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764B1 - 고순도 부텐-1 및 부텐-2의 분리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고순도 부텐-1 및 부텐-2의 분리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764B1
KR870001764B1 KR8204592A KR820004592A KR870001764B1 KR 870001764 B1 KR870001764 B1 KR 870001764B1 KR 8204592 A KR8204592 A KR 8204592A KR 820004592 A KR820004592 A KR 820004592A KR 870001764 B1 KR870001764 B1 KR 870001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ene
column
hydrocarbon
distillation
diolefi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939A (ko
Inventor
숭 이찌로오 오구라
마사이찌 소오마이
Original Assignee
오오니시 사부로오
니뽕제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63074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652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163073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65227A/ja
Application filed by 오오니시 사부로오, 니뽕제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니시 사부로오
Publication of KR84000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1/00Aliphatic unsaturated hydrocarbons
    • C07C11/12Alkadienes
    • C07C11/16Alkadienes with four carbon atoms
    • C07C11/1671, 3-Butadi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05Processes comprising at least two steps in s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4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 C07C7/05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with the aid of auxiliary compounds
    • C07C7/08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with the aid of auxiliary compounds by extractive distil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순도 부텐-1 및 부텐-2의 분리 정제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공정의 바람직한 제1구체예를 나타낸 것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공정의 바람직한 제2구체예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 : 제1추출 증류컬럼 A-2 : 제1스트립핑 컬럼
B : 제1증류컬럼 C-1 : 제2추출 증류컬럼
D : 제2증류컬럼 C-2 : 제2스트립핑 컬럼
본 발명은 이소부탄, n-부탄, 부텐-1, 부텐-2가 함유된 C4탄화수소 유분 및 적어도 하나의 디올레핀성 또는 아세틸렌성 탄화수소로부터 고순도 부텐-1 및 부텐-2를 분리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순도 부텐-1은 에틸렌 중합체 제조에 공단량체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분야에 사용되는 부텐-1은 하기표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고순도를 갖는 것이 요구된다.
부텐-1을 중합화시켜 계를 가열시키는 가온수 파이프용 물질로 특히 적합한 폴리부텐-1을 수득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는 우수한 내 고온응력 크랙킹성, 내고온 크리이프성 및 내주위 응력 크랙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표 1]
에틸렌 중합체 제조용 공단량체로 유용한 부텐-1의 조성물
부텐-1 99.0중량% 이상
부텐-2 0.5중량% 이하
이소-부텐 0.5중량% 이하
n-부탄 0.5중량% 이하
1, 3-부타디엔 150ppm 이하
아세틸렌 15ppm 이하
물 10ppm 이하
부텐-2는 또한 말레산 무수물용의 우수한 원료물질이다. 더우기 부타디엔은 주성분으로 산화 비스므스 또는 산화몰리브텐늄으로 구성된 촉매와 부텐-2의 촉매적 산화탈수화 반응으로 합성시킬수 있다. 예로서, 미합중국 페트로텍스 캄파니사의 엘. 엄 웰치가 집필한 문헌(탄화수소 공정, 1978, 11, 페이지 131-136)에는 1, 3-부타디엔에 대한 선택성은 시스-부텐-2와 함께 가장 높고 그 다음이 트랜스-부텐-2와 함께 높다고 서술되어 있다.
