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435B1 - 사진식자기의 표시방식 - Google Patents

사진식자기의 표시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435B1
KR870000435B1 KR1019840001125A KR840001125A KR870000435B1 KR 870000435 B1 KR870000435 B1 KR 870000435B1 KR 1019840001125 A KR1019840001125 A KR 1019840001125A KR 840001125 A KR840001125 A KR 840001125A KR 870000435 B1 KR870000435 B1 KR 870000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sor
lens
display
charact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9253A (ko
Inventor
세이끼 모또하시
시게끼 무나까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샤켄
이시이 히로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샤켄, 이시이 히로꼬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샤켄
Publication of KR84000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9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BMACHINES OR ACCESSORIES FOR MAKING, SETTING, OR DISTRIBUTING TYPE; TYPE; PHOTOGRAPHIC OR PHOTOELECTRIC COMPOSING DEVICES
    • B41B27/00Control, indicating, or safety devices or systems for composing machines of various kinds or types
    • B41B27/28Control, indicating, or safety devices for individual operations or machi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BMACHINES OR ACCESSORIES FOR MAKING, SETTING, OR DISTRIBUTING TYPE; TYPE; PHOTOGRAPHIC OR PHOTOELECTRIC COMPOSING DEVICES
    • B41B17/00Photographic composing machines having fixed or movable character carriers and without means for composing lines prior to photography
    • B41B17/18Detai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진식자기의 표시방식
제1도는 사진식자기의 특징을 설명하는 도면.
제2도는 렌즈모오드를 설명하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한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4도, 제5도는 제3도를 설명하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부 2 : 본체제제어부
3 : 렌즈제어부 4 : 표시제어부
5 : 표시애드레스제어부 6 : 묘화(摸畵)애드레스제어부
7 : 커-서용 화상메모리 8 : 버퍼용화상메모리
9 : "오어"회로 10 : CRT
11 : 연산부 18 : 촬상부
23 : 주렌즈 24 : 변형렌즈
25 : 상회전프리즘
본 발명은 CRT등의 표시수단에 문자기호등을 모니터표시 할때 촬영광학계중에 설치되는 주렌즈의 배율과 렌즈모오드, 변형렌즈의 변형률과 변형방향, 상회전프리즘의 회전각등의 문자 형상정보에 따라 문자, 기호의 가상보다 커-서를 표시하도록한 사진식자기의 표시방식에 관한 것이다.
사진 식자기의 특징은 문자반에서 채자(採字)한 문자. 기호등(이하 단순히 문자로 칭한다)을 예를들면 제1도에 도시하는 문자(a)를 배율이 다른 주렌즈를 개재함으로써 b, c와 같은 확대 축소가 가능하다. 또 변형률, 변형방향이 다른 변형렌즈를 개재하므로써 d, e, f와 같이 각각 평체·장체·사체문자 등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채자한 문자상을 회전한 문자상으로 하는 상회전프리즘을 개재하면, g, h와 같이 문자상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밖에도 많은 문자형상을 얻을 수 있는데 주렌즈, 변형렌즈, 상회전프리즘 이외에 각종의 보조렌즈를 광학계중에 설정하므로써 더욱 많은 변형을 얻을 수 있다. 또 도면의 글자 " "를 에워싸는 테두리(50)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아니하나, 앞으로 가상보디로 칭한다.
또, 문자를 인자(印字)가 할때의 주렌즈의 렌즈모오드에는 제2a도와 같이 임의의 배율의 문자에 상당하는 가상보디(2a)-(2c) 전부에 대하여 그 중심 P1을 일치시키는 센터센터모오드(이하 cc 모오드로 호칭한다)와, 예를들면 제2b도와 같이 가상보디 (2a)-(2c)의 좌단에 중심 P2를 일치시키는 톱, 센터모오드(이하, TC 모오드로 호칭한다)가 있다. 이 밖에도 제2a도의 P3, P4, P5에 중심이 있는 모오드 등 여러종류가 있다.
