이 휘일 원주의 측방으로 왕복운동하고 또한 그에 접선적으로 왕복운동하도록 1쌍의 별개의 구동기구들에 의해 구동된다.
본 발명의 많은 다른 이점, 특징 및 부가적인 목적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 한 바람직한 예가 예시된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 부터 본 기술의 전문가에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파스너의 연속적인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들(53)의 열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54)는 적당한 구동부(도시안됨)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프레임(14)에 설치된 다이 휘일(1)을 구비하고 있다. 그 다이 휘일(1)은 그의 원주표면(2) 상의 환상 중앙홈(43)과, 그 홈(43)의 각 측부에 일열씩 배치된 원주방향으로 엇갈려 있는 핀들(3,4)의 1쌍의 제1 및 제2열(5,6)을 가지고 있고 (제5a도,제5b도,제6a도,제6b도,제7a도,제7b도,제8a도 및 제8b도 참조), 홈(43)의 대향측벽(44,45)에는, 원주 방향으로 엇갈려 있는 돌출부들(46,47)의 1쌍의 열이 배치되어 있다.
이 장치(54)는 또한, 폴리에스터 및 폴리아미드와 같은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모노 필라멘트(48)를 지그재그 형태로 홈(43)을 가로질러 핀들(3,4) 주위에 교대로 감기(제5a도, 제10-14도) 위한 와인딩(windung)유니트(8)와, 상기 지그재그형의 모노 필라멘트(49)를 핀들(3,4)로 부터 먼쪽으로 들어올리기(제6b도) 위한 리프팅(lifting) 유니트(56)와, 하단부들에서 하부 연결부분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 평행한 다리부들(51,51)을 가진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블랭크(blank)들(49')의 열을 형성하도록 상기 들어올려진 지그재그형 모노 필라멘트(49)를 홈(43) 내로 압입하기 위해(제6a 및 6b 참조) 회전 디스크(58)의 원주상에 벤더(bender) 헤드(59)를 가진 벤딩(bending) 유니트(5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장치(54)는 또한, 1쌍의 측방 돌출부들을 가진 결합헤드(50)를 형성하도록 각 하부 연결부분을 압착 또는 변형(제7a도 및 제7b도)시키기 위한 펀칭 유니트(61)와, 인접하는 결합 엘레멘트 블랭크(49')들을 서로 연결하는 돌출된 연결 부분들(52,52)을 형성하도록, 서로로 부터 먼쪽으로 측방 외측으로 상기 평행한 다리부(51,51)의 상단부 부분들을 구부리기 위해 (제8a도 및 제8b도 참조) 회전디스크(66)의 원주상에 해머(hammer)헤드(67)를 가진 타격(해머링)유니트(65)와, 완성된 결합 엘레멘트(53)를 다이 휘일(1)로 부터 제거하기 위한 배출 유니트(69)를 포함한다. 배출 유니트(69)는, 옴(43)의 저부에 접촉하는 말단부를 가진 스크레이퍼(scraper) 형태로 되어 있다.
다이 휘일(1)의 원주표면(2)은 모노필라멘트(48)를 U형의 결합 엘레멘트 블랭크(49')의 형태로 열고정시키기 위해 다이 휘일(1)의 상측부에 배치된 외부히이터(60)에 의해 국부적으로(후술되는 바와 같이) 추가로 가열되고, 또한 다이 휘일(1)의 하측부에 배치된 냉각 유니트(68)에 의해 국부적으로 냉각된다.
상기 작업 유니트를, 즉, 와인딩 유니트(8), 리프팅 유니트(56), 벤딩유니트(57), 외부 히이터(60), 펀칭유니트(61), 타격 유니트(65), 냉각 유니트(68) 및 배출 유니트(69)는 다이 휘일(1)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순서로 다이 휘일(1)의 원주표면(2)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다이 휘일(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프레임(14)에 지지된 축(55)에 설치되어 있고, 모노 필라멘트(48)가 변형될 수 있는 온도보다 약간 낮은 온도를 유지되도록, 다이 휘일(1) 전체를 가열하기 위해 내부 히이터(도시안됨)가 배치되는 중공부(도시안됨)를 가지고 있다.