통상의 증류방법에 의한 C4탄화수소 유분의 분리는 경제적인 관점에서 불만족스럽다. 그 이유는 표2에서 보여지지는 바와 같이 n-부탄과 트랜스-부텐-2의 비점은 서로 아주 근접하기 때문이다. 상기 문헌에 따르면 부텐-2중의 n-부탄의 량이 14%이하이면 선택성을 감소시키는 역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미반응n-부탄이 존재하여 반응생성물과 혼합된다면, 다량의 n-부탄의 혼입은 거대한 크기의 반응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필요로 하거나 생성 1, 3-부타디엔을 분류시키는 장치의 효율을 악화 시킨다고 언급되어 있다. 그러므로, n-부탄은 가능한한 반응 이전에 바람직하게는 5%이하의 함량까지 제거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사용에 유용한 실질적으로 유독한 분순물이 존재하지 않는 고순도의 부텐-1 및 부텐-2를 다량 저가로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처리할 C4탄화수소 유분은 납사의 스팀크랙킹 중의 부산물로써 형성되는 C4탄화수소로, 1, 3-부타디엔과 이소부틸렌을 제거시켜 수득한 생성물 또는 석유의 촉매 크랙킹중의 부산물로서 형성되는 C4탄화수소로 부터 이소부틸렌을 제거시켜 수득한 생성물이지만 상기와 같은 특별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C4탄화수소로 부터 1, 3-부타디엔의 제거는 CAA방법(아세트산구리 암모니움 방법)에 따라 추출하여 수행하거나 추출 극성용매(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및 아세토니트릴)를 사용하는 추출증류 방법에 따라 추출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소부틸렌의 제거는 황산을 사용하는 종래의 추출방법 또는 지방족 알콜을 사용하는 최근에 개발된 에테르화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탄화수소 방법으로 보고된 이태리의 어소르니의 클레멘티(Associ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of ENI Group Companies) 1979년 12월, 페이지 109-113에서는 C4탄화수소 유분과 메탄올과의 혼합물을 산촉매(예, 설포그룹을 갖는 이온 교환수지)와 접촉 시키므로서, 이소부틸렌은 거의 완전히 에스테르화 되어 0.1%이하의 C4탄화수소 유분중에 남게됨을 시사하고 있다.
하기표 2는 1, 3-부타디엔과 이소부틸렌을 제거한 후 수득된 C4탄화수소 잔사의 조성물을 나타낸 것이다.
[표 2]
C4탄화수소 유분의 조성물과 디메틸포름아미드에서의 이들의 용해도.
Figure kpo00001
본 발명자들은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조성물을 갖는 C5탈화수소 유분을 극성용매, 특히 디메틸포름아미드(DMF)를 사용하는 두 추출 증류단계와 두 통상적인 증류 단계의 복합방법으로 처리할 경우 에틸렌 중합체 형성용 공단량체 또는 폴리부텐-1 제조용 단량체로 사용되는 디올레핀성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와 물이 유리된 부텐-1 및 산화탈수소와에 의한 1, 3-부타디엔 제조용 물질로서 유용한 시스-부텐 2/트랜스-부텐-2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라 두 분리 및 정제 과정이 제공된다.
제1과정은 다음의 단계 A 내지 D의 조합으로 성취될 수 있다.
[단계 A]
극성용매를 사용하는 제1추출 증류 조작을 C4탄화수소유분에 수행하여 라피네이트로서 이소부탄 및 n-부탄을 추출액으로서 부텐-1, 시스-부탄-2, 트랜스-부텐-2 및 불순물의 혼합물, 디올레핀성 및/또는 아세틸렌성 탄화수소를 회수한다.
[단계 B]
단계 A에서 수득한 추출액에 제1증류 조작을 수행하여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부텐-1과 디올레핀성 및/또는 아세틸렌성 탄화수소로 구성된 유분 및 컬럼의 저단으로부터 시스-부텐-2/트랜스-부텐-2 혼합물을 수득한다.
[단계 C]
단계 B에서 수득한 유분에 제2추출물 증류 조작을 수행하여 추출액으로서 부텐-1중에 비말동반된 디올레핀성 및/또는 아세틸렌성 탄화수소와 라피네이트로서 부텐-1을 회수한다.
[단계 D]
부텐-1중에 소량으로 존재하는 물을 제2증류 조작으로 제거시킨다. 물은 부텐 1과 최소한 공비 혼합물을 형성하므로 물은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증류 제거시키고 정제시킨 부텐-1은 컬럼의 저단으로 부터 수득한다.
제1과정의 바람직한 구현은 제1도의 공정도를 참조하므로서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부텐-1, 부텐-2등을 포함하는 C4탄화수소 유분을 라인(1)을 거쳐 100단을 갖는 제1추출 증류컬럼(A-1)의 중단속에 유입시키고 극성용매는 이의 단하부의 여러 증류컬럼 단속에 유입시킨다. 이렇게 하여 제1추출 증류 조작을 수행한다.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이소부탄과 n-부탄을 라인(3)을 통해 증류 제거한다. 증류컬럼은 1 내지 15기압의 컬럼 내압 및 100내지 180℃의 컬럼 저단 온도에서 작동된다.
