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812B1 - 약용(藥用) 건조인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용(藥用) 건조인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812B1
KR860001812B1 KR1019810001253A KR810001253A KR860001812B1 KR 860001812 B1 KR860001812 B1 KR 860001812B1 KR 1019810001253 A KR1019810001253 A KR 1019810001253A KR 810001253 A KR810001253 A KR 810001253A KR 860001812 B1 KR860001812 B1 KR 860001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medicinal
container
pressure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1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800A (ko
Inventor
이와오 하치야
케이조 모치주키
유키오 쿠와다
Original Assignee
메이지 세이카주식회사
나카 가와 타케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지 세이카주식회사, 나카 가와 타케시 filed Critical 메이지 세이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10001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812B1/ko
Publication of KR830004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약용(藥用) 건조인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생(生)약용 인삼(수삼)의 형상, 색소(color tone)를 유지시키며 약용성분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며 또 장기간 보전하는데 견딜 수 있는 약용 건조인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백주(白酒, white liquor)등 알코올 수용액을 넣은 투명용기내에 인삼을 담가 보전할 경우 생약용 인삼 그 자체가 갖고 있는 특징적인 형상, 색조를 원상 그대로 보전하며, 따라서 감상하면서 그 담근액을 복용하도록 함을 가능하게 하는 약용 건조인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약용 건조인삼으로는 종래에 있어서 백삼 또는 홍삼을 말하며 일광(日光) 또는 화열(火熱)에 의한 건조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백삼은 생약용 인삼(수삼)의 외피를 벗겨 일광 또는 화열로 건조하며, 홍삼은 생약용 인삼(수삼)을 열탕 또는 수증기로 처리한 다음 일광 또는 화열건조를 한 것이다.
이와같이 처리한 백삼과 홍삼은 아랄리아시애(Araliaceae)과에 속하는 약용인삼으로, 경질의 조직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움벨리페래(Umbelliferae)과에 속하는 일반적인 당근(vegetable carrot)의 유연질 조직세포와는 현저하게 달라, 이 약용인삼의 외피는 코로크(cork) 조직(phellem)과 후각조직(collen chyma)으로 구성되고, 그 목질부의 섬유조직도 치밀하게 경질의 섬유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위의 백삼, 홍삼의 일광 및 화열건조방법으로는 남아있는 수분량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보전중에 균류(fungi, bacteria)가 발생하는 등 변질을 일으키기 쉽고, 또 건조시에는 약용인삼의 조직이 위축, 고화(固化)가 일어나 형상의 변화, 변색이 현저하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에 의해 탈수시킨 건조 인삼을 백주(白酒) 등 알코올 수용액에 담가 감상을 목적으로 할 경우, 건조인삼의 형상 및 색조는 생약용 인삼이 본래 갖고 있는 특징적인 상태 그대로 완전하게 보존시킬 수 없으므로 감상이란 관점에서 가치가 없으며, 또 조직구조의 위축, 고화로 인하여 담근액의 침투가 곤란하고 이 때문에 약용성분의 추출이 극히 완만하여 복용이 가능할 때까지는 적어도 3개월 이상이 소요되는 현저한 결점이 있었다.
또, 동결건조 기술을 이용하여 감상용 약용인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약용건조 인삼의 제조법(일본국특공 1977-3056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은 생약용 인삼의 몸통(trunk, 胴)에 적당히 긴 세공을 착설하여 이것을 진공하에서 동결 건조한 것으로, 가는 세공을 착설시킴으로서 심부(芯部, central part)까지의 건조가 비교적 빨리 수행되므로 종래의 백삼, 홍삼에 비하여 생약용 인삼의 형상, 색조를 어느정도 유지시킬 수 있다. 또, 동결시 조직내에 생성한 빙결정이 동결 건조시에 승화되어 빙결정(ice crystals)의 적부(跡部)가 공동(空洞, cavities or pores)으로 되어 있으므로 백주(白酒) 등 침지액의 침투가 용이하며 약용성분의 추출이 빨라, 침지액은 약 1주일 정도에서 복용으로 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긴 세공을 설치할 경우 감상성능을 손상하지 않도록 몸통하부의 뿌리부분 등에서 상방으로 향하게 가는 침(針)을 삽입시켜 몸통 중심부에 도달하게 한 것으로, 생약용 인삼의 형상이 서로 현저하게 달라지므로 착공가능한 부위는 서로 달라, 결국 기계적인 착공작업은 불가능하며 착공가능한 위치를 미리 확인하여 착공작업을 실시해야 할 뿐만아니라 극히 비능률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였다.
