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802B1 - 기록원반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원반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802B1
KR850001802B1 KR1019810005142A KR810005142A KR850001802B1 KR 850001802 B1 KR850001802 B1 KR 850001802B1 KR 1019810005142 A KR1019810005142 A KR 1019810005142A KR 810005142 A KR810005142 A KR 810005142A KR 850001802 B1 KR850001802 B1 KR 850001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et
shaft
latch member
stat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5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312A (ko
Inventor
아끼라 후꾸미쯔
Original Assignee
가무시기 가이샤 도시바
사바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무시기 가이샤 도시바, 사바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무시기 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3000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9Insertion of discs having to be extracted from the cartridge prior to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28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the disc having to be extracted from the cartridge for recording reproducing, e.g. cooperating with an extractable tray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원반 재생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기록원반 재생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자켓, 디스크 유지체 및 디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선 3-3'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 장치의 전체적 구성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제 5a도, 제 5b도, 제 5c도는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설명도.
제 6 도는 본 발명 장치에 사용하는 처킹장치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 7 도는 제 6 도를 조립한 상태의 평면도.
제 8 도는 동 정면도.
제 9 도는 동 처킹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6 도의 화살표(9) 방향에서 본 사시도.
제10도는 제 9 도를 조립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의 조립상태의 측면도.
제12도는 동 처킹 장치의 동작 설명용의 평면도.
제13도는 제 7 도의 화살표(A)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용의 측면도.
제14도는 제 7 도의 화살표(B)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용의 측면도.
제15도는 제 7 도의 화살표(C)방향에서 본 동작 설명용의 측면도.
제16도는 제11도의 동작 설명도.
제17도와 제18도는 일부가 파손된 자켓을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광체(筐體) 15 : 기록원반
16 : 자켓 17 : 유지체
20 : 제부(堤部) 21 :
Figure kpo00001
23 : 록크부 26 : 계지부
27 : 샤시 30 : 가이드
35 : 처킹장치 60 : 오목홈
61 : 용수철 편 63 : 고정쇠
64,70,73 : 구멍 65 : 축장치
661: 제 1의 축 662: 제 2의 축
67 : 래치 부재 67c : 볼록부
67d : 볼록포올 68 : 해제편
68b : 돌출편 69 : 캔셀러
71 : 래치핀 72a : 제 1 의 용수철
72b : 제 2 의 용수철 74 : 탄성판
76 : 종 가이드 77 : 횡 가이드
78 : 핀
본 발명은 기록원반 재생 장치에관한 것으로, 기록원반에 직접 손을 대는 일없이 재생 장치내의 턴 테이블 상에 가져 옴과 동시에 꺼내는 처킹(chucking)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처킹장치란 재생 장치내에 있어서 기록원반을 턴 테이블 상에 설치하든가 또는 재생 장치에서 꺼낼때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일반적으로 기록원반 재생장치는 그 장치내의 턴 테이블 상에 기록원반을 설치하고, 그 원반에 핍업 수단(재싱침 등)을 대향 접촉시켜 이 원반에 기록한 정보를 핍업하여 재생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영상 신호 및 음성신호를 기록한 원반(이하, 비데오 디스크 또는 디스크라 칭함)은 매우 고밀도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 비데오 디스크에 먼지나 손때등의 이물질이 부착하면 재생한 화상에 잡음이 발생한다든가 또는 재생침의 열화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서 디스크에 직접 손을 대지 않고 턴 테이블 상에 설치하고 꺼낼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비데오 디스크 재생장치에서는 비데오 디스크의 외주를 유지체로 둘러싸고, 이 유지 상태로 자켓에 수납하고, 이처럼 자켓에 수납한 채로 재생 장치(이한 플레이어라 칭함)에 삽입한 다음 자켓을 끌어내면 디스크 및 유지체만이 플레이어 내에 남게되고 재생 동작시에는 디스크만을 턴테이블상에 설치하도록 하고 연주 종료후 빈 자켓을 다시 플레이어에 삽입함으로써 디스크 및 유지체가 다시 자켓내에 수납된 상태로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및 유지체가 수납된 자켓을 플레이어 내에 삽입할때 플레이어 내에 전기한 유지체를 록크하고 또 연주 종료후에 빈 자켓을 삽입할때 전기한 유지체의 록크를 해제하는 처킹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이 처껑 장치는 복잡한 구조와 많은 부품을 필요로하고 자켓을 삽입하여 유지체를 록크할 때에 부드럽게 록크할 수 없다든가 또는 오 동작하는 일이 많았다. 또 자켓 삽입의 저항력이 크기 때문에 유아등 약체자가 조작하는 데는 불편이 많았다.
