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183B1 - 댐핑력 방식의 수압댐퍼 - Google Patents

댐핑력 방식의 수압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183B1
KR870001183B1 KR1019840005752A KR840005752A KR870001183B1 KR 870001183 B1 KR870001183 B1 KR 870001183B1 KR 1019840005752 A KR1019840005752 A KR 1019840005752A KR 840005752 A KR840005752 A KR 840005752A KR 870001183 B1 KR870001183 B1 KR 870001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orifice
passage
damping forc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557A (ko
Inventor
즈미 도미오 이마이
마사히로 아시바
Original Assignee
도끼꼬 가부시끼 가이샤
가와이 아가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끼꼬 가부시끼 가이샤, 가와이 아가루 filed Critical 도끼꼬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2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6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 F16F9/467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using rotary valves
    • F16F9/468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using rotary valves controlling at least one bypass to main flow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댐핑력 방식의 수압댐퍼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수압댐퍼의 부분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Ⅱ-Ⅱ를 절취한 단면도.
제3도는 셔터의 사시도.
제4도는 제2도를 수정한 단면도.
제5도는 및 제6도는 기구를 조정하는 댐핑력의 조작상태를 도시한 해석도.
제7도는 댐핑력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2차 실시예에 의한 수압댐퍼의 부분측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Ⅸ-Ⅸ를 절취한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선 Ⅹ-Ⅹ를 절취한 단면도.
제11도는 2차 실시예에 의한 댐핑력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
제12도는 1차 실시예를 수정한 셔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 2 : 피스톤봉
3 : 피스톤 4,5 : 디스크 밸브
6 : 관형부재 9 : 통로 형성부
10 : 밸브 형성부 11,41 : 가이드
12,42 : 셔터 13 : 제어봉
26,53 : 체크밸브 52 : 밸브시트
A,B,22,25 : 유체실
본 발명은 차량용 수압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수압액체를 수용하는 실린더와 실린더내에서 작동하며 1차 및 2차 유체실로 실린더의 내부를 분할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유지되어 1차 유체실을 통해 댐퍼의 외부로 연장된 피스톤봉과 댐퍼의 신장 및 수축 스트로크로 댐핑력을 발생하기 위해 피스톤에 설치된 댐핑력 발생 밸브장치와 차량의 작동상태에 반응하여 댐핑력을 조정하기 위한 댐핑력 조정기구를 구비한 형식의 수압댐퍼에 관한 것이다.
댐핑력 발생 장치는 신장 및 수축 스트로크를 같이 작용시키는 단일 밸브이거나 또는 신장 및 수축 스트로크를 개별적으로 작용시키고 서로 역방향으로 액체가 흐르지 못하게 방지하는 2개로 분리된 밸브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상기 형식의 수압댐퍼는 자동차 같은 차량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피스톤봉의 돌출단부는 대체로 샤시와 같은 차량의 진동물질에 연결되어 있고 실린더의 하단부는 휠 액슬과 같은 비진동물질에 유지되어 있다.
댐핑력 조정기구는 댐퍼의 댐핑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이 매끄러운 도로를 달릴때 댐핑력은 감소하며 이에 의해 안락한 운전을 개량시키며, 차량이 거친 도로를 달릴때 댐핑력은 증가하며 이에 의해 샤시의 과도한 수직 운동을 방지하고 하부의 기복현상을 방지한다.
통상적으로, 댐핑력 조정기구는 피스톤봉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장된 제어봉과, 피스톤에서 댐핑력 발생밸브를 1차 및 2차 체임버로 바이패스로 연결하기 위한 바이패스 통로와, 제어봉의 회전에 따라 바이패스 통로의 유효면적을 조정하기 위해 제어봉의 내부단부에 유지된 조정밸브 또는 셔터를 구비한다. 또한, 체크밸브는 댐퍼의 수축 스트로크의 댐핑력이 신장 스트로크의 댐핑력에 비해 약 1/2내지 1/3이 되도록 댐퍼의 수축 및 신장 스트로크 사이에서 댐핑력을 변화할 수 있게 제공되어 있다.
