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671B1 - 광합성 반응 장치 - Google Patents

광합성 반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671B1
KR870001671B1 KR1019830006168A KR830006168A KR870001671B1 KR 870001671 B1 KR870001671 B1 KR 870001671B1 KR 1019830006168 A KR1019830006168 A KR 1019830006168A KR 830006168 A KR830006168 A KR 830006168A KR 870001671 B1 KR870001671 B1 KR 870001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reaction
reaction vessel
photosynthetic
photosynth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6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824A (ko
Inventor
게이 모리
Original Assignee
게이 모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2271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2588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32272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2589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30790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25889A/ja
Application filed by 게이 모리 filed Critical 게이 모리
Publication of KR840006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2Photobio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2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01J19/122Incoherent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06Tub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4Multiple separable units;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C12M27/04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with introduction of gas through the stirrer or mix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4Filters; Permeable or porous membranes or plates, e.g. 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1/00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 C12M31/08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by conducting or reflecting elements located inside the reactor or in its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1/00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 C12M31/10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by light emitting elements located inside the reactor, e.g. LED or O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ll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합성 반응 장치
제1도는 본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광합성 반응 장치의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4도는 본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광합성 반응장치의 다른 예를 표시하는 요부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선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하는 광합성 반응장치의 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광합성 반응 장치의 측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VIII-VIII선 단면도.
제9도는 제6-8도에 표시된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평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단면도.
제12도는 제11의 VII-VII선 단면도.
제13도는 제11-12도에 표시된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각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의하는 장치와 연결된 CO2를 함유하는 공기를 제조하는 장치의 대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응통 12 : 광라디 에이터
14 : 단일관 16 : 외관
16a : 나사 18 : 광도체막대
20 : 반사경 22 : 윗뚜껑
22a : 나사 24 : 광도체 케이블
26 : 파이프 26' : 연장부
28 : 간격 30 : 연통구
32 : 연통구 34, 36, 38 : 밸브
40 : 계기류 42 : 발열흡열장치
56 : 날개차 58 : 공기유통로
60 : 공기분사구 66 : 공기유통로
100 : 광합성 반응통 100a : 내주벽
100b : 외주벽 102 : 광라디에이터
104 : 전등 106a, 106b : 불투과투명부재
108 : 물 110 : 반응통
112 : 격실 114 ; 투명판
116 : 투명판 118 : 반사막면
120 : 회전원판 122, 124 : 수평방향공기분사구
126, 128 : 수직방향공기분사구 130 : 파이프
132 : 공기베어링 140 : 다공판
142 : 구멍 144 : 튜우브
150 : 공기공급장치 154 : 가스연소기
156 : 밸브파이프 158 : 열교환기
160 : 필터 162 : 펌프
본 발명은 광합성 반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과 CO2를 균일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공급되게 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합성 반응 장치는 클로렐라(엽록소를 포함하는 단세포 미생물) 배양장치가 제공되었다.
클로렐라를 배양하는 데에 있어서 어려운 점은 소정치 이상의 광을 부여 하면 엽록소가 파괴되어 독소(페오포르바이트)를 발생하고 소정치 이하의 광을 부여하면 광합성이 진해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광합성을 효과적으로 진행시키기 위하여서는 광합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모든 세포에 대하여 균일한 어느정도의 광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이상적인 조건은, 대단히 좁은 간격의 사이로 광합성 물질을 통과하게 함과 동시에, 이 간격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일정량을 광을 공급하면 좋은 것이다.
이와같이 하면, 광의 감쇠가 없고 모든 광합성 물질을 포함하는 세포에 대하여 빛의 파장 성분을 변경하지 아니하고서도 충분한 빛을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광합성을 효율 좋게 행하기 위하여서는 충분한 CO2를 전체에 걸쳐 빠짐없이 균등하게 공급할 필요가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여러가지의 광합성 반응.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제안한 장치를 더욱 개량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합성 반응을 위한 반응조내에 광을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광합성 반응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O2를 포함하는 공기를 반응조에 확실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공급하는 광합성 반응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CO2를 발생하는 간단하고 경제적인 장치가 부착된 광합성 반응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 다른 목적은 보편적으로 개량된 광합성 반응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광합성 반응 장치는 그 내부에 광합성을 일으키게 하는 반응통과 반응통내에 서로 평행으로 상부로 정렬된 복수개의 좁은 튜부형 광라디 에이터를 갖추고 있으며,
각각의 광 라디 에이터는 그 내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광을 방사하고, 산화질소를 초함하는 공기의 젯트분사하기 위한 수평 방향 공기 분사기가 형성된 회전원판과, 인접한 광 라디에이터 사이의 간격을 향하여 CO2를 포함하는 공기를 젯트분사하는 수직방향 분사구를 갖추고, 수평방향 분사구는 회전원판의 축에 대하여 회전원판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힘의 모멘트를 가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회전원판은 CO2를 포함하는 공기가 수직방향 분사구를 통하여 반응통내로 공급되는 동안 회전되도록 된다.
본 발명의 의하면, 광합성 반응 장치는 광과 CO2를 함유하는 공기를 확실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반응통내로 공급하도록 일체로 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반응통은 그 내부와 또는 그 외부로 부터 단속적으로 광합성 반응을 위해 광에 방사된다.
