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002A - 냉간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 열처리생략 - Google Patents

냉간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 열처리생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002A
KR20210108002A KR1020200022641A KR20200022641A KR20210108002A KR 20210108002 A KR20210108002 A KR 20210108002A KR 1020200022641 A KR1020200022641 A KR 1020200022641A KR 20200022641 A KR20200022641 A KR 20200022641A KR 20210108002 A KR20210108002 A KR 20210108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less
wire rod
manufactur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디와이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와이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와이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8002A/ko
Publication of KR20210108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00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25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for wire, for r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화소둔 생략형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중량 % 로 C: 0.2∼0.5%, Si: 0.1∼0.5%, Mn: 0.2∼1.0%, P: 0.03% 이하, S: 0.03%이하, Cr: 0.6∼1.5%, Mo: 0.1∼0.5%, Ti: 0.005∼0.05%, N: 0.001∼0.020%를 함유하고,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편을 1100℃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와, 마무리 압연온도를 1000℃이하로 하여 열간 선재압연 시키는 압연단계와, 압연이 끝난 후 곧바로 730∼780℃까지 급냉시키는 급냉단계와, 이후 0.2∼0.5℃/sec의 냉각속도로 서냉시키는 서냉단계와로 이루어진 연화소둔 생략형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 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냉간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 열처리생략{A WIRE ROD FREE FROM HEAT TREAMENT HAVING HIGH TOUGHNESS FOR COLD FORG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화소둔 생략형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재를 냉간압조가공하 여 기계부품의 체결용 볼트, 너트를 만드는데 사용하는 연화소둔 생략형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산업기계등의 부품 체결용으로 사용되는 고강도 볼트, 너트는 표 1에 나타낸 바와같 이 성분의 중탄소 합금강 선재인 SCM435를 소재로 사용하며 제조공정은 선재를 연화소둔→ 신선→ 구상 화열처리→냉간압조를 통하여 제품이 완성된다.
이와같은 강은 선재로 열간 압연한 상태에서 인장강도가 약 100∼120kg/mm 정도인데 이러한 고강도강을 냉간에서 직접 신선가공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통상 연화열처리를 실시하여 선재를 연화시킨 다음 냉간 에서 신선가공을 하게 된다.
연화열처리는 통상 Ac1 변태온도 이하(약 650℃)에서 일정시간 유지한 후 서냉한다. 이와같은 열처리를 실시하면 선재의 경도가 250(Hv)이하로 낮아지게 된다. 연화열처리를 통하여 소재가 연화되는 이유는 전 위밀도가 크게 감소하고 또 베이나이트 조직으로부터 시멘타이트의 석출 및 성장이 이루어지기 때문이 다. 연화처리된 소재는 냉간신선 공정으로 옮겨져 약 20% 내외로 신선된다. 신선후에는 다시 소재를 750 ℃전도로 가열하여 약 20시간 정도 구상화열처리를 하여 신선재를 충분히 재연화시킨 다음 냉간압조 공 정에 투입하여 볼트 너트를 제작한다.