외부 히이터(60)는 가열된 공기를 위한 송풍 파이프(60a)와, 그 송풍 파이프(60a)에 연결되고, 다이 휘일(1)의 원주표면(2)의 상부 부분을 둘러싸는 대체로 C자 형태의 단면의 커버(60b)를 포함한다.
커버(60b)는 펀칭 유니트(61)에 인접한 그의 일단부(제1도에서 좌측)에서 폐쇄되어 있고, 송풍 파이프(60a)로 부터 도입된 가열된 공기가 다이 휘일(1)의 회전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펀칭 유니트로부터 벤딩 유니트로 흐르게 하기 위해 벤딩 유니트(57)에 인접한 그의 타단부(제1도에서 우측)에서는 개방되어 있다.
외부 히이터(60)는, U형의 결합 엘레벤트 블랭크(49')(제6a도 및 제6b도) 형태의 모노 필라멘트의 온도가 결합 헤드(50)의 형성 직전에 특정 열고정 온도까지 상승하도록 국부적으로 다이휘일(1)의 원주표면(2)을 추가로 가열하도록 작용한다.
유사하게, 냉각 유니트(68)는 외부 공기를 위한 송풍 파이프(68a)와, 그 송풍 파이프(68a)에 연결되고 다이 휘일(1)의 원주 표면(2)의 하부 부분을 둘러싸는 대체로 C자형태의 단면의 커버(68b)를 포함한다.
그 커버(68b)는 배출 유니트(69)에 인접한 일단부(제1도에서 우측)에서 폐쇄되어 있고, 송풍 파이프(68a)로 부터 도입된 외부 공기가 다이 휘일(1)의 회전 방향에 반대의 방향으로 배출 유니트 단부로 부터 타격 유니트 단부로 흐르게 하기 위해 타격 유니트(65)에 인접한 타단부(제1도에서 좌측)에서는 개방되어 있다. 그 냉각 유니트(68)는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53)(제8a도, 제8b도, 제16도 및 제17도)의 최종 형태의 모노 필라멘트(48)가 다이 휘일(1)로 부터 제거되어 배출되기 직전에 냉각되도록 국부적으로 다이휘일(1)의 원주표면(2)을 냉각시키도록 작용한다.
각 열(5,6)의 핀들(3,4)은 다이 휘일(1)의 원주 표면(2)을 따라 일정한 간격, 즉 핏치(P)(제2도)로 떨어져 있고, 핏치(P)의 절반만큼 각 다른 열의 핀들에 대하여 측방으로 벗어나 배치되어 있다.
제2도-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와인딩 유니트(8)는 모노 필라멘트(48)가 다이 휘일(1)로 공급될 때 통과하는 안내구멍(7)을 가진 모노필라멘트 안내부재(8a)와 다이휘일(1)의 원주표면(2)의 모선방향(G)으로의 왕복운동(이후 "측방향 왕복운동"이라 약칭함)을 안내구멍(7)에 부여하기 위하여 안내부재(8a)에 작동적을 연결된 제1구동기구(9)와, 역시 안내부재(8a)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다이휘일(1)의 원주표면(2)에 접선방향(T)으로의 왕복운동(이후 "접선방향 왕복운동"이라 약칭함)을 안내 구멍(7)에 부여하기 위한 제2구동 기구(10)를 구비하고 있다.