또, 이와같이 하여 제조된 약용 건조인삼을 형상, 색조와 함께 생약용 인삼의 상태를 어느정도 유지하는 건조중의 위축은 피할 수 없고, 몸통 직경은 17-38%로 감소되고, 최종 건조품은 몸통에서 종상(縱狀)으로 심한 주름(wrinkles)을 형성하여 이것을 (白酒) 등 알코올 수용액중에 침지하여도 생약용 인삼의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지 않으며, 생약용 인삼에 비하여 형상적으로 극히 빈약하여 감상용으로서는 현저하게 가치가 낮아진다.
또, 생약용 인삼은 몸통(主根)을 중심으로 기근(枝根), 잔뿌리가 3차원적으로 확대되어 있는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단위중량당 점유용적이 크고, 따라서 동결 및 동결건조의 효율이 불량하며 건조비용이 높아지는 결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자들은 약용 건조인삼을 동결할 때와 동결 건조할 때의 모든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를 한 결과 생약용 인삼을 가열함으로써 그 조직구조를 유연화시킨 다음, 가압하에서 동결하고, 그 다음 동결 건조하는 방법에 의해 생약용 인삼이 원래 가진 형상, 색조를 보지하고 약용성분의 추출이 용이하며 또 장기간에 걸쳐 보존함 수 있고 감상을 할 수 있는 약용건조 인삼을 신속하게, 또 효율좋게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방법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약용 인삼을 밀폐가능한 백(bag) 또는 용기내에 수용하여 밀폐하고 온도 60-100℃로 가열하여 조직을 유연화시키고, 그 인삼을 내압 용기내에서 가압하에 동결한 다음, 일반적인 방법으로 동결 건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 건조인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아래서에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세정한 생약용 인삼을 60-100℃로 가열하여 조직을 유연화시킨다.
이 가열처리는 생약용 인삼의 약용성분 및 향기성분의 산일(散逸, dissipation)과 부분건조에 의한 조직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용기 중에서 실시한다.
이 경우에 온도 60℃ 이하에서는 조직이 연화되지 않으며, 이에 또 효소작용의 상승으로 약용인삼의 품질을 열화(劣化)시킨다.
한편, 인삼온도(seng temp.)가 100℃를 초과하면 전분의 호화(湖化)(gelatinization)가 급속하게 진행되어 호화에 의한 팽압(膨壓)으로 몸통(trunk root), 기근(branch root) 등이 파열되고, 파열부에서 전분등의 성분이 노출되어 형상, 성분에 있어서의 손실을 초래하기가 용이하며, 또 수증기의 발생이 현저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밀폐용기의 강도를 증가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어느 것이나 바람직하지 않다.
또, 홍삼을 제조할 때 열수(hot water)나 수증기에 의한 생약용 인삼의 직접 가열방법에 의하면 향기성분이 공기와 열수증으로 산일(散逸)되고 약용성분의 열수증으로 추출된다.
또, 열풍, 화열에 의한 개방상태에서의 가열은 수분의 산일에 의해 조직의 경화와 위축이 초래된다.
따라서, 생약용 인삼을 밀폐용기 내에서 가열할 필요가 있다. 밀폐용기 내에 수용된 생약용 인삼을 가열하는 데는 생약용 인삼을 가진 용기마다 열수, 증기와(또는) 마이크로파(micro wave)에 의해 가열하고 생약용 인삼의 온도를 60-100℃에서 수분간 유지하여 조직을 충분히 유연화시킨 다음 실온까지 냉각한다.
