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090B1 - 콘크리이트용 철근 제조법 - Google Patents

콘크리이트용 철근 제조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090B1
KR870001090B1 KR8203079A KR820003079A KR870001090B1 KR 870001090 B1 KR870001090 B1 KR 870001090B1 KR 8203079 A KR8203079 A KR 8203079A KR 820003079 A KR820003079 A KR 820003079A KR 870001090 B1 KR870001090 B1 KR 87000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ield strength
mpa
rebar
steel
elon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653A (ko
Inventor
에코노모폴로 마리오
랑베르트 니콜르
Original Assignee
에이. 덱커
상뜨루 드 르쉐르 쉐 메따루지끄-센트름 부르 레세르세 인 드 메탈루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 덱커, 상뜨루 드 르쉐르 쉐 메따루지끄-센트름 부르 레세르세 인 드 메탈루르지 filed Critical 에이. 덱커
Publication of KR840000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02Hardening articles or materials formed by forging or rolling, with no further heating beyond that required for the 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for concrete reinfor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25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for wire, for r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Metal Roll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크리이트용 철근 제조법
본 발명은 항복 강도와 연성 및 용접성이 증가된 콘크리이트용 철근을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근은 압연직후나 혹은 압연증에 급속 냉각 처리를 하여 제조한다.
전기한 방법으로 철근을 제조할 때, 압연 로울 운전자는 몇 가지의 제약을 받게 된다. 첫째, 압연된 바아의 압출 속도 및 온도가 압연 로울의 특성에 따르게 되고, 부가해서 냉각장치를 설치할 공간이 제한되는 것이다.
기계적인 특성과 경비문제를 절충하는 몇 가지의 방법은 이미 사용되어 왔다. 그 첫째 방법은 탄소(일예로 0.3%) 및 망간(일예로 1.3%)을 첨가하여 항복 강도가 증가된 ″자연적인 강도″를 갖는 철근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철근은 양호한 항복강도(420MPa 이상, 약 42kg/㎟ 이상)를 유지하나, 연성 및 굴곡성이 저하되고 그 용접성이 매우 저하되게 된다.
용접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탄소 함유량을 감소시켜야 하며, 탄소 함유량을 감소시키면 항복 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항복강도의 감소를 보상하는 2가지의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 첫째 방법은 강에 니오브 혹은 바나듐과 같은 요소를 미세한 양으로 합금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첨가하는 합금요소의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제조비가 많이 소요된다. 둘째 방법은 비틀림과 같은 방법으로 철근을 냉간 변형시켜 강의 항복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 방법은 비용문제 외에도 항복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본 발명은 철근의 표면층을 마르텐 사이트 혹은 베이나이트로 처리하기 위해 고온 압연된 철근에 급속냉각(시간이 제한됨)을 수행하는 최신 기술에 근거를 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급속 냉각에 이은 냉각에 의해 철근의 중심, 즉 급속 냉각 처리가 되지 않은 부분은 페라이트 및 카바이드로 변환된다. 급속 냉각 시간을 적절히 제한함으로써, 철근의 중심 온도를 비교적 높게 유지하여 철근의 단면에 온도 기울기를 형성하여 이후의 냉각으로 표면층의 마르텐 사이트 혹은 베이나이트 조직을 뜨임 처리할 수 있다. 급속냉각의 시간 제한은 급속냉각 최종 단계에서 중심의 온도를 설정함으로써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잇다. 실제로 본 발명의 방법은, 철근의 중심으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해 재가열이 관찰되는 위치의 철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수행한다.
따라서 본 형태의 방법은 ″급냉 및 자기뜨임″으로 공지된 방법을 급냉 상태의 최종 단계에서 중심부의 온도로 구성되는 특징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기존의 철근을 제조하는 제원이 공지된 장치에서 적용함). 부가해서 이때의 온도는 철근의 항복 강도 및 연성을 조화시키기 위해 최적 온도로 간주되는 850℃ 정도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합적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되는 철근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제조 상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필요한 온도를 얻을 수 있는 장치를 선택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철근에 필요한 강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급냉 장치로 제조되는 각 제품의 변수를 지정하는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여기에서 각 변수는 보통 Ø로 표시되고 MW/㎡(1MW/㎡=23.9Cal/s.㎠)단위로 나타내는 급냉 강도, 즉 평균 열선속 밀도와 t로 표시되고 초 단위로 나타내는 급냉 시간을 사용한다.