이와같은 공정을 통하여 제품화되는 종래 선재의 경우, 앞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선재상태에서의 강도가 너무 높아서 신선가공전에 연화소둔을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길고 제조원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재 압연상태에서 코일 전장에 걸쳐 재질을 충분 히 연화시켜 후공정에서 연화열처리가 필요없는 냉간압조강 합금강선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 % 로 C: 0.2∼0.5%, Si: 0.1∼0.5%, Mn: 0.2∼1.0%, P: 0.03% 이하, S: 0.03%이하, Cr: 0.6∼1.5%, Mo: 0.1∼0.5%, Ti: 0.005∼0.05%, N: 0.001∼0.020%를 함유 하고,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편을 1100℃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와, 마무리 압연온도를 1000℃이하로 하여 열간 선재압연시키는 압연단계와, 압연이 끝난 후 곧 바로 730∼780℃까지 급냉시키는 급냉단계와, 이후 0.2∼0.5℃/sec의 냉각속도로 서냉시키는 서냉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강중에 티타늄 함량을 적절히 첨가하여 강 조성을 제어하는 한편, 강편 재가 열온도, 마무리 압연온도를 제어하고 나아가 서냉설비를 이용하여 압연 후 냉각속도 및 냉각패턴을 적절 히 제어하여 선재상태에서 강의 재질을 충분히 연화시킴으로서, 신선전에 실시하는 연화소둔처리를 생략 할 수 있다. 연화소둔 생략으로 인한 제조공기 단축효과 및 에너지 절감에 의한 제조원가 절감효과가 있 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선재코일 전부분에 걸쳐 균일하게 연화가 이루어져서, 통상 신선가공전에 행하던 연화열처리 생략이 가능한 냉간압조용 합금강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량 % 로 C: 0.2∼0.5%, Si: 0.1∼0.5%, Mn: 0.2∼1.0%, P: 0.03% 이하, S: 0.03%이하, Cr: 0.6∼1.5%, Mo: 0.1∼0.5%, Ti: 0.005∼0.05%, N: 0.001∼0.020%를 함유하고,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편을 1100℃이하의 온도로 가열한 후 열간 선재압연을 실시함에 있어 마무리 압연온도를 1000℃이하로 하고, 압연이 끝난 소재는 곧 바로 730∼780℃까지 급냉한 후, 서냉설비를 활용하여 0.2∼0.5℃/sec의 냉각속도로 5∼10분간 서냉시켜야 한다.
이하, 본발명에 있어서 첨가원소의 성분 범위 및 선재 제조조건을 한정하는 이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탄소는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최종 제품에서 요구하는 강도를 얻을 수 없고 첨가량이 많으면 소입소려 처리후에 강도가 필요이상으로 높아지게 되므로 첨가 범위를 0.2∼0.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소는 탈산 및 필요강도 확보를 위해 첨가한다. 첨가량이 적으면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첨가 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탈탄을 조장하여 표면경도 및 피로성질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첨가범위를 0.1∼0.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간은 강의 탈산에 필요한 원소이며, 또한 소입성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첨가한다. 첨가량이 많으면 선 재 중심부에 편석되어 경질조직인 마르텐사이트(Martensite)를 형성시켜 선재를 경하게 만들어준다. 따 라서 첨가범위를 0.2∼1.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은 선재중심부에 망간과 함께 편석되어 저온조직을 발생시키고, 소입소려시 균열발생을 조장하는 원소 이므로 0.03%이상 첨가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황은 강중에서 입계에 편석되어 인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따라서 황은 0.03%이상 첨가되지 않도록 하여 야 한다.
크롬은 열처리시 소입성 확보를 위하여 첨가한다. 첨가량이 적으면 소입성이 떨어지고 첨가량이 많은 경 우 소입처리시 균열발생이 쉽고 또 강도가 과도하게 증가하므로 첨가량은 0.6∼1.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리브덴은 열처리시 소입성 확보 및 고온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한다. 첨가량이 적으면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첨가량이 많은 경우 소입처리시 균열발생이 쉽고 또 필요이상으로 강도가 증가하 게 되므로 첨가량을 0.1∼0.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타늄은 강중에서 질소와 결합하여 티탄질화물(TIN)을 형성한다. 이 질화물은 고온에서 극히 안정하며, 또 오스테나이트 입계에 주로 존재하며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성장을 억제시켜 조직을 미세화시키는 역할 을 한다. 오스테나이트 조직이 미세하여지면 냉각시 연질조직인 페라이트와 펄라이트의 변태가 촉진되어 선재가 연화된다. 첨가량이 적으면 이러한 효과를 나타낼 수 없고, 첨가량이 많으면 조대한 티탄질화물 이 과도하게 석출되어 인성을 감소시키므로 첨가량을 0.005∼0.05%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티타늄과 결합하여 질화물을 형성하여 오스테나이트를 미세화시키는 역 할을 한다. 첨가량이 0.001%이하이면 효과가 적고, 0.02% 이상이면 조대한 티탄질화물이 과도하게 생성 되어 오히려 강의 인성을 감소키시므로 첨가량을 0.001∼0.02%로 한정한다.