위 가열과정에서 일시에 대량의 열을 가하면,
생약용 인삼의 세포조직 중 전분이 호화되어 팽압이 발생하므로 몸통(胴部), 기근이 파열되어 원상이 손상하기 때문에 생약용 인삼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가열정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가열에 의한 유연화에는 내부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가 가장 적당한 가열수단이며, 생약용 인삼을 마이크로파 투과성능을 가진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등 내열성 필름백중에 또는 동일하게 마이크로파 투과성능을 가진 초자(glass) 등 내열성 용기중에 수용하여 필름백 또는 초자용기를 밀폐한 다음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가열한다.
내열성 필름은 유연화 처리중 열에 의한 파손도 없고, 또 단열(heat-sealing)에 의해 용이하게 밀폐할 수 있으므로 극히 취급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
또, 위의 초자등 밀폐용기, 필름백등에 밀폐시켜 마이크로파 조사장치에 의해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대신, 마이크로파 조사장치를 부착한 밀폐가능한 용기내에 생약용 인삼을 수용하여 밀폐한 후 마이크로파를 조사시켜 가열하여 유연화처리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마이크로파 조사장치로서 고가인 특수장치의 제작을 필요로 하므로, 위 초자등 밀폐용기, 필름백 등을 사용할 경우 종래의 마이크로파 조사장치를 그대로 이용하는데 비하여 일반적이며, 유리하다고는 볼 수 없다.
위 마이크로파 조사가열에 의해 생약용 인삼의 온도를 60-100℃ 정도까지 상승시키고 그 다음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지 않고 1-3분간 방지하여 조직을 유연화한 후 마이크로파조사와 조직유연화를 위한 방치를 적당히 2회 이상 반복한다.
일시에 다량의 열량을 가할 경우 생약용 인삼의 온도가 상승하여도 조직의 유연화가 지연되므로 먼저 약용인삼 조직중의 전분이 호화하여 결국 구조적으로 팽압에 견디지 못하므로 약용인삼의 몸통, 기근 등이 파괴된다.
이와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열 후 유연화를 위한 방지를 반복하는 조작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가열처리에 의한 조직의 유연화는 위와같이 단계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물론, 가열방법으로는 열풍(熱風), 열탕, 증기등에 의해 외부에서 가열하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으나 밀폐용기 중에 수용된 생약용 인삼을 이들의 방법에 의해 가열하는 데는 밀폐용기에서의 열전달을 주체로 한 가열방식에 따르기 때문에 인삼의 온도상승이 늦고, 인삼의 표면과 내부간의 온도차가 발생하므로 단시간에 균일하게 유연화시키기가 곤란하여 생약용 인삼의 크기에 따라 15-60분간 처리시간이 필요하며 이 처리시간에 유효성분의 손실이 발생된다.
이에 반하여,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인삼내부로부터 가열할 경우, 생인삼의 크기에 관계하지 않고 5분정도의 단시간으로 용이하게 또 균일하게 유연화시킬 수 있다.
또 이와같이 단시간의 가열로 유효성분의 용출 및 손실도 적어진다.
위에서와 같이 유연화처리를 한 약용인삼은 경도계(penetrometer)(일본국 木屋製作所製品)로 직경 5mm의 가압봉을 사용하여) 측정될 때 2.7-12kg으로 가압봉이 인삼의 조직에 침입하는 경도를 나타내며(생약용 인삼의 경우에는 동일하게 위 경도계로 직경 5mm의 가압봉을 사용할 때의 경도는 23.5kg이다), 생약용 인삼에 비하여 1/10~1/2의 경도로 유연화된다.
이와같이 유연화된 약용인삼을 실온까지 냉각한 다음 밀폐용기에서 취출하고, 3차원적으로 각방향으로 확대되어 있는 기근과 모근은 이 유연성을 이용하여 몸통(胴部)에 따라 집합 정리되어 점유용적을 감소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가압동결처리와 동결건조처리를 할 경우 처리효율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위에서 유연화처리를 한 약용인삼을 밀폐용기나 백에서 꺼내어 내압 밀폐용기중에 수용하고 메탄가스, 질소가스, 공기등 기체를 넣어 20kg/cm2이상,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70kg/cm2정도까지 가압하며 가압하에서 -10~-30℃ 정도의 저온에서 동결하고 이와같이 처리한 후 내압 밀폐용기중의 기체를 배기하고 이어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동결건조를 함으로써 생약용 인삼이 원래의 형상, 색조를 완전하게 유지되고, 또 약용성분의 추출이 용이하며 장기간 보존에 견딜 수 있는 약용 건조인삼이 얻어진다.
