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639B1 - 현미장치 - Google Patents

현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639B1
KR860001639B1 KR1019830006338A KR830006338A KR860001639B1 KR 860001639 B1 KR860001639 B1 KR 860001639B1 KR 1019830006338 A KR1019830006338 A KR 1019830006338A KR 830006338 A KR830006338 A KR 830006338A KR 860001639 B1 KR860001639 B1 KR 860001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lower
brown rice
sorting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6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265A (ko
Inventor
소오이찌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소오이찌 야마모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오이찌 야마모또 filed Critical 소오이찌 야마모또
Publication of KR850000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5/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6Feeding or discharg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 B07B13/11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involving travel of particles over surfaces which separate by centrifugal force or by relative friction between particles and such surfaces, e.g. helical sorters
    • B07B13/113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involving travel of particles over surfaces which separate by centrifugal force or by relative friction between particles and such surfaces, e.g. helical sorters shak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84Means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the post or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현미장치
제1도는 종래의 현미기에 대한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기의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기의 측면도.
제4a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기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종단면도.
제4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기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종단면도.
제5a도는 현미부와 송풍선별부와 공급탱크와 확산통에 대한 측면도.
제5b도는 제5a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 2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제6도는 제5a도에 대한 종단면도.
제7도는 현미부에 대한 사시도.
제8도는 현미부에 대한 일부절개 사시도.
제9도는 현미 로울러를 제거한 상태의 현미부에 대한 사시도.
제10a도는 선별불능미의 복귀 기구에 대한 정면도.
제10b도는 제 2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제11도는 선별판 조절부에 대한 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에 대한 좌측면도.
제13도는 선별판에 대한 사시도.
제14도는 선별판에 대한 평면도.
제15도는 선별판의 작동상태도.
제16도는 분배장치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강기 2 : 현미부
3 : 송풍선별부 4 : 요동식 선별장치
5 : 취출용 승강기 6, 7 : 프레임
8 : 공급탱크 9 : 접속관
10 : 조절밸브 11 : 조절판
14 : 공급로울로 16, 17 : 고무로울러
24 : 확산통 27 : 반사판
30 : 횡단류 송풍기 33 : 송풍선별실
35 : 송풍기 70 : 선별판
본 발명은 현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종래 현미기보다 구조가 간단한 현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의 목적은 종래 현미기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값이 저렴한 현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의 목적은 송풍선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현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의 목적은 설치 높이가 낮은 현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의 목적은 표면이 손상되지 않은 양질의 쌀을 현미할 수 있는 현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현미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곡물 가마를 들어올려 나락(a)을 장입하도록 되어 있는 공급깔대기(A)로 구성된다. 공급깔대기(A)의 하부에는 현미부(B)가 배설되고, 현미부의 내부에는 한쌍의 평행 고무로울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현미부(B)의 아래에는 송풍선별부(D)가 연결되는데, 그 송풍선별부에서는 무게가 가벼운 왕겨(c)가 바람에 의해어 제거되고, 현미된 쌀(b)과 현미되지 않은 나락(a)만이 송풍선별부의 일측에 설치된 혼합미 승강기(E)의 하부로 들어간다. 혼합미 승강기(E)의 상단에는 조절식 탱크(F)가 스프링에 의해서 현가된다. 조절식 탱크(F)는 그속에 장입된 혼합미의 양에 따라 수직이동을 한다. 즉, 혼합미의 양이 증가하면 하강하게 되고 혼합미의 양이 감소하면 상승하게 된다. 공급깔대기(A)의 배출구에 설치된 밸브는 탱크(F)의 수직운동에 따라 와이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탱크(F) 속의 혼합미는 요동식 선별장치로 유입되어 껍질이 벗겨진 쌀(b)과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나락(a)으로 분리된다.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나락(a)은 드로우어(H)를 통하여 공급깔대기(A)로 되돌아가고, 껍질이 벗겨진 쌀(b)은 취출용 승강기( I )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선별이 곤란한 혼합미의 일부는 승강기(E)의 하부로 들어가서 재순환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현미기는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갖고 있다.