CO2를 포함하는 공기는 CO2발생기로부터 본 장치의 저부에 위치한 회전원판으로 전달된다.
CO2를 함유하는 공기의 일부는 회전원판으로 부터 측면으로 분사되어 회전원판을 회전시키며, 이때 잔유공기는 반응 통내에서 상부로 분사된다.
반응통은 회전원판의 회전에 의하여 Co2를 포함하는 공기와 함께 동시에 공급되는 복수개의 격실내부로 분할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또 다른 목적, 구성, 작용 및 효과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광합성 반응 장치는 환경과 사용의 구조에 따라 많은 물리적 실시예가 가능하나, 여기에서 설명되고 기술되는 가능한 수의 예가 제작 시험되어 보았고 모두 만족한 상태로 수행되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출원인이 앞서 제한하였던 광합성 반응 장치를 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제3도에서 광합성 장치는 부호 10으로 되어 있는 반응통을 갖추고 잇다.
세관상의 다수개의 광라디에이터(12)는 반응통(10) 내에서 서로 평행상태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다.
각각의 광 라디 에이터(12)는 그 하단부가 폐쇄됨과 동시에 각각 단일관(14)에 밀접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광 라디 에이터(12)는 투명체의 외관(16), 광도체 막대(18) 및 각 광 라디 에이터(12)의 하단부에 설치된 반사경(2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윗뚜껑(22)은 반응통(10)의 상부를 덮고 있는 각외관(16)의 상부 나사(16a)와 맞물리는 나사(22a)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뚜껑(22)이 반응통(10)으로 부터 벗겨내면, 광라디에이터(12)도 윗뚜껑(22)과 함께 벗겨지므로 반응통(10)이나 광 라디 에이터(12)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광도체 케이블(24)은 그 출광끝단측에 외관(16)의 나사(16a)의 상부와 각각 나사로 맞물려 있다.
각각의 광도체 케이블의 이 위치에서, 광화이버(24a)는 그 끝단이 광 라디에이터(12)의 광도체 막대(18)의 끝단과 일치하므로 광 화이버(24a)로 부터 도입 전송되어온 광은 효과적으로 광도체 막대(18)에 전달된다.
각각의 광도체 막대(18)는 석영, 프라스틱등으로 되어 있다.
광도체 막대(18)를 따라 전송되어 오는 빛은 광도체 막대(18)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위치한 광확산 물질(18a)에서 방사된다.
광확산 물질(18)은 석영이나 프라스틱 보다 큰 굴절률을 갖고 잇어, 광을 광도체 막대(18)의 외부로 광확산 물질(18a)을 통해 방사하게 한다.
파이프(26)는 CO2를 함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반응통(10)과 연결되어 있다.
제3도에서와 같이, 단일관(14)에는 광 라디 에이터(12)의 하단부가 끼워져 있고, 단일관(14)은 각각의 단일관(14)간의 간격(28)을 유지하면서 그 외부면에서 접촉되어 있다.
간격(28)은 반응통(10)의 중앙부에서 폐쇄되어 있다. (제3도의 검은 간격(28) 부분)
파이프(26)에 의하여 반응통(10) 내로 공급된 CO2를 함유한 공기는 반응통(10)의 외주에 인접한 간격(28)을 통하여 흐르고, 제1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광 라디 에이터(12)간의 간격을 따라 상승하여 상단부에서 중심 방향으로 흐르고, 화살표 B방향으로 중심을 따라 하강하여, 반응통(10)의 외주를 향하여 중앙부에서 폐쇄 간격(28)에 의하여 방향을 바꾸어 반응통(10) 내주로 환류한다.
이와같이 하여, 광 라디 에이터(12)의 외주벽상을 배지와 함게 재순환 공기가 이동하여 광 라디 에이터(12)상에 광합성 물질이 부착하는 일이 없게 된다.
이에 의하여 광 라디 에이터(12)로 부터 방출된 광이 차단되는 일이 없고, 모두 광합성 물질에 광 에너지 및 CO2를 균등하게 공급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공기가 하강하는 면적을 공기가 상승하는 면적보다 적게하면, 하강부의 수류가 빠르게 되어 이 하강부에서의 광 라디 에이터(12)의 외주벽의 오염을 적게할 수가 있다.
반응통(10)의 중앙부의 간격(28)이 폐쇄되었으나 외주부의 간격이 거꾸로 폐쇄될 수도 있다.
보조통(28)은 반응통(1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연통구(30), (32)를 통하여 광합성 반응통(10)과 연결되어 있다.
밸브(34)는 보조통(28)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어 장치로 부터 광합성 반응 물질이 배출된다
제2밸브(26)는 보조통(28)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36)는 밸브(34)로부터 배출광합성 물질이 배출됨으로서 부족해지는 배지를 pH 조절용액을 보충하도록 작동된다.
