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610B1 -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랙 점프회로 - Google Patents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랙 점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610B1
KR860000610B1 KR1019830006268A KR830006268A KR860000610B1 KR 860000610 B1 KR860000610 B1 KR 860000610B1 KR 1019830006268 A KR1019830006268 A KR 1019830006268A KR 830006268 A KR830006268 A KR 830006268A KR 860000610 B1 KR860000610 B1 KR 860000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track servo
signal
outpu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689A (ko
Inventor
김창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 성 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 성 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 성 사
Priority to KR101983000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610B1/ko
Publication of KR850005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08Track changing or selec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Landscapes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 Amplifiers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랙 점프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상세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각부 파형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 2, 3 : 트랙 서보루우프
4 : 오디오 출력 감시회로 5 : 트랙서보 온/오프 제어회로
7 : 트랙 점프회로 FET1: 스위치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순방향 고속모우드, 역방향 고속모우드 및 메뉴얼 서치 모우드와 같은 특별한 기능시에 몇개의 트랙을 순간에 건너 뛰어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게한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랙 점프 회로에 관한 것이다.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오디오를 재생하려면 디스크의 트랙에 수록된 정보를 검출하여야 하는데, 정보 검출은 플레이어에 내장된 신호 검출장치가 트랙을 계속 따라 가면서 행하게 된다.
그런데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에 사용된 신호 검출 장치는 레이저 광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턴테이블 오디오 플레이어와는 달리 디스크면과 신호 검출장치와는 아무런 접촉이 없게 되고, 이에따라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에는 특별한 기능을 많이 부여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순방향 고속모우드, 역방향 고속모우드 및 메뉴얼 서치 모우드와 같이 몇트랙을 순간에 건너 뛰어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게 발명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는 내장된 렌즈에 의해 오디오 신호 및 트랙 에러 신호를 검출하며, 이 트랙에러 신호는 트랙 서보루우프(2) 및 스위치(6)를 통하여 트랙 서보루우프(3)에 인가되어 픽업 내부의 렌즈를 정확히 트랙위에 위치하게 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장치를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움직여 정상적인 플레이 동작을 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상적인 플레이 동안에 디스크의 결합(먼지, 흠등)에 의해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에서 오디오출력이 제대로 나오지 않을때는 이를 오디오 출력 감시회로(4)에서 검출하여 트랙 서보 온/오프 제어회로(5)를 동작시키고, 이에따라 스위치(6)가 개방되어 트랙 서보 루우프(2)의 출력신호가 트랙 서보 루우프(3)에 인가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정상 플레이는 중단되고, 이후 디스크의 결함부분이 지나 픽업 및 슬라이드장치(1)에서 정상적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된 경우에는 오디오 출력감시회로(4)가 트랙 서보 온/오프 제어회로(5)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이에따라 스위치(6)가 접속되어 트랙 서보 루우프(2)의 출력신호가 트랙 서보 루우프(3)에 인가되어 정상 플레이를 수행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은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제어회로에 있어서, 순방향 고속모우드, 역방향 고속모우드 및 메뉴얼 서치 모우드와 같은 기능시에 발생되는 시스템 콘트롤러의 콘트롤 신호에 의하여 다이오드(D3) 및 트랙서보 온/오프 제어회로(5)를 통해 스위치(6)를 개방시켜 트랙 서보 루우프(2)의 출력신호를 차단시킴과 동시에 트랙 점프회로(7)의 출력신호가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와 트랙 서보 루우프(3)에 인가되어 필요한 수의 트랙을 점프하게 구성한 것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상세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 트랙 서보 루우프(2), (3), 오디오 출력 감시회로(4), 트랙 서보 온/오프 제어회로(5) 및 스위치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로 구성된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제어회로에 있어서, 시스템 콘트롤러의 콘트롤 신호 입력단자(A)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는 직접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는 인버터(I1)를 통하여 접속하며, 시스템 콘트롤러의 콘트롤 신호입력단 자(B)는 저항(R1), (R2)을 각각 통하여 트랜지스터(Q1), (Q2)의 콜렉터 및 연산증폭기(OP2)의 반전 