(a) 공급깔대기(A)가 높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나락(a) 가마를 높이 들어올려야만 나락(a)을 공급깔대기 내부로 장입할 수 있다.
(b) 조절식 탱크(F)를 스프링으로 현가시키기 때문에 현미기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그 높이도 증가한다.
(c)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나락을 귀환시키는 드로우어(H)가 필요하다.
(d) 전체적인 현미기의 규모가 대형화된다.
(e) 요동식 선별장치(G)의 다단 선별판에 대한 작동종료 직전의 혼합미 분배 대책이 불충분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미기를 설명하겠다.
먼저 제2도를 보면, 나락(a)을 공급하는 승강기(1)와 현미부(2)와, 송풍선별부(3)와, 요동식 선별장치와 취출용 승강기(5)로 구성된 본 발명의 현미기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1도에 도시한 종래의 현미기와는 달리 스프링에 의해 현가되는 탱크(F)와 나락을 귀환시키는 드로우어(H)를 설치하지 않았다.
제3도 및 그 이하의 도면은 다단 요동식 선별부가 고정되는 프레임(6)으로 구성된 요동식 선별장치(4)를 도시한 도면이다. 송풍선별부(3)는 요동식 선별장치(4)의 프레임(6)상에 배열된 제 2 의 프레임(7)으로 구성된다. 앵글강을 조립해서 만든 각 프레임(6, 7)은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크기는 거의 유사하다. 프레임(7)의 상단에는 현미부(2)가 설치되며, 현미부 상단에는 공급탱크(8)가 배열된다. 공급탱크(8)는 하부 접속통(9)으로 구성되며, 그 하부 접속통(9)의 내부에는 조절밸브(10)가 설치된다. 조절밸브(10) 아래의 축(12)상에는 조절판(11)이 장착되는데, 그 조절판은 조절나사(13)를 돌림에 따라 상기 축(12)상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조절판(11)의 끝부분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공급로울러(14)가 설치되며, 그 공급로울러(14)는 나락(a)을 하부에 설치된 경사판(15) 위로 배출하는 구실을 한다. 경사판(15)에 부딪친 나락(a)은 한쌍의 고무로울러(16, 17) 사이를 통과하면서 껍질이 벗겨지게 된다.
상하로 경사지게 배열된 한쌍의 고무로울러(16, 17) 아래에는 물받이형 확산체(19)가 설치된다. 고무로울러 사이를 통과한 나락은 확산체(19)와 강하게 충돌하면서 고무로울러의 축방향으로 분산된다. 현미부(2)의 폭(20)은 고무로울러(16, 17)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이긴 하지만, 송풍선별 케이싱(111)의 폭(21)보다는 대단히 좁다.
따라서 확산통(24, 25)은 확산체(17)가 확산통 뿐만 아니라 현미부의 메인 프레임에도 연장될 수 있도록 현미부(2) 프레임의 양측 벽(22, 23)에 형성된 노치부와 연결된다. 그리하여 고무로울러(16, 17)를 통과한 후 확산체(19)에 충돌하게 되는 나락은 송풍 선별부(3)의 프레임(7) 폭(21)에 상당하는 넓이로 균일하게 확산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확산체(19)의 전방 입상연(26)을 넘어 확산된 혼합미는 확산체(19)의 전방에 설치된 반사판(27)에 부딪쳐 확산통(24, 25)의 전체 공간으로 다시 분산된다.
