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238Y1 - 고압가변저항기 - Google Patents

고압가변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238Y1
KR860001238Y1 KR2019820005482U KR820005482U KR860001238Y1 KR 860001238 Y1 KR860001238 Y1 KR 860001238Y1 KR 2019820005482 U KR2019820005482 U KR 2019820005482U KR 820005482 U KR820005482 U KR 820005482U KR 860001238 Y1 KR860001238 Y1 KR 860001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external connection
case
view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5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쯔루 에다
요헤이 시미즈
유다까 후까다
노리야 니시무라
유우조오 오오따
Original Assignee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가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5654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1205U/ja
Priority claimed from JP114054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20508U/ja
Priority claimed from JP170982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77007U/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가오루 filed Critical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2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1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2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압가변저항기
제1도는 종래의 고압가변저항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 (c)는 사용부품의 정면도, (d)는 사용부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고압가변저항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요부단면도, (c)는 사용부품을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여러가지의 스프링형상을 나타낸 도면.
제4도 (a)(b)는 스프링을 절연케이스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외부접속용 단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본 고안을 실시한 다른 고압가변저항기의 분해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일부를 단면해서 나타내는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요부확대도.
제10도 내지 제12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고압가변저항기를 나타낸 것으로.
제10도는 정면도.
제11도는 일부단면한 측면도.
제12도는 이면도.
제13도는 본 고안의 고압가변저항기에 사용하는 절연기판의 평면도.
제14도는 제11도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제15도는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스프링을 나타낸 도면.
제16도는 수지의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7도는 수지에 의해서 고압가변저항기가 시일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18도는 수지에 의한 시일이 실패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19도는 수지에 의한 시일에 부적당한 절연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20도는 본 고안의 절연케이스를 사용한 수지에 의한 시일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 : 기판 (1c)(15)(20) : 저항체
(1h)(1i)(1j)(1k) : 접속부 (2)(19)(22) : 접동자
(3a)(3b)(3c)(3d) : 외부접속용 단자 (17) : 포오커스전압조정용 회전축
(5) : 구멍 (18) : 스크리인전압조정용 회전축
(8) : 수지 (6)(6')(16) : 절연케이스
(9) : 단자핀 (10) : 코일형상스프링
(10a) : 링형상부 (11) : 구멍
(11a) : 요(凹)소 (12) : V자형상 스프링판
(26) : 스프링
본 고안은 텔레비젼 수상기의 포오커스 가변저항기와 같은 고압가변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플라이백트랜스의 레규레이션을 누르고, 화면의 와이즈변화를 작게 하기 위해서 종래는 플라이백트랜스에 특별한 연구를 하고 있었으나, 다른 방법으로서 브라운관에 포오커스전압 및 스크리인전압을 공급하는 고압가변저항기에 커다란 전류를 흐르게 하므로서 레규레이션을 누를 수가 있다.
아래 표에 플라이백트랜스에 접속되는 고압가변저항기의 전저항치(RT)와 화면의 와이즈변화와 레규레이션의 관례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때의 고압가변저항기의 인가전압은, 약13.5kV이다.
이와 같이 같은 플라이백트랜스라 하더라도 고압가변저항기의 RT를 작게한 편이 특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고압가변 저항기의 RT를 감하는 것은 그만큼 고압가변저항기의 부하가 증가하고 주울열(joule heat)에 의해서 온도가 상승한다.
