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130B1 - 슬라이드 파스너용 연속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용 연속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130B1
KR910005130B1 KR1019880010025A KR880010025A KR910005130B1 KR 910005130 B1 KR910005130 B1 KR 910005130B1 KR 1019880010025 A KR1019880010025 A KR 1019880010025A KR 880010025 A KR880010025 A KR 880010025A KR 910005130 B1 KR910005130 B1 KR 910005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filament
filament guide
die
circumferential surf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322A (ko
Inventor
히로시 요시오카
시게루 가와시마
야스히고 마츠다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3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5/00Producing elements of slide fasteners; Combined making and attaching of elements of slide fasteners
    • B29D5/04Producing elements of slide fasteners; Combined making and attaching of elements of slide fasteners the interlocking members being formed by continuous meander of filamenta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5/00Producing elements of slide fasteners; Combined making and attaching of elements of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용 연속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제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부분 사시도.
제2도는 상기 장치의 제1, 제2구동 유니트들의 수직 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확대 횡단면도.
제4a도는 필라멘트 결합 엘레멘트 물질을 지그재그 형태로 놓는 다이 휘일 원주면의 일부 확대 정면도.
제4b도는 제4a도의 Ⅳ-B-Ⅳ-B선 횡단면도.
제5a도는 결합 엘레멘트 물질이 성형홈에 밀려지는 다이 휘일 원주면의 일부 확대 정면도.
제5b도는 제5a도의 Ⅴ-B-Ⅴ-B선 횡단면도.
제6a도는 결합 헤드들이 성형홈에서 형성되는 다이 휘일 원주면의 일부 확대 정면도.
제6b하는 제6a도의 Ⅳ-Ⅳ선 횡단면도.
제7a도는 성형홈내의 결합 엘렌멘트 물질의 다리들의 커넥터들상에 융기 부위들이 성형되는 다이 휘일 원주면의 일부 확대 정면도.
제7b도는 제7a도의 Ⅶ-B-Ⅶ-B선 횡단면도.
제8도는 본 장치의 각종 부품들의 이동 패턴을 나타내는 개략적 선도.
제9-13도들은 원주면상의 톱니 둘레에 결합 엘레멘트 물질을 점차로 놓는 순서를 보여주는 다이 휘일 원주면의 부분도들.
제14도는 결합 엘레멘트 물질의 일부 확대 평면도.
제15도는 성형된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들의 일부 확대 평면도.
제16도는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의 단부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병합되는 결합 엘레멘트 성형 시스템의 정면도.
제18도는 리프팅 장치의 정면도.
제19도는 굽힘 장치의 평면도.
제20도는 다이 휘일의 접선 방향으로 보이는 펀칭 장치의 정면도.
제21도는 압착 장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다이 휘일 2a, 2b : 원주면
3, 4 : 톱니 5, 6 : 치열
7a, 7b : 필라멘트 안내구멍 8 : 필라멘트 안내부재
9, 10 : 구동 유니트 13 : 안내봉
23 : 베어링 25, 34 : 유니버셜 조인트
30 : 안내 호울더 43a, 43b : 성형홈
48 : 필라멘트 49 : 결합 엘레멘트 물질
53 : 결합 엘렌멘트 55 : 구동 샤프트
56 : 리프팅 장치 57 : 굽힘 장치
60 : 가열장치 61 : 펀칭장치
64 : 압착장치