제3밸브(38)은 반응통(10)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반응통(10)의 공기를 배출 조절하기 위하여 보조통(28)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압력 조정 밸브(38)를 이용하여 광합성 반응조내의 압력을 자동적으로 소정 압력으로 조정하도록 하면, 광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CO2가 증가될 수 있고, 반응통(10) 내의 압력이 저하되어 CO2가 중탄산(MIH CO3)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통(28) 내에는 온도계, 압력계, pH계, 농도계등 반응통(10) 내에서의 광합성 반응을 검사하기 위한 계기류(4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에 의하여 반응통(10) 내에서의 상태를 제어하여 이러한 계기류의 출력에 따라 적정한 상태로 효과적인 광합성이 되게 한다.
예를 들어 반응통(10) 내의 온도가 보조통(28) 내에 위치한 발열/흡열 장치(42)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계기류의 출력은 광합성 물질의 배출 시기를 알도록 할 수 있다.
광합성 반응이 연속적으로 행하여 지는 동안 광합성 물질은 보조통(28)을 통하여 배출된다.
광합성 반응을 일시 중단하여도, 파이프의 끝단(도시안됨)은 CO2를 함유하는 공기를 공급하는 대신 진공장치(도시안됨) 등에 바꾸어 연결되어, 파이프(26)를 통하여 광합성 물질이 회수될 수 있다.
제4도와 제5도에서는 본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다른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동일 부품은 제1-3도에서와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파이프(26)(제1도)에는 광 라디 에이터(12)의 밑부분으로 반응(10)으로 돌출된 연장부(26')가 있다.
연장부(26')는 그 상부끝단부에서 축방향 유통로(26'a)와 축방향 유통로(26'a)로 부터 방사상으로 외부로 뻗어 있는 복수개의 원주방향 유통로(26'b)를 갖추고 있다.
날개차(56)는 연장부(26')의 상부 위에 움직일 수 있게 위치하고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통로(58)와 각공기유통로(58)로 부터 날개차(56)를 통하여 뻗어 있는 복수개의 공기분사구(60)를 갖추고 있다.
작용에 있어서, 파이프 연장부(26')의 축방향 유통로(26'a)를 따라 도입된 공기는 원주방향 유통로(26'b)로부터의 각각의 공기유통로(58)의 측벽부(58a)에 닿아 제5도에서와 같이 날개차(56)에 화살표 R방향의 회전력을 준다.
그리고 공기는 공기유통로(58)를 통하여 공기분사구(60)로 부터 분사되어 날개차(56)를 R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파이프 연장부(26')의 유통로(26'a)의 상단으로 부터 방출된 공기압에 의하여 날개차(56)가 뜨게 되어 이 파이프 연장부(26')와 날개차(56)와의 사이에 간극(d1)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부분의 공기는 간극(d1)를 통해 외부로 방사된다.
또한 간극(d1)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와 원주방향 유통로(26'b)를 통해 방출되는 공기는 연장부(26')의 외주면과 날개차(56)의 내벽과의 사이 간극(d2)를 통해 부분적으로 도입되어 날개차(56)의 저부와 반응통(10)의 저부 와의 간격(d3)로 흐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날개차(56)는 간격(d1)(d3) 내를 흐르는 공기류에 의하여 공기 쿠션으로 지지되고 또 간극(d2)에 흐르는 공기류에 의하여 공기 베어링으로 지지된다.
날개차(56)를 움직이게 하는 주회전력은 공기분사구(60)으로 부터의 공기분사에 의하여 발생된다.
원한다면 날개차(56)는 광라디 에이터(12)와 날개차(56)의 상부간 간격(d4)으로 공기를 통과시키게끔 공기유통로(66)를 설치하여 놓으면 날개차(56)를 보다 효과적으로 공기쿠션 지지할 수 있다.
제6-8도에서 본 발명의 광합성 반응장치의 다른실시예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광합성 반응통(100)를 갖추고 있다.
반응통(100)은 투명체의 내주벽(100a)과 내주벽(100a)을 둘러싸고 있는 투명체의 외주벽(100b)과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수 개의 광 라디에이터(102)가 투명체의 내주벽(100a)과 외주벽(100b)의 사이에 병렬로 입설되어 있다.
각 광라디 에이터(102)는 종래기술의 광라디 에이터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등(104)은 내주벽(100a)의 중심 내측에 광라디 에이터(102)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에 있어서, 전등(104)으로 부터 조사되는 광은 투명 내주벽(100a)를 통하여 반응통(100)으로 전달되어 그 내부에서 소정의 물질의 광합성 반응을 일으키게 한다.
전등(104)은 형광등이 또는 키세논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키세논 등을 사용한 경우에는, 전등(104)으로 부터 방출되는 자외선과 적외선이 반응통(100)으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제9도에서와 같이, 원하지 않는 광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전등(104) 주위에 동축의 내, 외 불투과 투명부재(106a), (106b)로서 둘러쌓고 그 사이에 물(108) 등을 넣어둔다.
불투과 투명부재(106a), (106b)는 자외선을 통과시키지 않는 보통 투명부재로 되어있다.
물(108)은 적외선을 흡수하게 된다.
필요 하다면, 반응통(100)은 옥외에 사용하도록 설치하거나 전등(104)이 외주벽(100b)의 외부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태양광 또는 이 광원에서의 빛이 투명체의 외주벽(100b)을 통하여 반응통(100) 내에 도입되어, 이 광합성 반응통내에 있어서 광합성 반응에 기여하게 된다.