따라서, 자켓의 삽입시 부드럽게 행할 수 있고 유지체의 록크도 확실하고 안전하게 할수 있고 또한 오 동작이 없이 간단한 구조의 처킹장치를 구비한 재생장치의 출현을 바라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요망에 보답한 것으로서 주로 상기 처킹장치에 신규의 구성을 채택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의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기록 원반 재생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서, 플레이어(12)에는 여러 조작용 버튼(13)과 아울러 자켓삽입구(14)를 구비하고 있다. 비데오 디스크(15)는 자켓(16)안에 수납되어 있고 직접 손이 닿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디스크(15)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체(17)의 구멍(18)의 안에 감입되어 있고 이 디스크(15)와 유지체(17)가 자켓(16)의 개구부(19)를 통하여 수납된다. 또 이 개구부(19)의 양측에는 연장된 돌출부(191)(19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지체(17)에는 자켓 개구부(19)를 막는 제부(20)가 있고 이 제부(20)는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다. 이 제부(20)의 좌우 양측부에는 요부(
Figure kpo00002
部)(2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요부(21)는 제 3 도에 도시한 것처럼 제부(20)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유지체(17)의 제부 양측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한쌍의 슬리트(22),(22)를 설치하고, 이들 슬리트(22)의 외측에 록크부(23),(23)를 형성하고, 이들 록크부(23)의 선단은 사면(24),(24)을 이루고, 다시 록크부(23)의 외측면에는 돌출된 포올(25),(25)을 설치하고 있다. 또 자켓(16)내측면의 전기한 포올(25)(25)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 포올(25),(25)이 감합될 수 있는 계지부(26),(26)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크(15)를 유지체(17)에 감입한 상태에서 자켓(16)에 수납하면 제 7 도와 같이 포올(25)이 계지부(26)에 감합하고, 제부(20)가 자켓 개구부(19)를 막게 된다.
이제, 제 4 도를 참조하여 플레이어 내부 구조를 설명하고자 한다.
제 4 도의 샤시(27)내부에는 턴테이블(28)이 있고, 이 턴테이블(28)의 양측에 평행으로 요부(29)를 가지는 레일상의 두 가이드(30),(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30)는 자켓삽입구(14)(제 1 도 참조)를 통해 자켓(16)이 삽입될 때 자켓 요부(29)를 통해 플레이어 내의 맨 안쪽 방향으로 자켓(16)을 안내하기 위한 것인데, 상기 요부(29)는 삽입구(14)와 정렬한 위치의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턴테이블(28)의 주변에는 4개의 지지체(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체(31)는 상기한 유지체(17) 및 디스크(15)외주부를 지탱하는 것인데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상기한 가이드(30),(30)는 보조 샤시(321),(322)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이 보조 샤시(322)에는 픽업 아암(33)을 구동하는 장치(34)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픽업 아암(33)은 턴 테이블(28)의 경 방향으로 구동되고, 턴 테이블(28)상에 디스크(15)를 높여 회전하면, 픽업 아암(33)내에 부착한 재생침(도시 하지 않음)에의하여 디스크(15)에 기록되어 없는 신호가 픽업 된다. 또 상기한 샤시(27)상에는 처킹장치(35)가 설치되어 있다(이 처킹 장치(35)의 상세한 구조 설명에 대하여는 제 6 도 이하에서부터 설명한다).
