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272Y1 - 곡립요동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곡립요동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272Y1
KR870002272Y1 KR2019870007863U KR870007863U KR870002272Y1 KR 870002272 Y1 KR870002272 Y1 KR 870002272Y1 KR 2019870007863 U KR2019870007863 U KR 2019870007863U KR 870007863 U KR870007863 U KR 870007863U KR 870002272 Y1 KR870002272 Y1 KR 870002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orting
shaft
sorting plate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7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가스 무다
Original Assignee
이세끼 노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이세끼 마사다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20004049A external-priority patent/KR840001236A/ko
Application filed by 이세끼 노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이세끼 마사다까 filed Critical 이세끼 노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70007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2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2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6Sieving means
    • A01F12/448Sieve adju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 B02B3/045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cooperating rol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곡립요동 선별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인 정미기의 측단면도.
제 2 도는 동 정면도.
제 3 도는 동 평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 1실시예의 평면도.
제 5 도는 동 확대측면도.
제 6 도는 중요부분의 정단면도.
제 7 도는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요동장치 (3) : 선별판
(5),(7) : 현수간
본 고안은 경사지게 현수 가설한 선별판을 요동시켜서 쌀 또는 보리등의 곡립을 현미, 보리 및 벼껍질로 선별하기 위한 곡립요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곡립요동 선별장치는 앞·뒤방향으로 경사진 선별판의 앞·뒤 끝부분을 각각 현가하는 앞쪽 현가로드, 뒷쪽현가로드의 윗끝을 연결간으로서 연결하고, 이연결간의 경사각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경사각도의 조절을 행하는 것이었으나, 경사각도의 조절에 따라 선별판의 요동할때의 상하운동량도 변동하게 되며, 이결과 선별판의 상하요동도 크게 되어서 선별성능이 악화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에 비추어, 이러한 선별판의 상하방향의 요동을 적게하여 선별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한 곡립요동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요동선별하기 위한 선별판을 경사하여 설치하며 이 선별판에는 상기한 요동을 위한 요동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곡립선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선별판의 경사방향의 앞·뒤에 각각 현수간을 설치하고 그 현수간에 의해서 상기한 선별판이 매달려 설치되어 요동되며 이들 앞·뒤의 현수간중 한쪽의 현수간을 윗쪽위치로 다른쪽의 현수간을 아래쪽 위치로 관련하여 변위하도록 이동시켜서 그 경사각도를 조절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다음에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조의 1예를 벼의 선별에 적용한 1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6 도에 있어서 기틀(15)은 아래부분 기틀(17)과 그 윗쪽에 고정부착하는 윗부분 기틀(13)로 이루어지며, 상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래부분 기틀(17)의 바깥쪽에는 측면커버(21), 윗면에는 윗면커버(23)가 장착되고, 내부에는 벼껍질제거장치(25)및 곡립선별장치(27)가 설치되어 있다.
또 윗부분 기틀(13)의 내부에는 선별장치(29)가 수용되어 있다. 벼껍질 제거장치(25)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아래부분기틀(17)에는 2개의 벼껍질제거용 로울(31)(31)이 서로 대향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모터(도면표시하지 않았음)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하여 그 사이에서 벼껍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벼껍질 제거용 로울(31)(31)의 윗쪽에는 벼공급용 깔때기(33)및 선별된 벼수납용 깔때기(35)에서 투입되는 벼를 받아들이는 벼껍질 제거용 깔때기(37)가 설치되고, 벼껍질제거용 깔때기(37)의 개구부(39)를 셧터(41)에 의하여 개폐하고 있다.
벼껍질제거용 로울(31)(31)의 아래쪽에는 풍력선별실(43)이 설치되며, 풍구(도면표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발생하는 선별풍력으로서 벼껍질제거용 로울(31)(31) 아래쪽의 경사판(45)의 끝부분에서 낙하되는 현미, 벼, 벼껍질을 선별하고 현미, 벼가 혼입된 혼합미는 바로 아래에 있는 밑바닥부에 설치한 1번나선(47)에서 승강기(49)에 의하여 벼선별장치(29)로 반송된다.
