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402Y1 - 방전 저항기 - Google Patents

방전 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402Y1
KR200185402Y1 KR2020000000490U KR20000000490U KR200185402Y1 KR 200185402 Y1 KR200185402 Y1 KR 200185402Y1 KR 2020000000490 U KR2020000000490 U KR 2020000000490U KR 20000000490 U KR20000000490 U KR 20000000490U KR 200185402 Y1 KR200185402 Y1 KR 200185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discharge resistor
high voltage
discharge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수
Original Assignee
김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수 filed Critical 김덕수
Priority to KR2020000000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4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4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3/00Resis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7/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pparatuse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 등 고전압을 발생하는 기기에 사용되는 고압 콘덴서의 고전압을 방전시키는 절연 처리된 방전 저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라믹 기판 상부에 저항기와 도체부를 형성하고 저항기를 보호하기 위해 오버 그레이저를 형성하지 않고 도체부와 저항부를 완전히 덮는 절연물이 코팅된 방전 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전 저항기 {Discharge resistor}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와 같이 고전압을 발생하는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고압콘덴서의 고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저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항체 상부에 오버 그레이저(over glaze)를 형성하지 않고 도체부와 저항체가 형성된 세라믹 전체를 절연물로 코팅한 방전 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방전 저항기를 나타낸 것으로, 세라믹 소자(1)의 한쪽 표면의 양단에 도체부(2)를 형성하고, 상기 도체부(2) 사이에 저항체(3)를 도포한 후 상기 저항체 상부에 오버 그레이저용 그라스 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도포한 후 이를 소결장치를 이용하여 850℃로 소결한 다음에 상기와 같이 소결된 저항기(5)의 양 도체부(2) 상에 리드 단자(6)를 납땜(8)에 의해 부착하여 방전 저항기를 완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전 저항기는 다수의 리드 단자와 저항기 고정부가 베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 판넬에 상기 한쌍의 리드 단자와 리드 단자 사이의 저항기 고정부에 저항기가 삽입 고정시키고, 납땜용기를 통과시켜 납땜을 실시한 후, 베이스 판넬로부터 리드 단자를 절단하여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방전 저항기는 전자레인지와 같이 고전압을 발생하는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고압콘덴서의 고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즉, 전자레인지에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콘덴서에 충전된 고전압을 전자레인지 사용후 그대로 방치할 경우 감전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방전저항기를 연결하여 자체 방전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콘덴서의 전압을 없애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압 콘덴서의 방전을 위한 방전저항기는 콘덴서가 내장된 콘덴서 케이스의 커버 안쪽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커버의 상단에는 콘덴서와 다른 소자들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붓싱이 설치 부착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케이스에 내장되는 콘덴서와 금속으로 제조된 커버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 절연지가 커버 형상으로 고무 붓싱을 사이에 두고 부착되어 있으고, 상기 단자의 단부에는 방전저항기가 부착되는데, 이때, 방전저항기의 저항기와 콘텐서의 전기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저항기를 절연지로 감싸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절연지에 싸인 방전 저항기가 부착되면 리벳에 의해 단자와 절연지 그리고 방전 저항기를 고정하게 된다.
상술한 방전 저항기를 콘덴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방전 저항기에 절연지를 별도로 씌워 커버에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절연지를 방전 저항기에 맞게 재단하여야 하고 수작업에 의해 부착하여야 하는 등 콘덴서 커버를 제조하는데 있어 자동화 공정을 실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절연지를 재단하고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공개공보 제99-1453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방전 저항기의 저항기와 리드단자중 저항기의 도체부에 부착된 부분 전체를 절연물로 코팅한 방전 저항기를 제공함으로써 콘덴서 커버와 결합시 저항기 보호 절연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절연을 유지하였다.
도2는 상기 절연물이 코팅된 방전 저항기를 나타낸 것으로, 도체부(2)와 저항체(3)가 형성되어 있는 세라믹 기판(1)과, 상기 저항체(3)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버 그레이져(4)와, 상기 도체부(2)에 납땜(8)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리드 단자(6)와, 상기 납땜(8)된 리드 단자부분과 오버 그레이저(4) 그리고 세라믹 기판(1) 배면에 코팅되어 있는 절연물(7)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절연물이 코팅된 방전 저항기는 절연물 코팅 공정을 추가로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방전 저항기를 제조하는 공정이 복잡해 지고, 제조비용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전저항기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세라믹판 상부에 도체부와 저항체를 형성하고 상기 도체부에 리드 단자를 부착한 후 그 상부에 절연물을 코팅함으로써, 종래의 저항체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 그레이저의 형성 공정을 실시하지 않으므로서 제조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비용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전압을 방전하기 위한 방전저항기에 있어서, 도체부와 저항체가 형성되어 있는 저항기와, 상기 도체부에 끝단이 부착되는 리드 단자들과, 상기 리드단자의 도체부에 부착된 부분과 저항기 전체를 감싸도록 코팅된 절연물을 포함하는 방전 저항기를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방전 저항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2는 종래의 고압콘덴서 커버에 절연지 없이 부착하기 위한 절연물이 코팅된 방전 저항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3는 본 고안 따른 방전저항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라믹 기판 2 : 도체부
3 : 저항체 4 : 오버 그레이저
5 : 저항기 6 : 리드 단자
7 : 절연물 8 : 납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전 저항기를 나타낸 것으로, 세라믹으로 제조된 기판(1) 상부의 양단에 후술하는 리드 단자(6)와 납땜(8)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도체부(2)를 형성하고, 상기 도체부(2) 사이에 일정한 폭을 갖는 저항체(3)를 도체부(2)와 접촉하도록 형성한 저항기를 제조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저항기를 다수의 리드 단자들의 리드 탭들이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 판넬에 상기 저항기들을 삽입하고, 납물이 담겨져 있는 납땜 용기를 통과시켜 리드 단자와 저항기를 결합시킨다. 다음에 상기 저항기가 결합된 베이스 판넬을 저항기 갯수가 일정한 단위로 절단한 다음 지그에 결합하고 절연물(7)을 코팅한다. 이때 절연물로는 에폭시 수지나 페놀등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절연물의 코팅이 완료되면 베이스 판넬로부터 리드 탭들을 절단하여 방전저항기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방전 저항기의 구조는 세파믹 기판(1) 상부에 도체부(2)와 저항체(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체부(2) 상부에는 리드 단자(6)가 납땜(8)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도체부(2)에 결합된 리드단자(6)의 결합면과 저항체(3) 상부 그리고 세라믹 기판(1)의 배면 상부에는 절연물(7)이 코팅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물이 코팅된 방전 저항기를 제조하는데 있어, 세라믹 기판에 형성된 저항체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 그레이저를 형성하지 않고 코팅되어 있는 절연물이 오버 그레이저의 역활을 대신 할 수 있으므로 오버그레이저를 형성하기 위한 프린팅 공정 및 소결 공정을 실시하지 않으므로 제조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고,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 또한 줄일 수 있다.

