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777Y1 - 2방향 호이스트 구축용 현수구 - Google Patents

2방향 호이스트 구축용 현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777Y1
KR840001777Y1 KR2019820003285U KR820003285U KR840001777Y1 KR 840001777 Y1 KR840001777 Y1 KR 840001777Y1 KR 2019820003285 U KR2019820003285 U KR 2019820003285U KR 820003285 U KR820003285 U KR 820003285U KR 840001777 Y1 KR840001777 Y1 KR 840001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hoist
rollers
way hoist
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3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996U (ko
Inventor
염조건
Original Assignee
삼성종합건설주식회사
김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종합건설주식회사, 김진구 filed Critical 삼성종합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20003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777Y1/ko
Publication of KR8300039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9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7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방향 호이스트 구축용 현수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사각함체 5, 5′, 6, 6′ : 로울러
7, 7′, 8, 8′ : 높이조절홈 9, 9′ : 상측접동판
10, 10′ : 하측접동판
본 고안은 호이스트를 아이빔 상에 전후,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현수구로서, 특히 수평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2방향 호이스트 구축용 현수구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지하철 공사와 같이 에이치빔을 조립하여 행하는 작업현장에 있어서, 2방향호이스트 구축용 현수구가 사용됨으로써 거푸집이나 기타 공사용 자재의 운반, 설치, 해체 작업시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하여 공기단축에 기여도가 높았다.
그러한 종래의 현수구로서, 일본실용신안공고 소 36-21884호는 상하 로울러 홀더에 각각 한쌍의 로울러를 구성하되, 로울러홀더가 상호 회전될 수 있도록 상호 축결합 구성하여 종비임 상에서 횡비임이 약간의 회전범위를 갖도록 조립됨으로써 종비임상에서 횡비임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현수구는 지하철 현장과 같이 작업이 난해한 곳에서 종비임의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 횡비임의 경사각 때문에 현수구나 호이스트의 이동이 균일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제거하도록 작업현장의 상황에 따라 임의로 수평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수구나 호이스트의 전후, 좌우 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는 2방향호이스트 구축용현수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현수구(1)는 사각함체(2)의 일측대향면 상부에 상측볼트(3)(3′)를 돌설 고착하고, 타측 대향면 하부에 하측볼트(4)(4′)를 돌설 고착하는 한편, 선단부에 각각 로울러(5)(5′)(6)(6′)를 설치하고, 중앙에 높이조절홈(7)(7′)(8)(8′)을 형성한 동일형상의 상, 하측접동판(9)(9′)(10)(10′)을 전기한 상, 하측 볼트(3)(3′)(4)(4′) 상에 접동 가능하게 또한 로울러(5)(5′)와 로울러(6)(6′)의 방향이 대칭으로 되도록 체결너트(11)(11′)(12)(12′)로서 부착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 하측 접동판(9)(9′)(10)(10′)은 체결너트(11)(11′)(12)(12′)의 긴체, 이완에 따라 사각함체(2)의 외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또는 긴밀히 고착되므로 상측접동판(9)(8)의 로울러(5)(5′)와 하측접동판(10)(10′)의 로울러(6)(6′)의 사이의 상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하철 공사는 공사예정지의 양측으로 에이치빔을 매설하고, 해당지면을 굴착하면서 매설된 에이치빔에 횡측 에이치빔을 연결지지시켜 나가는 방식으로 행해지는 바, 본 고안의 현수구(1)는 제2도 및 제3도의 표시와 같이 횡측 에이치빔(H)하단에 상측 접동판(9)(9′)의 로울러(5)(5′)에 현수하고, 하측접동판(10)(10′)의 로울러(6)(6′)에는 호이스트(C)가 설치되는 별도의 종측 아이빔(Ⅰ)을 현수 지지시켜 사용한다.
그러므로, 호이스트(C)는 종측아이빔(Ⅰ)상을 타고 화살표(A)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종측아이빔(Ⅰ)은 현수구(1)가 횡측에이치빔(H)을 타고 주행하는 것에 의해 화살표(B)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결과적으로 호이스트(C)의 활동범위는 전 현장으로 확장되어 거푸집(기타 공사자재)의 운반 및 설치, 해체 작업이 능률적이고,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현수구(1)는 종측아이빔(Ⅰ)을 현수구 하부로울러를 통하여 종측아이빔(Ⅰ)이 다음 작업위치로 옮겨갈 수 있도록 고안되었고, 체결너트(11)(11′)를 이완시켜 현수구(1)를 에이치빔(H)으로 부터 해탈 및 부착하기 때문에 착탈조작이 간편하고, 상, 하측접동판(9)(8)(10)(10′)을 사각함체(2) 표면에서 슬라이드시켜 체결하는 것에 의해 로울러(5)(5′)와 로울러(6)(6′) 사이의 간격을 임의로 조정할 수가 있어서, 상부 에이치빔(H)과 하부아이빔(Ⅰ)의 불균등한 설치 높이도 조절하여 안정수평 상태로 설치 가능하다.

