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586Y1 - 촛점 입력구동신호 발생기 - Google Patents

촛점 입력구동신호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586Y1
KR890003586Y1 KR2019850017462U KR850017462U KR890003586Y1 KR 890003586 Y1 KR890003586 Y1 KR 890003586Y1 KR 2019850017462 U KR2019850017462 U KR 2019850017462U KR 850017462 U KR850017462 U KR 850017462U KR 890003586 Y1 KR890003586 Y1 KR 890003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ocus
input
circuit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7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051U (ko
Inventor
손승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7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586Y1/ko
Publication of KR8700110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0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5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11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with focus pull-in only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촛점 입력구동신호 발생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를 구체로 도시하는 회로도.
제3도는 촛점에러 신호도.
제4도는 음악신호(EFN)도.
제5도는 캐패시터 전압이 충전되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촛점에러 입력부 2 : 촛점제로 크로스 신호발생부
3 : 촛접입력 구동발생부 4 : 출력구동부
R1-R19: 저항 Q1-Q4: 트랜지스터
OP1,OP2: 연산증폭기 C1-C3: 캐패시터
L1: 촛점작동코일
본 고안은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의 픽업에 설치되어 있는 레이져 빔(LASER BEAM)의 촛점을 조절하는 포커스 서보(FOCUS SERVO)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촛점 에러신호를 일순간 중단시켜 주었다가 촛점 영역에 도달하면 촛점에러 신호를 연결시켜 주어 대물렌즈가 촛점을 잡는 시간이 극소화 되면서 순간적인 촛점에러 임펄스(FOCUS ERROR IMPULSE)의 영향을 차단하여 포커스 서보 동작을 안정시킨 촛점입력 구동신호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녹음방식을 사용하여 디스크를 만들고 이 디스크에서 디지탈 음을 레이져 빔을 사용하여 판독한 후 정정, 에러수정, 증폭한 후, DA컨비젼을 거쳐서 음악을 재상하는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의 출력이 있게 하려면 그렇게 되기 위하여 대물렌즈를 디스크면에서 가까이 혹은 멀리 조절해야 한다.
그러나 전원을 입력시켰을 때에는 이때 촛점에러 신호가 촛점 조절작용을 방해하여 포커스 서보 동작에 불안정을 가져오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촛점 입력구동(FOCUS in Start)신호에 의해 순차적인 촛점에러 임펄스영향을 차단하여 동작이 안정되도록 하는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촛점에러 신호가 입력되는 촛점에서 입력부와, 상기 촛점에서 입력부 신호상태를 감지하여 촛점 제로 크로스 신호(FOUS ZERO CROSS)가 얻어지는 촛점제로 크로스신호(이하 FZC라 칭함)발생부와, 상기 FZC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에 입력시켜 음악신호가 가장 클때 촛점 구동신호 변환시켜 촛점에러 신호를 제어하는 촛점 입력구동발생부와,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촛점 구동 코일을 작동시켜 렌즈의 촛점을 맞게하는 출력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로서 제1도중 부호1은 촛점에러 입력부, 부호2는 촛점제로 크로스 신호 발생부 부호3은 촛점 입력구동 발생부(FOCUS IN START), 부호4는 출력 구동부이며, 촛점에러 입력부(1)에서 촛점구동신호가 발생되는 시점에서 촛점구동신호가 "로우"에서 "하이"변하면 촛점 입력구동발생부(3)에서 촛점에러 신호를 잠시 중단시킨 다음 촛점구동코일을 구동시키며, 이때 촛점제로 크로스 신호 발생부(2)에서 촛점에서신호가 제로가 되는데 이를 감지하여 마이콤에 입력된다. 마이콤에서는 촛점구동신호(FCS)를 만들어 촛점입력구동발생부(3)에 입력시켜 음악신호가 가장클때 FCS를 "로우"로 하여 촛점에서 입력부(1)의 촛점에서 신호를 받아 들이게 된다. 이때 출력구동부(4)를 구동시켜 자동적으로 디스크상의 촛점을 조절하게 된다.