Claims (1)

  1. 절연물이 코팅된 방전 저항기에 있어서,
    세라믹 기판 상부에 형성된 도체부와 저항체를 갖는 저항기와,
    상기 저항기의 도체부에 납땜에 의해 결합된 리드단자와,
    상기 납땜된 리드 단자부분의 상부와 저항체 그리고 세라믹 기판 배면에 코팅된 절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저항기.
KR2020000000490U 2000-01-10 2000-01-10 방전 저항기 KR200185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490U KR200185402Y1 (ko) 2000-01-10 2000-01-10 방전 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490U KR200185402Y1 (ko) 2000-01-10 2000-01-10 방전 저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402Y1 true KR200185402Y1 (ko) 2000-06-15

Family

ID=1963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490U KR200185402Y1 (ko) 2000-01-10 2000-01-10 방전 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4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3106A (en) Monolithic ceramic capacitor with fuse link
US371470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ick-film hybrid integrated circuits
US4975674A (en) Surge absorber
TWI500063B (zh) 包含電阻及熔線元件之電路保護裝置
GB1171655A (en) Method of Making Electrical Wiring and Wiring Circuit 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and the Electrodes of an Electrical Component
KR19990008482A (ko)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상에 전자 부품을 정확하게 조립하여 납땜하기 위한 방법
US5617069A (en) Microchip fuse with a casing constructed from upper and lower members and a hollow portion in the casing
US10446297B2 (en) Resistor
KR100318397B1 (ko) Ntc서미스터
KR200185402Y1 (ko) 방전 저항기
JP2008227102A (ja) 電子部品及びその実装構造並びにインバータ装置
TWI440271B (zh) 突波吸收器
JPH08273947A (ja) 焼結体を有する電気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03953B1 (ko) 마이크로 퓨즈 겸용 저항기 및 그 제조 방법
JPH0312446B2 (ko)
CN110211852B (zh) 具有高导热基板的大电流熔断器及其制作方法
JPS5853031Y2 (ja) デイスプレイパネル
JPH0834138B2 (ja) サ−ジ吸収器
JP4239422B2 (ja) サージアブソーバ
JP2985757B2 (ja) 貫通型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組立方法
JP2834726B2 (ja) 高圧用可変抵抗器
JPH0219955Y2 (ko)
JP2786137B2 (ja) 高圧用可変抵抗器
JP5218769B2 (ja) サージアブソーバ
JP2003086326A (ja) チップ型サージアブソ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