본 발명은 선형 필라멘트 물질로부터 슬라이드 파스너용의 연속 지그재그형 열가소성 수지제 결합 엘레멘트들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1986. 10. 23일자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61-238203에는 선형 필라멘트 물질로부터 슬라이드 파스너용의 연속 지그재그형 열가소성 수지제 결합 엘레멘트들을 제조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 장치에는 원주면상에서 연속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들을 성형하도록 계속 회전되는 다이 휘일이 있다. 그 장치로는 증가된 생산 속도로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들을 생산할 수 있지만, 한번에 한열의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들을 제조할 수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단히 증가된 생산속도를 슬라이드 파스너용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 선형 필라멘트로부터 슬라이드 파스너용 연속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들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연속 회전식 구동 샤프트; 구동 사프트상에 병렬로 고정 장착된 다수의 다이 휘일들로서, 그 각각의 외주면에는 일정 피치로 장착된 각각의 치열들이 있고, 그 치열들중 하나의 톱니들은 나머지 치열이 톱니들에 대해 피치의 절반만큼 변위되어 있으며, 다이 휘일들에는 또한 그 원주면에 원주상으로 형성된 홈들이 각각 있고, 다이 휘일들중 하나의 한 치열은 나머지 다이 휘일의 나머지 치열과 축선방향으로 정렬되어있는 상기 다수의 다이 휘일들; 상기 원주면들과 상응하여 제각기 각각의 연속 선형 필라멘트들을 인도하는 필라멘트 안내구멍들이 여러개 있는 단일의 필라멘트 안내부재; 필라멘트 안내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원주면들의 모선 방형으로 필라멘트 안내구멍들을 왕복 운동시키는 제1구동 유니트; 필라멘트 안내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원주면들의 접선 방향으로 필라멘트 안내구멍들을 왕복 운동시키는 제2구동 유니트로서, 제1구동 유니트의 작동 속도의 2배의 속도로 작동될 수 있고, 제1, 제2구동 유니트들은 필라멘트 안내구멍들이 각각 대칭 8자형 렘니스케이트(lemniscate)모양의 경로들을 따라가서 연속 선형 필라멘트들을 결합 엘레멘트 물질로서 톱니들 각각의 쌍의 둘레에 연속적으로 놓도록 선정된 속도들과 간격들로 작동될 수 있는 상기 제2구동 유니트; 및 다이 휘일들 둘레에 각각 배치되어 결합 엘레멘트 물질들을 연속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들로 압착시키는 수단들; 로 구성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필라멘트 안내부재는 다이 휘일들을 가로질러 축선방향으로 뻗는다.
다이 휘일들이 공통의 구공 사프트에 고정되기 때문에, 그 다이 휘일들은 서로 동위상으로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각 필라멘트들을 인도하는 필라멘트 안내구멍들이 단일의 필라멘트 안내부재에 형성되는 한, 그 필라멘트 안내부재가 제1, 제2구동 유니트들에 의해 작동 될 때, 필라멘트들이 같은 경로들을 정확히 따라가면서 다이 휘일의 원주면들 위로 공급되기 때문에 그 필라멘트들이 같은 패턴들로 톱니주변에 놓일 것이다. 다이 휘일들이 연속적으로 회전 하는 동안 그 다이 휘일의 갯수와 같은 수의 연속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열을 만들어내기 위해 처리 수단들이 각각 다이 휘일들 둘레에 배치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보다시피, 본 발명에 따라 슬라이드 파스너용의 연속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들을 제조하는 장치에는 다이 휘일들(1a, 1b)이 여러개(도시예에는 2개)있는데, 그들 각자의 원주면( 2a, 2b)에는 원주면을 따라 일정피치 P만큼 이격된 톱니(3, 4)의 2개 열들(5, 6)이 있다. 그중 1열(5)의 톱니들(3)은 나머지 열(6)의 톱니들(4)에 대해 피치(P)의 절반만큼 원주상으로 엇갈려있다.
다이 휘일(1a)상의 톱니들(3, 4)이 각각 다이 휘일(1b)상의 톱니들(3, 4)과 동위상으로 유지된채 다이 휘일들(1a,1b)이 단일의 연속 회전 구동 샤프트(55)상에 병렬로 고정 장착된다(제14도 참조). 다이휘일들(1a, 1b)의 원주면들(2a, 2b)을 가로질러 그 면들에 마주보게 위치한 단일 필라멘트 안내부재(8)에 있는 1쌍의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은 열가소성 수지 선형 필라멘트들을 제각기 원주면(2a, 2b)위로 안내하여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들을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필라멘트 안내부재(8)는 그 원주면들(2a, 2b)의 모선방향(G)으로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을 왕복 운동시키는 제1구동 유니트(9)에 그리고 원주면들(2a, 2b)의 접선 방향(T)으로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을 왕복운동시키는 제2구동 유니트(10)에 연결된다.