조정밸브가 바이패스 통로의 통로면적을 증가 시킬때, 댐핑력은 신장 및 수축 스트로크를 감소시키며, 이에 의해 신장 및 수축 스트로크 사이의 비율은 유지될 수 없으며, 신장 스트로크에서 댐핑력이 감소하여 구동특성의 안정화를 저하시킨다. 댐퍼의 댐핑력이 너무 작거나 또는 댐퍼의 특성이 너무 연약하고 차량이 고속으로 달릴때, 댐핑력은 차량의 방향을 제어하거나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는 것은 경험으로 입증되었다.
체크밸브는 신장스트로크에서 폐쇄하고 수축 스트로크에서 개방하므로, 여기서 수축 스트로크에 비해 신장스트로크에서 바이패스 통로의 액체 유동이 감소한다.
수압댐퍼에 관해 여러 제안이 있었는데, 그중 하나에서, 요구하는 다단계에서 독립적으로 신장 및 수축스트로크에서 댐핑력을 변화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장 및 수축 스트로크에서 댐핑력이 여러 단계에서 설정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유지되며 이에 의해 차량의 작동상태에 관해 최대의 댐핑력을 유지할 수 있는 수압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축방향 길이에 관한 치수에서 치밀하고 구조가 간단한 댐핑력 조정 기구를 가진 수압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압액체를 함유하는 실린더와, 실린더내에서 작동하며 실린더의 내부를 2개의 유체실로 분할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유지되어 유체실중 하나를 통해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된 피스톤봉과, 댐퍼의 신장 및 수축 스트로크에서 댐핑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피스톤에 설치된 밸브 기구와, 밸브기구로부터 독립적으로 제공된 조정 기구를 구비하며, 또한 조정 기구는 별개의 유효 면적을 가진 다수의 오리피스를 가진 구멍과, 댐퍼의 외부로 부터 조작되어 오리피스의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오리피스 구멍과 협동하는 셔터와, 댐퍼의 신장 및 수축 스트로크중 하나를 행하는 동안에 통로를 통해 액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체크 밸브를 구비한다. 여기서, 튜브형 부재는 피스톤 봉의 내부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는 내부에서 셔터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관형 부재에 일치하며, 제어봉은 피스톤봉을 통해 연장되어 셔터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리피스는 가이드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크 밸브는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동 방향에 반응하여 개방하거나 폐쇄하며, 별개의 통로면적을 가진 다수의 오리피스 통로는 셔터와 가이드 사이에서 체크밸브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오리피스가 셔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고 폐쇄되도록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도시된 수압댐퍼는 내부에 수압액체를 함유하는 실린더(1)와, 실린더(1)내에서 작동하며 실린더의 내부를 2개의 유체실(A,B)로 분할하는 피스톤(3)과 피스톤(3)에 유지되어 유체실(B)을 통해 연장하며 실린더(1)의 한 단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외부로 돌출한 피스톤봉(2)을 구비한다. 피스톤(3)의 대향표면에는 신장측의 댐핑력 발생장치와 수축측의 댐핑력 발생장치를 각각 작용시키는 디스크밸브(4,5)가 제공되어 있다. 피스톤(3)과 피스톤 봉(2)이 화살표방향(x)으로 이동하거나 소정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연장 방향으로 이동할때, 디스크 밸브(4)는 댐핑력을 편향시키거나 발생시킨다. 유사하게, 디스크밸브(5)는 수축측으로 댐핑력을 발생시킨다.