이러한 종류의 저항기는, 종래 제1도(a) 내지 제1도(d)에 표시한 것과 같이 되어 있으며, (1)은 제1의 원형상부(1a)와 제2의 원형상부(1b)를 가진 저항체(1c) 및 상기 제1원형상부(1a)의 중심부(1d)로 뻗어 접동자(2)에 의해서 얻어진 포오커스 전압을 꺼내기 위한 제1도 전체(1e)와 상기 제2의 원형상부(1b)의 중심부(1f)로 뻗어 접동자(도시 생략)에 의해서 얻어진 스크리인전압을 꺼내기 위한 제 2 도전체(1g)를 한쪽의 면에 인쇄하고 소성한 알루미나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으로서, 상기 저항체(1c)의 양단과 상기 제1도전체(1e)의 일단과 상기 제2도전체(1g)의 일단에는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도전페이스트가 인쇄소성된 접속부분(1h)(1i)(1j)(1k)에 천설된 구멍(1h') (1i')(1j')(1k')에 각각 외부접속용 단자(3a)(3b)(3c)(3d)를 삽통함과 동시에 땜납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전페이스트는 중심부(1d)(1f)에도 처리되어 있다. 이 납땜을 할때 부착된 플럭스는 뒤에 기판의 절연열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세정을 행한다. (4)(5)는 각각 포오커스 전압조정용 회전축 및 스크리인 전압조정용 회전축이며, 절연케이스(6)에 축의 일부가 노출하도록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6) 내부에 있어서는 상기 2개의 접동자가 각각 상기 저항체(1c)의 제1원형상부(1a) 및 제2원형상부(1b)를 접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기판(1)에는 상기 케이스(6)에 형성된 2개의 돌부 ( 6a)〔2개의 돌부중 한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에 감합하는 투공(1ℓ)(1m)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투공(1ℓ)(1m)에 상기 2개의 돌부를 끼워넣으므로서 기판(1)을 소정의 위치에 배설하고, 상기 2개의 돌부가 기판(1)에서 돌출된 부분을 용착하므로서 상기 기판(1)을 케이스(6)에 고정한다. 그후, 상기 외부접속용단자(3a)(3b)(3c)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용 핀커버(7a)(7b)(7c)로 덮임과 동시에 기판(1)의 뒷면 전체에 열경화성수지(8)가 처리된다. 또한, 상기 외부접속용 단자(3a)(3b)(3c)(3d) 중, (3a)는 플라이백트랜스에서 출력된 고전압을 입력하는 입력핀, (3d)는 접지핀, (3b)는 포오커스전압 출력핀, (3c)는 스크리인전압 출력핀으로서, 통상 접지핀(3d)에는 핀커버를 처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종래의 고압가변저항기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가지고 있다.
즉, 외부접속용 단자(3a)(3b)(3c)(3d)에 커다란 만곡모우먼트가 작용하면 기판(1)과 납땜부(9)가 떨어져 버리고, 도통 불량을 일으킨다. 또, 그 때문에 외부접속용 단자(3a)(3b)(3c)(3d)에 작용하는 힘을 열경화성수지(8)에 흡수시키려고 할 경우, 그 수지의 주입량은 전기적 절연으로서 필요로 하는 이상의 량이 요구된다. 또한, 기판(1)에 외부접속용 단자(3a)(3b)(3c)(3d)를 납땜할 때 플럭스를 사용하나, 이 플럭스가 세정공정으로 충분히 세정되지 않고 남아있기 되어 버리면, 기판(1)의 저항체(1c)가 형성된 면에서 연면방전 등을 일으키는 등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었다. 그밖에 땜납의 재질을 엄중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도전페이스트가 처리된 접속부(1h)(1i)(1j)(1k)에 땜납먹힘(도전페이스트의 은성분이 땜납속으로 확산되어 땜납이 붙지 않게 된다)이 일어나고, 땜납 접속이 불안정해지는 결점도 갖는다.
본 고안은, 상기 제결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납땜 공정 및 플럭스 세정공정을 불필요하게 한 신규한 고압가변저항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하 제2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을 설명하겠으나, 종래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도번을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도(a) 및 (b)는 각각 본 고안의 고압가변저항기의 사시도 및 요부단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동 도면(c)은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기판(1')을 나타내고 있다. 제2도에 있어서, (6')은 포오커스전압조정용 회전축(4), 스크리인전압조정용 회전축(5), 접동자(2) 〔회전축(5)에 부착되는 접동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및 저항체(1c)가 형성된 기판(1')이 수납되는 절연케이스이며, 외부접속용 단자(3a)(3b)(3c)(3d)를 각각 상기 기판(1')과 평행인 방향으로 배치하고, 기판(1')의 접속부(1h)(1i)(1j)(1k)와의 접속을 도전성의 스프링(10)을 사용해서 행하고 있다. 