특히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항복 강도가 400-600MPa (40-60kg/㎟)이고 연성율이 14% 이상인 품질 규격을 만족시키는 기계적 특성을 갖는 철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는 철근 제조 방법에 있어서, 철근을 압연중 혹은 압연 후에 급속히 냉각시키고 급냉을 조절하는 변수 Ø 및 t는 다음 상태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0.45d-〈Ø.t〈0.82d+0.6
log Ø≥-0.964.logd+2.098
여기에서 d는 처리되는 철근의 직경을 mm로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기계적 특성이 양호하게 조합된 최상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마르텐 사이트화 내지는 베이나이트화 처리된 부분의 체적과 자기 뜨임에 의해 연화된 부분은 고항복강도를 유지할 수 있기에 충분하다. 다른 면에서 고찰해 볼 때 연성도 역시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써 압연기에서 12m/sec의 속도와 1,050℃의 온도로 압출되는 직경 20mm인 철근을 사용한다. 용접성 및 경제성의 이유로 해서, 철근에 함유된 화학적인 성분은 탄소 0.1-0.2%, 망간 0.8-1.3% 사이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소 0.13%, 망간 1.2%의 강을 사용한다. 압연 상태에서의 강의 항복 강도는 대략 365MPa(37kg/㎟)이고 연신율은 22-24%이다.
항복 강도와 연성이 증가된 콘크리이트용 철근을 제조하기 위해, 설비 및 이용 공간에 따라 운전자는 하기 조건에 따른 급냉 강도 및 길이(즉 처리 시간)로 된 장치를 선택하여야 한다. 즉,
Ø≥7MW/㎡(167cal/s.㎠)
8.6〈Ø.t〈17
600-800℃ 사이에 평균 열선속이 10MW/㎡(239cal/s.㎠)이고 길이(L)가 12m인 장치를 선택할 경우 제조되는 철근의 항복강도는 500MPa(50kg/㎟)이고 연신율은 20.6%가 된다. Ø=8.4MW/㎡(200cal/s.㎠)이고 L=20.5m인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 제조되는 철근의 항복 강도는 550MPa(56kg/㎟)이고 연신율은 18.5%이다. 이 경우에 처리시간은 1.7sec이고 Ø와 t의 곱은 14.35이다.
제2실시예로 18m/sec 속도와 1,000℃의 온도로 압연기에서 압출되는 직경 8mm의 철근을 사용한다. 이 강은 탄소 0.18%와 망간 0.8%를 함유한다. 압연되는 상태에서의 강의 항복강도는 325MPa(33kg/㎟)이고 연신율은 30%이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방법에 부과되는 제한은 다음과 같다.
Ø≥17MW/㎡(406cal/s.㎠)
3.2〈Ø.t〈7.16
Ø=17MW/㎡(406cal/s.㎠),L=4.5m인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 제조되는 철근의 항복 강도는 500MPa(50kg/㎟)이고 연신율은 18%이다. 이때에 처리시간은 0.25sec이고 Ø와 t의 곱은 4.25이다.
Ø=25MW/㎡(597cal/s.㎠), L=3m인 장치에서 0.17sec동안 처리하면 상기 철근과 동일 특성을 갖는 철근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

  1. (2회 정정) 철근을 압연중 또는 직후에 급냉구조 형성점 이하의 온도로 급속표면 냉각하여 마르텐사이트 또는 베이나이트 표면층이 철근에 형성되게 하고, 공기 중에서 냉각하여 이 냉각증에 표면층이 철근의 비급냉 중심부에서 나오는 열에 의해 뜨임 처리되게 하는, 항복강도가 400MPa 내지 600MPa(40kg/㎟-60kg/㎟)이며 연신율이 최소한 14%인 철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d가 mm단위로 표시되는 철근직경을 나타낼 때, 식
    log Ø≥-0.964logd+2.098
    에 의해 주어지는 최소값과 같거나 보다 큰 평균열선속밀도 Ø의 값을 선택하는 공정, 바람직한 항복강도에 도달하도록 식
    0.45d-0.4〈Ø.t〈0.82d+0.6
    에 의해 속냉각기간 t를 계산하는 공정 및 이 계산된 기간 t동안 선택된 평균 열선속도밀도 Ø값으로 급속표면 냉각처리를 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제조방법.
