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343B1 - 염화비닐의 중합방법 - Google Patents

염화비닐의 중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343B1
KR870000343B1 KR1019810004905A KR810004905A KR870000343B1 KR 870000343 B1 KR870000343 B1 KR 870000343B1 KR 1019810004905 A KR1019810004905 A KR 1019810004905A KR 810004905 A KR810004905 A KR 810004905A KR 870000343 B1 KR870000343 B1 KR 870000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ization
monomer
vinyl chloride
ppm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735A (ko
Inventor
요시오 도미시마
야스히로 노지마
구니오 야마모도
시계루 시바다
슈우이찌 시미스
Original Assignee
가네가후찌 가가구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다까다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가후찌 가가구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다까다 다까시 filed Critical 가네가후찌 가가구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7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4/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14/06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18Suspension polymer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염화비닐의 중합방법
본 발명은 염화비닐수지의 제조에 있어서 반응물의 첨가방법의 개량 특히, 염화비닐제조에 있어서 탈이온수와 현탁제를 넣기전에 단량체와 개시제(Initiator)를 첨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화비닐수지는 수성매질내에서 공업적 규모로서 현탁중합에 의해 배치식(batchwise)으로 널리 제조되고 있으며, 중합생산성의 증대를 위한 개시제의 혼합, 중합시간 단축을 위한 환류 응축기의 사용, 첨가된 물에대한 단량체의 충전비를 높이는 공정, 중합용기(vessel)를 세척하는 것과 같은 본래의 중합이외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중합체 스케일 침전방지 공정에 관하여 폭넓은 연구와 개발이 시도되고있다.'
한편, 생산성 증대를 시도함에 있어서도 특히 탈개스 첨가 및 온도의 상승과 같은 작업을 포함하는 중합이전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의 단축에 많은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염화비닐의 혼탁중합에 있어서는, 먼저 탈이온수, 혼탁제, 개시제 및 기타 부속재료를 중합용기에 넣고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감압하에서 용기에서 탈개스시키고, 최종적으로 단량체를 첨가한 다음 용기의 재킷을 통해 고온수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서 용기를 가열하므로써 중합반응이 시작된다.
한편, 온도상승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방법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1979년 제47785호에서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개시제, 혼탁제, 기타 첨가제와 저온수의 일부를 중합용기에 넣은 다음 단량체를 첨가하고 미리 가열된 나머지 물을 최종적으로 주입한다.
그러나 이 방법에는 두 종류의 물을 따로따로 주입하므로 작업에 곤란을 격게되며, 제품이 최초착색에 있어서 열등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합생산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으며, 중합시 간단축 특히 본래의 중합전의 탈개스첨가 및 가열에 소요되는 시간단축이 가능하고, 입자크기분포, 피시아이(fish eye) 및 최초착색에 있어서 만족스러운 제품을 얻을 수 있는 염화비닐의 중합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및 기타 목적은 많은 장점들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중합용기를 탈개스하고 용기내에 단량체 및 개시제를 넣고서 균일하게 혼합한후, 50-80℃로 예열되며 또한 용해된 산소농도 2ppm이하로 탈개스된 탈이온수 및 현탁제를 첨가하고 중합계의 산소량을 첨가한 단량체량에 대하여 5ppm이하로서 중합을 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의 중합방법이다.
전술한 바와같은 통상의 첨가공정에 있어서는 개시제와 현탁제와 같은 부속재료와 탈이온수를 먼저 첨가하므로 물에 분산된 개시제등이 단량체 방울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중합전에 교반기를 작동시켜야만한다.
예컨대 가열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미리 증온된 물을 사용하거나 혹은 일찍 증온을 시작했을 때는, 개시제가 단량체 방울에 균일하게 분산되기전에 분해되기 때문에 중합시간이 연장되며, 한편, 제품의 질에 있어서 입자크기 분포와 피시아이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야기된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개시제를 단량체에 균일하게 용해시킨 다음 예열되며 탈개스된 이온수와 현탁제를 층전하여 중합을 개시시키므로, 높은 온도의 시간단축으로 인하여 생산성은 높게되고 입가크기분포와 피쉬아이에 있어서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중합계에 산소가 존재하면 잘 알려진 바와같이 제품의 열안정성이 악화되지만 본 발명은 중합용기를 탈개스시킨후 첨가하기전에 미리 그 용해된 산소의 농도를 조절한 탈개스된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중합하므로써 최초착색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량체로서는 