제2, 3도들을 보면, 필라멘트 안내부재(8)는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이 형성되어 있는 L형 안내 바아(11), 그 안내 바아(11)에 연결된 L형 조인트(12), 및 그 조인트(12)에 연결된 안내봉(13)으로 구성된다. 안내봉(13)은, 제2도에서 보듯이. 그 장치의 프레임안에서 부터 그 프레임의 프레임 벽(14)에 형성된 구멍(15)을 통해 다이 휘일들(1a, 1b)쪽으로 뻗는다. 안내봉(13)의 위치가 화살표(C) 방향으로 그 축선 방향을 따라 조정된 후에 안내봉(13)의 말단부에 L형 조인트(12)가 볼트들(16)에 의해 고정된다(제3도 참조).
L형 조인트(12)에는 다이 휘일들(1a, 1b)쪽으로 향해있는 아암(17)이 있다. L형 안내 바아(11)에는 다이 휘일들(1a, 1b)의 원주면들(2a, 2b)에 마주보게 배열된 아암(18)과, 그 아암(18)에서 직각으로 뻗어있는 아암(19)이 있다. 조인트(12)의 아암(17)은 아암(18)과 원주면(2a, 2b)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그 위치를 화살표(D) 방향으로 조정한 뒤에 L형 안내 바아(11)의 아암(19)에 보울트(20)로 체결된다.
그 아암(18)은 그 아랫면(18')과 원주면들(2a, 2b)상의 톱니들(3, 4)의 윗면사이의 간격이 필라멘트(48)의 두께나 직경보다 작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3도 참조).
안내봉(13)은 프레임벽(14)의 구멍(15)을 통해 뻗어있는 안내블록(21)의 구멍(22)에 있는 베어링들(22)에 의해 화살표(E, F) 방향으로 미끄럼 왕복운동하도록 지지된다. 안내봉(13)의 후단부(24)는 유니버셜 조인트(25)에 의해 제1링크(26)에 연결된다. 그 링크(26)는 작동기(도시안됨)에 의해 연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1입력 샤프트(27)상의 편심핀(28)에 연결되어 화살표(E, F) 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상기 제1구동 유니트(9)는 주로 안내봉, 링크, 및 제1입력 샤프트(27)로 구성된다.
안내블록(21)은 볼트들(29)에 의해 프레임 벽(14)의 안쪽면에 고정된 안내 호울더(30)에 형성된 수평 홈(31)과 수직홈(32)으로 이루어진 심자홈에 위치한다. 안내블록(21)에는 수직홈(32) 안으로 뻗는 돌출부(33)가 있다.
핀(35)에 의해 유니버셜 조인트(34)가 그 돌출부(33)에 피봇 연결하고, 그 유니버셜 조인트(34)는 조정너트(37)에 의해 제2링크(36)에 연결되며, 제2링크(36)는 제2입력 샤프트(38)상의 편심핀(39)에 연결된다. 제2입력 샤프트(38)는 제1입력 샤프트(27)의 회전속도의 2배의 속도로 작동기(도시안됨)에 의해 연속적으로 회전하여 화살표(I, J)방향으로 안내블록(21)을 수직으로 왕복운동시킨다.
안내블록(21)이 들어가는 수평 홈(31)의 높이는 H이고, 프레임 벽(14)의 구멍(15)의 높이는 h이다. 이런 높이들(H, h)은 화살표(I, J)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안내블록(21)이 그렇게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선정된다.