따라서 반응통(100)의 내부와 외부로 부터 광이 도입됨으로 인하여 광합성 반응은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반응통(100)은 제4-5도에서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CO2를 함유한 공기가 공급된다.
도시와 같이, CO2를 함유하는 공기의 공급구조는 반응통(100) 하단에 배치되고 축방향 유통로(26'a)와 파이프(26) 및 공기분사구(60)를 갖춘 날개차(56)를 포함하고 있다.
기타 구조는 선행 기술의 구조와 유사하고, 따라서, 동일한 부품은 동일 부호를 부어하였다.
효과적인 광합성 반응을 위해서는 광합성 반응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것보다 단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통(100)의 변형예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제10도에 의하면, 변형된 반응통(110)은 내주벽(110a)과 외주벽(110b)과의 사이를 칸막이 하여 복수개로 한 것이다.
내주벽(110a)와 외주벽(110b) 사이의 공간은 각각 광에 반사되는 격실(112)로서 복수개의 구분 A, B, C, D, E, F로 나뉘어져 있다.
각격실(112)은 두개의 투명판(114), (116)으로 되고, 투명판(114), (116) 사이의 반사막면(118)은 격실(112)을 구성하고 있다.
복수개의 광라디 에이터(102)는 각각의 구획 A-F내에 인접하여 정렬되어 있다.
제10도의 구조에서, 본 장치는 광합성을 위하여 반응통(110)에 도달하는 광의 사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같은 배열로 격실(A-F)의 어느 곳에서는 광합성 반응이 일어나고 다른 격실에서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광과 CO2를 함유하는 공기의 공급의 차단)
따라서 광과 CO2함유하는 공기가 도달하는 곳과 도달하지 않는 격실이 바뀌게 된다.
또한 각 칸막이한 격실의 상부 및 하부를 연통하게 하여도 좋은 것이고, 이와같이 하면 날개차(56)가 도달한 간막이방에서는 CO2및 배지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인접한 격실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CO2및 배지의 순환이 순조롭게 행하여진다.
도면에서와 같이 격실(112)의 구조가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것은 제조를 더욱 용이하게 하고 배지등에 의하여 반사막면이 손상되지 않고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제11도-제12도에서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1도-제12도의 장치에서 수평방향 공기분사구(122), (124)와 수직 방향 공기분사구(126), (128)로 구성된 회전원판(120)을 갖추고 있다.
회전원판(120)은 파이프(130)으로 압력을 갖고 공급되는 CO2함유공기에 의하여 공기 베어링, 공기 쿠션으로 지지되고 이는 전술한 파이프(26')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회전원판(120) 장치의 구조에서 선행 기술장치와 동일 부품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회전원판(120)은 제12도에서 수평방향 분사구(122), (124)의 공기분사에 의하여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되고, 동시에 수직방향 분사구(126), (128)로 부터 분사되는 공기는 세관형상광 라디 에이터(12)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광합성 반응통내에 공급된다.
회전원판(120)은 종래의 날개차(56)에 대신하여 잇점이 있는데, 전체의 균형을 양호하게 간직할 수 있고, 광합성 반응통내의 CO2함유공기의 공급을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회전원판(120)은 하부에 괴어 있는 배지를 반응 통내에서 효과적으로 내보낼 수 있다.
반응통을 포함하는 장치의 상부와 회전원판을 포함하는 장치의 하부는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될수 있어 장치는 쉽게 제조되고 보존될 수 있다.
제11도-제12도에 나타낸 장치의 변형례를 제13도에 나타내고 있다.
변형된 장치의 특징은 회전원판(120)이 공기 베어링(132)를 통해 파이프(130)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면 더욱 안정된 상태로 회전원판(120)을 회전 지지할 수 있다.
제14도-제15도에서, 또 다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이고 있는데 제13도에 나타난 회전원판(120) 지지구조와 회전원판(120)으로 부터 반응통내로 CO2함유공기를 공급하는 단일 파이프 구조를 갖추고 있다.
제14도-제15도에서 전술한 예의 구조와 동일 유사한 부품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제14도-제15도의 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위치에 구멍(142)이 형성된 다공판(140)과 인접한 광 라디 에이터간의 간격(28)(제3도)에서 다공판(140) 내에 각각의 구멍(142)을 연결하는 튜우브(144)를 갖추고 있다.
회전원판(120)은 다공판(140)의 하측에 근접 위치하여 있고 공기 베어링(132)에 의하여 지지되어 회전한다.
제15도에서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판(140)은 다수개의 구멍(140)이 동심원상이고 또한 방사선상으로 다수의 줄로 형성되어 있다.