안내부재(8a)는 서로 직간으로 배치된 1쌍의 제1 및 제2아암(18,19)을 가진 L형안내판(11)과,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 1쌍의 제3 및 제4아암(17,17')을 가진 L형 연결판(12)을 구비하고 있다. 안내판(11)의 제1아암(18)의 밀접한 간격을 가지고 다이 휘일(1)의 원주 표면(2)에 대면하고 있고, 제2아암(19)은 화살표(D)(제4도)의 방향들로 조정가능하도록 1쌍의 나사(20,20)에 의해 연결판(12)의 제3아암(17)에 취부되어 있다. 그리하여, 안내판(11)의 제1아암(18)의 저부 표면(18')과, 다이 휘일(1)의 원주 표면(2) 상의 핀들(3,4) 사이의 간격이 변경될 수 있고, 연결판(12)의 제3아암(17) 상에서 제2아암(19)을 변위시킴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이 간격은 모노 필라멘트(48)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판(12)의 제4아암(17')은 로드(13)의 축방향으로, 즉 화살표(C)(제4도)의 방향들로 조정 가능하게 1쌍의 나사(16,16)에 의해 제1구동기구(9)의 왕복동 로드(13)의 전방단부(제3도에서 좌측)에 취부되어 있다. 그리하여, 안내판(11)이 로드(13)상에서 제4아암(17')을 축방향으로 변위시킴에 의해 다이 휘일(1)의 원주표면(2)의 모선방향들(G)로 조정될 수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기구(9)의 로드(13)는 안내블록(21)의 구멍(22)을 통하여 연장하여 있고, 그 구멍의 축방향으로, 즉 화살표(E,F)의 방향들로 미끄러질 수 있게 구 그멍(22) 내1쌍의 베어링(23,2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안내 블록(21)은 프레임(14)의 개구부(15)를 통하여 연장하여 있다. 로드(13)의 후단부(24)(제3도에서 우측)는 제1스위벨(swivel) 베어링(25)을 통하여 제1링크(26)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1링크(26)의 타단부는, 제1구동부(도시 안됨)에 의해 연속회전 구동되는 제1입력축(27)의 제1편심핀(2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하여, 로드(13)는 제1입력축(27)의 회전에 응하여 화살표(E,F)의 방향들로 왕복동한다.
왕복동 로드(13), 안내블록(21), 제1스위벨 베어링(25), 제1링크(26), 제1편심핀(28), 제1입력축(27) 및 도시 안된 제1구동부가 안내판(11)의 안내구멍(7)에 전술한 측방 왕복운동을 부여하기 위한 제1구동기구(9)를 구성한다.
안내블록(21)은, 다수의 나사(29)에 의해 프레임(14)의 후방측부(제3도에서우측)에 설치된 안내블록호울더(30)에 십자형 홈 또는 공동부(空洞部) 내에 수용되어 있고, 그 십자형 홈은 수평 홈(31)과, 그 수평홈(31)을 가로질러 중앙에서 연장하는 수직 공동부(32)로 이루어져 있다.
안내블록(21)은 수직 공동부(32) 내로 연장하는 상향 돌출부(33)를 가지고 있고, 그 돌출부(33)에 제2스위벨 베어링(34)이 핀(35)에 의해 피봇트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스위벨 베어링(34)은 또한 조정너트(37)를 통하여 제2링크(36)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2링크(36)의 타단부는 제2입력축(38)의 제2편심핀(39)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입력축은 제1입력축(27)의 것보다 2배 높은 회전속도로 연속 회성하도록 제2구동부(도시 안됨)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하여, 안내블록(21)과 로드(13)가 제2입력축(38)의 회전에 응하여 수직으로, 즉 화살표(I,J)의 방향들로 왕복동한다.
수평홈(31)의 폭, 즉 높이(H)와 프레임(14)의 개구부(15)의 높이(h)는 안내블록(21)이 어떤 방해없이 수직으로 화살표(I,J)의 방향들로 왕복동하도록 결정된다.
안내블록(21)의 수직 왕복운동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그 안내블록(21)은 1쌍의 상부베어링(42,42)을 통하여 안내블록 호울더(30)의 상부 수직구멍(41) 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각각 수용된 1쌍의 상향 연장 안내지주(40,40)와, 1쌍의 하부 베어링(42',42)을 통하여 안내블록 호울더(30)의 하부 수직 구멍(41') 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각각 수용된 1쌍의 하향 연장 안내지주(40',40')를 가지고 있다.
안내블록(21)의 상향 연장 돌출부(33), 제2스위벨 베어링(34), 제2링크(36), 제2편심핀(39), 제2입력축(38) 및 도시 안된 제2구동부가 안내판(11)의 안내 구멍(7)에 전술한 접선방향 왕복운동을 부여하기 위한 제2구동기구(10)를 구성한다.
제9도는 각종 부품들 각각의 온동궤적을 나타내는, 제2도의 와인딩 유니트(8)의 도식도이다. 제1입력축(27)이 도시 안된 제1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때, 로드(13)는 화살표(E,F)의 방향들로 왕복동하여, 안내구멍(7)(안내판(11)의)이 미리 정해진 수평거리(L)을 통하여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 수평거리(L)는, 안내구멍(7)이 제1열(5)의 각 핀(3)의 외측표면과 제2열(6)(다이휘일(1)상의)의 각 핀(4)의 외측표면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정해진다.
