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099Y1 - 형틀 지지 비임 - Google Patents

형틀 지지 비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099Y1
KR860002099Y1 KR2019830007903U KR830007903U KR860002099Y1 KR 860002099 Y1 KR860002099 Y1 KR 860002099Y1 KR 2019830007903 U KR2019830007903 U KR 2019830007903U KR 830007903 U KR830007903 U KR 830007903U KR 860002099 Y1 KR860002099 Y1 KR 860002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lasp
mold
fram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7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191U (ko
Inventor
요시로오 오오하시
Original Assignee
요시로오 오오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로오 오오하시 filed Critical 요시로오 오오하시
Priority to KR2019830007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099Y1/ko
Publication of KR8400061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1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0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11/54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of extensible type, with or without adjustable supporting shoes, fishplat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2011/505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with nailable or screwable inser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형틀 지지 비임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형틀 지지비임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위와 동일한 조립사용 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3도는 위와 동일한 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제4도 내지 제10도는 위와 동일한 것을 사용한 콘크리트 스라브 구축의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비임본체 (3) : 걸쇠
(7), (8) : 플레이트 (10) : 대들보형틀
(12) : 요조(凹條) (13) : 돌조(突條)
본 고안은 스라브와 대들보로 부터 이루어진 콘크리트 바닥판의 구축에 사용하는 형틀 지지용 비임에 관한 것이다.
평행하게 뻗은 대들보 형틀 사이에 다수의 비임을 소정의 간격으로 가설하고, 각 비임으로서 스라브형틀을 지지한 상태로서 콘크리트의 타설(打設)을 행하여 콘크리트의 양생(養生)이 대들보 형틀의 존치기간을 경한과후, 스라브형틀과 비임을 남긴채로 대들보형틀을 해체하고 대들보형틀을 윗층구축에 계속하여 사용하도록 한 콘크리트 바닥판의 구축공법은,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 소화 56년 제75341호에 의하여 이미 제안하였다.
그런데 콘크리트 구축물에 있어서는, 건물의 조건에 따라서 대들보의 간격이 여러가지로 변화하는 일이 있어서, 이 때문에 길이의 조정이 불가능한 구조의 비임에서는 여러종류를 준비하지 않으면 아니되는 불편이 생겼다.
이 불편을 해소함에는 비임을 신축자재한 구조로하면 좋을 것이나 스라브콘크리트의 하중이 신축조정부분에 가중되므로 스라브 성형 정밀도는 신축조정부의 구조에 따라서 크게 좌우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비임의 길이의 조정이 간단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조정부분의 하중지지 강도 가우수하며 정밀도가 양호한 콘크리트 바닥판을 구축할수가 있는 형틀의 지지비임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끝부분에 플레이트를 설치한 비임본체와 플레이트의 끝부분에 대들보형틀에 걸수있게 괘지조를 설치한 괘지용 걸쇠로서 비임을 구성하고, 비임본체와 괘지용 걸쇠의 양쪽 플레이트에 중합상태로 서로 감합하는 돌조와 요조를 비임본체의 길이가 긴쪽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하게 되도록 설치하여서, 양쪽 플레이트를 볼트로서 위치 조정이 자유롭게 되도록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길이의 조정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의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형틀지지비임(1)은 비임본체(2)와 그 양쪽끝에 부착하는 걸쇠(3)로서 구성되어 있다.