및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6), (R7)에 접속하고, 또한 트랜지스터(Q1)콜렉터와 저항(R1)의 접속점은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연산증폭기(OP1)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6) 및 저항콘(R5), 덴서(C2)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저항(R2)의 접속점은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연산증폭기(OP1)의 입력단자(+)에 접속된 저항(R4) 및 저항(R3), 콘덴서(C1)에 접속하여 트랙 점프회로(7)를 구성하고, 이와같이 구성된 트랙 점프회로(7)의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측은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에 연결하고, 연산증폭기(OP2)의 출력측은 콘덴서(C3)를 통하여 트랙 서보루우프(3)에 연결하며, 시스템 콘트롤러의 출력신호 입력단자(B)는 다이오드(D3)를 통하여 트랙 서보 /온 오프 제어회로(5) 에연결하여 구성한 것으로,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 부호 Vcc+, Vcc-는 전원단자이고, VR1은 연산증폭기(OP1)의 궤환용 가변저항이며, R10은 연산증폭기(OP2)의궤환용 저항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Vcc+, Vcc-)이 인가되고 정상 플레이 상태에서는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스위치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는 도통되어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 트랙 서보 루우프(2), 전개효과 트랜지스터(FET1), 트랙 서보 루우프(3)순으로 폐회로를 구성하여 정상적인 플레이를 하게된다. 즉,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 (1)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출력 감시회로(4)의 콘덴서(C6)를 통해 트랜지스터(Q3), (Q4)의 온, 오프를 제어하므로 그 오디오 신호에 비례한 신호가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에 출력되고, 이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 출력신호는 콘덴서(C4)를 통한 후 다시 다이오드(D6)를 통해 콘덴서(C5)에 충전되어 연산증폭기(OP3)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고, 또한 콘덴서(C4)를 통한 신호는 다이오드(D5) 및 저항(R16)을 통해 연산증폭기(OP3)의 반전입력단 자(-)에 인가된다. 따라서, 콘덴서(C5)에 충전은 빨리되고 방전은 서서히 되게 콘덴서 (C5)및 저항(R7)의 값을 선정시켜 놓으면 픽업 및 슬라이드장치(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변화되어도 연산증폭기(OP3)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3(f)도의 파형(a)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에대하여 연산증폭기(OP3)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은 픽업 및 슬라이드장치(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변화에 따라 제3(f)도의 파형(b)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변화된다. 따라서, 픽업 및 슬라이드장치(1)에서 정상적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될때 연산증폭기(OP3)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높게 설정시켜 놓으면,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에서 정상적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될 경우에는 연산 증폭기(OP3)의 출력측에 제3(g)도의 도시한 바와같이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에서 정상적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연산증폭기(OP3)의 출력측에 제3(g)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같이 오디오 출력신호가 정상 이어서 연산증폭기(OP3)에 저전위 신호가 출력된 경우에는 이저전위 신호가 인버터(I2)에서 고전위 신호로 반전된 후 트랜지스터(Q5)를 도통시키므로 트랜지스터(Q5)도 도통되고, 이에따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가 도통되므로 트랙 서보 루우프(2)의 출력신호가 트랙 서보 루우프(3)에 인가되어 정상 플레이를 수행하게 되고, 이와같은 정상 플레이 상태에서는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에서 제3(h)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트랙에러신호가 출력되어 트랙 서보 루우프(2)에 인가된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신호가 정상이 아니어서 연산증폭기(OP3)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된 경우에는 이고전위 신호가 인버터(I2)에서 저전위 신호로 반전되어 트랜지스터(Q5), (Q6)를 오프시키므로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1)도 오프되고, 이에따라 트랙 서보 루우프(2)의 출력신호가 트랙서보 루우프(3)에 인가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정상 플레이어가 중단되고, 따라서 이때는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에서 제3(i)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트랙에러신호가 출력되어 트랙서보루우프(2)에 인가된다. 그리고 트랙을 점프할 경우에 콘트롤 신호 입력단자(A)에는 제3(a)도와 같이 순방향 점프시에는 고전위 신호가 입력되고, 역방향 점프시에는 저전위 신호가 입력되며, 콘트롤신호 입력단자(B)에는 제3(b)도와 같은 파형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콘트롤 신호 입력단자(B)에 인가된 콘트롤 신호는 다이오드(D3)를 통하여 트랙 서보 온/오프 제어회로(5)에 인가되므로 콘트롤 신호가 고전위 상태인 동안(T1)은 상기에서와 같이 트랜지스터(Q5), (Q6)가 오프되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가 오프되고, 이에따라 트랙 서보 루우프(2)의 출력신호가 트랙 서보 루우프(3)에 인가되는 것이 차단되고, 콘트롤 신호가 저전위 상태인 동안(T2)은 트랜지스터(Q5), (Q6)가 온되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가 온되므로 트랙 서보 루우프(2)의 출력신호가 트랙 서보 루우프(3)에 인가된다.