컬럼의 저단으로 부터 부텐-1, 부텐-2, 디올레핀성 탄화수소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를 용매와 함께 회수시킨 다음 라인(4)을 통하여 제1스트립핑 컬럼(A-2)의 상단 속에 주입시킨다. 제1스트립핑 컬럼(A-2)에서 C4탄화수소는 극성용매로 부터 분리시킨다. 제1스트립핑 컬럼(A-2)는 1 내지 2기압의 컬럼 내압 및 사용된 압력에서 용매의 비점에 상응하는 컬럼 저단 온도에서 통상 작용될 수 있다.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부텐-1, 부텐-2, 디올레핀성 탄화수소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는 라인(5)을 통해 수집한 후 가압기(6)으로 가압시킨 다음 라인(7)을 통해 제1증류컬럼(B)속에 주입시킨다.
이어서 극성용매만을 제1스트립핑 컬럼(A-2)의 저단으로부터 회수시킨 다음 라인(8)을 통해 컬럼(A-1)에 재순환 시킨다.
100단을 갖는 제1증류컬럼(B)은 1 내지 15기압의 컬럼내압 및 이 사용 압력에서 탄화수소 혼합물의 비점에 상응하는 컬럼저단 온도에서 조작된다.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부텐-1, 디올레핀성 탄화수소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를 라인(9)로 부터 회수시킨 다음 제2추출 증류컬럼(C-1)의 중간속에 주입시킨다. 제1증류컬럼(B)의 저단으로 부터 시스-부텐-2 및 트랜스-부텐-2을 라인(10)을 통해서 소량의 디올레핀성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와 함께 회수한다.
극성용매는 라인(11)을 통해서 이의 상단 아래의 여러단에 위치한 100단을 가진 제2추출 증류컬럼(C-1)속에 주입시켜서 컬럼 중간에 주입시킨 부텐-1과 접촉시켜 제2추출 증류 조작을 수행한다. 제2추출 증류컬럼(C-1)는 1 내지 15 기압의 컬럼 내압과 100내지 160℃의 컬럼 조부 온도에서 작동될 수 있다.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고순수 부텐-1은 라인(12)을 통해 회수되어 제2증류컬럼(D)의 중간속에 주입된다. 제2추출 증류컬럼(C-1)의 저단으로 부터의 디올레핀성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는 용매와 함께회수되어 디올레핀성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가 용매로부터 분리되는 제2스트립핑 컬럼(C-2)의 상단 속에 주입된다.
제2스트립핑 컬럼(C-2)는 1 내지 2기압의 컬럼 내압과 이 사용 압력에서 용매의 비점과 상응하는 컬럼저단 온도에서 통상 작동될 수 있다. 제2스트립핑 컬럼(C-2)의 상단으로 부터 디올레핀성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는 라인(14)을 통해 방출된다. 이의 저단으로 부터 용매만을 회수하여 라인(15), 통해 제2추출증류컬럼(C-1)까지 재순환 시킨다.
30단을 갖는 제2증류컬럼(D)는 1 내지 15기압의 컬럼 내압 및 이 사용된 압력에서 탄화수소의 혼합물의 비점과 상응하는 컬럼저단 온도에서 통상 작동될 수 있다.
아주 극소량 물을 라인(16)을 통해 제2증류컬럼(D)의 상단으로 부터 제거한다. 라인(17)을 통해서 컬림(D)의 저단으로 부터 생성물로서 고순도 부텐-1을 회수한다.
제2과정은 하기 단계 A내지 D를 조합시켜 성취한다.
[단계 A]
C4탄화수소 유분에 극성용매를 사용하는 제1추출 증류 조작을 행하여 라피네이트로서 이소부탄 및 n-부탄을, 추출액으로서 부텐-1, 시스-부텐-2, 트랜스-부텐-2 및 불순물의 혼합물, 디올레핀성 및/또는 아세틸렌성 산화수소를 회수한다.
[단계 B]
단계 A에서 수득한 추출액에 극성 용매를 사용하는 제2추출 증류 조작을 행하여 컬럼상단의 주성분으로 부텐-1 및 부텐-2을 포함하는 라피네이트를 그리고 컬럼의 저단의 추출액으로 디올레핀성 및/또는 아세틸렌성 탄화수소를 수득한다.
[단계 C]
단계 B에서 수득한 라피네이트에 제1증류 조작을 행하여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부텐-1을 컬럼 하단으로부터 정제된 부텐-2을 수득한다.
[단계 D]
부텐-1중에 소량존재하는 물을 제2증류 조작에 의해 회수한다. 이와동시에 물은 부텐-1과 극소한 공비혼합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물을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증류 제거한다. 정제된 부텐-1은 컬럼의 저단으로 부터 수득한다.