상기와 같은 조성의 강을 강편으로 제조한 후 1100℃ 이하로 재가열하여 선재압연을 실시한다. 재가열온 도가 1100℃이상이 되면, 비록 강중에 티탄질화물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성장이 완 벽하게 억제되지 않아 오스테나이트가 조대하여질 수 있다. 재가열과정에서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조대하 게 되면 압연을 완료한 상태에서도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조대해질 수 있으며, 이렇게 되는 경우 강의 소 입성이 증가하여 냉각과정에서 저온조직이 다량 발생되므로 선재를 연화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가열 온도를 1100℃이하로 하여 오스테나이트 성장을 적극 억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가열한 강편은 압연기를 이용하여 필요 선경으로 압연하는데 이때 마무리 압연온도를 1000℃ 이하로 하여야 한다. 공지 기술에서는 마무리 압연온도를 900℃ 이하로 제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보다 높은 1000℃이상이 되면 오스테나이트가 조대화되어 냉각과정에서 저온변태조직의 발생이 용이하게 된 다. 그러나 마무리 온도가 1000℃이하가 되면 티탄질화물이 오스테나이트 입자 성장을 적극 억제하기 때 문에 미세한 오스테나이트 입자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열간 압연한 강재는 압연이 끝나자 말자 곧 바로 730∼770℃까지 급냉한 후, 소재 의 현열을 이용하거나 혹은 적당한 서냉설비를 활용하여 0.2∼0.5℃/sec의 냉각속도로 5∼10 분간 서냉 시킨 후 강제공냉이나 자연방냉시킨다. 급냉온도가 730℃이하가 되면 이후 뒤따르는 서냉과정에서 페라 이트 변태 노즈(nose)를 통과하기가 어려워져 조온조직 생성을 방지하기가 곤란하다. 만일 급냉온도가 780℃ 이상이 되면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변태구동력이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변태시간이 길어져서 5 분 내지 10분간 정도의 단시간의 서냉각을 통해 연질조직을 얻기가 곤란해진다. 목표온도로 급냉한 소재 를 0.2℃/sec 보다 더 느린 냉각속도로 서냉하면 연질조직을 얻을 수는 있으나 변태에 걸리는 시간이 너 무 길어져 생산성이 크게 떨어진다. 냉각속도를 0.5℃/sec보다 빠르게 하면 오스테나이트가 페라이트+ 펄라이트로 완전히 변태되지 못하고 일부는 저온변태조직인 베이나이트로 변태된다. 서냉시간을 한정하 는 이 유 를 설 명 하 면 5분 보 다 짧 게 서 냉 시 키 면 페 라 이 트 + 펄 라 이 트 변 태 가 완 료 되 지 않 은 상 태 에 서 서 냉 을 종료하게 되어 미변태 오스테나이트가 경질의 베이나이트로 변태하게 되고, 10분이상 서냉시키면 페 라이트+ 펄라이트 변태가 완료된 이후에도 불필요하게 계속 서냉을 시키는 셈이되어 생산성을 감소시키 는 결과를 조래하게 된다.
지금까지 언급한 바대로 강종성분, 압연조건 및 냉각조건을 변경하면 극저온 압연을 하지 않을 뿐 아니 라 2 톤 중량의 선재 코일의 선, 후단부등의 급냉부를 제거하지 않고도 연화열처리 없이 냉간신선이 가 능한 중탄소 저합금강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의 표 2와 같은 조성를 갖는 발명강과 비교강종을 소형강괴(160mm ×160mm ×250mm)로 제작한 후 1200 ℃에서 2시간 가열 후 열간에서 압연하여 두께 32mm 판을 제작하였다.
상기의 표 4는 다양한 냉각속도로 냉각시킨 소재의 냉각속도별 경도값 측정결과이다.