관형부재(6)는 피스톤 봉에 나사식으로 유지되어 피스톤(3)과 디스크밸브 (4,5)를 피스톤 봉(2)에 고정시키는 너트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댐핑력 조정 기구른 수용하기 위한 공간(7)이 관형 부재(6)내에 형성되어 있다. 폐쇄판(8)이 공간(7)을 폐쇄하기 위해 관형 부재(6)의 최단부에 유지되어 있다. 통로형성부(9)와 밸브형성부(10)로 구성되는 가이드(11)는 일치시키는 힘 또는 다른 가공력에 의해 관형 부재(6)의 내부 원주벽에 일치되어 유지된다. 셔터(12)는 가이드(11)에 회전 가능하게 일치되어 있다. 제어봉(13)은 셔터(12)에 유지되어 동심축 보어(14)를 통해 피스톤봉(2)에 연장되어 있고, 제어봉(13)의 외측단부(도시되지 않음)와 같이 피스톤 봉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전기모터 또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구동장치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환상 유체실(15)은 관형 부재(6)의 내부 원주와 가이드(11)의 통로형성부(9)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관형 부재(6)의 다수의 구멍(16)을 통해 유체실(6)에 영구히 연결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오리피스 통로(17,18, 19,20)는 가이드(11)의 통로 형성부(9)에서 개별적으로 별개의 통로 면적을 가지고 있다. 오리피스 통로의 한 단부는 환상 유체실(15)에서 영구히 개방되어 있고 다른 단부는 셔터(12)에 연결된 표면에서 개방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1)은 셔터(12)의 회전에 따라 오리피스통로(17,18)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고 폐쇄하는(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셔터(12)의 외측원주에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셔터(12)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유체실(22)로 유체실(A)에 있는 액체를 전달시킨다. 대체로 컵형으로된 셔터(12)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벽에는 다수의 구멍(23)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23)은 밸브형성부(10)의 내부 표면과 셔터의 방사상벽에 인접한 표면 사이에 형성된 환상공간을 통하여 가이드(11)의 밸브형성부(10)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24)에 연결되어 있다. 체크밸브(26)는 구멍(24)과 협동하여 구멍(24)으로 부터 유체실(25)까지 액체를 유동시키며, 유체실(25)은 가이드(11)의 밸브형성부(10)와 튜브형 부재(6)의 내부 표면사이에 형성되어 역방향으로 액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링(27)은 폐쇄상태를 향해 체크밸브(26)를 압축한다. 유체실 (25)에는 동심축 보어(14)와 피스톤 봉(2)에 있는 방사상구멍(28)을 통해 유체실(B)에 영구히 연결되어 있다.
셔터(12)는 그 외주에 형성된 축방향 연장 홈에 의해 규정되는 통로(29)를 추가로 가지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로(29)는 셔터(12)의 회전시 오리피스 통로 (19,20)와 선택적으로 통한다. 통로(29)는, 가이드(11)의 외면 및 내면을 연결하는 통로(30)를 통해서 관형 부재(6)내의 유체실(25)과 영구히 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댐핑력 조정기구는 개구(16), 유체실(15), 오리피스 통로(17 또는 18), 홈(21), 개구(23), 개구(24), 체크밸브(26), 유체실(25), 보어(14) 및 체크밸브(26)를 통해 지나는 유체실(A,B) 사이의 방사상 구멍(28)으로 이루어진 제1통로와, 개구(16), 유체실(15), 오리피스 통로(19 또는 20), 통로(29), 통로 (30), 유체실(25) 및 유체실(A,B)사이의 방사상 구멍(28)으로 이루어진 제 2 통로를 포함한다. 제1통로의 유효 통로 면적은 오리피스통로(17 또는 18)에 의해 정해지고 체크 밸브를 바이패스 하는 제2통로의 유효 면적은 오리피스 통로(19 또는 20)에 의해 정해진다. 오리피스 통로(17,19)는 오리피스 통로(18,20)의 것보다 더 큰 통로 면적을 각각 가진다. 오리피스 통로(17,18)는 각각 오리피스 통로(19,20)의 180℃ 떨어진 각도 위치에 있다. 셔터(12)가 선(a)상에 있는 통로(29)와 홈(21)을 연결하는 선으로 제2도의 위치(a)에 있을때 오리피스 통로(17,18,19,20)는 셔터(12)에 의해 폐쇄되고 조정 기구는 완전 폐쇄 위치를 취한다. 셔터(12)가 위치(a)로 부터 위치(b)로 60℃회전하면 홈(21)과 셔터(12)의 통로(29)는 제2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고 체크 밸브를 통해 통하는 제1통로는 오리피스 통로(18)에 의해 정해지는 통로 면적으로 개방하고 체크 밸브를 통해 통하지 않는 제2통로는 오리피스 통로(20)에 의해 정해지는 통로면적으로 개방하고 조정 기구는 작은 면적 위치를 취한다. 셔터(12)가 위치(c)로 다시 60℃ 회전되면 체크 밸브를 통해 지나는 제1통로는 오리피스(17)에 의해 정해지는 통로 면적으로 개방하고, 체크 밸브를 통해 통하지 않는 제2통로는 오리피스 통로(19)에 의해 정해지는 통로 면적으로 개방한다. 조정 기구는 큰 면적 위치를 취한다.
제4도는 다른 형태로서 오리피스 통로(17',18',19'및 2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11)의 통로 형성부(9)에 형성되어 있다. 완전 폐쇄위치 (a')와 작은 면적 위치(b')사이와, 작은 면적 위치(b')와 큰 면적 위치(c')사이의 셔터(12)회전각은 각각 120°이다.