Claims (1)

  1. 2방향호이스트 구축용 현수구에 있어서, 일측대향면 상부에는 상측볼트(3)(3′)를 타측대향면 하부에는 하측볼트(4)(4′)를 각각 고착시킨 사각함체(2)에 선단부에는 로울러(5)(5′)(6)(6′)를 설치하고, 중앙에 높이조절홈(7)(7′)(8)(8′)을 형성한 동일형상의 상하측 접동판(9)(9′)(10)(10′)을 상, 하측 볼트(3)(3′)(4)(4′)와 조절홈(7)(7′)(8)(8′)에 의해 접동가능하게 체결하되, 롤러(5)(5′)(6)(6′)를 대칭으로 구성한 2방향호이스트 구축용 현수구.
KR2019820003285U 1982-04-27 1982-04-27 2방향 호이스트 구축용 현수구 KR840001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3285U KR840001777Y1 (ko) 1982-04-27 1982-04-27 2방향 호이스트 구축용 현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3285U KR840001777Y1 (ko) 1982-04-27 1982-04-27 2방향 호이스트 구축용 현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996U KR830003996U (ko) 1983-12-27
KR840001777Y1 true KR840001777Y1 (ko) 1984-09-18

Family

ID=1922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3285U KR840001777Y1 (ko) 1982-04-27 1982-04-27 2방향 호이스트 구축용 현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7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996U (ko) 198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89330B (zh) 连续式轨道及其架设方法
KR840001777Y1 (ko) 2방향 호이스트 구축용 현수구
US4272932A (en) Telescopic boom
JP2972609B2 (ja) トラックスケール
CN216839031U (zh) 一种具有斜柱结构的钢箱梁拼接用工装
KR20140022761A (ko) 크레인 지브를 갖는 크레인, 특히 브라켓 크레인
CN205443949U (zh) 防落梁挡块安装小车
CN212413287U (zh) 能够实现摄像头稳定的梭车
CN210530363U (zh) 一种渐变式三角形幕墙骨架施工操作平台
CN218029142U (zh) 一种钢结构施工安全带悬挂装置
JPH0448274Y2 (ko)
CN215760328U (zh) 移动式操作架
CN215977359U (zh) 一种可调预埋支架
CN220058781U (zh) 一种可调式悬挑外架支座
CN214696682U (zh) 一种门扇安装的辅助装置
JP2000226961A (ja) 移動間仕切り装置における移動間仕切り保持レール
CN215759120U (zh) 一种搅拌墙施工用的型钢垂直定位装置
CN218933811U (zh) 一种悬挑外架固定结构
CN212052373U (zh) 一种挂篮对称悬臂
JPH0372165A (ja) 吊上げ用具
KR20130064525A (ko) 슬래브 거푸집 거더 빔 체결장치
EP1640522B1 (en) Wall construction
JP3555715B2 (ja) 外壁パネルの支持構造
CN205476461U (zh) 一种可调矩形柱模板结构
JPH01284647A (ja) 開口フレーム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