비임본체(2)는 앵글을 사용한 상현재(4)와 철근을 사용한 하현재(5)를 지그재그 형상의 철근(6)으로 결합하여 트러스(TRUSS)로 조립하여 양단부의 상현재(4)와 하현재(5)와의 사이에 플레이트(7)를 장설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비임본체(2)는 상현재(4) 보다도 하현재(5)가 약간짧게 되며, 양쪽끝부분에 고정한 플레이트(7)의 끝가장자리가 상현재(4)에서 하현재(5)로 향하여 비임본체(2)의 중앙에 향하도록 경사하고 있다. 또 걸쇠(3)는 비임본체(2)의 플레이트(7)에서 상현재(4)의 측면에 걸쳐서 겹쳐지는 옆쪽으로 긴 플레이트(8)와 이 플레이트(8)의 앞쪽끝에 고정한 괘지조(9)로서 형성되어 있다. 걸쇠(3)에 있어서의 플레이트(8)의 앞쪽끝은 하부가 비임본체(2)쪽으로 접근하도록 경사함과 아울러, 괘지조(9)는 대들보 형틀(10)에 있어서의 옆부분형틀(11)의 윗쪽끝면에 겹쳐지는 상부판(9a)과, 이 상부판(9a)의 앞쪽끝에 옆부분형틀(11)의 안쪽으로 절곡되도록 설치한 괘지조 선단부(9b)와, 상부판(9a)의 뒷쪽끝에서 비스듬이 아래쪽으로 향하는 플레이트 부착판((9c)으로서 형성되고, 그 플레이트(8)의 앞쪽끝을 부착판(9c)에 용접고정화 하는 것에 의하여 일체화하고 있다.
전기한 비임본체(2)에 있어서의 플레이트(7)에는 걸쇠(3)의 겹쳐지는 면에 비임본체(2)의 길이가 긴쪽방향에 따르는 요조(12)가 이 플레이트(7)의 중간을 단면이 대(台) 모양으로 절곡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있다.
또, 걸쇠(3)에 있어서의 플레이트(8)에는 비임본체(2)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도록 양쪽 플레이트(7), (8)를 중합시켰을 때, 전기한 요조(12)와 감합하는 돌조(13)가 설치되어 있다. 걸쇠(3)의 돌조(13)는 요조(12)에 감합하는 단면형상의 것을 플레이트(8)의 양면으로 돌출하도록 연속하여 설치한 예를 표시하고 있다.
양쪽 플레이트(7)과 (8)을 중합시키면 요조(12)와 돌조(13)가 서로 감합하고, 걸쇠(3)는 상기한 감합부분을 안내레일로 하여 비임 본체(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자재하게 되며, 형틀지지비임(1)의 전체길이, 즉 양쪽 걸쇠(3), (3)의 괘지조 선단부(9b)(9b)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도록 신축자재하게 된다.
전기한 비임본체(2)에 있어서의 상현재(4)와 플레이트(7)에는 걸쇠(3)가 겹쳐지는 위치의 상하에 있어서, 수평으로 된 긴구멍(14), (14)이 설치되고 걸쇠(3)의 플레이트(8)에는 상하의 장공(14), (14)과 연통하는 상하한쌍의 볼트 삽통공(15), (15)이 길이가 긴쪽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복수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하의 긴구멍(14), (14)는 비임본체(2)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를 미끄러트려서 설치하고, 걸쇠(3)와 한쌍으로 되는 상하볼트 삽통공(15), (15)도 긴구멍과 동일한 위치로 미끄러트려서 상하볼트삽통공(15), (15)의 거리를 크게하고, 걸쇠(3)와 비임본체(2)의 볼트(16)에 의한 결합부분에 걸리는 회전모우먼트의 지지에 견디는 힘을 증대시키도록 하고있다.
또, 걸쇠(3)와 비임본체(2)의 결합부분에 있어서는, 요조(12)와 돌조(13)의 감합에 의하여 회동억지효과를 얻을수가 있으며, 신축조정의 용이성과 동시에 회전모우먼트의 지지력이 대폭으로 향상하게 된다.
또한 슬라브형틀(17)의 지지는 비임본체(2)의 상현재(4)위에 가로지른나무(18)를 못으로 지착하고, 이 가로지른나무(18) 위에 형틀(17)을 못으로 고정시키도록 하면 된다.
또, 도면표시는 생략하였으나 비임본체(2)에는 상현재(4)의 중앙이 양쪽끝보다도 약간 높게되도록 깎어서 조절하며, 하중을 지지할 때에는 상현재(4)가 직선이되도록 하여높으면 좋다.