그리고, 모니터의 표시수단을 가지는 사진 식자기에서는 상기 문자상을 감재위에 인자하는 문자와 같은 정도의 크기의 문자로 모니터 표시하도록하여, 인자작업시의 표준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이와같은 사진식자기에 있어서, 예를들면 표시 수단으로서의 CRT 위에 발생시키고 있는 커-서는 단순히 현재 위치만을 표시하는 것으로, 다음에 인자하려고 하는 문자의 크기, 변형, 회전, 렌즈모오드의 정보를 사전에 확인할 수는 없었다. 그로 인해 주렌즈나 변형렌즈의 배율변경조작을 잊어버리는 사고가 발생되기가 쉬웠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CRT상에 발생시키고 있는 커-서를 제1도, 제2도에서 설명한 가상보디로하고, 또한 이 가상보다는 렌즈배율이나 상회전프리즘의 문자형상정보에 따르는 것으로 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 것으로 그 제1의 특징은 문자반에서 선택한 문자. 기호등을 촬상부를 개재하여 표시수단에 모니터 표시하는 동시에 촬영광학계를 개재하여 감재에 인자해 가도록한 사진식자기 표시방식에 있어서 ; 촬영광학계에 설치되는 주렌즈의 배율과 렌즈모오드, 변형렌즈의 변형률과 변형방향, 상회전프리즘의 회전각의 문자형상정보에 따른 가상보디 커-서를 상기 표시 수단상의 촬영광학계 광축위치(현재위치)에 발생시키도록 한 일, 제2의 특징으로서, 문자반에서 선택한 문자를 상기 촬영광학계 광측위치에 표시한 후, 다음 표시위치에 가상보디 커-서를 발생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식자기의 표시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1)은 입력부, (2)는 데이터의 전송 및 각종의 제어를 실시하는 본체제어부, (3)은 각종렌즈의 제어나 상회전프리즘의 제어를 실시하는 렌즈제어부, (4)는 표시제어부, (5)는 표시애드레스제어부, (6)은 묘화애드레스제어부, (7)은 커-서용화상메모리, (8)은 버퍼용 화상메모리, (9)는 "오어"회로, (10)은 표시수단으로서의 CRT, (11)은 연산부, (12)는 전송제어부, (13)은 현재위치 카운터, (14)는 X 축용의 펄스모우터등의 구동원, (15)는 Y축용의 구동원, (16)은 감재(17)를 감아서 회전하는 드럼, (18)은 비디콘이나 CCD등의 촬영부, (19)는 사진식자기의 촬영광학계용광원, (20)은 렌즈, (21), (27)은 프리즘 또는 밀러, (22)는 문자반, (23)은 주렌즈, (24)는 변형렌즈, (25)는 상회전프리즘, (22)은 문자반(18)으로부터의 문자상을 촬상부(28)에 향하도록 하는 하아프밀러, (28)은 셔터, (29)는 렌즈(30), 프리즘 또는 밀러(31)를 재치해서 구동하는 트래블렌즈계이다. 또, 사진식자기의 광학계나 구성요소등은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트래블렌즈계(29)를 폐지하여 드럼(16)을 이동하도록 하거나, 표시수단으로서 CRT(10)이외에 플라즈마디스플레이나 액정 디스플레이로 하는 것은 그 실시가 용이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부(1)에서 주렌즈(23)의 렌즈배율과 렌즈모오드, 변형렌즈(24)의 변형률과 변형방향, 상회전프리즘(25)의 회전각등의 문자형상정보, 전송피치, 1행의 길이, 종조, 횡조등의 각종 조판조건의 지령을 본체제어부(2)에 전송한다. 본체제어부(2)는 상기 문자형상 정보를 렌즈제어부(3)으로 전송한다. 렌즈제어부(3)는 주렌즈(23), 변형렌즈(24)를 설정하고 상회전프리즘(25)의 각도를 설정한다. 그리고 문자반(22)에서 필요한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부(1)로부터 인자스 위치를 "ON"으로 하여 셔터(28)를 구동한다. 그결과, 채자한 문자상은 상기광학계를 개재하여 제5b도와 같이 감재(17)위에 예를들면 채자 한문자 "さ", "て"가 인자된다. 이후 본체제어부(2)는 연산부(11), 전송제어부(12), 현재위치 카운터(13), X 축용구동원(14), Y 축용구동원(15)을 제어하면서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므로써 감재(17)위에 설정한 조판조건에 따라 소망의 인자를 실시할 수 있다.