또한 이때 콘트롤 신호 입력단자(A)에 순방향 점프시의 고전위 신호가 인가되면, 이 고전위신호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는 도통되고, 또한 인버터(I1)에서 저전위신호로 반전되어 트랜지스터(B)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 (Q2)는 오프된다.
따라서 콘트롤 신호 입력단자(B)에 인가된 콘트롤 신호는 저항(R2), (R7)을 통하여 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입력 단자(+)에 인가되고, 그의 반전입력단자(-)에는 저전위 신호가 인가되므로 그의 출력측에는 증폭된 신호가 나타나고, 이 신호는 콘덴서(C3)를 통과하면서 저주파 성분이 제기되므로 제3(c)도와 같은 파형으로 출력되어 트랙 서보 루우프(3)에 연가되고, 이에따라 픽업 및 슬라이드장치(1)에 내장된 렌즈는 및 트랙씩 순방향으로 건너 뛰게된다.
또한 이때 저항(R2)을 통한 콘트롤 신호는 다이오드(D2)를 통해 콘덴서(C1)에 인가되므로 콘덴서(C1)는 충방전을 하게된다. 즉 콘트롤 신호 입력단자(B)에 인가된 콘트롤 신호가 고전위 상태인 동안(T1)은 콘덴서(C1)에 충전이되고, 저전위 상태인 동안(T2)은 콘덴서(C1)의 충전 전압이 저항(R3)을 통하여 방전하게 된다.
여기서 충전시정수를 τon 방전 시정수를 τof라 하면,
Figure kpo00001
τoff=R3·C1이 된다.
또한, 이때 연산증폭기(OP1)의 반전입력단자(-)에 저전위 신호가 인가되므로 그의 출력측에는 제3(d)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출력신호가 출력되어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에 인가되므로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는 트랙서 보루 우프(3)에서 출력된 트랙 시보 에러전압과 합쳐져서 레즈가 순방향으로 점프할 거리 만큼을 슬라이드 장치가 따라 가게 된다. 그런데 상기의 충전시정수(τon)를 콘트롤 신호의 펄스 폭(T1)보다 작은 값으로 선택하면 콘트롤 신호가 고전위 상태인 동안에 빠르게 충전이 완료되고, 방전시정수(τoff)는 콘트롤 신호의 펄스 주기(T) 보다 월등히 크게하면 콘덴서(C1)의 출전전압은 서서히 방전되며, 또한, 저항(R5), (R6) 및 가변저항(VR1)을 조정하여 연산증폭기(OP1)의 전압증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측에는 제3(d)도와 같은 출력신호가 출력되고, 이에따라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는 무리가 가지 않게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의 픽업을 순방향으로 서서히 옮기게 된다. 그리고 콘트롤 신호입력단자(A)에 제3(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역방향 점프시의 저전위신호(OV)가 인가되면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2)는 온된다. 따라서 콘트롤 신호 입력단자(B)에 인가된 콘트롤 신호는 저항(R1), (R9)을 통하여 연산증폭기(OP2)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고, 그의 비반전입력단자(+)에는 저전위신호가 인가되므로 그의 출력측에는 제3(c)도에서와 같이 반전된 신호가 출력되어 트랙 서보 루우프(3)에 인가되고, 이에 따라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에 내장된 렌즈는 몇 트랙씩 역방향으로 건너 뛰게 된다.