한편, 위와같이 유연화처리를 하지 않고 생약용 인삼을 가압 동결후에 통상의 방법으로 동결 건조를 할 경우, 대기압에서 동결한 다음 동결건조를 할 경우에 비하여 생약용 인삼의 건조속도는 커지며, 또 건조용 몸통(胴部)의 위축도 발생하지 않으나 조직내에 잔존하여 유지되어 있는 고압기체가 동결 건조시에 조직을 파괴하여 물통, 기근에 종상(縱狀)으로 깊은 균열을 발생하며, 심할 경우에는 균열이 심부(芯部)(core of ginseng body)에까지 미쳐 동결 건조과정에서 조직을 파열시키는 현저한 결점을 갖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약용건조용 인삼은 등외품(等外品), 결손물로서 평가를 받아 감상용 약용인삼으로서는 평가할 가치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리 조직의 유연화처리를 함으로써 가압 동결후에 동결 건조할 때 균열을 완전히 저지할 수 있고, 그 효과가 극히 현저하다.
이와같이 조직의 유연화처리를 한 약용인삼의 경우 생약용 인삼인 경우와는 대조적으로 가압 동결후에 동결 건조할 때 균열이 전혀 발생하지 아니한 이유가 명백하지 않으나 유연화에 의해 조직구조가 가스의 배기가 용이한 구조로 변화하여 가압 동결시에 조직내에 잔존한 가스가 동결건조시에 신속하게 배출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위 방법에서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연화된 약용인삼은 경도계로 직경 5mm의 가압봉을 사용하여 측정할 때 12kg 이하의 경도를 가진다.
이것을 초과한 경도는 경도에 비례하여 균열이 발생하며, 그 정도는 크다.
가압 동결시에 송입한 기체로서는 질소가스 또는 공기가 가장 적당하며, 일산화탄소와 같이 중독증을 발생하기 쉬운 가스는 취급이 곤란하고, 또 메탄가스와 같이 독특한 냄새를 가진 가스는 약용인삼에 미량 흡착시켜도 그 풍미를 손상시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가압용기체로서 탄산가스를 사용하면 다음에 기술하는 유연화처리후 즉시 동결건조를 한 경우와 동일하게 건조품은 동부(胴部)의 직경이 약 22-15%로 감소하여 동부의 위축이 현저하여 바람직한 형상의 것으로 되지 않는다.
밀폐용기내에서의 가압동결을 20kg/cm2이하의 가압하에서 실시하면 압력의 저하에 따르는 동결 건조후 동부 위축 정도는 극히 커져 특히, 10kg/cm2이하에서는 상압하에서 동결할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된다.
한편, 20kg/cm2이상의 압력에서는 동부위축방치의 효과가 반드시 압력에 비례하여 상승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압력을 높히는 것은 에너지 절약이란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보통 20kg/cm2이상 70kg/cm2정도까지의 압력으로 동결을 한다.