KR8203079A 1981-07-09 1982-07-09 콘크리이트용 철근 제조법 KR870001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6/47,492 1981-07-09
BE6/47492A BE889575A (fr) 1981-07-09 1981-07-09 Procede pour la fabrication d'armatures a beton en acier, a proprietes amelior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653A KR840000653A (ko) 1984-02-25
KR870001090B1 true KR870001090B1 (ko) 1987-06-04

Family

ID=387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079A KR870001090B1 (ko) 1981-07-09 1982-07-09 콘크리이트용 철근 제조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JP (1) JPS589920A (ko)
KR (1) KR870001090B1 (ko)
AT (1) AT375401B (ko)
AU (1) AU536703B2 (ko)
BE (1) BE889575A (ko)
BR (1) BR8108179A (ko)
CA (1) CA1201960A (ko)
CH (1) CH639137A5 (ko)
DD (1) DD202309A5 (ko)
DK (1) DK152691C (ko)
ES (1) ES8401530A1 (ko)
FI (1) FI72748C (ko)
GR (1) GR77249B (ko)
IE (1) IE53019B1 (ko)
IN (1) IN154221B (ko)
LU (1) LU84263A1 (ko)
MX (1) MX159859A (ko)
NO (1) NO156903C (ko)
SE (1) SE462853B (ko)
YU (1) YU42779B (ko)
ZA (1) ZA81824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251B1 (ko) * 2010-09-29 2013-01-22 현대제철 주식회사 금속변태 조직 조절을 이용한 고강도 철근 제조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6099A (ja) * 1983-09-21 1985-04-16 Hitachi Ltd 多連式熱交換器の温度平衡制御方法
CH681603A5 (ko) * 1984-05-30 1993-04-30 Von Roll Ag
JPS61110897A (ja) * 1984-11-06 1986-05-29 Toshiba Corp 熱交換器の流量コントロール方式
DD234281B1 (de) * 1984-12-21 1989-06-21 Florin Stahl Walzwerk Verfahren zur druckwasserabschreckung von walzstahlerzeugnissen
RU2583554C1 (ru) * 2015-01-22 2016-05-1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Строительство" (АО "НИЦ "Строительство")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упрочненного арматурного проката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профил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251B1 (ko) * 2010-09-29 2013-01-22 현대제철 주식회사 금속변태 조직 조절을 이용한 고강도 철근 제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D202309A5 (de) 1983-09-07
ATA265382A (de) 1983-12-15
FI822426L (fi) 1983-01-10
NO822384L (no) 1983-01-10
IN154221B (ko) 1984-10-06
SE8204207D0 (sv) 1982-07-07
FI72748B (fi) 1987-03-31
YU42779B (en) 1988-12-31
SE8204207L (sv) 1983-01-10
DK152691B (da) 1988-04-18
DK152691C (da) 1988-08-29
AU7862481A (en) 1983-01-13
AT375401B (de) 1984-08-10
CA1201960A (en) 1986-03-18
MX159859A (es) 1989-09-21
SE462853B (sv) 1990-09-10
GR77249B (ko) 1984-09-11
LU84263A1 (fr) 1983-02-07
ES513811A0 (es) 1983-12-01
DK455481A (da) 1983-01-10
JPS589920A (ja) 1983-01-20
ES8401530A1 (es) 1983-12-01
CH639137A5 (en) 1983-10-31
JPS6219488B2 (ko) 1987-04-28
NO156903C (no) 1987-12-16
FI822426A0 (fi) 1982-07-08
YU149782A (en) 1985-04-30
IE53019B1 (en) 1988-05-11
BR8108179A (pt) 1983-04-12
KR840000653A (ko) 1984-02-25
ZA818244B (en) 1983-04-27
FI72748C (fi) 1987-07-10
BE889575A (fr) 1982-01-11
IE821651L (en) 1983-01-09
NO156903B (no) 1987-09-07
AU536703B2 (en) 198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90212B2 (en) Controlled rolling process for dual phase steels and application to rod, wire, sheet and other shapes
US5252153A (en) Process for producing steel bar wire rod for cold working
US5496425A (en) Cold formed high-strength steel structural members
EP1563106B1 (en) Cold-worked steels with packet-lath martensite/austenite microstructure
KR100428581B1 (ko)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비조질강 및 이를 이용한 선재의 제조방법
KR870001090B1 (ko) 콘크리이트용 철근 제조법
EP2641989B1 (en) High-toughness cold-drawn non-heat-treated wire r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H06299240A (ja) 球状化焼鈍特性の優れた軸受用鋼材の製造方法
KR20210108002A (ko) 냉간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 열처리생략
JP3554506B2 (ja) 機械構造用熱間圧延線材・棒鋼の製造方法
KR100470671B1 (ko) 냉간 압조가공성이 우수한 비조질강의 제조방법
KR101889178B1 (ko) 고탄소 고강도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522452A (ja) 多相鋼の場合の目的の性質組合せを調整する方法及び装置
JPH02107743A (ja) 均一伸びの優れた超高張力pc鋼線或は鋼棒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239231B2 (ko)
JPH04180521A (ja) 高降伏強度高靭性厚肉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JP2756533B2 (ja) 高強度、高靭性棒鋼の製造方法
JPH02274810A (ja) 高張力非調質ボルトの製造法
KR940007365B1 (ko) 고장력볼트용 강선재의 제조방법
SU744038A1 (ru) Способ термического упрочнени проката
JPS61153229A (ja) 迅速球状化が可能な線材の製造方法
JPS6386815A (ja) 冷間加工性の優れた鋼材の製造方法
CN115011875A (zh) 双高棒生产热轧带肋钢筋的方法
KR20210081546A (ko) 냉간압조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1298116A (ja) 高張力pc鋼棒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