이 제 4 도의 동작은 제 5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자켓(16)에 유지체(17) 및 디스크(15)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켓(16)을 삽입구(14)로 삽입하면 자켓(16)은 가이드(30)의 요부(29)에 따라 한쪽으로 들어간다. 이때 제 5a도와 같이 자켓(16)이 지지체(31)의 위를 이동한다. 또, 턴테이블(28)의 상면은 이 지지체(31)보다도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자켓(16)을 다시 삽입하면 처킹 장치(35)에 닿고, 이 처킹 장치(35)에 의해 유지체(17)가 잡혀서 록크된다.그리고 자켓(16)을 플레이어에서 빼내면 제 5b도와 같이 유지체(17)및 디스크(15)만이 지지체(31)위에 남는다. 자켓(16)을 빼낸 다음 플레이어(12)의 조작버튼(13)을 누르면 턴테이블(28)이 제 5c도와 같이 상승한다. 그리고 턴테이블(28)이 지지체(31)보다도 높으면 턴테이블(28)에는 디스크(15)만이 설치된다. 다음에 턴 테이블(28)이 회전하고, 픽-업 아암(33)이 움직이고, 재생침으로 신호를 픽업하여 재생한다. 연주가 종료하면 픽-업 아암(33)은 최초의 위치로 돌아오고 턴테이블(28)도 회전을 정지하고 제 5b도와 같이 턴테이블(28)이 강하한다. 그후, 빈 자켓(16)을 삽입하면 처킹 장치(35)는 유지체(17)를 잡는것을 끝내고 록크가 해제된다. 그리고 다시 제 5a도와 같이 자켓(16)에는 유지체(17)와 디스크(15)가 수납되어 플레이어(12)에서 꺼낼 수가 있다.
또, 턴테이블(28)을 제 5c와 같이 상승, 하강하는 장치로서는 여러기구가 생각되지만, 예를 들면 본건 특허 출원인이 에전에 실용신안 등록 출원한 일본국 신원소 55-97840호에 기술한 것과 같은 수단을 사용해도 좋다.
다음, 본 발명의 가장 특징으로 하는 처킹 장치(35)에 대하여 제 6 도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6 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처킹 장치(35)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 7 도는 제 6 도를 조립한 처킹 장치의 동작전을 도시한 평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정면도, 제 9 도는 제 6 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한편, 제 2 도에 있어서 디스크(15)를 유지한 유지체(17)의 제부(20)에는 제 2 도에서 보이는 것처럼 오목홈(60),(60)이 중심부에서 편위하여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어 있게 한다.
제 6 도-제 8 도에 있어서 가이드(30)의 요부(29)의 저면에는 용수철 편(61),(61)이 설치되고 요부(29)내에서의 자켓(16)이 횡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흡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용수철 편(61)은 자켓(16)을 삽입할때 그 좌우 방향을 위치 결정하고 유지체(17)의 상기한 오목홈(60),(60)이 소정 위치에 오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다. 가이드(30)의 선단부가 위치하는 곳의 보조 샤시(321),(322)에는, 절결(62),(6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62)에서 남겨진 보조 샤시에서 내측으로 향하여 고정쇠(63)가 꾸부러져 있다. 이 고정쇠(63)는 자켓(16)의 정지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또 보조 샤시의 선단연부에는 구멍(64),(64)이 천설되어 있고, 이 구멍(64),(64)사이에 축장치(65)가 회전자재하게 가설되어 있다. 이 축장치(65)는 제 1 의 축(661)과 제 2 의 축(662)의 2중축으로 되어 있는데, 이 제1의 축(661)은 원통상을 하고있고, 상기 제 2 의 축(662)은 원주상을 하여 제 1의 축(661)보다도 길고 또 제 1의 축(661)의 내경보다도 다소 작은 외경을 가지고 있고, 이 제 2의 축(662)을 제1의 축(661)내에 삽통하고, 그 축(662)의 양선단은 제 1 의축(661)보다도 외방으로 돌출하고, 상기한 구멍(64),(64)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어 각 제 1의 축(661),제 2의 축(662)은 각기 서로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 2의 축(662)의 양단부 외주에는 평면에서 보면 L자상의 해제편(68)을 연결한 캔셀러(69),(69)를 고정한다. 이들 래치 부재(67)와 캔셀러(69)에 대해서는 제 9 도에 확대 도시되어 있다. 또, 제 6 도에 있어서의 래치 부재(67)와 캔셀러(69)는 좌우 대칭으로 한쌍식 설치되어 있는데, 제 9 도에 있어서는 제 6 도의 좌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 6 도의 화살표(9)방향에서 본 도면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캔셀러(69)는 전술한 바와 같이 L자상의 해제편(68)을 가지고 있으나 이 L자상의 (일단 자켓의 삽입방향에 대향하는 가장자리)에 극소의 사면(68a)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돌출편(68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편(68a)에는 구멍(68c)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한 래치 부재(67)의 일부의 위에 겹치도록 위치된다. 또 사면(68a)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켓(16)과 유지체(17)의 계합을 풀기 쉽게 하고 또한 해재편(68)에는 원통부(68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원통부(68d)의 통내에 상기 제 2 의 축(662)의 선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에 의하여 제 2의 축(662)이 회전할 때에 캔셀러(69),(69)가 함께 회전하고, 반대로 캔셀러(69)가 원통부(68d)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는 제 2의 축(662)이 회전한다. 좌우 캔셀러중 어느 한족의 캔셀러(69)가 회전 할때에는 제 2의 축(662)과 함께 다른쪽의 캔셀러(69)도 연동하여 회전한다.