제2공정의 바람직한 구현은 제2도의 공정도를 참조하여 자세히 하기에 서술한다. 부텐-1, 부텐-2를 포함하는 C4탄화수소 유분을 라인(1)을 통해 100단을 갖는 제1추출 증류컬럼(A-1)의 중단에 유입시킨다. 극성용매는 라인(2)를 통해 상단 아래의 여러 단 속에 주입시켜 제1추출 증류 조작을 수행한다.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이소부탄과 n-부탄을 라인(3)을 통해 증류제거시킨다.
컬럼은 1 내지 15기압의 컬럼 내압 및 100내지 180℃의 컬럼 저단온도에서 작동될 수 있다. 컬럼 저단으로 부터 부텐-1, 부텐-2, 디올레핀성 탄화수소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를 용매와 함께 회수하여 라인(4)을 통해 제1스트립핑 컬럼(A-2)의 상단 속에 주입시킨다.
제1스트립핑 컬럼(A-2)에서, C4탄화수소를 극성 용매로 부터 분리시킨다. 제1스트립핑 컬럼(A-2)는 1 내지 2기압의 컬럼 내압과 이 사용 압력에서 용매의 비점과 상응하는 컬럼 저단온도에서 작동된다.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부텐-1, 부텐-2, 디올레핀성 탄화수소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는 라인(5)를 통해 회수되어 가압기(16)에 의해 가압된 다음 라인(7)을 통해 제2추출 증류컬럼(B-1)속에 주입된다. 용매만을 제1스트립핑 컬럼(A-2)의 저단으로 부터 회수하여 라인(8)을 통해 컬럼(A-1)에 재순환 시킨다.
극성 용매를 라인(9)를 통해 이의 상단 아래에 여러난이 위치된 100단을 갖는 제2추출 증류컬럼 속에 주입시켜서 라인(7)을 통해 컬럼의 중간속으로 유입되는 부텐-1, 부텐-2, 디올레핀성 탄화수소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와 접촉시켜 제2추출 증류 조작을 수행한다.
제2추출 증류컬럼을 1 내지 15기압의 컬럼 내압 및 100내지 160℃의 컬럼 저단온도에서 작동시킨다. 제2추출 증류컬럼(B-1)의 상단으로 부터 부텐-1과 부텐-2의 혼합물을 라인(10)을 통해 회수하여 제1증류컬럼(C)의 중간에 주입시킨다.
컬럼의 저단으로 부터 디올레핀성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를 용매와 함께 회수하여 디올레핀성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가 극성용매로 부터 분리되는 제2스트립핑 컬럼(B-2)의 상단속에 주입시킨다. 제2스트립핑 컬럼(B-2)는 보통 1 내지 2기압의 컬럼 내부 압력과 이 사용된 압력에서 용매의 비점과 상응하는 컬럼 저단온도에서 조작될 수 있다.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디올레핀성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는 라인(12)을 통해 방출된다. 컬럼의 저단으로 부터 용매만을 회수하여 라인(13)을 통해 컬럼(B-1)에 재순환된다.
100단을 갖는 제1증류컬럼(C)는 보통 1 내지 15기압의 컬럼 내압 및 이 사용된 압력에서 탄화수소 혼합물의 비점과 상응하는 컬럼 저단온도에서 작동될 수 있다. 컬럼 상단으로 부터 부텐-1을 라인(14)을 통해서 회수하여 제2증류 컬럼(D)의 중간속에 주입시킨다. 컬럼의 하단으로 부터 정제된 시스-부텐-2 및 트랜스-부텐-2를 라인(15)를 통해 회수한다.
30단을 갖는 제2증류컬럼 (D)는 통상 1 내지 15기압의 컬럼 내압 및 이 사용된 압력에서 탄화수소 혼합물의 비점과 상응하는 컬럼 저단온도에서 작동된다.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극소량의 물을 라인(16)을 통해 회수한다. 생성물로서 고순도 부텐-1을 라인(17)을 통해 컬럼의 하단으로 부터 회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극성 용매는 C4탄화수소 유분으로 부터 1, 3-부타디엔의 추출 증류용으로 통상 사용되는 극성 용매의 어느 것일수 있다. 이의 예로는 N-알킬-치환된 저급 지방산아미드, 푸르프탈, N-메틸피롤리돈, 포르밀모르폴린 및 아세토니트릴을 들수 있다.
