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402Y1 -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 - Google Patents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402Y1
KR200398402Y1 KR20-2005-0019200U KR20050019200U KR200398402Y1 KR 200398402 Y1 KR200398402 Y1 KR 200398402Y1 KR 20050019200 U KR20050019200 U KR 20050019200U KR 200398402 Y1 KR200398402 Y1 KR 200398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vertical body
body portion
concrete block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학
Original Assignee
고려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9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4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4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교대 또는 교각상부에 설치되는 슈의 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ㄱ'형상으로 상단에 수평꺽임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꺽임부(111)와 일체로 수직몸체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몸체부(112)의 일측 하단에 다수의 슬릿(112a)이 형성되며, 타측은 삽입홈(112b)이 형성되는 한편, 양측에 고정홀(112c)이 형성되는 한쌍의 상부부재(11)와, 상기 상부부재(11)와 마찬가지로 'ㄱ'형상으로 상단에 수평꺽임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꺽임부(121)와 일체로 수직몸체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꺽임부(121)의 일측과 수직몸체부(122)의 중간 높이까지 다수의 슬릿(122a)이 형성되며, 타측의 수평꺽임부(121)와 수직몸체부(122)의 중간까지는 삽입홈(122b)이 형성되며 양측에 고정홀(122c)이 형성되는 한쌍의 하부부재 (12) 및 상기 하부부재(11) 및 상부부재(12)의 고정홀(112c,122c)에 와이어(13)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4개가 한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A cast of concret block for shoe}
본 고안은 교량의 교대 또는 교각상부에 설치되는 슈의 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폭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토목 및 건축현장에서의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의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넓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푸집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폭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이 공개번호 20-1996-03477743호로 개시된바 있으나, 사용이 복잡하여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된다.
즉, 상기의 '폭조절이 가능한 거푸집 판넬'이 개시된 바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좌, 우측 세로플레임(2)(2a) 각각에 상, 하측 가로프레임(3)(3a)과 길이조절편(4)(4a)이 가로방향으로 용접결합되어 상호 수평이동을 통해 겹쳐져 보울트(6)와 너트(7)에 의해 보울트결합되고, 이들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는 프레임형틀의 가변판넬이 결합된 구조용 거푸집용 조립판넬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 세로프레임 (2)(2a)각각과 상기 길이조절편(4)(4a)의 한쪽 측벽에는 세로방향으로 고정판넬(8)(8a)의 배면한쪽에 밀착된 상태로 용접결합되어 이 보강판(9)(9a) 배면에 지지부재(110)(110a)가 용접결합되고, 상, 하로 겹쳐지는 상, 하측 가로프레임(3)(3a)과 겹쳐지는 길이조절편(4)(4a)에는 보강부재(11)(12)가 각각 보울트결합되고, 상기 양쪽 고정판넬(8)(8a) 사이에는 가변판넬(13)이 삽입설치되어 상기 보강판 (9)(9a)과 리벳결합되며, 상기 상, 하측 가로프레임(3)(3a)과 겹쳐지는 길이조절편 (4)(4a)에는 덧대기프레임(16)(16a)이 보울트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거푸집판넬은 넓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수단이 다수개 겹치도록 구비된 길이조절편에 다수개의 볼트홀을 천공하여 소망하는 폭에 맞게 상기 홀을 일치시킨 후, 볼트를 채워서 고정하는 것으로, 그 조절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소정의 등간격으로 천공된 볼트홀에 의해 정교한 조절이 불가능하여 제작 후 사용하지도 못하고 폐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폐기된 거푸집에 의해 건축폐자재의 양을 증가시킨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다수개 장착된 길이조절편에 의해 거푸집자체의 중량이 무거워 설치작업을 시행하는 작업자들의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폭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토목 및 건축현장에서의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의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량의 교대 또는 교각상부에 설치되는 슈의 받침부 콘크리트블록의 거푸집에 있어서, 'ㄱ'형상으로 상단에 수평꺽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꺽임부와 일체로 수직몸체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몸체부의 일측 하단에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며, 타측은 삽입홈이 형성되는 한편, 양측에 고정홀이 형성되는 한쌍의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와 마찬가지로 'ㄱ'형상으로 상단에 수평꺽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꺽임부와 일체로 수직몸체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꺽임부의 일측과 수직몸체부의 중간 높이까지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며, 타측의 수평꺽임부와 수직몸체부의 중간까지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양측에 고정홀이 형성되는 한쌍의 하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의 고정홀에 와이어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4개가 한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과,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의 삽입홈간의 간격은 슬릿간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이 교대 또는 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의 상부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의 하부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3의 A부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6은 도4의 B부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으로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럭을 완성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교량의 교대 또는 교각상부에 설치되는 슈의 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폭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토목 및 건축현장에서의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의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본 고안의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10)은 상부부재(11) 2개와 하부부재(12) 2개등 총4개가 한조로 구성되게 되며, 상기 하부부재(11) 및 상부부재(12)의 고정홀(112c,122c)에 삽입하여 결속시키는 와이어(13)를 포함한 구조이다.
즉, 본 고안의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2 내지 도4에서 알 수 있듯이, 한쌍의 상부부재(11)는 'ㄱ'형상으로 상단에 수평꺽임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꺽임부(111)와 일체로 수직몸체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몸체부(112)의 일측 하단에 다수의 슬릿(112a)이 형성되며, 타측은 삽입홈(112b)이 형성되는 한편, 양측에 고정홀(112c)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한쌍의 하부부재(12)의 구조는 상기 상부부재(11)와 마찬가지로 'ㄱ'형상으로 상단에 수평꺽임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꺽임부(121)와 일체로 직몸체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꺽임부(121)의 일측과 수직몸체부(122)의 중간 높이까지 다수의 슬릿(122a)이 형성되며, 타측의 수평꺽임부(121)와 수직몸체부(122)의 중간까지는 삽입홈(122b)이 형성되며 양측에 고정홀(122c)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부재(11) 및 하부부재(12)의 삽입홈(112b,122b)간의 간격에서 1㎝단위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수의 슬릿이 있는 일단의 슬릿(112a,122a)간의 간격을 2㎝로 하고, 한 개의 슬릿이 있는 타단의 삽입홈(112b,122b)간의 간격을 3㎝로 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통상적인 토목 및 건축 현장의 콘크리트를 성형하도록 타설전에 미리 배근된 철근의 외부에 설치하여 틀을 잡고, 타설된 콘크리트의 경화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일정관리를 중요하게 여기는 토목 및 건축현장에서 용이하게 폭 조절이 가능하여 콘크리트 타설시의 작업을 원활하게 시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특히 폭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토목 및 건축현장에서의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의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거푸집은 변형이 없는 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이 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의 상부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의 하부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3의 A부의 확대사시도.
도 6은 도4의 B부의 확대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으로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럭을 완성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 11 : 상부부재
12 : 하부부재 13 : 와이어
100 : 콘크리트 101 : 정착근
111,121 : 수평꺽임부 112,122 : 수직몸체부
112a,122a : 슬릿 112b,122b : 삽입홈
112c,122c : 고정홀