송풍 선별부(3)의 프레임(7)에 부착된 송풍선별 케이싱(111)은 반사판(7)으로 부터 떨어지는 혼합미를 안내하는 경사안내판(28, 29)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경사안내판(28, 29)의 하부에 위치한 축(31)에는 횡류 송풍기(30)가 장착된다. 송풍 선별케이싱(111)에는 횡류송풍기(30)로 부터 불어오는 바람이 빠져나가는 공기 배출구(32)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안내판(28, 29)은 혼합미가 순조롭게 흘러갈 수 있도록 약간 경사져 있다. 경사안내판(28, 29)의 경사도를 작게 하는 이유는 현미기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키고,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나락을 현미기의 폭방향으로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송풍선별 케이싱(111)이 미세하게 진동함에 따라 경사안내판(28, 29) 위의 혼합미는 하부 송풍선별실(33)로 미끄러져 내려간다. 송풍선별실(33) 내에서는 경사안내판(28, 29)에서 낙하되는 혼합미를 향해 공기가 송풍된다. 송풍선별실(33)의 상부에는 나락의 껍질을 배출시키는 껍질배출 도관(34)이 설치되며, 그 껍질배출 도관에는 블로어(35)가 연결된다. 따라서 껍질(c)은 배출도관(34)과 블로어(35)를 거쳐 현미기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제4a도 및 제4b도는 송풍선별실(33)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4a도에 있어서는 깔대기(36)가 바닥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깔대기는 폭(21) 방향(제10a도 참조)으로 연장된 개구로 구성된다. 개구는 두 개의 대향 부재로 되어 있는데, 그중 하나는 축(37)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개폐밸브(38)로 구성된다. 개폐밸브(38)는 축(37)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혼합미가 균일하게 낙하되도록 조절한다. 또한 축(37)상에는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아암(39)이 수평방향으로 조립된다. 그리고 아암(39)에는 스프링(40)과 연결된 조절나사(41)가 조립되고, 그 조절나사(41)에는 조절너트(42)가 끼워진다.
제4b도의 현미기는 분배장치(87)와 연통되는 깔대기(36)와, 최상단의 선별판(70)과 연통되는 통로(114)와, 상기 깔대기(36)와 통로(114)를 절환하는 절환밸브(113)로 구성된다.
제5a도 및 제5b도는 송풍선별 케이싱(111)을 미세하게 진동시키는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5a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축(31)상에 편심캠(43)이 장착되고, 편심캠(43)의 외주면과 송풍선별 케이싱(111)의 측벽 사이에는 커넥팅로드(44)가 고정된다. 그리고 송풍선별 케이싱(111)은 경사봉(45, 46)에 의해서 프레임(7)에 현가되어 미세한 진동을 하게 된다. 즉, 축(31)이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송풍선별 케이싱(111)이 미세하게 진동한다.
반면, 제5b도의 실시예에서는 커넥팅로드(44)와 경사봉(46)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편심캠(43)의 외부링(112)을 송풍선별 케이싱(111)의 측벽에 고정했다. 따라서 진동기구가 대단히 간단하게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프레임(6)에 장착된 요동식 선별장치(4)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요동식 선별장치(4)는 하부 프레임(47)으로 구성되며, 하부 프레임(47)의 상단에는 기초부재(48)가 아암(49, 50)에 의해서 연결된다. 구동축(51)에는 편심캠(52)이 장착되는데, 그 편심캠(52)은 아암(49)의 상단부근에서 기초부재(48)에 피봇된 로드(53)로 구성된다.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49)과 로드(53) 사이의 각도(θ)은 예각으로 되어 있다. 편심캠(52)이 회전하면 기초부재(48)가 급속히 후퇴하게 되는데, 후퇴속도와 전진속도와의 비율은 1 : 1.01-1.2가 적합하다.
아암(50)의 하단은 수직 이동축(54)에 조립되고, 그 반대단은 하부 프레임(47)에 형성된 수직 안내홈(55)에 수용되어 수직운동을 한다. 상기 수직이동축(54)과 평행한 방향으로는 단지 회전운동만 할 수 있도록 된 회전축(56)이 설치된다. 회전축(56)의 양단에는 수나사(57, 58)가 가공되며, 각각의 나사부(57, 58)에는 암나사(59, 60)가 조립된다.
수직 이동축(54)상에는 보스(61, 62)가 암나사체(59, 60)의 외측으로 미끄럼 조립된다. 그리고 각 암나사체(59, 61)와 보스(61, 62)는 두 개의 로드(63, 64)에 의해서 연결된다. 회전축(56)은 손으로 핸들(65)을 돌리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47)에는 역전가능 모터(66)가 장착되고, 수직이동축에는 스프라킷(67)이 가공된다. 상기 스프라킷(67)은 회전축(56)에 가공된 스프라킷(68)과 무한궤도체인(69)으로 연결된다. 또한 회전축(56)은 다단 분리판에 형성된 감지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56)이 회전함에 따라 두 개의 로드(63, 64)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수직한 상태로 된다. 이와같이 로드(63, 64)가 수직한 상태로 되면 수직이동축(54)이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기초부재(48)의 우측단이 내려간다. 그러나 회전축(56)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기초부재(48)의 우측단은 다시 상승하게 된다.