또 상기 래치 부재(67)는 측면에서 보면 대략 T자형을 하고 상부의 일단에 구멍(70)을 설치하고 하부의 보조 샤시(321),(322)쪽으로 돌출하여 핀(71)을 돌설하고 있고, 이 핀(71)의 머리부에는 플랜지(71a)를 가지고 있다. 또 래치부재(67)의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에는 자켓(16)의 삽입 방향에 대향해서 뻗어있는 볼록부(67c)를 형성하고 있다. 이 볼록부(67c)는 선단에 사면(67a)을 가지고 중간부 상면에 요부(67c)를 구비하고, 사면(67a)의 상단부는 볼록부(67c)의 상면보다 높은데, 이 부분을 볼록포올(67d)이라 칭한다.
이들 래치 부재(67),(67)의 구멍(70)에는 상기한 제 1의 축(661)의 양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있고,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 1의 축(661)이 회전함으로써 래치 부재(67)(67)도 함께 회전하고 반대로 래치 부재(67)가 회전할 때에는 제 1의 축(661)이 함께 회전한다. 또 좌, 우 대칭중 어느 한쪽의 래치 부재(67)가 회전할 때에는 제 1의 축(661)과 함께 다른쪽의 래치 부재(67)도 회전한다.
상기한 래치부재(67)와 캔셀러(69)가 각각 제 1의 축(661), 제 2의 축(662)에 고정된 다음, 상기한 해제편(69)의 구멍(69c)과 상기 핀(71) 사이에는 제 1의 용수철(661)이 계지되고, 또 이핀(71)과 상기 샤시(27)사이에는 제 2의 용수철(72b)이 계지된다.
이 래치 부재(67), 캔셀로(69), 축장치(65)를 조립한 상태는 제10도에 예시되었는데, 제 2의 용수철(72b)에 의해 래치부재(67)는 핀(71)의 부분이 당기어져서 제 1의 축(661)을 중심으로하여 제10도의 화살표 Y방향으로 회동력이 주어진다. 또 제 1의 용수철(72a)에 의해 래치 부재(67)와 캔셀러(69)는 축장치(65)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끌어 당겨 볼록부(67c)의 위에 돌출편(68b)이 겹치도록 접해 있다. 다시 보조 샤시 (321),(322)에 형성한 고정쇠(63)에 캔셀러(69)의 일부가 당접하기 때문에 이 고정쇠(63)가 스톱퍼가 되어 10도의 화살표 Y방향의 회동 위치를 규제한다.