또한 이때 저항(R1)을 통한 콘트롤 신호는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콘덴서(C2)에 인가되므로, 상기에서와 같이 콘덴서(C2)는 충방전을 하면서 연산증폭기(OP1)의 반전입력단자(-)에 충전 전압이 인가되고 그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저전위 신호가 인가되므로 그의 출력측에는 제3(d)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전된 신호가 출력되어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에 인가된다.
따라서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는트랙 서보 루우프(3)에서 출력된 트랙 서보 에러전압과 합쳐져서 렌즈가 역방향으로 점프한 거리만큼을 슬라이드 장치가 따라가게 된다. 이와같이 픽업 및f슬라이드 장치(1)의 픽업장치에서 트랙을 점프하는 동안(T1)은 제3(e)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출력신호가 없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몇 트랙을 순간에 건너 뛰어 오디오를 제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된다.

Claims (1)

  1.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 트랙 서보 루우프(2), (3) 오디오 출력 감시회로(4), 트랙 서보 온/오프제어회로(5) 및 스위치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로 구성된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제어회로에 있어서, 저항(R1-R10), 가변저항(VR1), 다이오드(D1,D2), 콘덴서(C1-C3), 인버터 (I1), 트랜지스터(Q1, Q2) 및 연산증폭기(OP1, OP2)로 트랙 점프회로(7)를 구성하고 그의 입력측에 콘트롤 신호 입력단자(A), (B)를 접속함과 아울러 연산증폭기(OP1), (OP2)의 출력측은 픽업 및 슬라이드 장치(1)와 트랙 서보 루우프(3)에 각각 접속하고, 콘트롤 신호 입력단자(B)는 다이오드(D3)를 통하여 트랙 서보 온/오프 제어회로(5)에 접속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콤펙트 디스크 플리어의 트랙 점프회로.
KR1019830006268A 1983-12-29 1983-12-29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랙 점프회로 KR860000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6268A KR860000610B1 (ko) 1983-12-29 1983-12-29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랙 점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6268A KR860000610B1 (ko) 1983-12-29 1983-12-29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랙 점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689A KR850005689A (ko) 1985-08-28
KR860000610B1 true KR860000610B1 (ko) 1986-05-22

Family

ID=1923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6268A KR860000610B1 (ko) 1983-12-29 1983-12-29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랙 점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6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689A (ko) 1985-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02607A1 (en) Disc playback apparatus
US6341113B1 (en) Servo device for recording medium player
US6167010A (en) Disk reproduction apparatus and tracking servo circuit
JPH01102783A (ja) トラックジャンプ回路
JPS6214382A (ja) トラツク飛び越し制御回路
KR860000610B1 (ko)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랙 점프회로
US5015932A (en) Actuator driving circuits
US6577572B2 (en) Apparatus for reproduction or recording data or information with a photodetector and digital error signal and evaluation signal processing
JP2602859B2 (ja) 記録担体のデータトラツクへ光ビームを案内するトラツク制御装置
EP0420375A1 (en) Tracking servo system
KR960007894B1 (ko) 디스크재생시스템에서의 포커스서보개시장치
JP2766149B2 (ja) 光ディスクの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S6089836A (ja) デイスクレコ−ド再生装置のトラツキング制御回路
JPS63146232A (ja) 光デイスク情報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サ−ボ装置
JP2842533B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890003586Y1 (ko) 촛점 입력구동신호 발생기
KR870000697Y1 (ko) 광 재생 장치의 포커스 서보회로
KR940007541Y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액츄에이터 진동 보상장치
JP3760451B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レーザー出力制御回路
KR940002576B1 (ko) 트랙위치 조절회로
JP2549110B2 (ja) トラツクジヤンプ回路
JPH087319A (ja) レーザダイオードの光量自動調整回路
JP4377046B2 (ja) ミラー検出回路
JPS61276133A (ja) トラツク飛び越し制御回路
JP2611234B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22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