상기 기초부재(48)상에는 다단 선별판(70)이 설치되는데, 제14도에 그 선별판을 도시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판의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선별판의 2/3에 해당되는 전방부에는 좌측으로 경사진 돌기를 형성시켰고 나머지 1/3에 해당되는 후방부에는 우측으로 경사진 돌기를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후방부의 측면(71)에는 수직벽(75)을 설치하고, 상기 전방부의 측면(71)에는 껍질이 벗겨진 쌀을 배출하는 배출구(76)를 형성시켰다. 배출구의 구멍은 조절판(78)으로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조절판은 수동나사(77)를 사용하여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방부의 타측(73)에도 수직벽(79)을 설치했으며, 또한 후방부의 타측(73)에도 껍질이 벗겨진 쌀 배출구(80)을 형성시켰다.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80)의 구멍 역시 수동나사(81)에 의해서 전진 및 후퇴운동을 하는 조절판(82)으로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71)에는 껍질이 벗겨진 쌀을 받는 홈통(83)이 부착되고 그 타측(73)에는 껍질이 벗겨지지않은 나락을 받는 홈통(84)이 부착된다. 선별판(70)의 전방부 및 후방부는 분리시킬 수도 있고 통합시킬 수도 있지만, 통합시킬 경우에는 단일-스테인레스 강판에 좌측 경사돌기(72)와 우측 경사돌기(74)를 모두 형성시켜야 한다.
제13도는 좌측 경사돌기와 우측 경사돌기를 동시에 프레스 성형해서 만든 선별판(70)을 도시한 도면이다.
껍질이 벗겨진 쌀은 나락보다 무겁기 때문에 좌측 경사돌기가 형성된 전방부(85)의 면적을 우측 경사돌기가 형성된 후방부의 면적보다 넓게 해야 한다.
다단 선별판(70)은 제4a도에 도시한 것처럼 여러층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다단 선별판(70)의 상부에 위치한 분배장치(87)에는 각 선별판(70)을 안내하는 세분통로가 형성된다.
분배장치(87)의 일단(88)은 다단(89)보다 약간 높게 되어 있으며, 그 폭은 송풍선별부(3)의 폭과 거의 같다. 그리고 분배장치의 양단(88, 89)의 폭은 균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분배장치의 일단(89)에는 선별판(70)과 같은 수의 구획벽(91)을 설치하여 각 선별판(70)을 안내하는 세분 통로(92)를 형성시켰다.
제4b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개구를 갖는 수용홈통(116)이 통로(114)의 하단에 설치된다. 수용홈통(116)의 하부 개구단은 깔대기(115)의 상부 개구와 접하게 되고, 그 깔대기는 최상단 선별판(70)과 연통된다. 그리하여 절환밸브(113)를 점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절환하게 되면 혼합미가 통로(114)와 수용홈통(116) 및 깔대기(115)를 통하여 최상단 설별판(70)으로 유입된다.
취출용 승강기(5)의 하단에는 쌀 유입구(93)가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배출도관(94)이 형성된다. 배출도관(94)의 출구단에는 절환밸브(113)가 설치되어 복귀도관(96)과 취출도관(97)을 절환하게 된다.
복귀도관(96) 하부접속통(99)을 갖는 저장탱크(98)와 연통되고, 하부접속통에는 도관(100)이 연결된다. 도관(100)의 하단에는 개폐밸브(101)가 설치되며, 그 개폐밸브(101)의 하부에는 조절나사(103)를 갖는 조절밸브(102)가 조립된다.
도관(100)의 하단(104)은 최상단 선별판(70)과 연통된 홈통의 상부개구(105)와 대향 설치된다.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나락을 복귀시키는데 사용되는 승강기(1)는 그 하단에 형성된 복귀 유입구(106)와, 상단으로 부터 공급탱크(8)로 연통된 배출홈통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송풍선별부(3)는 쭉정이 배출구(109)와 조절부재(110)로 이루어진다.