벼껍질은 풍력선별실(43)에 연통하는 벼껍질 닥트(51)에서 배출된다. 벼껍질이 혼입된 벼는 1번나선(47)보다도 풍력선별실 아래쪽 밑바닥부에 설치한 2번나선(53)으로 들어가 외부로 배출되어 재차 벼공급용 깔때기(33)로 환원된다. 선별장치(29)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승강기(49)의 배출용깔때기(55)의 아래쪽에 여러층으로 겹쳐진 선별판(3)(3)…이 앞·뒤로 경사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배출용 깔때기(55)의 바로아래 위치에는 공급입구(57)를 개구하여 각선별판(3)(3)…에 연통하고, 배출용 깔때기(55)에서 배출되는 혼합미를 받아서 각 선별판(3)(3)…에 분배 공급한다.
벼 선별판(3)은 표면에 경사가 진 돌기(59)(59)…가 다수 설치되어 요동작동에 의하여 혼합미를 선별하여 경사진 가장자리에 따라서 윗쪽에서 아래쪽으로 향하여 차례로 현미, 혼합미, 벼로 분류하고, 현미는 현미배출구(61)에서 현미수납구(63)를 경유하여 곡립선별장치(27)로 보내어지며, 혼합미는 혼합미배출구(65)에서 혼합미수납구(67)로 들어가서 혼합미 반환슈우트(69)를 경유하여 승강기(49)로 환원된다.
벼는 벼의 출구(81)에서 선별된 벼수납용 깔때기(35)를 경유하여 벼껍질 제거용 깔때기(37)로 환원된다
현미수납구(63)와 혼합미수납구(67)와의 사이에 변환밸브(83)가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작업개시등에 현미출구(61)에서 혼합미가 배출될 때 혼합미수납구(67)로 변환되는 것이다.
또, 선별된 벼수납용깔때기(35)와 혼합미수납구(67)와의 사이의 구획벽(85)은 선별된 벼수납용깔때기(35)의 바깥벽(87)보다도 적당히 낮게 설치되고, 윗부분에는 연통로(89)가 설치되어 벼껍질제거용 깔때기(37)에 벼가 충만하였을때 연통로(89)에는 흘러나와 혼합미 반환슈우트(69)에서 승강기(49)로 보내어지는 것이다.
선별판(3)은 제 5 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아래부분의 대부(臺部)(91)의 앞쪽(동일한 도면의 왼쪽)의 경사진 아래끝부분(93)의 양쪽에 각각 앞위치의 현수간(5)의아래끝이 핀(95)에 의하여 방향변환이 자유롭게 축으로 부착되며, 뒷쪽(동일한 도면의 오른쪽)의 경사진 윗끝부분(97)의 양쪽에는 각각 뒤위치의 현수간(7)의 아래끝이 핀(99)에 의하여 방향변환이 자유롭게 축으로 부착되어 있다.
윗부분 기틀(13)의 앞부분에는 브라켓트(101)(101)를 개재하여 축(103)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축(103)에 고정부착하는 앞쪽아암(9)(9)의 끝부분에는 핀(105)에 의해서 앞쪽현수간(5)(5)의 윗끝이 방향변환이 자유롭게 축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 윗부분 기틀(13)의 뒷부분에는 브라켓트(107)(107)를 개재하여 축(109)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축(109)에 고정부착하는 뒷쪽 아암(11)(11)의 끝부분에는 핀(111)에 의해서 현수간(7)(7)의 윗쪽끝이 방향변환이 자유롭게 축으로 부착되어 있다.
앞쪽아암(9), 뒷쪽아암(11)은 서로 평행하고 또한 반대방향으로 향하여(앞쪽아암(9)의 회동 앞쪽끝부분은 하향으로, 또 뒷쪽아암(11)의 회동 앞쪽끝부분은 상향으로 되도록) 설치하고, 그리고 앞쪽아암(9)과 뒷쪽 아암(11)과는 짧게 형성되어 있다.
축(103)(109)에는 윗쪽으로 향하고 아암(113)(115)이 각각 고정부착하여 설치되고, 끝부분에는 각각 축(117)(119)을 개재하여 연결간(121)의 양끝이 축으로 부착되어 있다.