N-알킬-치환된 저급 지방산 아미드는 디메틸포름 아미드, 디에틸포름아미드 및 디메틸아세트 아미드를 포함한다. 아미드 용매는 무수 조건에서 우수한 용해성, 우수한 상대 휘발성 및 적합한 비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목적용으로 바람직하다.
하기 표3은 여러 극성용매 중에서 C4탄화수소의 상대 휘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극성 용매중 디메틸 포름아미드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극성용매는 단독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극성용매와 함께 디올레핀계 및 아세틸렌계 탄화수소, 황산화제, 항발포제등 중합화 억제용 중합화 억제제가 사용될 수 있다. 중합화 및/또는 쇄전달을 억제시킬수 있는 능력을 가진 여러 형태의 중합화 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t-부틸카테콜, 질산황화나트륨, 푸르프릴, 벤즈알데히드 및 방향족 니트로 화합물을 들수 있다. 이는 단독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표 3]
여러 극성용매 중에서의 상대 휘발성(무한 희석으로 50℃에서 수득한 데이터)
Figure kpo00002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 것이다.
[실시예 1]
제1도에서의 장치를 사용하여 하기 시험을 수행한다.
표4에 나타낸 조성물을 갖는 출발물질을 라인(1)을 통해 100단을 갖는 제1추출 증류컬럼(A-1)의 중간에 22.5kg/hr의 비율로 주입시킨후 하기 조건하에서 추출적으로 증류시킨다.
극성용매 : 225kg/hr의 속도로 주입
환류 액체 : 22kg/hr
컬럼상단의 압력 : 3.5kg/cm2(G)
컬럼 상단의 온도 : 45℃
컬럼 하단의 온도 : 139℃
이의 결과로서, 표 4에 나타낸 조성물을 갖는 가스는 제1스트립핑 컬럼(A-2)의 라인(5)로 부터 16.4kg/hr의 속도로 수득된다. 부탄의 제거는 거의 완전히 수득된다.
생성 가스를 100단을 갖는 제1증류컬럼 (B)의 중단에 주입시켜 3.3kg/cm2(G)의 컬럼 상단 압력 및 환류비가 9인 37℃의 컬럼 상단 온도에서 증류시킨다. 이결과 표 4에 표시된 조성물을 갖는 부텐-2 혼합물을 라인(10)을 통해 컬럼하단으로 부터 7.65kg/hr의 속도로 수득한다.
주성분으로 부텐-1을 포함하는 컬럼 상단으로 부터의 모든 가스를 100단을 갖는 제2추출 증류컬럼의 중간에 도입시켜 60kg/hr의 속도로 주입되는 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8kg/hr의 환류억제 유속을 유지시키면서 3.3kg/cm2(G)의 컬럼 상단 압력, 37℃의 컬럼 상단온도 및 145℃의 컬럼 하단온도에서 추출적으로 증류시킨다.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디올레핀성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가 유리된 부텐-1을 수득하였다.
이결과 수득된 부텐-1의 모두는 30단을 갖는 제2증류 컬럼(D)의 중단에 도입되어 물을 제거시킨다.
3.3kg/cm2(G)의 컬럼상단 압력 및 37℃의 컬럼 상단 온도에 작동된 후, 하기 표4에 나타낸 조성물을 갖으며 물이 유리된 부텐-1을 라인(17)을 통하여 컬럼이 저단으로 부터 7.65kg/hr의 속도로 수득하였다.
사용된 극성용매는 무수디메틸포름아미드와 0.1중량%의 니트로벤젠 및 0.05중량%의 질산나트륨과의 혼합물이다.
[표 4]
조성물(중량 %)
Figure kpo00003
[실시예 2]
제2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하기 시험을 수행한다.
표5에 표시된 조성물을 갖는 출발물질을 라인(1)을 통해 100단을 갖는 제1추출 증류컬럼(A-1)의 중단에 22.5kg/hr의 속도로 주입시켜 225kg/hr의 속도로 주입되는 극성용매를 사용하여 22kg/hr의 환류 액체유속을 유지시키면서 3.5kg/cm2(G)의 컬럼 상단 압력, 45℃의 컬럼 상단온도 및 139℃의 컬럼저단 온도에서 추출적으로 증류시켰다.