본 고안의 형틀 지지비임은 상기와 같은 구성이며, 비임본체(2)의 양쪽끝부분에 걸쇠(3)를 겹쳐서 돌조(13)와 요조(12)를 감합하고, 장공(14), (14)와 일치시킨 볼트삽통공(15), (15)에 볼트(16)를 삽통하고 너트와의 나사를 조여붙이는 것에 의하여 비임본체(2)에 대하여 걸쇠(3)를 고정화한다.
양쪽끝 걸쇠(3)에 있어서의 괘지조선단부(9b)사이의 간격조정은 장공(14)의 길이범위에 있어서의 미세한 조정과 볼트 삽통공(15)의 간격마다 대조정에 의하여 행할 수 있어서, 걸쇠(3)의 고정위치를 사용조건에 맞추어서 선택하여 놓는다.
상기와 같이 조립한 형틀지지용 비임(1)을 사용한 바닥판 시공의 공정을 제4도 내지 제10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먼저 제4도와 같이 파이프서포오트(19)로서 지지한 밑바닥부형틀(20)의 양쪽에 옆부분형틀(11)을 거립시키고, 대향하는 옆부분형틀(11)을 세퍼레이터(21)로 연결하여 대들보형틀(10)을 조립하고, 바닥위에 있어서 형틀지지비임(1)의 조립과 칫수조정작업을 행한다.
다음에 형틀지지비임(1)을 끌어올리고 양쪽끝의 걸쇠(3), (3)에 있어서의 괘지조(9)를 양쪽 대들보형틀(10)에 있어서의 옆부분형틀(11)의 윗쪽끝부분에 걸치게하고, 제5도와같이 대들보형틀(10)사이에 형틀지지비임(1)을 일정한 간격으로서 가설하여 간다.
이후 형틀지지비임(1)들의 위에 스라브형틀(17)을 장설하여서 (제6도 참조) 대들보형틀(10)내부 및 스라브형틀(17)위에 도면표시를 생략하였으나 철근을 배정설치하고, 그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7도와 같이 대들보(A)와 바닥판(B)로 이루어진 스라브를 형성한다.
타설한 콘크리트의 형틀 존치기간이 경과하기전에 대들보틀(10)에 있어서의 옆부분형틀(11)을 먼저 제거 한다(제8도 참조). 형틀지지비임(1)의 양쪽끝은 아래부분이 비임본체(2)쪽으로 향하는 경사된형상으로 되어서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옆부분 형틀(11)의 제거작업이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제거한 옆부분형틀(11)은 그대로 윗층으로 운반하여 사용함과 아울러, 형틀지지비임(1)은 양쪽끝의 괘지조 선단부(9b)가 대들보(A)의 콘트리트내로 요입하여 걸려 있으므로 콘크리트 양생완료까지 사이에 바닥판(B)을 지지하고 있다.
콘크리트의 형틀존치기간이 경과하면, 각 형틀지지비임(1)의 볼트, 너트(16)를 늦추어 비임본체(2)를 끌어내는 것에 의하여 콘크리트스라브에서 형틀지지비임(1)을 제거한다(제9도 참조). 비임본체(2)를 끌어내리면 양쪽끝의 걸쇠(3)가 안쪽으로 잡아당겨지게 되어서, 괘지조 선단부(9b)는 대들보(A)의 부분에서 이탈되므로 간단하게 제거할수가 있다.