각 구멍(142)은 튜우브(144)에 의하여 세관형상의 광 라디 에이터간의 간격(28)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이 다공판(140)에 형성된 1줄의 구멍은 상기 회전판(120)에 형성된 수직공기 분사구(126) 또는 (128)과 대향 배설되어 있고 따라서 회전원판(120)이 상기에서와 같이 하여서 회전하게 되면 이 회전원판(120)의 수직방향 공기 분사구(126), (128)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이 회전판(120)의 회전에 따라 다공판(140)의 1줄의 구멍, 예를 들어 (142a), (142b), (142c)…와 순차로 맞게 되고, 이들 중의 1줄의 구멍(142a), (142b), (142c)…에 대응한 간격(28) 즉, 세관형상의 광 라디 에이터간의 간격에 동시에 CO2함유공기를 공급하고, 또한 공급된 위치가 회전원판(120)의 회전에 따라서 순차로 변화한다.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면 제10도에 표시한 구획된 반응통의 구조가 더적은 가압저항을 얻기 위하여 제14-15도에 나타난 구조에 역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따라서 더 순조로운 CO2함유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제16도에서, 본 발명에 의한 CO2함유공기의 공급장치를 설명하고 있다.
공기공급장치(150)는 그 내부가 파이프(130, 26)와 연통되는 하우징(152)를 갖추고 있다.
천연가스나 프로판과 같은 탄화수소계 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 연소기(154)는 하우징(152) 내에 설치되고 밸브파이프(156)에 의하여 가스공급원(도시안됨)에 연결된다
열교환기(158)는 가스연소기(154)의 상부에 위치하여 있다.
먼지를 거르는 필터(160)은 열교환기(158)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탄화수소계 가스가 가스연소기(154)에 의하여 연소되면 하우징(152) 내에 CO2와 물이 생긴다.
펌프(162)는 CO2를 가압하여 파이프(130, 26)를 통해 반응통내로 공급한다.
이와같이 하면, 구하기가 용이하고, 또한 값싼 도시가스를 사용하여 CO2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합성 생성물을 효과적으로 번식 또는 성장 시키기 위하여서는 광합성을 간헐적으로 행하는 것이 좋다.
광합성을 행하지는 아니하는 사이에는, 반응통내에 원하는 재료에 산소를 공급하여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산소공급은 제16도에 도시한 장치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즉, 하우징(152) 내에서 가스의 연소를 중지하면 좋은 것이다.
이리하여 CO2와 산소는 서로 변환 공급하는 것이 매우 쉬워진다.
하우징(152) 내의 열교환기(158)는 연소실내의 더운 공기가 광합성 반응통에 공급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원한다면, 열교환기(158)는 광합성이 정지된 때에, 이 열교환기(158)를 이용하여 찬공기가 광합성 반응통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여서, 광합성 반응통에 항상 가장 적당한 온도의 공기를 공급하게 하면, 광합성 반응을 더욱 효율좋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광합성 반응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응통내에 광과 CO2함유공기를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광합성 반응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장치는 CO2함유공기의 공급을 하는 장치를 경제적이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간헐적인 광합성 반응에서, CO2와 산소는 쉽게 교대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화수소계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공기중의 세균을 하우징(152)에 공급되기전에 살균할 수 있다.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면 본 발명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 기술을 토대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1도-제15도에 나타난 실시예가 반응통과 선행 기술 장치의 광라디 에이터에 도입되면, 제6도-제10도에서 설명한 구조가 자연스럽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광합성 반응을 일으키는 반응통을 구비하며, 상기 반응통은 투명내주벽과 투명내주벽을 둘러쌓고 있는 투명 외주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간격과 내주벽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위치한 광원을 구성하고 있고, 복수개의 세관상 광라디 에이터가 서로 평행하여 반응통내에 상향 정렬되어, 각각의 광라디 에이터는 그 내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되며, 회전원판은 CO2함유공기를 분사하기 위하여 평면아래에 광라디 에이터에 직각으로 위치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반응통은 반사막면에 의하여 복수개의 격실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반응통은 광원전등 주위에 동심의 내주 불투과투명 부재와 외주불투명 투과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내주 불투명 투과부재와 외주불투명투과 부재 사이의 공간에 적외선을 흡수하는 물질이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그 물질이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CO2가스를 회전원판을 통하여 반응통으로 공급하기 위한 CO2가스공급장치와, 상기 CO2가스공급장치는 CO2가스와 물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탄화수소계 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연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CO2가스 공급장치는,CO2가스가 반응통으로 CO2가스를 통과시켜 공급시키는 열 교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CO2가스 공급장치는, 반응통으로 CO2가스를 통과시켜 공급되는 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CO2가스공급장치는, 가압상태에서 CO2함유공기를 반응통으로 공급하는 광합성 반응중에는 작동하고 천연가스가 가압상태에서 반응통으로 공급되는 광합성 반응의 정지중에는 작동이 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 장치.
  10. 광합성 반응을 일으키는 반응통을 구비하며, 복수개의 세관상 광라디 에이터가 서로 평행하여 반응통내에 상향 정렬되어 각각의 광라이 에이터는 그 내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되며, 회전원판은 평면 아래에서 광라디 에이터에 직각으로 위치하면서, 이 회전원판은 인접 광 라디 에이터간의 간격을 향하여 CO2함유공기를 분사하는 수평방향 공기 분사구와 CO2함유공기를 분사하는 수직방향 분사구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방향 공기 분사구는 회전원판이 그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가하기 위하여 구성됨으로서 수직방향 공기분사구를 통하여 반응통 내부로 CO2함유공기를 공급하는 동안 회전원판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회전원판은 CO2함유공기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회전원판은 공기밀착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광라디 에이터와 회전원판 사이의 평면에 위치하면서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판과, 인접한 광라디 에이터간의 간격의 어느 하나에 다공판의 구멍의 어느 하나가 각각 연통되는 복수개의 튜우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회전원판의 수직방향 공기 분사구는 회전원판이 회전 되는 동안 계속적으로 다공판의 구멍에 맞추어 지도록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광합성 반응장치.