축(109)에는 아암(123)이 고정부착하고, 끝부분에 축(125)에 의해서 조절간(127)이 축으로 부착되어 있다. 조절간(127)은 축(125)에 길이를 조절이 자유롭게 나사맞춤되며, 다른쪽끝은 자유로운 접속구(129)를 개재하여 핸들(131)에 연결되어 있다. 핸들(131)은 축받이(133)을 개재하여 윗부분 기틀(13)에 회동이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되고, 핸들(131)을 회전작동하는 것에 의하여 선별판(3)의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선별판(3)은 요동장치(1)에 이하여 요동작동한다. 요동장치(1)는 다음과 같의 구성되어 있다.
즉 앞·뒤의 핀(95)(99)의 중심부근에서 대부(91)의 아래면에 설치한 브라켓트(135)에 구면축받이(137)슬라이드 축받이(139)을 개재하여 축(141)이 걸어맞추어 슬라이드 축받이(139)에 대하여 축(141)은 회전 및 축방향 이동모두 자유로와 진다.
아래부분기틀(17)에는 축받이(143)(143)를 개재하여 회전축(145)이 축지지되며, 풀리(147)에 의하여 벨트(149)를 개재하여 모터(도면 표시하지 않았음)로서 회전구동 된다. 축(141)은 회전축(145)의 끝부분에 고정부착하는 아암(151)에 회전축(145)과 평행방향으로 편심하여 고정부착하고, 회전축(145)의 회전에 의하여 선별판(3)을 요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핀(95)(99)(105)(111)의 중심점을 각각 A1, A2, B1, B2로 하고, A1, A2의 중심점을 A, B1-B2의 중심점을 B로하며, 그리고 도면 표시는 생략하였으나 좌·우(제 5 도에 있어서의 표면과 이면)의 상기한 핀(95)(95)과 (105)(105)의 중심점 및 핀(99)(99)과 (111)(111)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평면과, 상기한 점(A)(B)을 통과하는 평면과의 교차선위에 회전축(145)의 축심을 위치시키도록 하고, 또 이 회전축(145)의 중심선은 연직선과 Q의 각도의 요동상향 각도를 가지고 경사하여 설치되고 있다.
또한 선분 AA1=AA2, BB1=BB2, AB=A1B1=A2B2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핸들(131)을 회전하여 앞쪽아암(9), 뒷쪽아암(11)을, 예컨대 제 5 도의 화살표 D, E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앞쪽현수간(5)은 또다시 하강하고, 뒷쪽현수간(7)은 또다시 상승하여 선별판(3)의 경사는 증대하는 것이다. 곡립선별장치(27)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제 2 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아래부분 기틀(17)내에 선별통(153)(153)이 경사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선별통(153)은 바깥둘레를 적당한 눈금의 금속망으로서 형성되어 경사진 윗끝에 공급용 호퍼(155)가 연통하고 있다. 공급용 호퍼(155)는 선별장치(29)의 현미수납구(63)에서 배출되는 현미를 받아서 선별통(153)에 공급한다. 현미는 선별통(153)에 공급한다.
현미는 선별통(153)내를 회전작동, 유하(流下)함에 따라서 현미에 혼입하는 지푸라기등은 금속망을 통과하여 제거되며, 선별풍력에 의하여 벼껍질 닥트(51)로 보내어져서 외부로 배출된다. 선별된 현미는 선별통(153)의 가장뒷끝의 선별된 현미배출구(157)에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벼공급용 깔때기(33)에 투입된 벼는 벼껍질 제거장치(25)에 의하여 벼껍질이 제거되고, 아래부분의 풍력선별실(43)에서 풍력선별되어 벼껍질은 벼껍질닥트(51)에서 배출되며, 미숙한 곡립등의 제 2 차 선별곡립은 2번 나선(53)에서 배출되어서 벼공급용 깔때기(33)에 재차 투입된다.
현미와 벼가 혼입된 혼합미는 1번나선(47)에서 승강기(49)를 경유하여 벼 선별장치(29)로 보내어져서 요동선별된다. 선별된 벼는 벼의 출구(81)에서 벼껍질 제거장치(25)로 환원되고, 혼합미는 혼합미 벼출구(65)에서 승강기(49)를 경유하여 선별판(3)으로 환원된다.