또, 채자한 문자는 필요에 따라 하아프밀러(26)로부터 촬상부(18)에 투영하여 촬상하고, 커-서용 화상메모리(7)에 기입하고, 이것을 "오어"회로(9)를 개재하여 CRT(10)에 공급하여 차례로 채자한 문자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이 표시를 보고 확인한 후 상기와 같이 인자스위치를 "N"으로하고, 셔터(28)를 구동하여 그상을 감재(17)위에 인자한다. 인자스 위치가 "ON"이 되면 상기 커-서용 화상메모리의 문자상은 예를들면 제5b도와 같이 감재(17)와 대용되는 버퍼용 화상메모리(8)에 감재에 인자한 상태로 기억된다. 상기 인자필 문자상은 "오어"회로(9)를 개재하여 버퍼용화상메모리(8)의 별도입력된 표시위치개시 애드레스 B에서 CRT(10)위에 인자한 것이 식별할 수 있는 상태로 표시된다.
다음에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커-서의 표시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부(1)에서 입력된 문자형상 정보와 미리 기억되어 있는 각 렌즈모오드에 있어서의 표준 커-서형상, 예를들면 제4도와 같이 CC 모오드에 있어서의 커-서 (4a) 또는 TC 모오드에 있어서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인자할때의 커-서 (4b) (제2b도의 P2를 중심으로 한다), 우측에서 좌측으로 인자할 때의 커-서(4c) (제2a도의 P4를 중심으로 한다)와 위에서 아래로 인자할 때의 커-서(4d) (제2a도의 P3을 중심으로 한다)와, 아래서 위로 인자할때의 커-서 (4c) (제2도(a)의 P5를 중심으로 한다)의 원패턴데이터를 본체제어부(2)에서 연산부(11)에 전송한다. 연산부(11)는 상기 문자형상정보에 따라 소망모오드에 대응하는 표준 커-서의 원패턴데이터를 확대, 축소, 변형, 회전하고, 표시용의 가상보디 커-서 데이터로 변환한다. 변환된 가상보디 커-서 데이터와 현재 위치카운터(13)으로부터의 현재 위치데이터는 본체제어부(2)를 개재하여 표시제어부(4)로 전송된다. 그결과 표시제어부(4)는 본체제어부(2)에서 별도로 지시된 CRT의 표시개시 애드레스의 데이터와 상기 현재위치의 데이터를 표시 애드레스제어부(5)에 상기 가상보디 커-서 데이터를 묘화애드레스제어부(6)에 전송한다.
묘화애드레스제어부(6)는 예를들면 제5a도의 도시와 같이 커-서용 화상메모리(7)의 기입개시애드 A레스를 지시하고 상기 가상보디 커-서 데이터를 기입한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커-서 패턴(5a)을 도시했다. 표시애드레스제어부(5)는 제5b도의 의 도시와 같이 상기 CRT의 표시개시 애드레스에 따라 감재(17)에 대응하는 버퍼용화상메모리(8)의 표시개시애드레스 B에서 표시영역(점선)내의 문자데이터를 "오어"회로로 전송한다. 또 제5b도의 도시와 같이 감재(17)위의 현재위치(E)가 상기 버퍼용 화상메모리(8)의 표시개시애드레스(B)로부터의 표시영역내에 있을때, 제5a도의 도시와 같이 커-서용 화상메모리(7)에 대하여 상기 가상보디 커-서(5a)가 표시영역내의 동위치가 되도록 정한 표시개시애드레스(C)로부터 문자데이터를 "오어"회로(9)로 이송한다. 커-서용 화상메모리(7)로부터의 가상보디 커-서 데이터와 버퍼용화상메모리(8)로부터의 데이터는 "오어"회로(9)에서 합성되어, 제5c도와 같이 CRT (10)위에는 인자한 문자 "さ", "て"와,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가상보디 커-서(5a)가 표시된다. 여기에서 가상보디 커-서(5a)를 이동했을 경우 표시애드레스제어부(5)는 가상보디 커-서(5a)의 이동에 맞추어서 커-서용 화상메모리(7)의 표시개시애드레스(C)를 이동하므로써 가상보디 커-서(5a)는 CRT (10)위를 이동한다. 또 CRT (10)위의 화면을 스크로울 했을 경우는 표시애드레스제어부(5)는 화면 스크로울에 맞추어서 버퍼용화상메모리(8)의 표시개시 애드레스 B를 이동시키므로써 화면은 차례로 스크로울한다.
오퍼레이터는 표시된 가상보디 커-서(5a)를 소망의 인자위치로 이동하고, 다음에 인자할 문자의 렌즈배율, 변형률, 변형방향, 회전가등의 문자형상정보를 지령한다.