  15. 제15항에 있어서, 다공판의 구멍은 복수개의 방사상으로 뻗은 열과 다수개의 동심원상에 위치하고, 회전원판의 수직방향 공기분사구는 계속적으로 한번씩 다공판의 방사상 구멍열의 적어도 하나에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반응통은 각각의 다공판의 방사상 구멍열에 대하여 대응하는격실과, 방사상 구멍열의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각 격실내에서 인접하는 광라디 에이터간의 간격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회전원판을 통하여 반응통에 CO2가스를 공급하는 CO2가스 공급수단을 구비하고, CO2가스공급장치는 CO2가스와 물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탄화수소계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연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CO2가스공급장치는, CO2가스가 반응통 내로 공급되는 열교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CO2가스공급장치는 반응통으로 CO2가스를 통과시켜 공급되는 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CO2가스 공급장치는 가압상태하에서 CO2함유공기가 반응통으로 공급되는 광합성반응중에는 작동하고, 천연가스가 가압하에서 반응통으로 공급되는 광합성 반응 정지중에는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반응장치.
  21. CO2가스와 물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탄화수소계 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연소기와, 반응통으로 CO2가스를 통과시키는 열교환기와, 반응통으로 CO2가스함유공기를 통과시키는 필터로 구성되어, 광합성 반응장치 반응통에 CO2가스를 공급하는 장치.
KR1019830006168A 1982-12-24 1983-12-24 광합성 반응 장치 KR870001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232271 1982-12-24
JP57-232271 1982-12-24
JP23227182A JPS59125887A (ja) 1982-12-24 1982-12-24 生物育成装置における炭酸ガス及び酸素供給装置
JP23227282A JPS59125890A (ja) 1982-12-24 1982-12-24 光合成反応装置
JP???57-232272 1982-12-24
JP23079082A JPS59125889A (ja) 1982-12-31 1982-12-31 光合成装置
JP???57-230790 1982-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824A KR840006824A (ko) 1984-12-03
KR870001671B1 true KR870001671B1 (ko) 1987-09-21

Family

ID=2733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6168A KR870001671B1 (ko) 1982-12-24 1983-12-24 광합성 반응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76956A (ko)
EP (1) EP0112556B1 (ko)
KR (1) KR870001671B1 (ko)
AU (1) AU551270B2 (ko)
CA (1) CA1228559A (ko)
DE (1) DE3376220D1 (ko)
HK (1) HK949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76339D1 (en) * 1982-01-16 1988-05-26 Kei Mori Apparatus for photosynthesis
JPS6312274A (ja) * 1986-07-03 1988-01-19 Takashi Mori バイオリアクタ
US5104803A (en) * 1988-03-03 1992-04-14 Martek Corporation Photobioreactor
US5012106A (en) * 1988-12-23 1991-04-30 Gte Products Corporation Axi-symmetrical flow reactor for 196 Hg photochemical enrichment
US5093086A (en) * 1988-12-23 1992-03-03 Gte Products Corporation Packed bed reactor for photochemical 196 Hg isotope separation
US5162051A (en) * 1989-11-22 1992-11-10 Martek Corporation Photobioreactor
JPH05501649A (ja) * 1989-11-22 1993-04-02 マーテック・コーポレイション 光バイオリアクター
DE4006968A1 (de) * 1990-03-06 1991-09-12 Kaeser Nos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ufterneuerung und photosynthetischen herstellung von sauerstoff durch einwirken von mikroorganismen auf eine naehrloesung
FR2678946A1 (fr) * 1991-07-12 1993-01-15 Ovi Photoreacteur pour la culture en masse de microorganismes en conditions photocontrolees.
FR2698350B1 (fr) * 1992-11-23 1994-12-2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épuration d'un effluent liquide chargé en polluants et procédé d'épuration de cet effluent.