즉, 상기 케이스(6')에는, 외부접속용 단자(3a)(3b)(3c)의 노출부의 일부를 덮는 핀커버(7a')(7b')(7c') 〔외부접속단자(3d)는 접지핀이므로 핀커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외부접속용 단자(3a)(3b)(3c)(3d)의 케이스(6') 내에 돌출하는 쪽에 구멍(11)을 천설하고, 이 구멍(11)에 스프링(10)을 수납하고, 상기 기판(1')을 부착했을 때, 그 기판(1')의 접속부(1h)(1i)(1j)(1k)와 외부접속용 단자(3a)(3b)(3c)(3d)가 배접하므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기판(1')에는 종래와 달라서, 접속부(1h)(1i) (1j)(1k)에 구멍은 불필요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10)은 제3도 (a)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코일형상스프링(10)이나 동 도면(b)에 나타낸 바와 같은 V자형상의 스프링판(12)이라도 되고, 또 동도면(c)와 같이 상기 스프링판(12)에, 기판(1')의 접속부(1h)(1i)(1j)(1k)에 당접하는 쪽에 프레스가공 등에 의해서 돌출접점(13a)을 형성한 V자형상 스프링판(13)도 고려될 수 있다. 제4도(a) 및 (b)는 코일형상 스프링 (10)과 V자형상 스프링판(13)을 절연케이스(6')의 구멍(11)에 배설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외부접속용 단자(3a)(3b)(3c)(3d)와 기판(1')의 접속부(1h) (1i) (1j)(1k)와의 접속을 스프링으로 행하므로서, 납땜 공정이 제외됨과 동시에 플럭스의 세정공정이 불필요해지고, 상기 외부접속용 단자(3a)(3b)(3c)(3d)에 외력이 가해져도 스프링이 완충제의 역할도 완수하고, 접속불량이나 기판의 파손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동 도면(a)의 확대도를 나타내는 상기 코일형상 스프링(10)에 상기 외부접속용 단자(3a)(3b)(3c)(3d)의 삽통을 허용하는 링형상부(10a)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절연케이스(6')의 구멍(11)의 바닥부에는 상기 링형상부(10a)의 일부를 받아들이는 요(凹)소 (11a)를 형성하고 있다. 제5도(b) 및 (c)는 이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선 코일형상 스프링(10)을 그 링형상부(10a)의 일부가 요소(11)에 감입되도록 수납하고, 외부접속용 단자 (3a) (3b) (3c)(3d)를 구멍(11b)으로부터 삽입하고, 상기 링형상부(10a)에 삽통시킨다. 상기 요소(11a)는 링형상부(10a)를 위치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외부접속용 단자 (3a)(3b)(3c)(3d)의 삽통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링형상부(10a)에 외부접속용단자(3a)(3b)(3c)(3d)를 삽통하므로서, 코일형상 스프링(10)에 의한 전기적 접속이 확실해지고, 위치벗어짐도 생기는 일이 없이 작업능률의 향상에도 이어진다. 또, 상기 외부접속용 단자(3a)(3b)(3c)(3d)는 제5도(b) 및 (c)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절연케이스 (6')의 구멍(11b)으로부터의 빠짐방지 및 회전방지를 위해서 루우렛형상부 (3e)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6')의 구멍(11)내에 적정한 거리만큼 삽입되도록 규제하는 테두리(3f)를 가지고 있으나, 제6도(a) 및 (b)와 같이 루우렛 형상부(3e)를 절연케이스 (6')에 감착되는 부분에만 머물게 해두고, 코일형상 스프링(10)의 링형상부 (10a)의 직경을 고려한 삽착부(3g)를 형성해도 된다.
다음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제7도-제9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7도 내지 제9도에 있어서, 후막인쇄 및 소성에 의해서 처리된 전극부(14)를 형성하는 도전체 및 저항부를 형성하는 저항체(15)를 가진 세라믹 등의 기판(2)을 수납하는 케이스(1) 내의 단자핀(9)의 삽통로에는 요소(16)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자핀 (9)은 케이스(1)의 딘자핀켜버부(17)와 지지부(18)를 통해서 케이스(1)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요소(16)를 지나서 접속요소(19)에 이른다. 접속요소(19)에는 스프링 (12)이 단자핀(9)과 기판(2)의 전극부(14)와의 사이에서 탄압되는 것과 같이 배설된다. 케이스(1)에의 제일의적인 고정은 기판(2)에 천설한 구멍(20)에 고정리브(4)를 삽통한 후, 고정리브(4)의 선단을 용착하므로서 행하여진다. 그때, 케이스(1)에는 미리 회전축(5)(21)이 부착되고, 그 내측단부에 접동자(6)(22)가 재치된다. 또한 도시의 경우, 회전축(5)(21) 및 접동자(6)(22)가 각각 두개 착설되어 있으나, 한쪽은 포오커스저항용이며, 다른쪽은 스크리인 저항용이다.