동시에, 안내블록(21)은 도시안된 제2구동부에 의한 제2입력축(38)의 회전에 기인하여 화살표(I,J)의 방향들로 왕복동한다. 안내블록(21)의 이러한 왕복운동에 의해, 로드(13) 및 안내 구멍(7)(안내판(11)의)이 미리 정해진 접선거리(L')를 통하여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 접선거리(L')는, 안내구멍(7)이 선행 핀(3)(제1열의 (5)의) 반대 측부 표면들과 후속핀(4)가 (제2연(6)의)의 반대 측부 표면들 주위에 이동할 수 있도록 정해진다. 제8도에 제2열(6)의 핀(4)가 제1열(5)의 핀(3)과 측방으로 정렬하여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에는, 안내구멍(7)이 선행핀(3) 주위에서 단일 주행하는 동안 후속핀(4)은 실선 위치들의 선행핀(3) 뒤 핏치(9)의 절반의 위치로 부터 점선 위치들로 주행한다.
다이 휘일(1)의 회전속도와, 제1구동기구(9)의 각 부품의 행정(行程) 및 운동 속도와 제2구동기구(10)의 각 부품의 행정 및 운동 속도는, 안내구멍(7)이 1쌍의 연속적인 핀들(3,4) 주위를 완전히 돌아 주행할 때 안내판(11)의 그 안내 구멍(7)이 베르누이(Bernouli)의 램니스케이트(lemniscate)로 알려진 전도된 8자형태의 곡선을 따라 주행하도록 하는 관계로 조정된다.
핀(3)의 제1열(5)와 핀(4)의 제2열(6) 사이 중앙에 배치한 것으로 안내 구멍(7)을 나타내는 제9도에서, 제1 및 제2입력축(27,38)이 그들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편심핀(28)은 먼저 위치(28-6)으로 부터 위치(28-1)을 거쳐 위치(28-2)로 원형통로에서 이동하고, 동시에 제2편심핀(39)는 위치(39-4)로 부터 위치(39-1) 거쳐 위치(39-2)로 원형 통로에서 이동하여, 안내구멍(7)이 위치(7-4)로 부터 위치(7-1)을 거쳐 위치(7-2)로 화살표(K)의 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다음, 제1편심핀(28)이 위치(28-3)을 거쳐 위치(28-4)로 더 이동하고 제2편심핀(39)가 위치(39-3)을 거쳐 원위치(39-4)로 더 이동할 때, 안내구멍(7)은 위치(7-3)을 거쳐 원위치(7-4)로 화살표(M)의 방향으로 주행한다. 그리하여 안내구멍(7)은 선행핀(3) 주위를 완전히 돌아 주행한 것으로 된다.
-유사하게, 제1편심핀(28)이 위치(28-5)를 거쳐 원위치(28-6)으로 복귀하도록 더 이동하고 제2편심 핀(39)가 위치(39-1),(39-2),(39-3)을 거쳐 원위치(39-4)로 복귀하도록 다시 이동할 때, 안내구멍(7)은 화살표(N)의 방향으로 주행한 다음, 원위치(7-4)로 화살표(0)의 방향으로 주행한다. 그리하여 안내구멍(7)은 후속핀(4) 주위를 완전히 돌아 주행한 것으로 된다. 그 결과, 안내구멍(7)은 전도된 8자 형태의 곡선의 램니스케이트를 따라 주행을 완료한 것으로 된다.
제10도-제14도는 선형 모노필라멘트(48)이 안내판(11)의 안내구멍(7)에 의해 안내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핀들(3,4)(엇갈려 배치된) 주위에 점진적으로 감기는 방식을 나타낸다. 명료한 도시를 위해, 안내구멍(7)의 8자 형태의 운동의 절반만이 도시되어 있다. 제10도는 다이 휘일(1)의 원주펴면(2)상에 핀들(3,4) 사이의 중앙, 즉 제9도의 위치(7-4)에 배치된 안내구멍(7)을 나타낸다. 제11도,제12도,제13도는 제9도의 위치(7-1), 위치(7-2), 위치(7-3)에 각각 배치된 안내구멍(7)을 나타낸다.