제2도는 제1도의 블록도를 구체로 도시하는 회로도로서 제2도중 R1-R19는 저항 Q1-Q4는 트랜지스터 OP1, OP2는 연산증폭기 C1-C3는 캐패시터 L1는 촛첨작동코일이며, 저항(R4, R5, R9), 캐패시터(C1)으로 구성된 부분이 촛점에러 입력부(1)에 대응하고, 저항(R1-R3, R6-R8)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된 부분이 촛점제로 크로스 신호발생부(2)에 대응하며, 트랜지스터(Q1, Q2), 저항(R10-R15) 캐패시터(C2)으로 구성된 부분이 촛점입력구동 발생부(3)에 대응하고 저항(R10-R19), 연산증폭기(OP2), 트랜지스터(Q3, Q4), 캐패시터(C3)촛점 작동코일(L1)로 구성된 부분이 출력구동부(4)에 대응한다.
제3도는 촛점에러 신호로도 촛점이 맺히는 지점(A, B, C)으로 렌즈의 이동방향을 나타낸 예이며, 이때 촛점에러(FE) 신호가 촛점조절 작용을 방해한다.
제4도는 음악신호(EFM)도로 마이콤에서 K점일때신호가 발생되고, 음악신호 클때 FCS 신호를 "로우"로 다운(DOWN) 시킨다.
제5도는 캐패시터(C2)에 전하가 충전되어 전압으로 나타낸 예이다.
따라서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제1, 2, 3, 4, 5도와 결부시켜 설명하면, 음악을 재생하는 컴팩트디스크 플레이어에서 포토 다이오드의 출력이 있게 하려면 레이져 빔의 촛점이 디스크상에 있어야하므로 대물렌즈를 디스크면에서 가까이 혹은 멀리 조절해야 한다. 그러나 전원을 입력시켰을 때에는 아직 대물렌즈가 자동촛점 영역에 들어 있지 않으므로 대물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촛점이 디스크면에 맺히는 지점을 찾게 된다.
즉 제2도에서 A점, B점에서 C점 곧 촛점이 맺히는 지점으로 렌즈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1도의 FE신호가 제3도의 촛점조절 작용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제2도의 촛점구동신호(FCS)가 발생되는 시점에는 "로우"에서 "하이"로 변하여, 트랜지스터(Q1)를 온(ON)시켜 FE신호가 저항(R4)를 통하여 저항(R5)과 속도상승(UP) 회로 저항(R9) 캐패시터(C1)를 거쳐 연산증폭기(OP2)로 입력되는 것이 중단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되어서 FCS신호가 저항(R11)를 통하여 시정수(Z=R11, C2)를 가지고 캐패시터(C2)에 제5도와 같이 충전된다.
이때 제2도의 저항(R5)과 연산증폭기(OP2)의 반전입력단자 사이의 "T"점의 전위도 제5도와 같은 모양으로 증가하게 되어서 이 신호가 연산증폭기(OP2)에 입력 증폭되어 이 출력이 트랜지스터(Q3, Q4)를 구동시키므로 촛점 작동코일(L1)이 구동하게 되어서 코일(L1)이 "r"에서 "s"(제3도의 A점에서 C점으로 이동할때)로 혹은 "S"에서 "r"(제3도의 B점에서 C점으로 이동할때)로 이동하게 되어 렌즈의 촛점이 맞게 된다.
이때 제2도의 FE입력이 제로(ZERO)가 되고 이 상태가 저항(R1)을 통하여 연산증폭기(OP1)에 인식되어 저항(R2)과 저항(R3)의 기준치와 비교되어 촛점제로 크로스신호가 발생되어서 마이크로 컴퓨터에 입력된다.