본 발명은 제1실시예의 작동을 제5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한다.
셔터(12)가 제2도의 작은 면적 위치(b)에 있을때 피스톤 로드(2)는 신장 방향 또는 제1도의 방향(X)으로 움직인다. 유체실(B)내의 압력은 증가하고 유체실(B)내의 유체는 방사상 구멍(28)과 보어(14)를 통해 유체실(25)로 흐른다. 체크 밸브(26)는 폐쇄상태로 유지되고 체크 밸브를 통해 지나는 제1통로는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유체실(25)내의 유체는 화살선(F1)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30), 통로 (29), 오리피스 통로(20), 실(15) 및 구멍(16)을 연속적으로 통해 유체실(A)로 흐르고, 오리피스 통로(20)는 예정된 댐핑력을 발생한다. 피스톤 봉(2) 또는 피스톤 (3)이 예정된 수준을 초과할때 피스톤(3)상에 설치된 디스크 밸브(4)는 개방하고 다량의 유체가 디스크 밸브(4)를 통해 지나고, 그 상태에서의 댐핑력은 디스크밸브 (4)에 의해 주로 정해진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피스톤 로드(2)와 피스톤(3)이 제1도의 화살표(Y)방향 또는 수축방향으로 바뀌면 실(A)의 유체는 제6도의 화살선(F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를 통해 지나는 제1통로를 통해 실(B)로 흐르고, 제6도 화살선(F2)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를 통해 지나지 않는 제2통로를 통해 흐른다. 오리피스 통로(18,20)는 댐핑력을 발생시킨다. 피스톤(3)의 속도가 예정된 수준을 초과할 때 피스톤(3)상에 설치된 디스크 밸브(5)는 개방하고, 그후 댐핑력은 주로 디스크 밸브(5)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셔터(12)가 큰 면적 위치(C)를 취할때 신장스트로우크 시의 댐핑력은 오리피스 통로(19)에 의해 발생되고, 수축 스트로우크시의 댐핑력은 오리피스 통로(19)와 오리피스 통로(17)에 의해 발생된다. 신장 및 수축 스트로크시의 댐핑력 특성 곡선은 작은 면적 위치(b)의 것에 비해서 각각 경사도가 더 크다.
셔터(12)가 완전 폐쇄 위치(a)를 취할때 제1및 제2통로는 폐쇄상태로 유지되고 신장및 수축스트로 크시의 댐핑력은 제7도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3)상의 밸브기구(4,5)에 의해 정해진다.
제7도의 실선은 조정기구의 작은 면적 위치(b)에서의 댐핑력 특성 곡선을 나타내고, 점선은 큰 면적위치(C)의 것을 도시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 및 수축 스트로크시의 양 특성 곡선은 각각 3단계로 명확히 변화한다. 오리피스 통로의 수, 위치 및 통로면적을 적절히 정함으로써 차량의 가동 조정에 따른 댐핑력 특성을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구동시의 안락함과 스티어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8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통 제1도의 제1실시예와 유사하고 해당 부품은 동일 번호로 표시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8도에서, 통로형성부와 밸브 형성부를 일체적으로 가지는 가이드(41)는 관형 부재(b)에 일치한다. 제1도의 가이드(11)역시 통로 형성부(9)와 밸브 형성부 (10)를 일체적으로 가지나, 실제 관형 통로 형성부(9)와 판형 밸브 형성부(10)는 제조 및 조립이 복잡한 관형 부재(6)에 접하여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제8도의 셔터(42)는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스릿 또는 홈(43A,43B)을 그 원주벽에서 가지고 있다. 가이드(41)는 서로 다른 통로 면적을 가지는 3세트의오리피스통로(44A,44B ; 45A,45B ; 46A,46B)를 가지고, 각 세트의 오리피스 통로는 셔터의 회전시 셔터(12)내에서 유체실(22)과 선택적으로 통한다. 또 가이드(41)는 상기 4세트의 오리피스 통로에 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2개의 오리피스 통로 (47,48)를 가진다. 오리피스 통로(47,48)의 한 단부는, 가이드(41)의 외주에 형성된 축방향 연장 홈 또는 통로(49,50)를 통해 유체실(25)에 영구히 개방된다. 오리피스 통로(47,48)의 다른 단부는 셔터(42)의 회전시 스릿(43A 또는 43B)을 통해 유체실(22)에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개구(51)는 제어 봉(13)을 둘러싸도록 가이드(41)내에서 형성되고, 개구(51)의 외주상에는 밸브 시트(52)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52)와 협력하는 체크밸브(53)는 제어봉(13)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진다. 제8도의 실시예에서 체크 밸브를 통해 지나는 제1통로와 체크 밸브를 통해 지나지 않는 제2통로는 둘다 유체실 (22)을 통해 지나고, 따라서 제2통로는 오리피스 통로(47 또는 48)와 오리피스 통로(49 또는 50)을 통해 지나간다.