가압동결후, 가압상태를 풀어 동결한 상태 그대로 생약용 인삼을 내압용기에서 취출하여, 통상의 동결건조장치내에 수용하고 통상의 방법, 조건에서 동결건조를 하여 약용건조 인삼을 얻는다.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약용건조 인삼은 생약용 인삼이 원래 가진 형상, 색조를 완전히 보지하며, 또 동결건조를 완료할 때의 형태로서도 위와같이 3차원적으로 집합정리되어 인삼의 동부의 직경보다 약간은 큰 개구(開口)의 직경을 가진 투명용기내에 백주등 알코올 침지액과 같이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알코올 침지액 중에서 위에서와 같이 집합정리된 기근, 모근 등은 3차원적으로 확장되어 생약용 인삼과 어떠한 변화도 없는 형상, 색조로 되돌아간 감상용 약용인삼이 얻어지며, 또 위 침지액의 인산조직 중에 침투가 극히 신속하며, 1주간 정도에서 추출성분을 충분히 함유하여 복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에 반하여, 생약용 인삼을 위와같이 유연화 처리후 가압동결 공정을 거치지 않고 즉시 동결건조할 경우, 또는 위와같이 유연화처리후 가압동결을 하지 않고 가스를 배기하고 상압으로 하여 해동(解凍)하고 다시 동결 건조를 할 경우에는 건조속도로서는 본 발명의 유연화처리-가압동결-동결건조를 한 경우와 동일한 정도이나 건조인삼의 동부직경은 11-22%로 감소하여 위축이 현저하며 동부에 긴 세공을 착설하여 동결건조한 경우와 동일하게 열화된 형상으로 되며, 동부 주위에 심한 주름을 형성하므로 감상용으로서는 가치가 낮은 제품으로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가압동결 및 동결건조공정의 단축과 장치의 간략화를 위하여 동일한 동결 건조장치내에서 가압동결을 한 후에 탈기(脫氣)하여 동결건조를 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그러나, 이 경우 동결건조기를 내압용기용으로 대폭 개조해야 할 뿐만 아니라 코울드트랩(cold trap)이나 냉매용 파이프 등 재질은 두터워져 열전도효율은 현저히 저하되고, 또 실링부(sealing)도 고압 및 감압겸용의 특수한 것으로 되어 고가의 장치로 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가압동결용 내압용기와 동결건조장치를 조합시켜 사용하는 방법이 오히려 더 효과적이며 실용적이고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다시 설명한다.
[실시예 1]
청정한 생약용 인삼(128.4g, 몸통직경 35.0mm)을 폴리에틸렌백에 넣고 히이트실링(heat sealing)을 하후 2450MHz, 240W의 가정용 마이크로파오븐(microwave oven)으로 60초 조사하여 2분간 방치하고 계속하여 다시 60초 조사한 다음 1분간 방치하였다.
다시 60초 조사한 다음 그대로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마이크로파에 의해 약용인삼은 최고 99.5℃까지 가열하여 품온을 처리중 60-99.5℃로 유지시켰다.
또 이 처리에 의해 생약용 인삼의 경도(경도개로 직경 5mm의 가압봉을 사용하여 측정) 24kg이 2.5kg으로 유연화하였다. 계속해서 폴리에틸렌 백에서 그 약용인삼을 꺼내 확장되어 있는 기근, 모근을 몸통에 따라 집합 정리한 다음, 내압밀폐용기 내에 수용하고 질소가스를 주입하여 용기내의 압력을 30kg/cm2로 조절한 후 연화처리된 인삼을 가진 밀폐용기마다 -15℃의 냉장고에 옮겨 12시간 동안 동결하였다.
그 다음 이 용기내의 질소가스를 탈기하여 상압으로 하고, 용기중에서 동결한 약용인삼을 꺼내, 동결건조장치를 사용, 진공도 0.05Torr, 코울드트랩(cold trap) -50℃, 건조개시 트레이(tray) 온도 -25℃, 16시간 처리한 후 트레이온도를 50℃로 고정시키는 조건에서 50시간 동결 건조하여, 몸통직경 33.5mm의 약용 건조인삼을 32.1g 얻었다.
이 건조인삼은 몸통위 위축도 거의 없고, 생약용 인삼 본래의 형상과 색조를 유지하였다.
이것을 백주(白酒, White liquer)에서 침지하면 복원(復元)된 약용인삼은 장상성이 우수하게 되었고 백주는 1주간에 복용할 수 있는 정도의 약용성분을 포함하였다.
[비교예 1]
청정한 생약용 인삼(121.2g 몸통직영 35.0mm)을 즉시 내압 밀폐용기에 넣고 가열에 의한 유연화 처리를 하지 않고 질소가스를 주입하여 용기내 압력을 30kg/cm2로 한 다음, 즉시 -15℃에서 12시간 동결하고, 그 다음 용기내의 질소가스를 배기하여 상압으로 되돌아가게 한 후 동결한 약용인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50시간 동결 건조하여 34.2g의 약용 건조인삼을 얻었다.