상기 기판(2)의 외면 및 단자핀(9)이 삽통된 부분에는 수지(8)가 처리되고, 기판(2)이 제이의 적으로 고정되고 또한 접동자(6)(22)와의 접접부분 및 접속요소(19)가 절연되고, 외기와도 차단된다. 그때, 상기 수지(8)는 요소(16)에도 처리되어, 단자핀 (9)의 일부를 성형하게 된다. 이때문에, 단자핀(9)은 케이스(1)에 의해서 직접 지지될 뿐만이 아니라 성형수지에 의해서도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제10도 내지 제20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0도 내지 제1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고압가변저항기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10도는 정면도, 제11도는 일부 단면한 측면도, 제12도는 이면도, 제13도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절연기판의 평면도, 제14도는 제11도의 요부확대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16)은 포오커스전압 조정용 회전축(17), 스크리인 전압조정용 회전축 (18), 접동자(19) 〔회전축(18)에 부착되는 접동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및 저항체 (20)가 형성된 알루미나로 이루어진 절연기판(21)이 수납되는 절연케이스로서, 외부 접속용 단자(22)(23)(24)(25)를 케이스(11)에 천설된 (5)(5)을 개제해서 각각 상기 기판(21)과 평행인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하고, 기판(21)의 포오커스전압 출력전극(F'), 스크리인전압 출력전극(S'), 입력전극(I') 및 접지전극(E')과의 접속을 도전성의 스프링(26)을 사용해서 행하고 있다. 즉, 상기 케이스(16)에는, 외부접속용 단자 (22)(23)의 노출부의 일부를 덮는 핀커버(27)(28)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외부접속용 단자(22)(23)(24)(25)의 케이스(16)내에 돌출하는 쪽에 각각 구멍 (29) 〔다른 3개의 구멍은 도시되지 않음〕을 천설하고, 이각 구멍(29)에 스프링(26)을 수납하고, 상기 기판(21)을 부착했을 때, 그 기판(21)의 상기 각 전극(F')(S') ( I')(E')과 외부접속용 단자(22)(23)(24)(25)가 스프링(26)과 압접하므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문에 종래 상기 기판의 각 전극에 천설된 외부접속단자 접속용의 구멍은 불필요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26)은 제15도(a)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돌출접검 (26a)을 가진 V자형상 스프링판이나, 동 도면(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코일형상 스프링 (26')이라도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덧붙여서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특징점이 있다.
즉, 종래 절연기판의 뒷면 전체에 걸쳐서 수지를 처리하고 있었던 것에 대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기판(21)의 주위에만 에폭시수지 등의 접착수지를 처리하므로서 밀봉하고, 절연기판(21)의 한쪽면을 거의 외기에 노출시킨 상태로 하고 있다.
이것은, 알루미나기판이 수지에 비해서 열전도율이 훨씬 뛰어나며, 저항체에서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사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알루미나기판은 내전압성, 흡수율 및 내열성의 점에 있어서도 수지보다 뛰어나고 있으며, 종래, 외부접속용 단자나 핀커버의 고정을 위해서 수지를 처리해서, 알루미나기판의 장점을 잃게 하고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접속용 단자나 핀커버의 고정을 위한 수지는 불필요하게 되고 알루미나기판의 장점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제16도 내지 제20도를 사용해서 절연기판의 주위에 수지를 처리하는 방법과, 그것에 적합한 절연케이스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절연케이스(16)내에 형성된 단부(16a)에 절연기판(21)이 수납 재치되고, 외부접속용 단자(22)(23)(24)(25)와 절연기판(21)을 스프링(26)을 개재해서 당접시킨 상태에서 노즐(30)에 의해서 적량의 수지(31)를 절연기판(21) 주위에 복수 개소에 적하한다.