셔터(42)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1도에 도시된 3단계로 댐핑력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오리피스 통로(44A,44B)와 오리피스 통로(47)가 개방될때(큰 면적위치), 댐퍼는 제11도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낮은 댐핑력 상태를 취하고, 오리피스 통로(45A,45B)와 오리피스 통로(48)가 개방될때(작은 면적 위치) 댐퍼는 제11도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댐핑력 상태를 취한다. 오리피스 통로 (46A,46B)가 개방될때 댐퍼는 제11도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댐핑력을 취한다.
체크 밸브를 통해 지나는 제1통로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오리피스 통로(44A,44B,45A,45B,46A 및 46B)는 오리피스 통로(47,48)로 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져 형성되고 따라서, 갯수, 각도나 원주위치 및 통로 면적은 자유로이 그리고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1도와 제8도는 이중 튜브형 또는 단일 튜브형으로 될 수 있는 댐퍼의 필수 부분을 도시한 것이고, 피스톤(3)상에서 설치된 밸브 기구(4,5)를 구동하는 댐핑력을 소요의 공지된 밸브기구(들)로 대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신장 스트로크시의 댐핑력은 수축스트로크시의 것보다 크지만, 수축 스트로크시의 댐핑력이 신장 스트로크시의 것보다 크게 되도록 결정할 수 있으며 이경우 체크 밸브는 반대 방향으로 배열된다. 실시예의 댐핑력은 3단계로 변화하지만, 4 또는 그 이상의 단계로 댐핑력을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제1도에 도시된 셔터(12)를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할 수 있고, 이때 제3도에 도시된 홈(29)의 축방향 길이는 제12도의 홈(29')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댐퍼의 신장 및 수축 스트로크를 차량의 구동 조건에 따라 여러 단계로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구동 느낌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방향 조정의 양호한 안정성을 유지하게 된다. 게다가, 조정기구는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이다.

Claims (2)

  1. 내부에 수압 액체를 함유하는 실린더와 실린더에서 작동하며 실린더의 내부를 2개의 유체실로 분할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유지되어 유체실중 하나를 통해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된 피스톤 봉과 댐퍼의 신장 및 수축 스트로크에서 댐핑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피스톤에 설치된 밸브 기구와 밸브 기구로 부터 독립적으로 제공된 조정기구를 구비하면서 조정 기구는 별개의 유효 면적을 가진 다수의 오리피스를 가진 통로와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오리피스와 협동하며 댐퍼의 외부로부터 조작되는 셔터와 댐퍼의 신장 및 수축 스트로크중 하나가 진행되는 동안에 통로를 통해 액체 유동을 제어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조정 가능한 댐핑력 방식의 수압 댐퍼에 있어서, 관형 부재는 피스톤 봉의 내부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는 셔터를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관형 부재에 일치되어 있고, 제어봉은 피스톤 봉을 통해 연장하여 셔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오리피스는 가이드 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크 밸브는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량의 방향에 반응하여 개방하거나 폐쇄하며, 별개의 통로면적을 가진 다수의 오리피스 통로는 셔터와 가이드 사이에 제공되어 체크 밸브를 통과하지 않으며, 상기 오리피스는 셔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댐퍼.