Claims (2)

  1. 교량의 교각상부에 설치되는 슈의 받침부 콘크리트블록의 거푸집에 있어서,
    'ㄱ'형상으로 상단에 수평꺽임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꺽임부(111)와 일체로 수직몸체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몸체부(112)의 일측 하단에 다수의 슬릿(112a)이 형성되며, 타측은 삽입홈(112b)이 형성되는 한편, 양측에 고정홀(112c)이 형성되는 한쌍의 상부부재(11)와;
    상기 상부부재(11)와 마찬가지로 'ㄱ'형상으로 상단에 수평꺽임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꺽임부(121)와 일체로 수직몸체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꺽임부(121)의 일측과 수직몸체부(122)의 중간 높이까지 다수의 슬릿(122a)이 형성되며, 타측의 수평꺽임부(121)와 수직몸체부(122)의 중간까지는 삽입홈(122b)이 형성되며 양측에 고정홀(122c)이 형성되는 한쌍의 하부부재(12) 및 상기 하부부재(11) 및 상부부재(12)의 고정홀(112c,122c)에 와이어(13)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4개가 한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11) 및 하부부재(12)의 삽입홈(112b,122b)간의 간격에서 1㎝단위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
KR20-2005-0019200U 2005-07-01 2005-07-01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 KR200398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200U KR200398402Y1 (ko) 2005-07-01 2005-07-01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200U KR200398402Y1 (ko) 2005-07-01 2005-07-01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220A Division KR100638363B1 (ko) 2005-07-01 2005-07-01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402Y1 true KR200398402Y1 (ko) 2005-10-13

Family

ID=4369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200U KR200398402Y1 (ko) 2005-07-01 2005-07-01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4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36B1 (ko) 2006-07-31 2008-02-13 주식회사 신화 엠앤씨 교좌장치용 프리캐스트 교좌블럭과 이것을 이용한 교좌장치시공방법 및 교좌장치 교체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36B1 (ko) 2006-07-31 2008-02-13 주식회사 신화 엠앤씨 교좌장치용 프리캐스트 교좌블럭과 이것을 이용한 교좌장치시공방법 및 교좌장치 교체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5418B2 (ja) 箱桁橋の構築方法
KR101081791B1 (ko) 측면거푸집 잭장치와 단부거푸집 회전설치장치를 이용한 빔 제작장치
KR20120070120A (ko) 아치형 피에스씨빔을 이용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838409B1 (ko) 데크형 복공판
JP7213136B2 (ja) 箱桁の施工方法および施工システム
KR200398402Y1 (ko)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
JP3709161B2 (ja) コンクリート製捨て型枠を用いるコンクリート製構造体の製造方法
KR100638363B1 (ko) 슈받침부 콘크리트블록 거푸집
JP3707006B2 (ja) 既設組積造壁における開口部の新設方法
JP3029411U (ja) コンクリートバンドそしてリンテルを形成するための型枠取付装置
KR100975539B1 (ko) 부등지간장을 가지는 스틸박스 연속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78139B1 (ko) 거푸집 수평 받침대 길이조절 프레임
KR100831690B1 (ko) 철근 배근구조
KR100536772B1 (ko)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KR101124692B1 (ko) 조립식 반력프레임을 이용한 빔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빔 제작방법
KR101898158B1 (ko) 측구 제작용 강재 거푸집
JP3824242B2 (ja) 高架橋無支保工築造工法
KR20200019807A (ko)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022249B1 (ko) 견고한 설치구조를 갖는 면벽식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15624A (ko) I형 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에 조립식으로 설치된무지보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량상부슬래브 시공과무지보거푸집해체방법
KR20110006970U (ko) 목판과 스틸판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JP2016040447A (ja) プレキャスト桁のねじれ抑制方法及びプレキャスト桁の接合方法
KR200219433Y1 (ko) 콘크리트 다이크, 엘형 측구 등과 같이 동일 단면으로길게 형성되는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설치구조
KR100387093B1 (ko) 콘크리트 다이크, 엘형 측구 등과 같이 동일 단면으로길게 형성되는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설치구조및 그의 설치방법
JP3061724U (ja) 基礎ブロック及び建築用基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