이 약용 건조인삼은 몸통의 직경이 33.0mm이었으며, 몸통 위축은 거의 없으나 몸통 및 비교적 두터운 기근에 심한 균열이 발생하여 감상용으로서는 가치가 낮은 것으로 되었다.
[실시예 2]
청정한 생약용 인삼(83.7g, 몸통직경 32.0mm)을 폴리에틸렌백에 수용하고 히트실링하여 실시예 1의 마이크로파오븐에서 35초 조사하고 30초 방치하며 40초 조사하고 90초 방치하여 30초 조사를 한 다음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이 처리에 의해 약용인삼은 마이크로파로 최고 100℃까지 가열시켜 품온은 위 처리중 60-100℃로 유지시켰다. 또, 이 처리로 약용인삼의 경도는 경도계로 직경 5mm의 가압봉을 사용하여 측정하여 생약용 인삼 23.5kg이 4.5kg으로 유연화하였다.
계속해서 폴리에틸렌백에서 그 약용인삼을 꺼내 확장되어 있는 기근, 모근을 몸통에 따라 모아 정리시켜 내압 밀폐용기내에 수용하고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공기내 압력을 20kg/cm2로 조절하고 용기마다 -15℃와 냉장고로 옮겨 12시간 동결한 다음 그 용기내의 공기를 배기하고 상압으로 하여 용기에서 동결한 약용인삼을 취출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24.2g, 몸통직경 30mm의 약용 건조인삼을 얻었다. 얻어진 약용인삼은 동부의 위축도 거의 없으며 생약용 인삼 본래의 형상과 색조를 유지하였고 또 백주(白酒)에 침지할 때 복원(復元)된 약용인삼은 감상성이 우수한 제품으로 되었고, 또 침지액은 1주간에 복용할 수 있는 정도의 약용성분을 함유한 것으로 되었다.
[비교예 2]
청정한 생약용 인삼(120.6g, 몸통직경 30.2mm)을 사용하여 뿌리(crotches)에서 직경 1.5mm의 가는 침을 몸통내부로 침입시켜 11개의 가능구멍을 착설하고 즉시 -15℃의 냉장고에서 12시간 동결한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50시간 동결 건조항 38.4g, 몸통직경 25.0mm의 약용 건조인삼을 얻었다.
이 방법에서 얻어진 약용 건조인삼은 몸통의 위축이 현저하였으며, 몸통직경은 17% 감소하였고, 심한 주름이 몸통 주위에 따라 형성되었고, 이 주름은 백주(白酒)에 침지하여도 원상 복귀되지 않았으며 생약용 인삼의 형상에 비하여 현저하게 빈약하였고 감상용으로서는 가치가 낮게 되었다.
[실시예 3]
청정한 생약용 인삼(87.5g, 몸통직경 32.5mm)을 알루미늄제 밀폐용기에 넣고 비등(boiling) 수중에 그 용기를 침전시켜 10분간 가열한 다음 실온에서 2분간 방치하는 조작을 3회 반복하였다.
이 처리에 의해 약용인삼은 최고 89℃까지 가열시켰고, 또 위 처리로 약용인삼의 경도는 경도계로 직경 5mm의 가압봉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생약용 인삼 23.5kg이 4.0kg으로 유연화되었다.
계속해서 알루미늄제 밀폐용기에서 그 약용인삼을 꺼내, 확장되어 있는 기근, 모근을 몸통에 따라 집합 정리하고 이것을 내압 밀폐용기내에 넣고 질소가스를 주입하여 용기내 압력을 30kg/cm2로 조절한 다음, 이 용기마다 -15℃의 냉장고에 옮겨 12시간 동결한 후 그 용기내의 공기를 배기하고 상압으로 하여 용기 중에서 동결한 약용인삼을 꺼내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50시간 동결 건조하여 25.0g, 몸통직경 30.5mm의 약용 건조인삼을 얻었다.