작동에 있어서는,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나락(a)이 승강기(1)에 부착된 축면 깔대기(108)로 들어가서 승강기에 의해 위로 올라간 다음 배출홈통(107)을 따라 공급탱크(8)로 들어간다. 이때 절환밸브(113)는 제4b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있게 되고, 개폐밸브(101)는 완전히 열리게 되며, 제 2 의 절환밸브(95)는 제10a도의 실선위치로 조정된다. 공급탱크(8)의 하부접속통(9)에 설치된 조절밸브(10)를 손으로 열면 공급된 나락이 공급로울러(14)의 회전에 따라 완만한 속도록 경사판(15)에 낙하된다. 아어서 상기 나락(a)은 경사판(15)으로 부터 한쌍의 고무로울러(16, 17) 사이로 미끄러져 들어간 다음 껍질이 벗겨지면서 로울러의 배출단(18)에서 배출된다. 고무로울러 사이를 통과한 혼합미는 확산체(19)에 부딪쳐서 전부수직연(26) 너머의 반사판(27)으로 분산된다.
반사판(27)을 맞고 경사안내판(28, 29) 위로 낙하된 혼합미는 송풍선별실(33)로 들어간다. 그런데 현미부(2)는 고무로울러(16, 17)만을 수용하면 알맞을 정도로 규모가 작기 때문에 고무로울러를 통과한 혼합미는 반사판(27)을 맞고 고무로울러의 축방향으로 튀어서 현미부 프레임 측벽에 부착된 확산통(24, 25) 내의 공간으로 분산되게 된다. 따라서 혼합미는 송풍선별실(3)로 들어가기 전에 이미 송풍선별실의 폭(31)과 같은 넓이로 균일하게 분포된다. 경사안내판(28, 29)은 혼합미가 자체의 중량만으로는 흘러내려가지 못하도록 완만한 경사로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 경사안내판은 송풍선별 케이싱(111)내에 설치되고, 또 그 송풍선별 케이싱(111)은 축(31)의 회전에 따른 편심캠(43)과 커넥팅로드(44)와 외부링(112)의 운동에 따라 급속한 진동을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안내판의 경사도가 작을지라도 혼합미가 흘러내려 가는 데에는 지장이 없다.
경사안내판(28, 29)상을 흘러내려가는 혼합미는 그 안내판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송풍선별실(33)로 들어간다. 송풍선별실로 유입된 혼합미는 횡류 송풍기(30)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서 껍질(c)이 선별되고, 그 껍질은 배출도관(3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껍질이 벗겨진 쌀(b)과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나락(a)으로 구성된 혼합미는 송풍선별실(33)에서 낙하되어 깔대기(36)에 쌓인다. 이때 쭉정이는 선별되어 쭉정이 배출구(10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일정량의 혼합미가 깔대기(36)에 쌓이게 되면 스프링(30)의 힘이 상쇄되면서 아암(39)이 하방으로 내려오고, 그에 따라 개폐밸브(38)가 축(37)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게 된다. 그리하여 혼합미는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분배장치(87)로 공급된다. 분배장치(87)는 구동축(51)에 부착된 편심캠(52)의 회전에 따라 로드(53)에 의해 전후로 급속한 요동을 하게 되고, 분배장치의 일단(88)으로 부터 타단(89)으로 흘러가는 혼합미는 횡방향 둑(90)을 뛰어넘으면서 더욱 균일하게 분산되면서 구획벽(91)에 의해 구분된 세분통로(92)로 흘러가게 된다.
선별판(70)은 구동축(51)의 회전으로 인하여 편심캠(52)상의 로드(53)가 요동함에 따라 제12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전후 왕복요동을 한다. 기초부재(48)를 지지하는 아암(49)과 로드(53)가 이루는 각(θ)은 예각이기 때문에 선별판(70)은 급속한 귀환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선별판(70)이 전진할 때에는 저속으로 움직이고 후퇴할 때에는 고속으로 귀환하는 것이다.