예를들면 제5c도의 상태로부터 변형방향을 사체(斜體)로 설정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부(1)로부터 입력된 변형방향데이터는 본체제어부(2)를 개재하여 렌즈제어부(3)로 전송된다. 렌즈제어부(3)는 상기 변형방향데이터에 따라 변형렌즈(24)를 구동하여, 소망의 사체식(斜體植)으로 세트한다. 한편 연산부(11)에서 가상보디 커-서(5a)의 데이터를 사체데이터에 따라 고쳐쓰고 표시제어부(4)를 개재하여 묘화애드레스제어부(6)로 이송한다. 묘화애드레스제어부(6)는 제5도(d)의 도시와 같이 기입개시애드레스(D)를 지정하고 사체로 변형한 가상보디 커-서(5b)의 데이터를 기입한다. 그리고 CRT (10)위에는 제5e도의 도시와 같이 사체로 변형한 가상보디 커-서(5b)를 표시한다. 오퍼레이터는 이 가상보디 커-서(5b)를 모니터확인하고, 정확하면 문자반(22)으로부터 소망의 문자를 채자한다. 예를들면 문자 "の"를 채자했을 경우 그 문자상은 광학계, 촬영부(18)를 개재하여 예를들면 제5도(f)의 도시와같이 커-서용 화상메모리(7)의 상기가 상보디 커-서(5b)의 데이터를 소멸시키고 사체문자상 "の"를 표시한다. 그리고 CRT (10)상에서 확인한 후 입력부(1)로부터 인자스위치를 "ON"으로 하면 상기 사체문자상은 션터(28), 트래블 렌즈계(29)를 개재하여 감재(17)상의 현재위치(E)에 이 문자상을 인자하는 동시에 상기 커-서용 화상메모리(7)에 기억시킨 문자상은 버퍼용화상메모리(8)의 현재위치(E)에 대응하는 애드레스로부터 기입된다. 이와같이 인자가 종료되면 미리설정한 조판조건에 따라 트래블렌즈계(29)나 드럼(16)을 구동하여 다음의 인자위치로 이동하고, 그것에 따라 표시애드레스 제어부(5)는 커-서용 화상메모리(7)의 표시개시애드레스(c)를 이동시킴으로써 CRT (10)에는 다음 인자위치에 가상보디 커서(5b)를 표시하고, 이하동일하게 하여 인자조작을 반복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촬영광학계의 광축위치와 가상보디 커-서의 표시위치는 언제나 대응되고 있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문자를 채자한 단계에서 다음의 인자위치에 가상보디를 표시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제6a도는 인자필문자 "さ"와 촬영광학계의 광축위치(6a)와 일치되는 상태에 있는 가상보디 커-서(22)가 표시된 상태에 있다. 여기에서 예를들면 문자반(18)으로부터 문자 "て"를 채자했다고 가상하면 문자 "て"의 문자상은 상기와 같이 촬영부(18)에서 촬상되고, 제6b도와 같이 커-서용 화상메모리(7)의 기입애드레스(A)로부터 기입된 가상부디 커-서(6a)의 데이터를 소멸하여 이 문자데이터를 기입한다. 이 문제데이터가 기입되면 묘화애드레스제어부(6)는 조판조건에 의하여 산출된 다음의 인자 위치에 가상보디 커-서(6a)를 표시하기 위하여 커-서용 화상메모리(7)의 기입애드레스(F)로부터 가상보디 커-서(6a)를 기입한다. 그리고 커-서용화상메모리(7)의 데이터와 제6c도에 도시하는 버퍼용화상메모리(8)의 표시개시애드레스(B)로부터의 문자데이터를 "오어"회로(9)에서 합성하므로써 제6d도와 같이 CRT (10)에서는 인자필문자 "さ"와 채자중의 문자 "て", 및 다음 인자위치의 가상보디 커-서(6a)를 표시한다. 오퍼레이터는 CRT (10)에서 확인후, 입력부(1)로부터 인자스위치를 "온"으로 하므로써 채자한 문자 "て"를 감재상(17)의 현재위치(E)에 인자한다. 그결과 감재(17)상의 현재위치(E)에 대응하는 버퍼용화메모리(8)의 애드레스로부터 문자 "て"의 문자상을 기입하여 제6c도와 같이 현재위치(E)는 다음 인자위치(G)로 이동하고, 이하 동일하게 인자를 실시한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상보디 커-서 데이터는 채자가 실시될 때마다 다음 인자위치에 상당하는 애드레스로부터 기입하면 되기 때문에 커-서용 화상메모리(7)의 용량은 CRT (10) 표시영역분의 용량이 있으면 된다.