현미는 현미배출구(61)에서 곡립선별장치(27)로 보내어지고, 혼입하는 지푸라기 등을 제거시켜 선별된 현미배출구(157)에서 배출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곡립요동선별장치는 앞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구성하고 있으므로, 선별기능이 가장 적당하게 되도록 선별판(3)의 경사각도를 조절할때에 선별판(3)은 대략 중간위치에 설치하고 있는 요동장치를 중심으로 시이소오 형상으로 그 양끝부분이 상하운동을 하는 것으로 되어서 이와같이 선별판과 요동장치를 서로 결합하고 있는 대략 중간위치에서는 선별판의 상하이동이 없으므로 이 종합부분에 변형이 생길염려가 없고, 선별판의 경사각도 조절조작을 원활하게 행할수가 있으며, 또 요동선별 동작에 즈음하여 선별판은 원활하게 요동하는 것으로 되는 것이다.
또한 제 7 도는 요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모터(도면표시 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159)에 캠(161)이 고정부착하여 회전하고 있다.
캠(161)의 바깥둘레에 연결간(163)의 한쪽끝이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 맞추고 다른쪽끝은 선별판(3)의 대부(91)에 고정부착하는 브라켓트(165)에 축(167)에 의하여 축으로 부착되어 있다. 회전축(159)의 회전에 따라 대부(91)가 왕복요동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에 있어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요동선별하기 위한 선별판(3)을 경사하여 설치하며 이 선별판(3)에는 요동을 위한 요동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곡립선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선별판(3)의 경사방향의 앞·뒤에 각각 현수간(5)(5)(7)(7)을 설치하고 그 현수간에 의해서 상기한 선별판(3)이 매달려 설치되어 요동되며 이들 앞·뒤의 현수간(5)(5)(7)(7)중 한쪽의 현수간(7)(7)을 윗쪽위치로 다른쪽의 현수간(5)(5)을 아래쪽 위치로 관련하여 변위하도록 이동시켜서 그 경사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립요동선별 장치.
KR2019870007863U 1982-09-07 1987-05-21 곡립요동 선별장치 KR870002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7863U KR870002272Y1 (ko) 1982-09-07 1987-05-21 곡립요동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20004049A KR840001236A (ko) 1982-09-07 1982-09-07 곡립 요동 선별장치
KR2019870007863U KR870002272Y1 (ko) 1982-09-07 1987-05-21 곡립요동 선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20004049A Division KR840001236A (ko) 1982-09-07 1982-09-07 곡립 요동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272Y1 true KR870002272Y1 (ko) 1987-06-30

Family

ID=2662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7863U KR870002272Y1 (ko) 1982-09-07 1987-05-21 곡립요동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2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835A (ja) 籾摺装置
US4301931A (en) Grain sorter
KR870002272Y1 (ko) 곡립요동 선별장치
US3857333A (en) Huller
JPH05104006A (ja) 揺動選別装置付籾摺装置
JPS5817660B2 (ja) 籾摺選別装置
KR860000336B1 (ko) 선회형 곡립 선별장치
KR860002014B1 (ko) 정미선별장치
CN220658355U (zh) 一种生物基材料筛选加工装置
CN220329236U (zh) 一种良种筛选装置
JPS6044032B2 (ja) 籾摺選別装置
JPS6147151B2 (ko)
JPS6122694Y2 (ko)
JPS5854231Y2 (ja) 穀物選別装置に於ける穀粒取出装置
JPS5813980Y2 (ja) 脱ふ米の選別装置
US2349442A (en) Seed grading machine
JP3453811B2 (ja) 揺動選別装置型の籾摺選別機
JPS6320174B2 (ko)
JPH04135677A (ja) 穀粒選別装置
JPH05104066A (ja) 揺動式選別装置
JPS592836Y2 (ja) 籾摺選別装置に於ける穀物循環装置
JPS6321322Y2 (ko)
JPH05337443A (ja) 揺動選別装置の穀粒取出装置
KR960007105Y1 (ko) 곡물선별용 풍구
JPH09290168A (ja) 籾摺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