제14도는 제9도의 원위치(7-4)로 복귀된 안내구멍(7)을 나타낸다. 그리하여 모노 필라멘트(48)이 선행핀(3)(제1열의(5)의) 주위에 감긴 것으로 된다. 계속하여, 후속핀(4)(제2열의(6)의) 주위에의 모노 필라멘트(49)의 감김이 선행핀(3)과 관련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그러나 그 역의 방식으로 행해진다.
제10도-제14도에서, 핀들(3,4)의 위치는 다이 휘일(1)의 연속적인 회전 때문에 약간씩 변하여 있다.
전술한 예에서, 안내블록(21)의 안내지주(40,40')가 프레임(14)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안내 블록 호울더(30)의 구멍(41,41')내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블록(21)은 화살표(I,J)(제2도,제3도 및 제9도)의 방향들로만 왕복동한다. 한편, 안내블록(21)의 수평구멍(22) 내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수용된 로드(13)은 화살표(E,F)(제2도,제3도 및 제9도)의 방향들로만 구멍(22)의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따라서, 로드(13)에 취부된 안내부재(8a)의 안내구멍(7)은 어떤 위동없이 램니스케이트, 즉 전도된 8자형태의 곡선(대칭임)을 따라 주행하도록 운동할 수 있고, 그리하여, 원주방향으로 엇갈려 있는 핀들(3,4) 주위에 모노필라멘트(48)이 정확하게 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의해, 안내판(11)의 제1아암(18)의 저부 표면(18')(제4도)와 핀들(3,4)의 상부 표면만 사이의 거리가 모노필라멘트의 감김 작동중에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5도는 와인딩 유니트(8)의 작용에 의해 선형 모노필라멘트(48)로 부터 형성된 지그재그 형태의 결합엘레멘트 블랭크(49)를 나타낸다.
연속적인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53)의 열(제16도 및 제17도)이 하기 방식으로 장치(54)(제1도)에서 형성된다. 먼저, 열가소성 합성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모노 필라멘트(48)이 다이 휘일(1)의 원주표면(2)의 중앙 홈(43)을 가로질러 핀들(3,4) 주위에 지그재그 형태로 교대로 감긴다(제5a도, 제5b도, 제10도-제14도 참조). 다음, 지그재그형 모노 필라멘트(49)가 리프팅 유니트(56)에 의해 핀(3,4)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고, 계속하여 하부 연결 부분들에 의해 하단부에서 서로 연결된 평행한 다리부(51,51)을 가진 절곡된 U형의 결합 엘레멘트 블랭크(49')의 열로 성형되도록 중앙 홈(43) 내에 압입된다(제6a도 및 제6b도 참조). 그때, 모노필라멘트(49,49')는 특정의 모노필라멘트(48)이 변형할 수 있는 특정 온동보다 약간 낮은 일정한 온도로 내부 히이터(도시안됨)에 의해 가열된다.
홈(43) 내에 보유된 U형의 결합 엘레멘트 블랭크(49')의 형태의 모노 필라멘트는 그의 온도가 열고정 온도까지 상승하도록 외부 히이터(60)에 의해 국부적으로 추가로 가열되고, 다음, U형의 결합 엘레멘트 블랭크(49')의 하부 연결부분들이 펀칭 유니트(61)의 왕복동 펀치헤드(62)에 의해 1쌍의 측방 돌출부들을 각각 가진 결합헤드(50)의 형태로 압착 또는 변형된다(제7a도 및 제7b도).
계속하여, 중앙홈(43)으로 부터 돌출하는 결합 엘레멘트 블랭크(49')의 평행한 다리부들(51,51)의 대향된 상단부 부분들이 타격(해머링) 유니트(65)의 회전해머 헤드(47)의 계단진 부분들에 의해, 서로로 부터 먼쪽으로 측방외측으로 구부러져, 돌출된 연결 부분들(52,52)를 형성하도록 한다(제8a도 및 제8b도). 그리하여 최종 형태의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53)의 열(제16도 및 제17도)이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홈(43) 내에 보유된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53)의 열이 냉각 유니트(68)에 의해 냉각된 후 배출 유니트(69)의 스크레이퍼(scraper)에 의해 다이 휘일(1)의 원주표면(2)로 부터 제거되어 배출된다. 그리하여, 결합 엘레멘트 성형의 1싸이클이 완료된다.