상하로 쌍쌍이 배열된 4개의 안내 포스트들(40)은 안내블록(21)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각각의 베어링들(42)을 통해 안내 호울더(30)의 각 안내구멍들(41)에 미끄럼 끼워맞쳐져서 안내블록(21)으로 하여금 일정한 자세를 견지하면서 화살표(I, J)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한다.
상기 제2구동유니트(10)는 주로 돌출부, 유니버셜 조인트(34), 제2링크(36), 및 제2입력 샤프트(38)로 구성된다.
다이 휘일들(1a, 1b)의 원주면들(2a, 2b)에는 각각 제1, 2, 3도들에서 보는 것같이 원주상으로 뻗어있는 성형홈들(43a, 43b)이 형성되어 있다.
성형홈들(43a, 43b)은 각각의 톱니들(3, 4)과 제각기 정렬되게 위치한 간막이 돌기들(46, 47)을 포함하여 측방이격된 측벽들(44, 45)사이에 형성된다(제4b도 참조). 간막이 돌기들(46, 47)중 인접하는 것들 사이에는 후술하는 것과 같은 필라멘트용 성형다이가 형성된다.
제8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은 제1, 2도들에 나타낸 여러 부품들의 경로, 즉 이동 패턴들이다. 제1입력 샤프트(27)가 회전하면, 안내봉(13)이 화살표(E, F)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이 서로 동위상으로 거리 L만큼 동시에 왕복운동하게 한다. 그 거리(L)는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이 움직일 수 있는 톱니들(3, 4)의 이 끝면들 사이의 거리의 합이고 필라멘트(48)의 두께나 직경의 2배이다.
안내봉(13)이 화살표(E,F)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동안, 제2입력 샤프트(38)가 회전하여 필라멘트 안내 구멍들(7a,7b)이 거리(1)내에서 왕복운동하도록 안내블록(21)을 화살핀(I,J)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킨다. 그 거리(1)는 필라멘트 안내구멍(7a,7b)이 톱니들(3,4)의 양측면둘레를 움직임에 따라 그 구멍들(7a, 7b)에 의해 주행되는 거리와 같다. 제8도에서, 톱니( 4)는 톱니(3)과 같은 위상에 있거나 축선방향으로 정렬되어 보인다. 사실상,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이 톱니(3) 둘레를 움직이는 동안, 다이 휘일(1)은 톱니(4)가 톱니(3)와 1/2피치의 위상으로 움직이도록 회전된다.
다이 휘일들(1a, 1b)의 회전속도, 제1구동 유니트(9)의 운동 속도와 그 거리, 및 제2구동 유니트(10)의 운동 속도와 그 거리는 후술하는 것처럼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이 1쌍의 톱니(3, 4) 열들(5, 6) 주변의 대칭적 "8"모양의 렘니스케이트형 경로를 계속해서 따라가도록 선택된다.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은 처음에 톱니들(3, 4)사이에 있다고 하자, 그 뒤, 제1, 제2입력 사프트들(27, 38)이 회전하면, 편심핀(28)이 위치(28-1)로 간 다음 위치(28-2)로 가고, 편심핀(39)이 위치(39-1)로 간 다음 위치(39-2)로 이동하여,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이 동시에 화살표(K) 방향으로 위치(7-1)로 간 다음 위치(7-2)로 이동한다. 편심핀(28)이 위치(28-3)로 움직인 뒤 위치(28-4)로 이동하고 편심핀(39)이 위치(39-3)로 이동한 다음 위치(39-4)로 움직이면,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은 화살표(M) 방향으로 위치(7-3)로 간 다음 위치(7-4)로 움직여서, 톱니(3)둘레로 회전을 완료한다.
마찬가지로, 편심 핀(28)이 위치(28-4)에서 위치(28-5)를 거쳐 위치(28-6)로 움직이면, 편심핀(39)이 위치들(39-1, 39-2, 39-3, 39-4)을 통해 한번 더 회전하고, 그동안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은 화살표(N, O)로 표시된대로 톱니(4)둘레를 움직인다.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은 따라서 8모양의 경로를 따라간다.