다음에 적하된 수지(31)를 열경화시키는 것이나, 이때의 열에 의해서 상기 수지 (31)의 점도가 일단 저하하고, 모세관현상에 의해서 절연케이스(16)과 절연기판 (21)과의 사이에 퍼져서, 적하된 수지끼리가 서로 이어져서 주위를 밀봉한다. 제17도는 6개소 수지를 적하했을 경우의 예이다. 또, 상기 노즐(30)은 케이스(16)의 벽부분 (1 6b)에서 어느 정도 이간시킬 필요가 있으며, 예를 들면 절연기판(21)의 주변부를 벽부분 ( 16b)에 근접시키도록 했을 경우, 수지의 적하량이 적으면 노즐(30)의 근소한 위치벗어짐에 의해서 제18도와 같이 밀봉이 불완전한 개소(32)가 생긴다. 또 제19도와 같이 벽부분(16b)과 기판(21)을 약간 큰듯이 이간시켜서 불완전한 밀봉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 이번에는 수지가 기판(21)과 단부(16a)와의 틈새외에는 돌아들지 않는다는 불편이 있다. 이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절연케이스(16)에 개량을 가해서 제20도와 같이 단부(16a)와 벽부분(16b)과의 사이에 데이퍼부(16c)를 형성하고 수지 접착면을 크게 함과 동시에 밀봉실수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고압가변저항기는 외부접속용 단자를 기판의 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하고, 외부접속용 단자와 기판과의 접속을 스프링에 의해서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납땜공정 및 플럭스 세정공정이 불필요해지고, 또, 외부접속용 단자에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기판의 파손이나, 접속불량을 일으키는 일이 없이, 작업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고압가변저항기로서의 신뢰성이 대폭적으로 향상한다.
또, 코일 형상 스프링에 링형상부를 형성하고, 절연케이스의 구멍의 바닥에 상기 링형상부의 일부가 끼워지는 요소를 형성하면 전기적 접속이 더욱 확실해짐과 동시에 코일형상 스프링과 외부접속용 단자와의 결합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지경화시의 가열에 의해서 케이스가 변형을 받아도 단자핀의 고정이 견고하며, 신뢰성이 높다. 또, 단자핀의 주위에 존재하는 수지에 의해서 내부공간의 외기에 대한 차단이 충분해지고, 내습성에 대해서의 신뢰성도 좋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고압가변저항기는, 일단이 개구된 형상의 절연케이스의 바닥면에 절연기판에 인쇄소성된 저항체 패턴을 접동하는 접동자가 회전축을 회동자재로 배치하고, 상기 케이스에 천설된 구멍을 개재해서 상기 절연기판과 평행방향으로 돌출하는 외부접속용 단자를 부착하고, 상기 절연기판과 상기 외부접속용 단자를 도전성의 스프링을 게재해서 당접접속시킨 상태로, 상기 케이스에 수납된 상기 기판의 주위에 접착수지를 처리하도록 하였으므로, 저항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사하기 쉽고, 열에 의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절연기판도 작아도 되므로, 고압가변저항기의 소형화, 경량화가 도모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단이 개구된 형상의 절연케이스(16)의 바닥면에 절연기판(21)에 처리된 저항체(20)상을 접동하는 접동자(19)를 구동하는 회전축(17)(18)을 회동자재케 배치하고, 상기 절연케이스(16)에 수납된 상기 절연기판(21)과 대체로 평행인 방향으로 외부접속용 단자(22)(23)(24)(25)를 상기 절연케이스(16)에 형성된 구멍(5)을 개재해서 부착하고, 상기 절연기판(21)상에 형성된 저항체(20)와 상기 외부접속용 단자(22) (23)(24)(25)를 도전성의 스프링(26)을 개재하여 접속해서 된 고압가변저항기.