이결과 표 5에 표시된 조성물을 갖는 가스를 제1스트립핑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16.4kg/hr의 속도로 수득하였다. 부탄의 제거는 거의 완전히 성취되었다.
라인 (5)로 부터의 가스를 16.4kg/hr의 속도로 100단을 갖는 제2추출 증류컬럼(B-1) 중단에 주입시켜 110kg/hr의 속도로 주입된 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16kg/hr의 환류액체유속을 유지시키면서 3.3kg/cm2(G)의 컬럼 상단압력, 40℃의 컬럼상단 온도 및 150℃의 컬럼 저단온도에서 추출적으로 증류시킨다. 이 결과, 디올레핀성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가 유리된 부텐-1/부텐-2혼합물을 15.3kg/hr의 속도로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수득하였다.
모든 혼합물을 100단을 갖는 제1증류컬럼(G)의 중단속에 도입시켜 환류비가 9, 3.3kg/cm2의 컬럼상단 압력, 37℃의 컬럼상단온도에서 증류시켰다. 이 결과 표 5에 표시된 조성물을 갖는 부텐-2을 라인(15)을 통해 컬럼의 저단으로 부터 7.2kg/hr의 속도로 수득하였다.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부텐-1을 8.0kg/hr의 속도로 수득하였다.
이결과 수득된 모든 부텐-1을 제2증류컬럼(D)의 중단에 도입시켜 3.3kg/cm2(G)의 컬럼 상단 압력 및 37℃의 컬럼상단온도에서 증류시켰다. 이결과 표 5에 표시된 조성물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물이 유리된 고순도 부텐-1을 라인(17)을 통해 컬럼 저단으로 부터 수득하였다.
사용된 극성 용매는 무수의 디메틸포름 아미드와 0.1중량%의 니트로벤젠 및 0.05중량%의 질산나트륨과의 혼합물이다.
[표 5]
조성물(중량 %)
Figure kpo00004

Claims (4)

  1. 이소부탄, n-부탄, 부텐-1, 부텐-2가 함유된 C4탄화수소 유분, 하나 이상의 디올레핀성 탄화수소 또는 하나 이상의 아세틸렌성 탄화수소로 부터 디올레핀성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가 실질적으로 유리된 고순도 부텐-2 및 고순도 부텐-1의 분리 방법에 있어서,
    단계 A(제1추출 증류단계)로서, C4탄화수소 유분을 극성용매를 사용하여 제1추출 증류컬럼에서 처리하여 주성분으로 이소부탄과 n-부탄이 함유된 라피네이트와 주성분으로 부텐-1, 부텐-2, 디올레핀성 탄화수소 또는 아세틸렌성 탄화수소가 함유된 추출액으로 분리시키고,
    단계 B(제1증류단계)로서, 상기단계 A에서의 추출액을 제1증류 컬럼속에 도입시켜 주성분으로 컬럼상단으로 부터 부텐-1, 디올레핀성 탄화수소 또는 아세틸렌성 탄화수소가 함유된 유분과 컬럼이 저단으로 부터 정제된 부텐-2를 수득하고,
    단계 C(제2추출 증류단계)로서, 주성분으로서 부텐-1, 디올레핀성 탄화수소 또는 아세틸렌성 탄화수소가 함유된 상기 단계 B에서 수득한 유분을 제2추출 증류 컬럼속에 도입시켜 이를 극성용매로 처리하여 주성분으로서 부텐-1을 포함하는 라피네이트와 주성분으로서 디올레핀성 탄화수소 또는 아세틸렌성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추출액으로 분리시키며,
    단계 D(제2증류단계)로서, 상기 단계 C에서 수득한 라피네이트를 제2증류컬럼속에 도입시켜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소량의 물을 제거시키고 컬럼의 저단으로 부터 정제된 부텐-1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부텐-1 및 부텐-2의 분리방법.