US6315887B1 (en) 1999-11-08 2001-11-13 Amir Salama Device and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polluted water
US6667171B2 (en) * 2000-07-18 2003-12-23 Ohio University Enhanced practical photosynthetic CO2 mitigation
KR100392914B1 (ko) * 2001-03-19 2003-07-28 라파즈 한라 시멘트 주식회사 생물학적 이산화탄소 고정화를 위한 내부조사형광생물반응기
CA2359417A1 (fr) 2001-10-17 2003-04-17 Co2 Solution Inc. Photobioreacteur a eclairage artificiel interne
CA2488443A1 (en) * 2002-05-13 2003-11-20 Greenfuel Technologies Corporation Photobioreactor and process for biomass production and mitigation of pollutants in flue gases
US20050239182A1 (en) * 2002-05-13 2005-10-27 Isaac Berzin Synthetic and biologically-derived products produced using biomass produced by photobioreactors configured for mitigation of pollutants in flue gases
US7176024B2 (en) * 2003-05-30 2007-02-13 Biolex, Inc. Bioreactor for growing biological materials supported on a liquid surface
US20070113474A1 (en) * 2003-05-30 2007-05-24 Biolex, Inc. Bioreactor for growing biological materials supported on a liquid surface
DE102004019234B3 (de) * 2004-04-16 2005-11-24 Sartorius Ag Bioreaktor zur Kultivierung von Mikroorganismen
US20090047722A1 (en) * 2005-12-09 2009-02-19 Bionavita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biomass production
US8110395B2 (en) 2006-07-10 2012-02-07 Algae Systems, LLC Photobioreactor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CO2-enriched gas and producing biomass
ES2326296B1 (es) * 2006-10-02 2010-07-15 Bio Fuel Systems, S.L. Fotobiorreactor vertical sumergible para la obtencion de biocombustibles.
US8476067B2 (en) * 2007-02-06 2013-07-02 Phyco2 Llc Photobioreactor and method for processing polluted air
DE102007018675B4 (de) * 2007-04-18 2009-03-26 Seyfried, Ralf, Dr. Biomassezuchtanlage und Verfahren zur Züchtung von Biomasse
WO2008131019A1 (en) * 2007-04-20 2008-10-30 Bionavita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eleasing biomass cell components
US7980024B2 (en) 2007-04-27 2011-07-19 Algae Systems, Inc. Photobioreactor systems positioned on bodies of water
US20100255458A1 (en) * 2007-06-20 2010-10-07 Christopher Piper Toby Kinkaid Bioreactor
US20090057579A1 (en) * 2007-06-28 2009-03-05 Immunitor Usa Spinning infrared emitter
US20090148931A1 (en) * 2007-08-01 2009-06-11 Bionavitas, Inc. Illumin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biomass production
WO2009091827A2 (en) * 2008-01-14 2009-07-23 Joe Mccall Asymmetric compound parabolic concentrator and related systems
US8479441B2 (en) * 2008-06-11 2013-07-09 Source Integration, Inc. Light distribution apparatus for cultivation of phytoplankton and other autotrophic aquatic species in an aquatic medium
US20100028977A1 (en) * 2008-07-30 2010-02-04 Wayne State University Enclosed photobioreactors with adaptive internal illumination for the cultivation of algae
US20100105125A1 (en) * 2008-10-24 2010-04-29 Bioprocessh20 Llc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ultivating microorganisms and mitigation of gases
US8809037B2 (en) * 2008-10-24 2014-08-19 Bioprocessh20 Llc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treating wastewater
AU2009308283B2 (en) * 2008-10-24 2014-07-17 Bioprocessh20 Llc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ultivating microorganisms and mitigation of gases
FR2941238B1 (fr) 2009-01-22 2012-06-08 Arkema France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transparente pour photobioreacteurs.
GB2467353B (en) 2009-01-30 2011-07-20 Steven Skill Apparatus for treatment of fluid streams and method of conducting the same
US7997025B1 (en) 2009-05-14 2011-08-16 Trinitas, LLC Algae production and harvesting apparatus
US8877487B2 (en) * 2009-08-04 2014-11-04 David D. Slagel Photobioreactor and a process for enhancing growth of photosynthetic organisms
ATE547510T1 (de) 2009-08-28 2012-03-15 King Abdulaziz City Sci & Tech Photobioreaktor und gebäude mit photobioreaktor an einer wand davon
DE102009052800A1 (de) * 2009-11-15 2011-05-19 Melchior-Lehmann, Monika Photobioreaktor mit Kunstlichtausleuchtung
US8969067B2 (en) 2010-05-20 2015-03-03 Pond Biofuels Inc. Process for growing biomass by modulating supply of gas to reaction zone
US8889400B2 (en) 2010-05-20 2014-11-18 Pond Biofuels Inc. Diluting exhaust gas being supplied to bioreactor
US8940520B2 (en) 2010-05-20 2015-01-27 Pond Biofuels Inc. Process for growing biomass by modulating inputs to reaction zone based on changes to exhaust supply
US20120156669A1 (en) 2010-05-20 2012-06-21 Pond Biofuels Inc. Biomass Production
US11512278B2 (en) 2010-05-20 2022-11-29 Pond Technologies Inc. Biomass production
RU2467725C2 (ru) * 2011-02-02 2012-11-27 Александр Борисович Слободской Способ интраоперационной навигации при эндопротезировании плечевого сустава однополюсным эндопротезом эси
US20120276633A1 (en) 2011-04-27 2012-11-01 Pond Biofuels Inc. Supplying treated exhaust gases for effecting growth of phototrophic biomass
FR2974814B1 (fr) * 2011-05-06 2017-06-02 Acta Alga Photobioreacteur en milieu ferme pour la culture de micro-organismes photosynthetiques
US9534261B2 (en) 2012-10-24 2017-01-03 Pond Biofuels Inc. Recovering off-gas from photobioreactor
FR3029209B1 (fr) * 2014-12-02 2018-02-09 Sunoleo Dispositif de production d'une culture photosynthetique au moyen d'un photo-bioreacteur et d'au moins un distributeur de lumiere.