제1 및 제2구동 기구들(9,10) 각각이 도시된 예에서는 편심 기구를 이용하고 있으나, 편심기구 대신 캠 기구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 왕복동 로드(13)과 안내블록(21)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 슬리이브-로드 연결 대신에 도브레일(dovetail) 연결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1구동기구(9)의 각 부품의 행정 및 운동 속도와, 제2구동기구(1)의 각 부품의 행정 및 운동속도는, 안내구멍(7)이 1쌍의 연속적인 핀들(3,4) 주위에서 완전히 돌아 주행한 때 안내판(11)의 안내구멍(7)이 전도된 대칭의 8자형 곡선인 램니스케이트를 따라 주행하도록 하는 관계로 조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다이 휘일이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동안 모노 필라멘트를 원주방향으로 엇갈려 있는 핀들 주위에 교대로 지그재그형태로 연속적으로 감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생산률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가 기술 및 도시되어 있으나, 이 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내에서 각종 변경 및 개조가 당업자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Claims (7)

  1. (a) 프레임(14); (b) 연속 회전하도록 상기 프레임(14)에 설치되고, 원주 표면(2)에 형성된 환상 홈(43)과, 그 홈(43)의 각 측부에 일열씩 배치된 원주 방향으로 엇갈려 있는 핀들(3,4)의 1쌍의 제1 및 제2열(5,6)을 가지고 있는 다이 휘일(1); (c) 상기 엇갈려 있는 핀들(3,4) 주위에 모노필라멘트(48)를 상기 환상홈(43)을 가로질러 지그재그 형태로 교대로 감기위해 상기 다이휘일(1)의 원주표면(2)에 상면하는 관계로 배치된 와인딩 유니트(8) ; (d) 하부 연결 부분들에 의해 하단부들에서 서로 연결된 평행한 다리부들(51,51)을 가진 절곡된 U형의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블랭크들(49')의 열로 상기 지그재그형 모노 필라멘트(49)를 성형하기 위해 상기 환상홈(43) 내 지그재그형 모노 필라멘트(49)를 압입하기 위해 상기 다이휘일(1)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와인딩 유니트(8)로부터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상기 다이 휘일(1)의 원주 표면(2)에 상면하는 관계로 배치된 벤딩 유니트(57) 및; (e) 결합 엘레멘트 블랭크들(49')을 결합 엘레멘트(53)의 최종 형태로 성형하기 위해 U형의 결합 엘레멘트 블랭크들(49')의 하부 연결부분들을 결합 헤드(50)의 형태로 압착하기 위해 상기 휘일(1)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벤딩 유니트(57)로 부터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다이 휘일(1)의 원주 표면(2)에 상면하는 관계로 배치된 펀칭 유니트(61)를 포함하고; (f) 상기 와인딩 유니트(8)는, 모노필라멘트(48)가 다시 휘일(1)로 공급될 때 통과하는 안내구멍(7)을 가진 안내판(11)과, 다이 휘일(1)의 원주 표면(2)의 모선방향(G)으로의 왕복운동(이후, "측방 왕복운동"이라 약칭함)을 안내판(11)에 부여하기 위해 안내판(11)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1구동기구(9)와, 상기 다이 휘일(1)의 원주표면(2)의 접선방향(T)으로의 왕복운동(이후, "접선방향 왕복운동"이라 약칭함)을 안내판(11)에 부여하기 위해, 그 안내판(11)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2구동기구(10)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판(11)은, 모노필라멘트(48)가 상기 제1열(5)의 핀들(3) 중 선행 핀과 상기 제2열(6)의 핀들(4)중 후속 핀 주위에 감길 때 안내구멍(7)이 램니스케이트를 따라 주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측방 왕복운동과 상기 접선방향 왕복운동의 조합된 운동에 의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모노 필라멘트(48)로 부터 슬라이드 파스터의 연속적인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들(53)의 열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5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기구(9)가, 상기 프레임(14)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호울더(30)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수평구멍(22)을 가진 안내블록(21)과; 그 안내블록(21)의 수평구멍(22) 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안내판(11)에 일단부에서 작동적으로 연결된 왕복동 로드(13)와;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연속적으로 회전가능 한 제1입력축(27)과 그 제1입력축(27)의 회전운동을 상기 로드(13)의 축방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1전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기구(10)는,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연속적으로, 회전 가능한 제2입력축(38)과; 그 제2입력축(38)의 회전운동을 안내블록(21)과 상기 로드(13)의 수직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2전동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동수단이, 상기 제1입력축(27)의 말단부에 배치된 제1편심핀(28)과 일단부에서 상기 제1편심핀(28)에 피봇트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에서는 