통상 경도값은 250Hv 이하이면 신선가공전 연화열처리 생략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냉각 속도 0.2∼0.5℃/sec 범위이면 연화열처리 생략이 가능함을 알수 있다.

Claims (2)

  1. 중량 % 로 C: 0.2∼0.5%, Si: 0.1∼0.5%, Mn: 0.2∼1.0%, P: 0.03% 이하, S: 0.03%이하, Cr: 0.6∼1.5%, Mo: 0.1∼0.5%, Ti: 0.005∼0.05%, N: 0.001∼0.020%를 함유하고,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하게 함유되 는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편을 1100℃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단계와, 마무리 압연온도를 1000℃이하 로 하여 열간 선재압연시키는 압연단계와, 압연이 끝난 후 곧바로 730∼780℃까지 급냉시키는 급냉단계 와, 이후 0.2∼0.5℃/sec의 냉각속도로 서냉시키는 서냉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화소둔 생략형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냉단계에서 5 ∼ 10분간 서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화소둔 생략형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 방법.

KR1020200022641A 2020-02-25 2020-02-25 냉간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 열처리생략 KR20210108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641A KR20210108002A (ko) 2020-02-25 2020-02-25 냉간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 열처리생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641A KR20210108002A (ko) 2020-02-25 2020-02-25 냉간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 열처리생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002A true KR20210108002A (ko) 2021-09-02

Family

ID=7779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641A KR20210108002A (ko) 2020-02-25 2020-02-25 냉간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 열처리생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80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1879A (zh) * 2021-10-27 2022-02-0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中碳高合金耐磨钢的控制硬度制备方法及其生产装置
CN114653915A (zh) * 2021-12-21 2022-06-24 邢台钢铁有限责任公司 一种钢线材及其生产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1879A (zh) * 2021-10-27 2022-02-0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中碳高合金耐磨钢的控制硬度制备方法及其生产装置
CN114653915A (zh) * 2021-12-21 2022-06-24 邢台钢铁有限责任公司 一种钢线材及其生产方法
CN114653915B (zh) * 2021-12-21 2024-04-09 邢台钢铁有限责任公司 一种钢线材及其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8400A (en) Rails of pearlitic steel with high wear resistance and toughnes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JP4018905B2 (ja) 機械構造用熱間圧延線材・棒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933024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 strength rail with good toughness
KR102065264B1 (ko) 연질 열처리 시간 단축형 냉간 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08002A (ko) 냉간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 열처리생략
JPH0432514A (ja) 圧延ままで表面異常相のない軟質線材の製造方法
JP3554506B2 (ja) 機械構造用熱間圧延線材・棒鋼の製造方法
JP4061003B2 (ja) 高周波焼入れ性と冷鍛性に優れた冷間鍛造用棒線材
KR101819431B1 (ko) 냉간압조용 고탄소강 선재, 이를 이용한 가공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H08199310A (ja) 高強度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部材の製造方法
KR100268852B1 (ko) 구상화 열처리성이 우수한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
JPH0112815B2 (ko)
JPS6156235A (ja) 高靭性非調質鋼の製造方法
JPH02213416A (ja) 高延性棒鋼の製造方法
KR100328039B1 (ko) 냉간압조용선재의제조방법
KR100355019B1 (ko) 연화소둔 생략형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
KR100419046B1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
KR100311785B1 (ko) 연질 냉간압조용 합금강 선재의 제조방법
JPH059576A (ja) 低温靱性に優れた非調質棒鋼の製造方法
JP2756533B2 (ja) 高強度、高靭性棒鋼の製造方法
KR100431848B1 (ko) 저온조직이 없는 고실리콘 첨가 고탄소 선재의 제조방법
KR102326245B1 (ko) 냉간압조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5265B1 (ko) 연질 열처리 시간 단축을 위한 냉간 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65266B1 (ko) 연질 열처리 시간 단축형 냉간 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08001A (ko) 냉간압조용 강화 선재의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