US10258957B2 (en) * 2015-03-26 2019-04-16 Corning Incorporated Flow reactor for photochemical reactions
WO2019064291A1 (en) * 2017-09-26 2019-04-04 Brevel Ltd SYSTEMS AND METHODS FOR CLOSED CULTURE UTILIZING OPTICAL FIBERS TO CANALIZE NATURAL LIGHT
CN113893800B (zh) * 2021-10-26 2023-08-15 中国农业科学院北京畜牧兽医研究所 一种用于光电化学反应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9277A (en) * 1947-02-24 1952-09-02 Phillips Petroleum Co Contacting of immiscible liquids
US2658310A (en) * 1950-12-22 1953-11-10 Carnegie Inst Of Washington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hotosynthetic microorganisms, particularly algae
US2777677A (en) * 1954-10-06 1957-01-15 Bunch William Air tempering equipment
US2815607A (en) * 1954-11-26 1957-12-10 William E Beatty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ulture of photo-synthetic micro-organisms and macro-organisms, particularly algae
AT247823B (de) * 1964-05-08 1966-06-27 Vogelbusch Gmbh Vorrichtung zur Begasung von Flüssigkeiten in einem Behälter
US3782701A (en) * 1972-04-03 1974-01-01 H Hunt Destratification system and air diffuser unit for user therein
US3955318A (en) * 1973-03-19 1976-05-11 Bio-Kinetics Inc. Waste purification system
SU505405A1 (ru) * 1973-04-19 1976-03-0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555 Установка дл производства водорослей
GB1495709A (en) * 1974-01-28 1977-12-21 British Petroleum Co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plant cells
US3986297A (en) * 1974-06-24 1976-10-19 Shoji Ichimura Photosynthesis reactor tank assembly
US3959923A (en) * 1974-12-04 1976-06-01 Erno Raumfahrttechnik Gmbh Equipment for growing algae
JPS53118581A (en) * 1977-03-24 1978-10-17 Kanegafuchi Chem Ind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WO1979000282A1 (en) * 1977-11-07 1979-05-31 A Kiuchi Method of dispersing a light beam in a liquid culture medium
JPS5561736A (en) * 1978-10-28 1980-05-09 Nippon Carbide Kogyo Kk Laver breeding method and material
US4253271A (en) * 1978-12-28 1981-03-03 Battelle Memorial Institute Mass algal culture system
US4320594A (en) * 1978-12-28 1982-03-23 Battelle Memorial Institute Mass algal culture system
US4324068A (en) * 1980-03-03 1982-04-13 Sax Zzyzx, Ltd. Production of algae
JPS58121789A (ja) * 1982-01-16 1983-07-20 Takashi Mori 光合成装置
US4473970A (en) * 1982-07-21 1984-10-02 Hills Christopher B Method for growing a biomass in a closed tubular system
US4495549A (en) * 1982-09-28 1985-01-22 The Boeing Company Infrared radiation filter lens for aircraft lights
SU1335546A1 (ru) * 1986-04-08 1987-09-07 Новосибирский инжене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институт им.В.В.Куйбышева Сырьева смесь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керамзит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285083A (en) 1984-06-28
DE3376220D1 (en) 1988-05-11
EP0112556B1 (en) 1988-04-06
CA1228559A (en) 1987-10-27
EP0112556A1 (en) 1984-07-04
AU551270B2 (en) 1986-04-24
KR840006824A (ko) 1984-12-03
HK94988A (en) 1988-12-02
US4676956A (en) 198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671B1 (ko) 광합성 반응 장치
KR860000395B1 (ko) 광합성 장치
US4952511A (en) Photobioreactor
US4900678A (en) Apparatus for photosynthesis
ES2770336T3 (es) Método de entrega eficiente de energía fotónica a los cultivos en un medio líquido
JP4519542B2 (ja) 培養装置
JP2743316B2 (ja) チューブラ型フォトバイオリアクタ
KR101975457B1 (ko) 내부광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
JP2753568B2 (ja) 光合成生物の培養装置
AU681243B2 (en) A bioreactor and system for improved productivity of photosynthetic algae
JPS59125890A (ja) 光合成反応装置
KR101404223B1 (ko) 광생물 배양 시스템
JP2540403Y2 (ja) 光合成生物の培養装置
JPS59125887A (ja) 生物育成装置における炭酸ガス及び酸素供給装置
CN220520462U (zh) 一种脉冲光生物反应器
JPS5911174A (ja) 光合成装置
JPH0353680Y2 (ko)
WO2022184791A1 (en) Internally illuminated photo bioreactor with light pipe for photo-reactive microorganism culture
JPS6219152B2 (ko)
JP2006014628A (ja) 培養装置
SU1158573A1 (ru) Аппарат дл культивировани фотосинтезирующих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JPS58121789A (ja) 光合成装置
JPH0646826A (ja) 生物培養装置
JPH04299974A (ja) 光を必要とする被培養物の培養装置
SU1454313A1 (ru) Теплица-теплообменн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1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