제9-13도들에 도시된 것은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이 8자모양을 따라 움직임으로써 다이 휘일(1a)의 톱니들(3, 4)둘레에 선형 결합 엘레멘트 형성 필라멘트를 놓는 방법이다. 제9도는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이 7a위치에 있을 때 원주면(2a)상의 톱니들(3, 4)과 필라멘트(48)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제10도는 필라멘트 안내구멍(7a)이 위치(7-1)에 있을 때 필라멘트(48)와 톱니들(3, 4)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제11도는 필라멘트 안내구멍(7a)이 위치(7-2)에 있을 때 필라멘트(48)와 톱니들(3, 4)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제12도는 필라멘트 안내구멍(7a)이 위치(7-3)에 있을 때 필라멘트(48)와 톱니들(3, 4)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13도는 필라멘트 안내구멍(7a)이 위치(7-4)에 있을 때 필라멘트(48)와 톱니들(3, 4)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필라멘트(48)는 제9-13도들에 나타난것과 같은 식으로 톱니(4) 둘레에 놓여있다. 단, 필라멘트(48)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톱니들(3, 4)은 다이 휘일(1a)의 연속회전에 의해 제9-13도들에 도시된 것처럼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안내블록(21)상의 안내 포스트들(40)이 안내 호울더(30)내의 안내구멍들(41)에 미끄러져 끼워지기 때문에, 안내블록(21)의 왕복운동이 화살표(I, J)방향으로 제한된다. 안내블록(21)의 구멍(22)에 미끄러져 끼워진 안내봉(13)의 왕복 운동은 화살표(E, F)방향으로 제한된다. 그 결과, 제8도에서 보다시피,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이 대칭 8모양의 럼니스케이트형 경로를 그린다.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은 럼니스케이트형 경로를 따라 가는 동안 요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어서, 그것들과 맞물려 있는 톱니들(3, 4)둘레에 필라멘트(48)를 믿을 수 있게 놓을 수 있다.
톱니들(3, 4)의 윗면과 필라멘트 안내부재(8)의 아암(18) 아랫면(18')사이의 간격은 소정의 일정 거리로 유지된다.
제14도는 선형 필라멘트(48)를 지그재그형으로 구부림으로써 제9-13도들에 도시된 공정으로 성형된 필라멘트의 결합 엘레멘트 물질(49)을 보여준다.
그 필라멘트(48)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등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다. 제14도에 도시된 성형된 결합 엘레멘트 물질(49)은 그 뒤 열을 가해서 형성된 융기 부위들(52)이 외단부상에 있는 커넥터들에 의해 연결된 결합 헤드들(50)과 다리들(51)을 갖는 U형 형상으로 굽혀지고, 따라서 제15, 16도에서 보는 것같은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들(53)이 만들어진다.
제17도에 도시된 것은 제15, 16도들에 도시된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들(53)을 연속적으로 성형하는 결합 엘레멘트 성형 시스템(54)이다. 다이 휘일들(1a, 1b)은 작동기(도시안됨)의 구동 샤프트(55)상에 나란하게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화살표(Q)방향으로 서로 동상으로 연속회전한다.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이 있고; 제1, 제2구동 유니트들(9, 10)에 의해 가동될 수 있는 단일의 필라멘트 안내부재(8)의 하류쪽에는 [다이 휘일(1a)만 도시됨] 제5b도에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대로 톱니들(3, 4)에서 엘레멘트 물질(49)을 들어 올리는 리프팅 장치(56)가 설치된다.
제18도에서 보다시피, 리프팅 장치(56)의 쐐기 부재들(75, 76, 77)은 각각 아암들(72, 73, 74)의 말단부에 장착되고, 그 아암들은 제각기 프레임(70)에 장착된지지 샤프트(71)에 지지되고 그곳에서부터 뻗어 있다. 쐐기 부재(76)는 다이 휘일들(1a, 1b)사이에 위치하고, 쐐기 부재(75)는 다이 휘일(1b)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제5b도에서 보듯이 톱니들(3, 4)과 맞물린 상태에서 결합 엘레멘트 물질(49)을 들어올린다.