KR2019820005482U 1981-07-15 1982-07-12 고압가변저항기 KR86000123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05654 1981-07-15
JP10565481U JPS5811205U (ja) 1981-07-15 1981-07-15 高圧可変抵抗器
JP11405481U JPS5820508U (ja) 1981-07-30 1981-07-30 高圧可変抵抗器
JP17098281U JPS5877007U (ja) 1981-11-16 1981-11-16 高圧可変抵抗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238Y1 true KR860001238Y1 (ko) 1986-06-17

Family

ID=2731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5482U KR860001238Y1 (ko) 1981-07-15 1982-07-12 고압가변저항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71339A (ko)
EP (1) EP0070035B1 (ko)
KR (1) KR860001238Y1 (ko)
CA (1) CA1197583A (ko)
DE (1) DE327704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68682B1 (de) * 1984-07-18 1988-11-30 PREH, Elektrofeinmechanische Werke Jakob Preh Nachf. GmbH & Co. Ein eine gedruckte Schaltung tragender Steckverbindungsmodul
US6062870A (en) * 1989-05-16 2000-05-16 Labinal Components And Systems, Inc. Electrical interconnects
JP3128968B2 (ja) * 1992-07-02 2001-01-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電圧用可変抵抗器とその製造方法
JP2591294Y2 (ja) * 1992-11-27 1999-03-03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高電圧抵抗パック
JPH0672204U (ja) * 1993-03-17 1994-10-07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高圧用電子部品及び高圧用可変抵抗器
US5530737A (en) * 1993-03-22 1996-06-25 Phonex Corporation Secure access telephone extension system and method
TW287349B (ko) * 1993-12-28 1996-10-01 Hokuriku Elect Ind
US5382169A (en) * 1994-01-14 1995-01-17 Labinal Components And Systems, Inc. Electrical connectors
DE4408441A1 (de) * 1994-03-12 1995-09-14 Telefunken Microelectron Hochspannungs-Trimmpotentiometer
JPH07283001A (ja) * 1994-04-05 1995-10-27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高電圧用可変抵抗器ユニット
US5571033A (en) * 1995-02-21 1996-11-05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ress-fit contacts for circuit board mounting
JP3060916B2 (ja) * 1995-10-24 2000-07-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圧用可変抵抗器
TW353183B (en) * 1996-12-27 1999-02-21 Hokuriku Elect Ind Electric component and variable resistor for high voltage use
JPH10289737A (ja) * 1997-04-11 1998-10-27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リード線接続用端子を備えた電気部品ユニット並びに高電圧用可変抵抗器ユニット
JP3862870B2 (ja) * 1997-09-25 2006-12-27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半田レスの端子金具を備えた電気部品
JP3753363B2 (ja) * 2000-02-29 2006-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721351B2 (en) * 2010-06-14 2014-05-13 Eagle Industry Co., Ltd. Sensor
KR101817804B1 (ko) * 2011-08-03 2018-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 단자
DE102013110548A1 (de) * 2013-09-24 2015-03-2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teil mit einer Widerstandkodieru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1755A (en) * 1969-03-28 1970-09-29 Bourns Inc Rotary potentiometer termination spring
US3913222A (en) * 1974-05-13 1975-10-21 Spectrol Electronics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a trimmer potentiometer
JPS5744656Y2 (ko) * 1977-10-24 1982-10-02
US4400685A (en) * 1981-09-21 1983-08-23 Emhart Industries, Inc.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70035A2 (en) 1983-01-19
EP0070035B1 (en) 1987-08-19
DE3277044D1 (en) 1987-09-24
CA1197583A (en) 1985-12-03
EP0070035A3 (en) 1983-09-14
US4471339A (en) 198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238Y1 (ko) 고압가변저항기
US4215235A (en) Lead frame terminal
US6269745B1 (en) Electrical fuse
US5539618A (en) Electrical device, in particular switching or controlling device for motor vehicle
US6020809A (en) Mounting structure for thermistor with positive resistance-to-temperature characteristic
KR970005579B1 (ko) 시이트(sheet)재료 가열장치
US6676440B1 (en) Coin type electric element and printed circuit board with a coin type electric element
US5617069A (en) Microchip fuse with a casing constructed from upper and lower members and a hollow portion in the casing
US6037657A (en) Carrie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their mounting
JPS6023455B2 (ja) 直熱形陰極構体
CN115699240A (zh) 保护元件
JPH0110884Y2 (ko)
KR100319398B1 (ko) 금속성의 단자를 설치한 칩형 가변저항기
JP3074595U (ja) 基板実装型高遮断容量小型ヒューズ
JP3768355B2 (ja) チップ型可変抵抗器
JPH10270206A (ja) サーミスタ装置
KR200185402Y1 (ko) 방전 저항기
JPH10154601A (ja) 表面実装型固定抵抗器
KR101113837B1 (ko) 본딩 장치
JPS6339926Y2 (ko)
JPH0629877Y2 (ja) ヒユ−ズ
JPS6339924Y2 (ko)
JPH10275738A (ja) 電子部品
JPH01208803A (ja) 複合サーミスタ部品及び該部品を用いた消磁装置
JPH10275548A (ja) 電子部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