  2. 이소부탄, n-부탄, 부텐-1, 부텐-2가 함유된 C4탄화수소 유분, 하나 이상의 디올레핀성 탄화수소 또는 하나 이상의 아세틸렌성 탄화수소로 부터 디올레핀성 및 아세틸렌성 탄화수소가 실질적으로 유리된 고순도 부텐-2 및 고순도 부텐-1의 분리 방법에 있어서,
    단계 A(제1추출 증류단계)로서, C4탄화수소 유분에 극성용매를 사용하여 주성분으로 이소부탄과 n-부탄이 함유된 라피네이트와 주성분으로 부텐-1, 부텐-2, 디올레핀성 탄화수소 또는 아세틸렌성 탄화수소가 함유된 추출액으로 분리 시키고,
    단계 B(제2추출 증류단계)로서, 상기단계 A에서의 추출액을 제2추출 증류 컬럼속에 도입시켜 이를 극성용매로 처리하여 주성분으로 부텐-1 및 부텐-2가 함유된 라피네이트와 주성분으로 디올레핀성 탄화수소 또는 아세틸렌성 탄화수소가 함유된 추출액으로 분리시키고,
    단계 C(제1 증류단계)로서, 상기단계 B로부터의 라피네이트를 제1증류컬럼 속에 도입시켜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부텐-1의 수득하고 컬럼의 저단으로 부터는 정제된 부텐-2를 수득하고,
    단계 D(제2증류단계)로서, 상기 단계 C로부터의 부텐-1을 제2증류컬럼속에 도입시켜 컬럼의 상단으로 부터 소량의 물을 제거시키고 컬럼의 저단으로 부터는 정제된 부텐-1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부텐-1 및 부텐-2의 분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추출 증류 단계에서 사용되는 극성용매가 N-알킬-치환된 저급 지방산 아미드인 상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추출증류 단계에서 사용되는 극성용매가 N-알킬-치환된 저급 지방산 아미드인 상기방법.
KR8204592A 1981-10-13 1982-10-12 고순도 부텐-1 및 부텐-2의 분리 정제방법 KR870001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307481A JPS5865228A (ja) 1981-10-13 1981-10-13 高純度ブテン−1及びブテン−2の分離精製方法
JP16307381A JPS5865227A (ja) 1981-10-13 1981-10-13 C↓4炭化水素留分よりの高純度ブテン−1及びブテン−2の分離精製方法
JP163074 1981-10-13
JP163,073/81 1981-10-13
JP163074/81 1981-10-13
JP163073 1981-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939A KR840001939A (ko) 1984-06-07
KR870001764B1 true KR870001764B1 (ko) 1987-10-06

Family

ID=26488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592A KR870001764B1 (ko) 1981-10-13 1982-10-12 고순도 부텐-1 및 부텐-2의 분리 정제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515661A (ko)
EP (1) EP0079679B1 (ko)
KR (1) KR870001764B1 (ko)
CA (1) CA1190176A (ko)
ES (2) ES8403847A1 (ko)
HU (1) HU190416B (ko)
MX (1) MX16672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933B1 (ko) * 2007-06-14 2015-05-27 라이온델 케미칼 테크놀로지, 엘.피. 프로필렌 제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4245B1 (fr) * 1991-03-20 1994-05-27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separation de butenes et de butanes par distillation extractive.
WO1993013040A1 (en) * 1991-12-20 1993-07-08 Exxon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the removal of green oil from a hydrocarbon stream
DE10219375A1 (de) * 2002-04-30 2003-11-13 Basf Ag Kontinuierliches Verfahren zur Gewinnung von Butenen aus einem C4-Schnitt
US7816572B2 (en) * 2007-08-07 2010-10-19 Lyondell Chemical Technology, L.P. Propylene and isoprene production
CN101475429B (zh) * 2008-01-04 2013-07-0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综合利用裂解碳四的方法
FR2980194B1 (fr) * 2011-09-20 2013-08-23 IFP Energies Nouvelles Procede de separation du butene-2 d'une coupe c4 contenant du butene-2 et du butene-1 par oligomerisation selective du butene-1
CN102992933B (zh) * 2012-10-13 2016-03-30 东华工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碳四的分离方法
CN105037068B (zh) * 2015-06-26 2017-03-08 中石化炼化工程(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丙烯的制备方法及设备
KR102358406B1 (ko) * 2017-07-31 2022-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라피네이트-2 의 정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29021A (en) * 1955-11-10 1960-02-24 Phillips Petroleum Co Improvements in separation of butadiene from hydrocarbons by extractive distillation
US2911452A (en) * 1956-06-22 1959-11-03 Universal Oil Prod Co Process for separating butylenes from butanes
US2963522A (en) * 1957-12-30 1960-12-06 Phillips Petroleum Co Production of butadiene
US3013952A (en) * 1958-01-30 1961-12-19 Phillips Petroleum Co Separation of butene-1 from butadiene and acetylenes
US2993841A (en) * 1959-09-25 1961-07-25 Shell Oil Co Extractive distillation with dimethylformamide