선별판(70)이 전술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전후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세분통로(92)를 통하여 선별판(70)에 공급된 혼합미는 제15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선별된다. 먼저 껍질이 벗겨진 쌀(b)은 배출구(76)를 통하여 배출홈통(93)을 따라 취출용 승강기의 유입구로 들어간 다음, 취출용 승강기(5)에 의해서 상부로 올라간다. 이어서 절환밸브(95)를 점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절환하게 되면 승강기 상부로 올라간 쌀이 배출도관(9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나락(a)은 우측 경사돌기(74)에 의해서 배출구(80)로 안내되어 배출홈통(84)을 따라 귀환 유입구(106)로 들어간 다음, 승강기(1)에 의해서 나락(a)공급 깔대기로 귀환된다.
현미기의 작동이 끝날때가 되면 공급깔대기(36)에 쌓이는 혼합미의 양을 감소시켜서 혼합미가 일부의 선별판(70)에만 분배되도록 해야 한다. 이때 절환밸브(13)는 제4b도에 표시한 점섬 위치로 절환시켜서 혼합미가 통로(114)와, 수용홈통(116)과, 깔대기(115)를 통하여 최상단 선별판(70)에만 공급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발명의 취지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수정 및 변경을 할 수 있다.

Claims (13)

  1. 현미부의 하부에 현미부에서 현미된 곡물을 송풍선별하는 송풍선별부를 설치하고, 송풍선별부의 하부에 송풍선별부에서 송풍선별하여 얻어진 혼합미를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낟알과 껍질이 벗겨진 쌀로 분리선별하는 선별부를 설치하고, 상기 각부의 측방에는 현미부에 알곡을 공급하는 알곡용 승강기와 선별부에서 선별되어 배출된 쌀을 상승시키는 쌀 취출용 승강기를 설치하고, 선별부에서 선별되어 배출되는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낟알은 알곡용 승강기로 되돌려 보내도록 연결하고, 상기 쌀 취출용 승강기를 다음 공정과 상기 선별부로 각각 연결하는 배출홈통을 설치하고, 상기 배출홈통을 절환하는 절환밸브를 설치한 것은 특징으로 하는 현미장치.
  2. 한 쌍의 고무로울러를 내설하고, 확산공간을 구획하는 확산통을 설치하고, 상기 고무로울러의 축방향에는 확산체를 상기 확산공간 내부로 연장되도록 설치하여서, 상기 고무로울러를 거쳐 나오는 알곡이 송풍선별부로 낙하되기 전에 확산체에 부딪쳐 고무로울러의 축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한 현미부를 특징으로 하는 현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고무로울러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고무로울러를 통해 배출되는 알곡이 경사진 방향에서 확산체에 부딪치도록 하고, 상기 확산체에는 전부 수직연을 부착시켜서 상기 고무로울러를 통해 배출되는 알곡이 전부수직연을 넘어 고무로울러의 축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고무로울러를 그 축이 경사면상에 놓여지게 배열하여서 고무로울러를 통해 배출되는 알곡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현미부에는 상기 알곡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장치.
  5. 현미부의 하부에는 현미부에서 현미된 곡물을 송풍선별하는 송풍선별부를 설치하고, 송풍선별부 케이싱에는 경사안내판을 합체시켜 그것과 함께 미소진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선별부가 쭉정이 배출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장치.
  7. 현미부의 하부에는 송풍선별부의 프레임을 고정하고, 그 프레임에는 송풍기와 송풍선별기 케이싱을 설치하여 현미부에서 공급되는 알곡이 송풍선별되면서 경사안내판을 따라 낙하하도록 되어 있으며, 선별된 껍질은 상기 송풍기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장치.
  8. 현미기의 하부에는 송풍선별실을 구획하는 송풍선별기 케이싱을 설치하고, 그 송풍선별기 케이싱 내부에는 알곡이 흘러내려가게 되는 경사안내판을 내설하되, 그 경사안내판은 진동이 없이 자체의 중량만으로는 알곡이 흘러내려가지 않을 정도로 약간 경사지게 설치하며, 상기 송풍선별기 케이싱에는 미소진동 발생수단을 연결하여 알곡이 경사안내판의 폭방향으로 확산되면서 그 위를 흘러 내려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소진동 발생수단의 축에는 편심캠을 장착하고, 그 편심캠과 상기 송풍선별부 케이싱의 일측벽에는 외부링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선별부 케이싱에 설치된 송풍기의 축에 편심캠을 고정하고, 상기 송풍선별부 케이싱의 일측벽에는 외부링을 고정하여 만든 미소진동 발생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장치.