이 약용인삼은 몸통위 위축도 거의 없었으며 생약용 인삼이 원래 갖고 있는 형상과 색조를 유지하였으며 또 백주에 침지할 때 원상태로 되돌아간 약용인삼은 감상성이 우수한 제품으로 되었고 또 침지액은 1주간에 복용할 수 있는 정도의 약용성분을 함유하게 되었다.

Claims (1)

  1. 생약용 인삼(crude ginseng)을 밀폐될 수 있는 백(bag) 또는 용기내에 넣어 밀폐하고; 그 백 또는 용기내에 있는 그 인삼을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직경 5mm의 스테인레스제 원통형 가압봉을 구성한 경도계로 하중이 12kg 이하에서 측정할 때 12kg 이하의 경도로 그 인삼의 조직이 연화될 때까지 열수, 열풍, 스팀, 또는 마이크로파조사로 가열시켜; 연화된 인삼을 그 백 또는 용기에서 꺼내 그 유연한 인삼을 내압용기내에서 가압 불활성가스로 동결하고 그 동결한 인삼을 감압하에서 동결 건조시키는 시퀀스공정(sequential steps)으로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한 약용 건조인삼의 제조방법.
KR1019810001253A 1981-04-13 1981-04-13 약용(藥用) 건조인삼의 제조방법 KR860001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1253A KR860001812B1 (ko) 1981-04-13 1981-04-13 약용(藥用) 건조인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1253A KR860001812B1 (ko) 1981-04-13 1981-04-13 약용(藥用) 건조인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800A KR830004800A (ko) 1983-07-20
KR860001812B1 true KR860001812B1 (ko) 1986-10-24

Family

ID=1922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253A KR860001812B1 (ko) 1981-04-13 1981-04-13 약용(藥用) 건조인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8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192B1 (ko) * 2011-10-07 2014-02-11 김형식 수삼의 가공방법
CN108815392A (zh) * 2018-09-20 2018-11-16 安治明 一种金钗石斛的加工方法
KR20190136189A (ko) * 2018-05-30 2019-12-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우리두 식물성 정유의 회수방법, 동 방법에 의한 정유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192B1 (ko) * 2011-10-07 2014-02-11 김형식 수삼의 가공방법
KR20190136189A (ko) * 2018-05-30 2019-12-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우리두 식물성 정유의 회수방법, 동 방법에 의한 정유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CN108815392A (zh) * 2018-09-20 2018-11-16 安治明 一种金钗石斛的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800A (ko) 198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5406B2 (ko)
US2278472A (en) Dehydrated prefrozen food product
US3219461A (en) Process for partially dehydrating, impregnating and freezing food products
KR900003018B1 (ko) 식품의 발포처리 방법
JPS58501405A (ja) マッシュル−ムおよびその他の野菜類のブランチング改良法
KR860001812B1 (ko) 약용(藥用) 건조인삼의 제조방법
JPH0697937B2 (ja) 糖果の製造方法および乾燥糖果の製造方法
KR900005943B1 (ko) 과일칩의 제조방법
US5740817A (en) Processing of smoking material
CN107602641B (zh) 一种基于冷冻干燥从娑罗子中超高压提取七叶皂苷的方法
JP2518674B2 (ja) 糖液含浸果実の製造方法
US2340170A (en) Vacuum drying food products
US3219463A (en) Process of dehydrofreezing foods
KR100845021B1 (ko) 진공동결건조 오징어 조각의 제조방법
US3218725A (en) Alternate vacuum freeze and heat dehydration of food products
JP2516036B2 (ja) 乾燥人参チップの製造法
JPH07289160A (ja) 果菜類への糖液含浸法
US534368A (en) Process of preserving fruit
US3219462A (en) Process for vacuum dehydrofreezing of foodstuffs
KR102001844B1 (ko) 황기 맛간장 제조방법
TW201345439A (zh) 乾燥蔬菜塊及其製造方法
JPS5823745A (ja) 梅シラツプ漬の製造法
JPH09507762A (ja) 急速再水和性豆
US2124895A (en) Method of preparing pineapple
US2146155A (en) Fruit product and proces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