GB881597A (en) * 1959-10-30 1961-11-08 Universal Oil Prod Co A process for separating butylenes from butane
US3232850A (en) * 1961-10-27 1966-02-01 Phillips Petroleum Co Butene and butadiene purification by plural stage distillation
US3772158A (en) * 1971-03-29 1973-11-13 Shell Oil Co Butadiene recovery process
US4128457A (en) * 1977-03-09 1978-12-05 Societa' Italiana Resine S.I.R. S.P.A.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butadiene by plural stage extractive distillation
DE2724365C3 (de) * 1977-05-28 1979-09-06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m Trennen eines C4 -Kohlenwasserstoffgemisches durch extraktive Destillation
US4134795A (en) * 1978-04-05 1979-01-1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cetylenes removal from diolefin streams by extractive distillation
DE2965767D1 (en) * 1979-03-21 1983-07-28 Davy Mckee Lond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sulphur-free butene-1 rich stream
FR2474024A1 (fr) * 1980-01-23 1981-07-24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production de butene-1 a partir d'une coupe c4 d'hydrocarbures
JPS56128724A (en) * 1980-03-15 1981-10-08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Purification of butadiene or isoprene
US4269668A (en) * 1980-05-19 1981-05-26 The B. F. Goodrich Company Extractive distillation of C-4 hydrocarbons using modified alkoxynitrile solvent
US4356339A (en) * 1980-12-15 1982-10-26 Nippon Oi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isolating and recovering butene-1 of high pur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933B1 (ko) * 2007-06-14 2015-05-27 라이온델 케미칼 테크놀로지, 엘.피. 프로필렌 제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79679A1 (en) 1983-05-25
HU190416B (en) 1986-09-29
CA1190176A (en) 1985-07-09
ES516412A0 (es) 1984-04-01
ES528563A0 (es) 1985-05-01
KR840001939A (ko) 1984-06-07
ES8504902A1 (es) 1985-05-01
US4515661A (en) 1985-05-07
ES8403847A1 (es) 1984-04-01
MX166728B (es) 1993-01-29
EP0079679B1 (en) 1986-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2277B2 (en) Continuous method for separating a C4 cut
US4277313A (en) Recovery of 1,3-butadiene
AU2004259076B2 (en)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a crude C4 cut
KR870001764B1 (ko) 고순도 부텐-1 및 부텐-2의 분리 정제방법
KR101700986B1 (ko) 부타디엔의 분별 추출
US4556461A (en) Process for separating highly pure butene-1 or butene-1/isobutene mixture from C4 hydrocarbon fraction
US4555312A (en) Process for separating highly pure butene-1 or butene-1/isobutene mixture from C4 hydrocarbon fraction
US3803258A (en) Production of pure conjugated c4 and c5 diolefins from hydrocarbon mixtures
AU2003250141B2 (en) Method for working up crude 1,3-butadiene
KR20050057375A (ko) 극성 추출제를 사용하는 추출 증류법에 의한 부텐과 부탄의분리방법
US4292141A (en) Isolation of butadiene from a C4 -hydrocarbon mixture
JP2842091B2 (ja) 高純度1−ブテン及び2−ブテンの取得方法
EP0085572B1 (en) Process for separating hydrocarbon mixtures by extractive distillation
JPS6353975B2 (ko)
JPH0641428B2 (ja) 抽出蒸留によりc4−炭化水素混合物を分離する方法
JP2020510062A (ja) 純粋な1,3−ブタジエンを単離するための簡素化された方法
JPS6353976B2 (ko)
Ogura et al. Process for separating highly pure butane-1 or butane-1/isobutene mixture from C4 hydrocarbon fraction
EP0151785B1 (de) Verfahren zur Kapazitätssteigerung einer Extraktionsanlage zur Gewinnung von Butadien-(1,3) aus C4-Kohlenwasserstoffgemischen unter gleichzeitiger Gewinnung von Buten-(2)
SU1062202A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бутадиенсодержащих фракций от ацетиленовых углеводородов
KR830000969B1 (ko) C_4-또는 c_5-탄화수소 혼합물로부터 공액 디올레핀을 분리하는 방법
Lindner et al. Isolation of butadiene from a C 4-hydrocarbon mix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