  2. 내부에 수압액체를 함유하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서 작동하며 실린더의 내부를 1차 및 2차 유체실로 분할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유지되어 1차 유체실을 통해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된 피스톤 봉과 댐퍼의 신장 및 수축 스트로크에서 댐핑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피스톤에 설치된 밸브 기구와 댐핑력을 조정하기 위해 밸브로부터 독립적으로 제공된 조정기구를 구비하는 조정 가능한 댐핑력 방식의 수압댐퍼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는 동심축 보어가 피스톤 봉내에 형성되어 방사상 구멍을 통해 1차 유체실에 영구히 연결되어 있으며, 관형 부재는 폐쇄 부재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단부를 가져 피스톤 봉의 내부 단부에 나사식으로 유지되어 있으며, 관형 부재내에 일치되어 있고 원주벽에서 별개의 통로 면적을 가진 1차 오리피스 통로와 별개의 통로 면적을 가진 2차 오리피스 통로를 가지며 원주상으로 간격을 유지한 튜브형 가이드에서 1차 및 2차 오리피스통로는 서로 축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한 방사상 평면에 배열되어 있으며, 1차 오리피스 통로의 방사상 외측 단부는 2차 유체실에 영구히 연결되어 있고 2차 오리피스 통로의 방사상 외측 단부는 피스톤 봉에 있는 동심축 보어를 통해 1차 유체실과 영구히 연결되며, 대체로 관형인 셔터는 가이드의 내부원주에서 미끄럼이 가능하고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되어서 1차 및 2차 오리피스 통로의 방사상 내측단부를 셔터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1개의 구멍을 가지며, 제어봉은 셔터에 유지되어 있고 댐퍼의 외부로부터 셔터를 회전시키기 위해 피스톤 봉에 있는 동심축 보어를 통해연장되어 있으며, 체크밸브는 가이드의 한 단부에 형성된 환상밸브 시트와 환상 밸브 시트와 협동하면서 축 방향으로 교체 가능한 밸브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셔터의 내부로 부터 1차 유체실까지 액체를 유동시키고 역방향으로 액체가 유동하지 못하게 하며, 2차 오리피스 통로는 1차 유체실과 셔터의 내부사이에 액체통로를 설정하며, 체크밸브를 통과하지 않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댐퍼.
KR1019840005752A 1983-09-20 1984-09-20 댐핑력 방식의 수압댐퍼 KR870001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3145820U JPS6052439U (ja) 1983-09-20 1983-09-20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58-145820 1983-09-20
JP145820 1983-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557A KR850002557A (ko) 1985-05-15
KR870001183B1 true KR870001183B1 (ko) 1987-06-16

Family

ID=1539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752A KR870001183B1 (ko) 1983-09-20 1984-09-20 댐핑력 방식의 수압댐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00994A (ko)
JP (1) JPS6052439U (ko)
KR (1) KR870001183B1 (ko)
BR (1) BR8404696A (ko)
DE (1) DE3434566A1 (ko)
GB (1) GB21467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18327A1 (de) * 1985-05-22 1986-11-27 Boge Gmbh, 5208 Eitorf Hydraulischer, verstellbarer schwingungsdaempfer
DE3534298A1 (de) * 1985-09-26 1987-04-02 Fichtel & Sachs Ag Hydraulisch wirkender schwingungsdaempfer mit einstellbarer daempfkraft
NL8503031A (nl) * 1985-11-05 1987-06-01 Koni Bv Elektrisch verstelbare schokdemper.
JPH0422114Y2 (ko) * 1986-07-22 1992-05-20
GB2209375A (en) * 1987-09-04 1989-05-10 John Roger Plummer Damper assembly
GB8807891D0 (en) * 1988-04-05 1988-05-05 Dowty Rotol Ltd Suspension arrangement
US4949989A (en) * 1988-04-19 1990-08-21 Atsugi Motor Parts Co., Ltd. Automotive suspension system with variable suspension characteristics and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therefor
JPH02142942A (ja) * 1988-11-25 1990-06-01 Atsugi Unisia Corp 液圧緩衝器
JP2578901Y2 (ja) * 1989-09-20 1998-08-20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減衰力可変型液圧緩衝器
US5193655A (en) * 1989-09-20 1993-03-16 Atsugia Unisia Corp.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with feature of linear and wide range damping force variation depending upon piston stroke speed
US5080205A (en) * 1990-07-26 1992-01-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Steer-sensitive variable damping strut
US5201389A (en) * 1990-07-26 1993-04-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of varying a suspension damping force as a vehicle is steered