  11. 직사각형 금속판으로 만든 요동식 선별장치의 선별판을 설치하고, 그 선별판의 양측면에는 껍질이 벗겨진 쌀의 배출구와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알곡의 배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선별판의 상면에는 껍질이 벗겨진 쌀을 상기 쌀 배출구로 안내하는 다수의 쌀 안내돌기와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알곡을 상기 알곡 배출구로 안내하는 다수의 알곡안내돌기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장치.
  12. 직사각형 금속판으로 만든 선별판을 설치하고, 전방과 후방 그리고 양측면으로 구성된 상기 선별판의 양측면에는 수직벽을 부착하고, 상기 양측면 수직벽의 하나에는 노치를 형성시켜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알곡의 배출구 구실을 하도록 함과 동시에 다른 하나의 수직벽에도 노치를 형성시켜 껍질이 벗겨진 쌀의 배출구 구실을 하도록 하며, 상기 양측면 수직벽을 제외한 선별판의 상면에는 껍질이 벗겨진 쌀을 상기 쌀 배출구로 안내하는 다수의 쌀 안내돌기와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알곡을 상기 알곡 배출구로 안내하는 다수의 알곡 안내돌기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장치.
  13. 현미부에 송풍선별부를 연결하고, 그 송풍선별부에는 다수의 선별판으로 구성된 다단식 선별부를 분배수단과 함께 연결하고, 상기 각각의 선별판에는 상기 송풍선별부에서 상기 분배수단까지 형성된 통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선별판의 최상단에는 다른 하나의 통로를 분배수단을 거치지 않고 연통시키고, 상기 두 통로의 유입구에는 그 통로를 절환하는 절환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장치.
KR1019830006338A 1983-06-17 1983-12-30 현미장치 KR860001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08889 1983-06-17
JP58108889A JPS60835A (ja) 1983-06-17 1983-06-17 籾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265A KR850000265A (ko) 1985-02-26
KR860001639B1 true KR860001639B1 (ko) 1986-10-15

Family

ID=1449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6338A KR860001639B1 (ko) 1983-06-17 1983-12-30 현미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4577552A (ko)
JP (1) JPS60835A (ko)
KR (1) KR860001639B1 (ko)
GB (4) GB21413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8407A (en) * 1989-11-07 1991-09-17 Salete Garces Felipe Grain husking and polishing machine
DE4041994B4 (de) * 1990-12-27 2006-01-05 Cimbria Ske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älung von frischer Rapssaat
DK0602557T3 (da) * 1992-12-18 1997-07-28 Hler Ag B Fødeapparat.
US5467700A (en) * 1993-02-10 1995-11-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Density separation sheller for peanut grade samples
US5452651A (en) * 1995-01-18 1995-09-26 Boss Bean Sprout Group Of Company Ltd. Automatic mungbean sprout hulling and root cutting apparatus
US7742966B2 (en) * 1998-10-24 2010-06-22 Marketcore.Com, Inc. Efficient market for financial products
JP2009034570A (ja) * 2007-07-31 2009-02-19 Otake Seisakusho:Kk 籾摺り選別装置
USD735257S1 (en) * 2011-05-03 2015-07-28 Bühler AG Grain separator
CN104959182B (zh) * 2015-07-31 2018-08-03 靳职雄 一种碾米机
CN106378309B (zh) * 2016-12-11 2018-05-25 泉州永春草根生农业有限公司 一种金刚菩提子自动分选装置
US10994308B2 (en) * 2016-12-21 2021-05-04 Matthew Rubin Systems and methods for winnowing food products
KR102601093B1 (ko) * 2021-08-09 2023-11-20 주식회사 고그린라이프 수유용 젖꼭지
CN115350741A (zh) * 2022-09-25 2022-11-18 衡阳市金雁粮食购销有限公司 一种大米加工用去壳设备
CN115382604B (zh) * 2022-10-27 2023-07-11 海南禾香年粮油实业有限公司 碾米机的筛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156A (en) * 1907-04-18 1908-03-17 Alexander P Macdonald Machine for separating hulled from unhulled grain.