상기 로드(13)의 타단부에 피봇트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제1링크(26)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동수단은, 제2입력축의 말단부(38)에 배치된 제2편심핀(39)과, 일단부에서 상기 제2편심핀(39)에, 그리고 타단부에서는 상기 안내 블록(21)에 피봇트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제2링크(36)를 포함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울더(30)과 안내블록(21)을 수직 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십자형 공동부(空洞部)를 가지고 있고, 그 십자형 공동부는 수평홈(31)과 그 수평ㅁㅁ홈(31)을 가로질러 중앙에서 연장하는 수직공동부(32)로 이루어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블록(21)이 다수의 상향 연장 안내지주(40)와 다수의 하향연장 안내지주(40')를 가지고 있고, 상기 호울더(30)는 상기 상향 연장 지주(40)와 상기 하향 연장 지주(40')를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각각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상부 수직 구멍들(41)과 다수의 하부 수직 구멍들(41')을 가지고 있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11)이 서로 직각으로 위치하는 1쌍의 제 1 및 제2아암(18,19)을 가지고 있는 L형태로 되어 있고, 서로 직각으로 위치하는 1쌍의 제3 및 제 4아암(17,17')을 가진 L형태의 연결판(12)을 통하여 상기 로드(13)의 상기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안내판(11)의 제1아암(18)은 다이휘일(1)의 원주표면(2)에 간격을 두고 대면하여 있고, 제2아암(19)은 상기 간격이 변경될 수 있고, 제2아암(19)을 제3아암(17)상에서 변위시킴에 의해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판(12)의 제3아암(17)에 조정가능하게 취부되어 있고, 상기 연결판(12)의 제4아암(17')은 상기 로드(13) 상에서 제4아암(17')을 축방향으로 변위시킴에 의해 안내판(11)이 다이 휘일(1)의 원주 표면(2)의 모선방향(G)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로드(13)의 상기 일단부에 조정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축(38)이 제1입력축(27)의 것보다 2배 높은 회전속도로 회전가능한 장치.
KR1019860004931A 1985-04-15 1986-06-20 슬라이드 파스너의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열(列) 성형장치 KR870002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079704A JPS61238203A (ja) 1985-04-15 1985-04-15 スライドフアスナ−用連続ジグザグ状エレメントの成形装置
JP79704 1985-04-1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4913 Division 1986-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903A KR860007903A (ko) 1986-11-10
KR870002174B1 true KR870002174B1 (ko) 1987-12-28

Family

ID=1369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931A KR870002174B1 (ko) 1985-04-15 1986-06-20 슬라이드 파스너의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열(列)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657500A (ko)
EP (1) EP0199191B1 (ko)
JP (1) JPS61238203A (ko)
KR (1) KR870002174B1 (ko)
AU (1) AU562513B2 (ko)
BR (1) BR8601816A (ko)
CA (1) CA1260247A (ko)
DE (1) DE3679099D1 (ko)
ES (1) ES8703770A1 (ko)
GB (1) GB2174640B (ko)
HK (1) HK73990A (ko)
MY (1) MY101332A (ko)
PH (1) PH23280A (ko)
SG (1) SG56690G (ko)
ZA (1) ZA8626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405B2 (ja) * 1988-12-20 1994-09-07 吉田工業株式会社 ジグザグ型連続フアスナー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669722A (en) * 1963-09-03 Streicher Kurt Method and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closure elements for slide fasteners
US3054149A (en) * 1958-02-22 1962-09-18 Talon Inc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losure elements for slide fasteners
US3137036A (en) * 1961-07-17 1964-06-16 Conmar Prod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lastic slide fasteners
US3255288A (en) * 1963-03-18 1966-06-07 Steingruebner Arthur Method of making interlocking zipper elements
US3229362A (en) * 1963-06-07 1966-01-18 Yoshida Kogyo Kk Method of manufacturing engaging elements for clasp slide fasteners
US3353217A (en) * 1966-04-15 1967-11-21 Ideal Fastener Corp Forming apparatus for helical slide fastener elements