JPH0579526A (ja) * 1991-09-20 1993-03-30 Tokico Ltd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US5180186A (en) * 1991-11-12 1993-01-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Strut and method for steer-sensitive damping
US5368142A (en) * 1991-12-07 1994-11-29 Tokico Ltd. Damping force control type of hydraulic shock absorber
US5150775A (en) * 1991-12-19 1992-09-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Steer-sensitive variable damper and method utilizing a ring valve
US5251927A (en) * 1992-03-20 1993-10-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Steer-sensitive hydraulic shock absorber and method
JP3215927B2 (ja) * 1992-05-30 2001-10-09 トキコ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US5988330A (en) * 1997-07-03 1999-11-23 Morris; Jay Adjustable shock absorber
DE102010029180A1 (de) 2010-05-20 2011-11-24 Suspa Gmbh Dämpfer
CN102367857B (zh) * 2011-09-20 2013-07-24 宁波一力减震器有限公司 力值可调液压阻尼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64770A (en) * 1949-03-30 1952-01-09 Woodhead Monroe Ltd Improvements in hydraulic shock absorbers
JPS5565741A (en) * 1978-11-10 1980-05-17 Tokico Ltd Shock absorber
JPS5870533A (ja) * 1981-10-23 1983-04-27 Hitachi Ltd リアクテイブ・イオン・エツチング法
JPS5872546U (ja) * 1981-11-12 1983-05-17 トキコ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S5892537A (ja) * 1981-11-30 1983-06-01 Hitachi Lighting Ltd インジエクシヨンブロ−成形装置
JPS58116212A (ja) * 1981-12-28 1983-07-11 Kayaba Ind Co Ltd 減衰力調整式シヨツクアブソ−バ
JPS58116213A (ja) * 1981-12-28 1983-07-11 Kayaba Ind Co Ltd 減衰力調整式シヨツクアブソ−バ
JPS58114936U (ja) * 1982-02-01 1983-08-05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シヨツクアブソ−バ
US4527676A (en) * 1982-02-13 1985-07-09 Atsugi Motor Parts Co., Ltd. Variable-damping-force shock absorber
JPS58123938U (ja) * 1982-02-17 1983-08-23 株式会社昭和製作所 油圧緩衝器の減衰力調整機構
JPS58203245A (ja) * 1982-05-20 1983-11-26 Atsugi Motor Parts Co Ltd 液圧緩衝器
US4620619A (en) * 1982-05-20 1986-11-04 Atsugi Motor Parts Co., Ltd. Variable-damping-force shock absorber
JPS5947542A (ja) * 1982-09-13 1984-03-17 Atsugi Motor Parts Co Ltd 液圧緩衝器
GB2123922A (en) * 1982-06-15 1984-02-08 Tokico Ltd Hydraulic damper with adjustable flow path
JPS59105639U (ja) * 1982-12-29 1984-07-16 株式会社昭和製作所 油圧緩衝器における減衰力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557A (ko) 1985-05-15
GB2146734B (en) 1987-09-03
BR8404696A (pt) 1985-08-13
US4800994A (en) 1989-01-31
GB8423666D0 (en) 1984-10-24
DE3434566C2 (ko) 1989-03-16
GB2146734A (en) 1985-04-24
DE3434566A1 (de) 1985-04-04
JPH0438114Y2 (ko) 1992-09-07
JPS6052439U (ja) 1985-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183B1 (ko) 댐핑력 방식의 수압댐퍼
US5178242A (en) Hydraulic damper
US5431259A (en) Damping force control type hydraulic shock absorber
KR0153797B1 (ko) 댐핑력 제어형 유압식 완충기
US4463839A (en) Hydraulic damper
KR890003746B1 (ko) 서스펜션장치
GB2266573A (en)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JPH0218359Y2 (ko)
US5409090A (en) Damping force control type hydraulic shock absorber
JPH023056B2 (ko)
JP2918293B2 (ja) 減衰力可変型緩衝器
GB2154300A (en) Hydro-pneumatic suspension device with adjustable valve
JPS5872744A (ja) 複筒型油圧緩衝器の減衰力調整装置
JPS6342134B2 (ko)
JP3006068B2 (ja) 液圧緩衝器
JPH0727166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減衰力調整装置
JPH02217637A (ja) 減衰力可変型液圧緩衝器
JPH08159202A (ja) フロントフォークの圧側減衰力調整装置
JPH0324912Y2 (ko)
JP2580170Y2 (ja) 減衰力可変型緩衝器
JPS623553Y2 (ko)
JPH0754899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H0996336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2600331Y2 (ja) 減衰力可変型液圧緩衝器
KR100215362B1 (ko) 감쇠력 가변식 유압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4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