리프팅 장치(56)의 바로 하류쪽에는 제14도와 같이 성형된 결합 엘레멘트 물질(49)을 다이 휘일들(1a,1b)의 성형홈들(43a,43b) 안으로 힘을 가하여 횡단면이 U형이 되게 굽히는 굽힘 장치(57)가 설치된다. 제5B, 19도들에서 보다시피, 굽힘 장치(57)는 각각의 다이 휘일들(1a, 1b)과 접촉해서 회전되고 원형 굽힘날들(59a, 59b)을 갖는 디스크들(58a, 58b)로 구성되는데, 상기 원형 굽힘날들(59a, 59b)각자는 디스크들(58a, 58b)의 원주면에 배치되어 그곳에서부터 뻗어나가서 다이 휘일들(1a, 1b) 각자의 성형홈(43a, 43b)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제5b도에서 보다시피 굽힘날들(59a, 59b)이 성형홈(43a, 43b)안쪽으로 결합 엘레멘트 물질들(49)에 힘을주기 때문에 결합 엘레멘트 물질들(49)이 그 굽힘날들(59a, 59b)에 의해 U형으로 연속적으로 구부려진다.
제19도에서, 굽힘날들(59a, 59b)의 위치는 조정 볼트들(78, 79)에 의해 성형홈(43a, 43b)과 정확히 일치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제17도를 보면, 화살표(Q)방향으로 굽힙장치(56)의 하류쪽에서 열가소성 합성 수지의 세트 포인트까지 형 결합 엘레멘트 물질들(49)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60)가 다이 휘일들(1a, 1b)의 원주면들(2a, 2b)을 일부 감싸도록 배치된다.
화살표(Q)방향으로 가열 장치(60)의 하류쪽에는 펀칭 장치(61)가 설치된다. 그 펀칭 장치(61)에는 다이 휘일들(1a, 1b)의 성형홈들(43a, 43b)로 들어가는 펀치들(62a, 62b)이 있다(제6B, 20도를 참조). 제6b도에서 보듯이, 그 펀치들(62a, 62b)은 성형홈(43a, 43b)안으로 들어가면서 성형홈들의 바닥(63)쪽으로 결합 엘레멘트 물질들(49)을 밀어주어서 결합 헤드를 (50)을 성형한다.
제20도는 다이 휘일들(1a, 1b)의 원주면들(2a, 2b)에 접선방향으로 보이는 펀칭 장치(61)를 나타낸다. 펀치들(62a, 62b)은 샤프트(80)위로 편심 끼워맞춤된 슬리이브(81)에 볼트(82)로 고정된다. 그 샤프트(80)는 경로 R(제17도)을 따라 펀치들(62a, 62b)이 움직이도록 작동기 (도시안됨)에 의해 회전되어서, 다이 휘일들(1a, 1b)이 계속해서 회전하고 있는 동안 결합 엘레멘트 물질들(49)에 대해 펀치들(62a, 62b)을 반복해서 눌러주어 결합 헤드들(50)을 성형하고 그 펀치들(62a, 62b)을 후퇴시킨다.
화살표(Q)방향으로 펀칭 장치(61)의 하류쪽에 압착 장치(64)가 위치한다. 제17, 21도들에서 보다시피, 압착장치(64)는 다이 휘일들(1a, 1b)과 각각 접촉 회전가능한 디스크들(65a, 65b)로 구성되는데, 그 디스크들 각자의 안내 플랜지들(67a, 67b)은 디스크들(65a, 65b)의 각 원주면(66a, 66b)에 배치되어 각자 성형홈들(43a, 43b)안으로 들어간다. 디스크들(65a, 65b)의 원주면들(66a, 66b)은 다이 휘일들(1a, 1b)의 원주면들(2a, 2b)에 대해 다리들(51)의 커넥터들을 눌러주어서 그 커넥터들의 외단부상에 웅기부들(52)를 성형한다(제15,16,7B도 참조).