염화비닐이나 혹은 주조염화비닐을 함유하는 비닐계단량체이며, 전기한 비닐계단량체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올레핀유, 초산비닐과 스테아린산 비닐과 같은 비닐에스테르, 아크릴산메틸과 메타크릴산 메틸과 같은 아크릴산의 에스테트, 말레인산과 푸마르산과 같은 산의 에스테르나 무스물,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니트릴화합물, 염화비닐리딘과 같은 비닐리딘 화합물을 예로들 수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개시제로서는, 염화비닐 현탁중합에서 통상사용되는 개시제 즉 과산화라우로일,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3급부틸퍼옥시퍼발레이트,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 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및 아세틸사이클로헥실설포닐 퍼옥사이드와 같은 유기과산화물과,-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과-아조비스-2,4-디메틸발레오니트릴과 같은 화합물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현탁제로서는 부분적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콜, 초산비닐과 말레인산무수화물의 공중합체 스티렌과 말레인산무수화물의 공중합체, 폴리비닐피토리돈 및 메틸셀룰로오즈와 같은 것을 포함하여 공지의 현탁제중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중합반응 은도는 40-75℃ 범위이나 특별히 이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미리 예열된 탈개스된 탈이온수의 온도는 50-80℃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탈개스된 탈이온수의 용해된 산소의 농도는 2ppm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ppm이하로 조절해야 하며, 반응시스템내의 존재하는 산소의 량은 중합용기의 탈개스상태를 고려하여 충전된 단량체량에 대해 5ppm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ppm이하로 조절해야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자크기분포, 피시아이, 최초 착색에 있어서 개량된 중합체제품을 얻을 수 있을뿐 아니라, 첨가시간 단축과 같은 중합생산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10m3용량의 중합용기에,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8.2kg을첨가하고, 용기의 투입구를 밀폐하여 진공펌프로써 10분간 탈개스했다.
다음 염화비닐 3300kg을 첨가하고, 교반기의 작동 및 재킷온도의 증온은 개시했으며, 용해된 산소농도를 0.5ppm으로 조절한 60℃의 탈개스된 탈이온수 4500kg과 부분적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콜을 함유하는 3%수용액 75ι를 첨가하고 내부온도를 58℃까지 증온시켰더니 중합이 계속되었다.
이때 중합압력은 8.4kg/Cm2G로 감압하고 비중합단량체를 회수하였다.
이 경우에, 반응시스템내의 산소량은 첨가된 단량체에 대해 1.9ppm이었다.
여기서의 중합시간과 얻어진 제품의 질은 표 1에 기재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용기내에 염화비닐을 약 1/3첨가했을때 교반기의 작동, 재킷온도의 증온, 미리 가열된 탈개스된 탈이온수와 부분적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 알콜수용액의 첨가를 시작한 다음 같은 공정을 실시했다.
중합계에 함유된 산소량은 2.2ppm이었다.
[실시예 3]
10m3용량의 중합용기를 투입구를 밀폐한채 10분간 탈개스한후 염화비닐 3300kg과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8.2kg을 첨가하고 등시에 교반기를 작동시키기 시작했다.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를 완전히 첨가했을때 용해된 산소농도가 1.1ppm인 미리 가열된 60℃의 탈개스된 탈이온수 4500kg과 부분적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콜을 함유하는 3%수용액 75ι를 첨가하고 동시에 재킷을 가열하기 시작하여 58℃에서 중합하였다.
중합압력이 8.4kg/cm2G로 떨어졌을때 지중합 단량체를 회수했다.
중합계내의 산소의 양은 5.0ppm이었다.
[실시예 4]
10m3용량의 중합용기에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12.5kg을 첨가하고 투입구를 밀페하여 진공펌프로서 10분간 용기를 탈개스했다.
염화비닐 3300kg을 첨가하고, 교반기의 작동과 재킷의 가열을 시작하고, 그후 용해된산소농도를 0.8ppm으로 조절하고 60℃로 가열된 탈개스된 탈이온수 4900kg과 부분적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 알콜 3%수용액75ι를 첨가했다.
내부온도를 52℃까지 증온시키고 중합을 계속했다.
중합압력이 7.7kg/cm2G로 떨어졌을때 비중합단량체를 회수했다.
중합계내의 산소의량은 3.5ppm이었다.
[비교예 1]
10m3의 반응용기에 30℃의 탈개스된 탈이온수 4500kg,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8.2kg과 부분적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콜3 %수용액 75ι를 첨가한다음 교반기를 작동하면서 장입구를 밀폐하고 20분간 탈개스했다.
염화비닐 3300kg을 첨가한후 중합이 시행되는 58℃로 재킷을 증온시켰다.
중합온도가 8.4kg/cm2G로 떨어졌을때 비중합단량체를 회수했다.
중합계내의 산소량은 5.5ppm이었다.
[비교예 2]
50℃로 증온된 탈개스탈이온수를 사용한 것외에도 비교예 1에서와 같은 공정으로 실험했다.
중합계내의 산소의량은 4.8ppm이었다.
[비교예 3]
용해된 산소농도가 4ppm인 30℃의 탈개스탈이온수를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공정으로 실험했다.
중합시스템내의 공기량은 6.8ppm이었다.
Figure kpo00001
주 : 1 : 회수시작까지 충전, 탈개스, 증온 및 중합에 소요되는 시간임.
2 : 종래의 충전(비교예 1)에 의해 얻어진 제품을 A로 하고, 이에 비해 우수한 것은 B, 열등한 것은 C로 표시했음.