마이크로 컴퓨터는 제2도의 "E"점과 "F"점에서 발생하므로 음악신호(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EFM신호라고 부른다)의 크기는 제3도의 "C"점에서 가장크므로 즉 제4도의 "K"점 일때 이므로 마이콤에서신호가 발생하고 음악신호가 가장클때 FCS 신호를 "로우"로 다운(Down) 시켜준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이 오프되면서 FE신호가 저항(R4, R5)을 통하여 연산증폭기(OP2)에 입력되어 작동코일(L1)을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렌즈는 자동촛점영역에 들어가서 자동적으로 디스크상에 촛점을 맞추어서 진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촛점입력구동발생 회로를 이용하여 FE신호의 연산증폭기(OP2)의 입력을 개폐하여 원활한 포커스서보 동작을 이루워 CD플레이어 난점중의 하나인 주의 충격으로 인한 촛점 영역을 대물렌즈가 이탈할때 순간적으로 촛점을 다시 조정하여 원활한 음의 재상이 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촛점에러신호(FE)가 저항(R4, R5)를 지나 저항(R9) 캐패시터(C1)의 속도상승(UP)회로로 입력되도록 구성된 촛점에러 신호입력부(1), 저항(R1)을 입력과 저항(R2), (R3)를 기준으로 연산증폭기(OP)비반전으로 연결되어 촛점에러 신호(FE)가 제로(O) 일때 이를 감지하여 저항(R6-RS)회로를 통해 촛점제로 크로스 신호가 발생되는 촛점제로 크로스 신호발생부(2)와, 트랜지스터(Q1, Q2), 저항(R10-R15), 캐패시터(C2)로 구성한데서 촛점구동신호 시점에서 저항(R11) 캐패시터(C2)의 시정수(Z=R11, C2)에 따라 FE신호가 중단되게 하며, 음악신호가 클때 FE신호를 읽어 들이게 하는 촛점 입력구동부(3)와, 촛점에러 신호(FE)와 촛점입력구동부(3)의 신호에 따라 트랜지스터(Q3, Q4)및 촛점구동코일(L1)이 구동되어 렌즈가 자동촛점 영역에 들어가서 자동적으로 디스크상에 촛점을 맞추어 진행되도록 하는 출력구동부(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촛점 입력구동신호 발생회로.
KR2019850017462U 1985-12-24 1985-12-24 촛점 입력구동신호 발생기 KR890003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7462U KR890003586Y1 (ko) 1985-12-24 1985-12-24 촛점 입력구동신호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7462U KR890003586Y1 (ko) 1985-12-24 1985-12-24 촛점 입력구동신호 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051U KR870011051U (ko) 1987-07-15
KR890003586Y1 true KR890003586Y1 (ko) 1989-05-27

Family

ID=1924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7462U KR890003586Y1 (ko) 1985-12-24 1985-12-24 촛점 입력구동신호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5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051U (ko) 1987-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9801A (en) Focus servo control device for optical disks having servo offset error elimination
KR910005641B1 (ko) 디스크 재생장치
JPH01102783A (ja) トラックジャンプ回路
US5099468A (en)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offset adjusting circuit which can be exchanged together with optical head
KR890003586Y1 (ko) 촛점 입력구동신호 발생기
US5406536A (en) Optical disc apparatus having improved read accuracy with non-linear servo signal gain during track access and focus initialization
KR960007894B1 (ko) 디스크재생시스템에서의 포커스서보개시장치
KR960013487B1 (ko) 데이타 재생장치
JP3811337B2 (ja) 情報記憶装置
US5347502A (en) Focusing control system for use in a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842984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904365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H10162401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のレーザダイオードの発光パワーの基準値補正方法
JPH0447800Y2 (ko)
JPS6089836A (ja) デイスクレコ−ド再生装置のトラツキング制御回路
KR970011406B1 (ko) 광기록매체 재생시스템의 트랙 점프제어장치
EP0618571A1 (en) Optical disk apparatus
KR870000697Y1 (ko) 광 재생 장치의 포커스 서보회로
JP2541756Y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03122823A (ja) 光ディスク装置
JPS6076032A (ja) デイスクレコ−ド再生装置のフオ−カス制御回路
KR970004872Y1 (ko) 트래킹 조절회로
KR960013490B1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위치보정 장치
JPS6273432A (ja) トラツキング制御装置
JPH051024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