디스크들(65a, 65b)의 위치는 조정 볼트들(83, 84, 85)에 의해 성형홈들(43a, 43b)과 정확히 일치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그 디스크들(65a, 65b)은 베어링(86)에 회전 지지된 샤프트에 볼트(87)로 고정된다.
화살표(Q)방향을 압착 장치(64)의 하류쪽에는 상기와 같이 성형된 결합 엘레멘트 물질들(49)을 냉각하여 그들을 2열의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들(53)로 응고시키는 냉각장치(68)가 다이 휘일들(1a, 1b)에서 제거된다. 제1, 제2구동 유니트들(9, 10)은 편심 기구들을 이용하지만, 그 대신에 캠 기구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안내봉(13)은 안내블록(21)의 슬리이브 부위에서 미끄럼 안내되도록 도시되었지만, 도브테일(dovetail)/홈 안내 기구에 의해 그 안내블록(21)에서 안내될 수도 있다.
2개의 다이 휘일들(1a, 1b)이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3개 또는 그 이상의 다이 휘일들을 이용할 수도 있고, 따라서 그 다이 휘일들에 관련된 각종의 여타 장치들도 그 다이 휘일들고 공동작용하기 위해 3개 또는 그 이상의 부품 세트들을 가질 수 있다.

Claims (2)

  1. 연속 선형 필라멘트(48)로부터 슬라이드 파스너용의 연속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들(53)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회전가능한 구동 샤프트(55); 상기 구동 샤프트(55)상에 병렬로 고정 장착된 다수의 다이 휘일들(1a, 1b)로서, 각각의 치열들(5, 6)의 톱니들(3, 4)이 일정 피치(P)로 그 원주면들(2a, 2b)에 장착되어있고, 상기 치열들중 한 치열(5)의 톱니들(3)이 나머지 치열(6)의 톱니들(4)에 대해 상기 피치(P)의 절반만큼 변위되어 있으며, 상기 원주면들(2a, 2b)에 원주상으로 각각의 성형홈들(43a, 43b)이 또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 휘일들중 하나 (1a)의 한 치열(5)의 톱니들(3)이 나머지 다이 휘일(1b)의 한 치열(5)의 톱니들(3)과는 축선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상기 한 다이 휘일(1a)의 다른 치열(6)의 톱니들(4)이 상기 나머지 다일 휘일 (1b)의 상기 다른 치열(6)의 톱니들(4)과 축선 방향으로 정렬되어있는 상기 다수의 다이 휘일들(1a, 1b); 각각의 연속 선형 필라멘트들(48)을 인도하는 다수의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이 제각기 상기 원주면들(2a, 2b)과 마주보게 되어 있는 단일의 필라멘트 안내부재(8); 상기 필라멘트 안내부재(8)에 연결되어 상기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을 상기 원주면들(2a, 2b)의 모선 방향들(G)로 왕복운동시키는 제1구동 유니트(9); 상기 필라멘트 안내부재(8)에 연결되어 상기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을 상기 원주면들(2a, 2b)의 접선 방향들 (T)로 왕복운동시키는 제2구동 유니트(10)로서, 이 제2구동 유니트가 상기 제1구동 유니트(9)의 작동 속도의 2배의 속도로 작동할 수 있고, 상기 필라멘트 안내구멍들(7a, 7b)이 각각 대칭 8자형 렘니스케이트(lemniscate)모양의 경로들을 따라 가서 상기 톱니들(3, 4)각 쌍의 둘레에 연속 선형 필라멘트들(48)을 결합 엘레멘트 물질(49)로서 연속적으로 놓도록 선정된 속도들과 간격들로 상기 제1, 제2구동 유니트(9, 10)이 작동할 수 있는 상기 제2구동 유니트(10); 및 각각 상기 다이 휘일들(1a, 1b)둘레에 배치되어서 상기 결합 엘레멘트 물질들(49)을 연속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들(53)로 처리하는 수단들(56, 57, 60, 61, 64);로 구성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연속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안내부재(8)가 상기 다이 휘일들(1a, 1b)을 가로질러 축선방향으로 뻗는 장치.