그후 대들보형틀(10)에 있어서의 밑바닥부 형틀(20)을 제거하면, 제10도에 표시하는 콘크리트스라브가 완성되고 제거된 형틀지지비임(1)과 밑바닥형틀(20)은 그대로 윗층에서 사용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비임본체의 플레이트와 걸쇠의 플레이트에 서로 감합하는 돌조와 요조를 비임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자재하게 되도록 설치하여 양쪽 플레이트를 볼트, 너트에 의하여 결합하도록 하였으므로, 길이의 조정이 돌조와 요조를 안내구에 걸쇠를 슬라이드 시키는 것으로 행할수 있어서 조정작업이 극히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길이 조정부분에 걸리는 하중을 돌조와 요조의 감합부분에 의하여 지지할수가 있으므로 조정부분에 요동상태의 발생이 없어서, 하중지지력이 대폭으로 향상하므로 정밀도가 높은 콘크리트스라브를 형성할수가 있다.

Claims (1)

  1. 끝부분에 플레이트(7)가 설치된 비임본체(2)를 플레이트(8)와 그 끝부분에 괘지조(9)를 설치하여 형성되며 비임본체의 끝부분에 부착되는 걸쇠(3)로서 구성되며, 비임본체와 걸쇠의 양쪽플레이트는 한쪽에 돌조(13)가 다른쪽에는 요조(12)가 겹치게 서로 끼워맞추고, 비임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하게 되도록 설치하여 양쪽 플레이트를 비임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조정이 되도록 볼트로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틀지지비임.
KR2019830007903U 1982-12-20 1983-09-09 형틀 지지 비임 KR860002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7903U KR860002099Y1 (ko) 1982-12-20 1983-09-09 형틀 지지 비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2194818U JPS5996239U (ja) 1982-12-20 1982-12-20 型枠支持ビ−ム
JP???57-194818 1982-12-20
KR2019830007903U KR860002099Y1 (ko) 1982-12-20 1983-09-09 형틀 지지 비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91U KR840006191U (ko) 1984-11-30
KR860002099Y1 true KR860002099Y1 (ko) 1986-08-28

Family

ID=3041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7903U KR860002099Y1 (ko) 1982-12-20 1983-09-09 형틀 지지 비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96239U (ko)
KR (1) KR860002099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0739U (ja) * 1981-10-20 1983-04-23 松隈 保雄 コンクリ−ト床構築用支持トラス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91U (ko) 1984-11-30
JPS6324194Y2 (ko) 1988-07-04
JPS5996239U (ja) 1984-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2078A (en) Frame for draining ditches
KR100225113B1 (ko) 표면의 곡률이 각기 다른 구조물용 형틀장치
EP0182212B1 (de) Schalung zur Errichtung von Baukörpern aus gussfähigen Materialien, wie beispielsweise Beton
EP1321601A1 (en) Modular curved formwork system with variable radius
US3247639A (en) Form supporting girder for use in concrete construction
KR860002099Y1 (ko) 형틀 지지 비임
KR20070025483A (ko) 교량 건설용 일체식 동바리
CN2031811U (zh) 大变形量模数式伸缩缝装置
KR950010827A (ko)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식 천장보 구조물 전용 조립식 철제 거푸집
SU1231171A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сталежелезобетонный элемент
CN213681705U (zh) 一种公路桥梁用可调控组合式伸缩装置
KR20190100757A (ko) 역t형 단면 혼합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SU150429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рельса к подкрановой балке
CN218467029U (zh) 一种预制箱梁混凝土浇筑平台
CN210507151U (zh) 一种桥梁用节段箱梁拼装临时支座
DE1256671B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ehrfeldrigen vorgespannten Brueckentragwerks aus Spannbetonfertigbalken
KR200398402Y1 (ko)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
JPH021394Y2 (ko)
DE544012C (de) Decken- und Dachkonstruktion aus Betonplatten zwischen Traegern aus Eisen oder Eisenbeton
KR20030072666A (ko)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
KR840001777Y1 (ko) 2방향 호이스트 구축용 현수구
RU2203370C1 (ru) Преднапряженное шпренгельное покрытие
SU150438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пересекающихс стержневых элементов
SU1719570A1 (ru) Опорный узел
WO2019028538A1 (pt) Grampo para montagens, amarrações e fixações construtivas estrutura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6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