Claims (1)

  1. 중합용기를 탈개스하고 단량체 및 개시제를 넣고서 균일하게 혼합한후, 50-80℃로 예열되고 또한 용해된 산소농로 2ppm이하로 탈개스된 탈이온수 및 현탁제를 첨가하며 중합개의 산소량을 첨가한,단량체양에 대하여 5ppm이하로서 중합을 행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의 중합방법.
KR1019810004905A 1981-07-31 1981-12-14 염화비닐의 중합방법 KR870000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21301 1981-07-31
JP121.301 1981-07-31
JP56121301A JPS5821408A (ja) 1981-07-31 1981-07-31 塩化ビニル系樹脂の重合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735A KR830007735A (ko) 1983-11-07
KR870000343B1 true KR870000343B1 (ko) 1987-03-04

Family

ID=1480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905A KR870000343B1 (ko) 1981-07-31 1981-12-14 염화비닐의 중합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S5821408A (ko)
KR (1) KR870000343B1 (ko)
BE (1) BE893979A (ko)
IN (1) IN1554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9920B2 (ja) * 1989-08-30 1996-10-02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熱硬化性水性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0990A (en) * 1974-10-31 1976-05-06 Shinetsu Chemical Co Enkabiniru mataha enkabiniruoshutaitosurutanryotaikongobutsuno jugohoho
JPS52103665A (en) * 1976-02-26 1977-08-31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lectromagnetic switch having plurality of enclosed contacts
JPS5622100U (ko) * 1979-07-31 1981-02-27
JPS575703A (en) * 1980-06-16 1982-01-12 Shin Etsu Chem Co Ltd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vinyl chloride mono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155403B (ko) 1985-01-26
JPH0150243B2 (ko) 1989-10-27
JPS5821408A (ja) 1983-02-08
KR830007735A (ko) 1983-11-07
BE893979A (fr) 198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6156B1 (en) Manufacture of polyvinyl chloride
EP0281210B1 (en) Process for preparing vinyl chloride polymer
KR870000343B1 (ko) 염화비닐의 중합방법
AU2003224006A1 (en) Co-metering of organic initiators and protective colloids during polymerization reactions
US4455413A (en) Method for suppressing bubbling in polymerization of vinyl chloride resin
JPH0782304A (ja)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JPH0120161B2 (ko)
KR20040069187A (ko)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 중합 반응에서 압력 강하 중에유기 개시제의 첨가 방법
KR890002929B1 (ko) 염화비닐 단량체의 현탁 중합 방법
JPH06166704A (ja)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KR0150791B1 (ko) 락톤 중합체로 변성된 염화비닐 중합체의 제조방법과 락톤 중합체로 변성된 새로운 염화비닐 중합체
JPH10338701A (ja)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JP3230369B2 (ja)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CA1280532C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vinyl chloride of low vinyl chloride content
US3201378A (en) Polymerization process using a reaction vessel coated with oxidized aluminum
JPH07107081B2 (ja) 塩化ビニルラテツクス重合体の製造法
GB2078237A (en)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vinyl chloride
JP3426770B2 (ja) ビニル系化合物の懸濁重合用分散安定剤
JP3344769B2 (ja) 塩化ビニル系ミクロ懸濁重合体の製造方法
JPH04325506A (ja)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JPH09221505A (ja)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JPS6114204A (ja)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JPH06136010A (ja) 塩化ビニル系単量体の懸濁重合法
JPH0693006A (ja)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JPS61195101A (ja) 軟質成形用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