KR1019880010025A 1987-08-06 1988-08-05 슬라이드 파스너용 연속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제조장치 KR910005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96876 1987-08-06
JP62196876A JPS6440323A (en) 1987-08-06 1987-08-06 Forming device for continuous zigzag element for slide faste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322A KR890003322A (ko) 1989-04-14
KR910005130B1 true KR910005130B1 (ko) 1991-07-23

Family

ID=1636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025A KR910005130B1 (ko) 1987-08-06 1988-08-05 슬라이드 파스너용 연속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S6440323A (ko)
KR (1) KR910005130B1 (ko)
GB (1) GB2208489B (ko)
HK (1) HK56193A (ko)
MY (1) MY103140A (ko)
SG (1) SG34893G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534B1 (ko) * 2011-07-05 2013-01-25 김관진 슬라이드 화스너의 엘레멘트 교환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122B1 (ko) * 2001-08-24 2003-12-31 이종하 슬라이드 파스너의 제조장치
KR100714461B1 (ko) * 2006-05-11 2007-05-04 김영수 치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534B1 (ko) * 2011-07-05 2013-01-25 김관진 슬라이드 화스너의 엘레멘트 교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08489B (en) 1991-01-30
GB2208489A (en) 1989-04-05
JPH0520265B2 (ko) 1993-03-19
SG34893G (en) 1993-06-11
HK56193A (en) 1993-06-18
JPS6440323A (en) 1989-02-10
MY103140A (en) 1993-04-30
KR890003322A (ko) 1989-04-14
GB8818610D0 (en) 198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5221A (en) Improved machine for continuously producing an element of a separable fastener
DE3723757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Filterelementes
US4502315A (en) Device for corrugating sheet material
CA1252706A (en) Bending apparatus
KR910005130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연속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제조장치
EP4126482B1 (de) Schneidevorrichtung
DE3911170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Zahnwurzelkanalfüllspitze
CA124315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slide fastener coupling elements
DE2557192A1 (de)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orientierten hohlkoerpern aus thermoplastischem werkstoff
DE2058026A1 (de) Vorrichtung zum Biegen der Strebenschlange von Gittertraegern
KR870002174B1 (ko) 슬라이드 파스너의 지그재그형 결합 엘레멘트 열(列) 성형장치
EP0259278A1 (en) Device for operating and orientating a pair of automatic sewing machine needles
AU2004296156A1 (en) Method for phased separation of a sausage strand, separating element and assembly of separating elements
US4875355A (en) Manufacture of wire binding elements
KR920004242B1 (ko) 편물기의 바늘을 선택하고 제어하기 위한 기계장치와 그를 위한 바늘
EP0922796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Sägezahndrahtes sowie damit hergestellter Sägezahndraht
KR960013288B1 (ko) 콘넥터 핀 제조기
EP0536506A2 (en) Reinforced belt and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3550194A (en) Apparatus for making slide-fastener coupling elements
DE313856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alten und formen einer fortlaufenden kette von reissverschluss-kopplungselementkoerpern"
US5516391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tion of reinforced belt
DE1280609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zweier gekuppelter Reissverschlussgliederreihen
AT324191B (de) Selbsttätige anlage zur herstellung von keramischen monolithdistanzstangen
DE2365363C3 (de)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Nachbehandlung von aus einer Vulkanisiervorrichtung austretenden Keilriemen
KR870002799Y1 (ko) 스피커용 보호망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6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