또, 상기에 있어서는 횡조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종조의 경우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렌지모오드는 CC 모오드의 경우만 아니고 TC 모오드의 경우에도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커-서(4b)-(4e)를 각각 인자방향으로 맞추어서 표시하는 것만으로 이하의 조작은 CC 모오드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가상보디 커-서는 문자형상정보에 따라 연산부(11)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하고 있었으나, 미리 주렌즈배율, 변형렌즈의 변형률, 상회전프리즘에 의한 회전각마다의 모든 패턴을 예를들면 본체제어부(2)내에 기억하고, 대응되는 패턴을 선택해서 표시하도록 해도된다. 이때 패턴의 수가 증가하므로 근사형상을 집약해서 그루우프화하여 그것을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해도좋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자형상정보는 주렌즈의 배율과 렌즈모오드, 변형렌즈의 변형률과 변형방향, 상회전프리즘의 회전각등을 각각 설정하거나 또는 복수개를 조합해서 설정하므로써 변경되는 것은 명백하다.
이상 본 발명은 표시수단으로 표시하는 커-서를 문자형상정보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CC 모오드, TC 모오드의 확인을 표시수단상의 커-서로 확인할 수 있고, 또 문자상의 변형률, 변형방향이나 회전량을 아날로그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인자미스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인자작업의 능률향상에 다대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문자반에서 선택한 문자. 기호등을 촬영부를 개재하여 표시수단에 모니터를 표시하는 동시에 촬영광학계를 개재하여 감재에 인자하도록 한 사진식자기의 표시방식에 있어서, 촬영광학계에 설치되는 주렌즈의 배율과 렌즈모오드, 변형렌즈의 변형률 과변형방, 향상회전프리즘의 회전각등의 문자형상정보에 따른 가상보디 커-서를 상기 표시수단상의 촬영광학계 광축위치(현재위치)에 발생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식자기의 표시방식.
  2. 제1항에 있어서, 문자반에서 선택한 문자를 표시수단의 촬영광학계 광축위치에 표시한 후, 다음 표시위치에 가상보디 커-서를 발생시키도록 한 사진식자기의 표시방식.
KR1019840001125A 1983-05-27 1984-03-06 사진식자기의 표시방식 KR870000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93868 1983-05-27
JP58093868A JPS59218855A (ja) 1983-05-27 1983-05-27 写真植字機の表示方式
JP93868 1983-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9253A KR840009253A (ko) 1984-12-26
KR870000435B1 true KR870000435B1 (ko) 1987-03-10

Family

ID=1409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125A KR870000435B1 (ko) 1983-05-27 1984-03-06 사진식자기의 표시방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218855A (ko)
KR (1) KR8700004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990B2 (ja) * 1974-10-18 1983-02-18 カブシキガイシヤ シヤケン ケンバンニユウリヨクソウ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9218855A (ja) 1984-12-10
KR840009253A (ko) 1984-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3333A (en) Presentation apparatus
JPS58100124A (ja) 写真焼付におけるトリミング範囲制御システム
KR870000435B1 (ko) 사진식자기의 표시방식
JPH06337656A (ja) 液晶表示装置
JP3261701B2 (ja) 画像表示方式及び装置
JPS59220365A (ja) 写真植字機の表示装置
JPS594378A (ja) 画像読取り装置
JP3326932B2 (ja) プラネタリウム
JPS61185740A (ja) 入力装置付投射型表示装置
JPH0331577B2 (ko)
JP2810399B2 (ja) 画像読取装置
JP2857162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
KR870000427B1 (ko) 사진식자기
KR870000430B1 (ko) 사진식자기의 모니터 표시장치
JP3140445B2 (ja) 画像記録装置
JP2770596B2 (ja) 簡易レーザー投射装置
JP2564938Y2 (ja) 投射用液晶表示装置
JPH0432741B2 (ko)
JPH04307590A (ja) 2眼式画像表示装置
JPH0442191B2 (ko)
KR890001617B1 (ko) 사진 식자기
JPH045546B2 (ko)
JPS59156752A (ja) 写真植字機の印字表示装置
JPH02211436A (ja) 画像記憶・表示機能付オーバヘッドプロジェクタ
JPH044298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