US3461486A (en) * 1966-10-27 1969-08-19 Hans Porepp Apparatus for making a continuous row of slide-fastener links from a plastic thread
DE1610385B1 (de) * 1967-11-08 1971-04-01 Opti Holdin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leichzeitigen Herstellung zweier im Eingriff befindlicher Kuppelgliederreihen fuer Schraubenfederreissverschluesse
RO85146B (ro) * 1969-09-16 1984-11-30 Opti-Holding Ag DISPOZITIV PENTRU îNFASURAREA îN MOD CONTINUU A UNUI ELEMENT ELICOIDAL DE FERMOAR
DE2007593B2 (de) * 1970-02-19 1973-05-10 Opti-Holding Ag, Glarus (Schweiz) Vorrichtung zur thermofixierung von reissverschlussgliederreihen aus kunststoffmonofilament
US3787952A (en) * 1972-06-26 1974-01-29 Textron Inc Gapped and cleaned seam-type slide fastener chain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DE2329637C3 (de) * 1973-06-09 1979-07-19 Opti-Patent-, Forschungs- Und Fabrikations-Ag, Glarus (Schweiz)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Reißverschlußgliederreihen aus Kunststoffmonofilament
US4325184A (en) * 1977-12-30 1982-04-20 Yoshida Kogyo K.K.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iled coupling elements for slide fasteners
JPS59125506A (ja) * 1982-12-28 1984-07-19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用ジグザグ状エレメント成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79099D1 (de) 1991-06-13
SG56690G (en) 1990-09-07
GB2174640B (en) 1988-11-09
JPS61238203A (ja) 1986-10-23
BR8601816A (pt) 1986-12-23
US4657500A (en) 1987-04-14
EP0199191A2 (en) 1986-10-29
AU5597286A (en) 1986-11-06
GB8608998D0 (en) 1986-05-21
ZA862619B (en) 1986-12-30
AU562513B2 (en) 1987-06-11
ES554422A0 (es) 1987-03-16
CA1260247A (en) 1989-09-26
ES8703770A1 (es) 1987-03-16
EP0199191A3 (en) 1988-09-14
PH23280A (en) 1989-06-23
EP0199191B1 (en) 1991-05-08
JPH0129562B2 (ko) 1989-06-12
KR860007903A (ko) 1986-11-10
HK73990A (en) 1990-09-28
MY101332A (en) 1991-09-05
GB2174640A (en) 1986-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1178A (en) Apparatus for bending a straight tube into a serpentine tube
KR870002174B1 (ko) 슬라이드 파스너의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열(列) 성형장치
DE10134828B4 (de) Federherstell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Federn mit verschiedenen Formen
KR20040009380A (ko) 금속판의 라운딩 성형 방법 및 성형장치
KR910005130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연속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제조장치
JPS6235880B2 (ko)
KR920010703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의 모노필라멘트를 스탬프하는 방법
EP0195367B1 (en) Apparatus for forming a row of coupling elements for slide fastener
US3766873A (en) Metal pleating machine
US5186034A (en) Air center machine with pitch adjustment
JPH0767594B2 (ja) 締結類部品や電子部品等の鍛造成型装置
US46656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row of zigzag coupling elements for slide fasteners
JP4019930B2 (ja) ディンプルチューブ成形装置及びその方法
JPH11101587A (ja) 波形フィンのフィンピッチ矯正装置
TWM602475U (zh) 單動力源的複數頂料銷結構
SU100627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изделий сферодвижной штамповкой
KR940007926Y1 (ko) 롤링 머신(Rolling machine)
US610434A (en) davis
RU2003416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пружин с некруглым сечением проволоки
KR890003045Y1 (ko) 장신용 악세사리 줄의 연속 성형 연결장치
JPH03230839A (ja) 鍛造プレス
KR890000813Y1 (ko) 실방울의 가공장치
JPS59125506A (ja) スライドフアスナ−用ジグザグ状エレメント成形装置
JPS60234732A (ja) 熱交換用パイプの製造方法及び装置
SU108090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готовлени спира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