US948222A (en) * 1909-04-14 1910-02-01 Clarence W Honabach Shaking-screen.
GB515325A (en) * 1938-06-16 1939-12-01 Robert Henry Brow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achines for shelling rice and other hard kernelled grains, seeds and beans
US2574010A (en) * 1949-03-23 1951-11-06 Tobias N Bjorndahl Shaker table for combines or threshers
GB999603A (en) * 1964-05-22 1965-07-28 Masch Und Muhlenbau Wittenber Table for table sorting machines
SU446323A1 (ru) * 1973-03-16 1974-10-15 Всесоюзны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Механизации Сельского Хозяйства Отражательный стол
US3807554A (en) * 1973-03-16 1974-04-30 T Satake Device for sorting grain
GB1446528A (en) * 1974-11-28 1976-08-18 Satake T Grain hulling and sorting apparatus
US3952645A (en) * 1974-12-02 1976-04-27 Toshihiko Satake Grain hulling and sorting apparatus
JPS54141256A (en) * 1978-04-15 1979-11-02 Iony Kk Husking device
JPS5520620A (en) * 1978-07-28 1980-02-14 Satake Eng Co Ltd Automatic controller of oscillation cereals sorter
MX150311A (es) * 1979-07-10 1984-04-13 Salete Garces Felipe Mejoras en molino de arroz con transporte neumatico de grano
PH17321A (en) * 1980-03-27 1984-07-20 Seirei Ind Rice hulling and sorting device
US4441412A (en) * 1982-01-25 1984-04-10 Yanma Agricultural Equipment Company Limited Driving device of sorting cylinder for use in a rotary type rice hulling and sor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265A (ko) 1985-02-26
US4614271A (en) 1986-09-30
GB8413588D0 (en) 1984-07-04
GB2141322A (en) 1984-12-19
US4577552A (en) 1986-03-25
GB2141321A (en) 1984-12-19
JPS60835A (ja) 1985-01-05
GB2141323A (en) 1984-12-19
GB8327097D0 (en) 1983-11-09
GB2141322B (en) 1987-09-23
GB2141320A (en) 1984-12-19
GB8413587D0 (en) 1984-07-04
GB2141320B (en) 1987-09-23
GB2141321B (en) 1987-09-23
GB8413586D0 (en) 198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639B1 (ko) 현미장치
JPH05104006A (ja) 揺動選別装置付籾摺装置
JP2982417B2 (ja) 揺動選別装置の傾斜角度調節装置
JP2019042722A (ja) 籾摺選別機
JPS60833A (ja) 籾摺装置
JP2761811B2 (ja) 多段揺動式選別装置の穀物分配装置
JPH0240749Y2 (ko)
JPS60834A (ja) 籾摺装置
JPS5854231Y2 (ja) 穀物選別装置に於ける穀粒取出装置
KR870002272Y1 (ko) 곡립요동 선별장치
JPS5910261B2 (ja) 籾摺選別装置に於ける混合米自動処理装置
JPS60836A (ja) 籾摺装置
JP3092213B2 (ja) 籾摺選別機等の吸塵装置
JPS6245389A (ja) 籾玄米選別装置
JPH05208171A (ja) 籾摺選別機の風選装置
JPH0316193B2 (ko)
JPH09136065A (ja) 籾摺選別機の揺動選別装置
JPH06226212A (ja) 揺動選別型籾摺選別機の穀粒供給調節装置
JPS59228946A (ja) 籾摺装置
JPH026585B2 (ko)
KR20000018910U (ko) 곡물종자 비중 선별기
JPH025472B2 (ko)
JPH026586B2 (ko)
JPH1028885A (ja) 穀物揚穀スロワー
JPH0247267B2 (ja) Momisurisenbetsusoch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8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