그러나, 래치 부재(67), 캔셀러(69), 축장치(6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샤시(27), 보조 샤시(321)(322)에 부착되는데, 샤시(27)상에는 다시 자켓(16)의 삽입구(14)를 향해 경사진 방형상의 탄성판(74)이 한쌍 부착되어 있다. 이 탄성판(74)은 본 도면의 예시에서는 한쌍이지만 그보다 많은 쌍일수록 좋고, 하나라도 좋으나 한쌍인 것이 람바직하고, 상기한 축장치(65)보다도 조금 전반(자켓삽입구(14)의 축)에 부착되어, 그 상단부는 축장치 보다도 조금 높게되는 길이로 되어 있다. 이 탄성판(74)은 자켓(16)의 삽입충격을 가지고 있다
또, 이 탄성판(74)에 의해 유지체(17)의 전, 후 방향의 위치를 규제함과 동시에 빈 자켓(16)을 삽입하여 유지체(17) 및 디스크(15)를 꺼낼 때의 조작을 부드럽게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이에 관한 상세한 작용은 후술하겠다)
계속해서 이들 탄성체(74)와 상기한 래치 부재(67)의 각각의 사이에는 감합 홈(75)을 가진 대략 F자상의 종 가이드(76),(76)가 샤시(27)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감합 홈(75)은 자켓 삽입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고 상기한 가이드(30)의 요부(29)와 동일 높이에 위치하여 있으므로 유지체(17)등의 상하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이 종 가이드(76)와 탄성판(74)과의 측면도는 제14도에 도시하고 있다. 즉, 탄성판(74)은 유지체(17)가 종 가이드(76)의 감합 혼(75)내에서는 충격 동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축장치(65)의 연선에 있어서 탄성판(74),(74)의 사이에는 L자상의 횡 가이드(77)가 설치되어 있다. 횡 가이드(77)의 L자상의 하단은 샤시(27)에 고정설치되고, 상단은 턴 테이블(28)방향으로 사면(77a)을 상면으로 형성하여 돌설하고 있다.
또, 횡 가이드(77)의 돌설 상단부에는 사면(78a)을 하방으로 형성한 핀(78)을일체로 설치하고 있다. 이 핀(78)은 유지체(17)의 제부(20)에 형성한 상기 오목 홈(60)이 침입, 감합되어 자켓(16)의 횡 위치를 확실히 규제하는 것이다. 또, 오목홈(60)을 유지체(17)의 상면 및 하면에 설치한 것은 디스크(17)가 양면 사용되기 때문이다. 또, 오목홈(60)과 핀(78)은 상기 요부(29)에 설치한 용수철편(61)에 의하여 보정유도 되므로 감합이 잘못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 소자들은 조립하면 제 7 도 및 제 8 도에 도시한 것처럼 된다. 그 위에 제 7 도에 있어서는 자켓(16)이 중간까지 삽입되어 있는 상태도 예시하고 있다.
이제 이 처킹 장치의 동작을 제11도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11도는 래치부재(67)와 캔셀러(69)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0도를 조립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제12도는 자켓(16)을 삽입하여 처킹 장치가 작업한 후의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3도는 제 7 도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14도는 제 7 도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15도는 제 7 도의 화살표 C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또 제16도는 제11도에 대응하고, 처킹 장치가 자켓의 삽탈에 대하여 어떻게 동작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시 제 17도, 제18도는 자켓(16)의 일부가 파손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우선 자켓 삽입구(14)에서 요부(29)에 따라 유지체(17) 및 디스크(15)를 수용한 자켓(16)을 삽입하고 다시 맨 안쪽으로 삽입해가면 자켓(16)의 양측이 용수철 편(61)에 당지되어 횡방향의 위치가 보정된다(제13도 참조).
또, 유지체(17)의 선단은 종가이드(76)의 감합 홈(75)에 감입하므로 유지체(17)와 디스크(15)의 종방향이 규제되고 자켓(16)을 정확히 삽입할 수가 있다. (제14도 참조). 자켓(16)이 종가이드(76)의 감합 홈(75)에 감입하면 탄성판(74)에 유지체(17)가 당접하여 충격적으로 정지한다. 또, 고정쇠(63)에 자켓(16)이 당접하여 정지된다. 이에 수반하여 캔셀러(69)의 해제편(68)의 일단(68a)이 자켓(16)의 돌출부(191)(192)안에 들어가고 록크부(23)의 사면(24)에 해제편(68)의 일단(68a)이 당접하여 상기 록크부(23)를 내측으로 압압하여 슬리트(22)의 간격이 좁아진다. 따라서, 포올(25)은 자켓(16)의 계지부(26)와의 계합이 풀려진 상태로 된다.
또한 이때 유지체(17)의 제부(20)는 래치 부재(67)의 사면(67a)을 눌러 내려가도록 접동하고(제16도 a 참조), 나중에는 그 요부(21)가 볼록 포올(67d)과 감합한다. 이러한 상태를 제 16도 b에 도시하고 있다. 이 때의 자켓(16)을 삽입하는 힘은 래치 부재(67)가 용수철(72b)에 의하여 들려 받들어지고 있는 힘에 저항하여 가는 것만이므로 극히 작은 것으로 끝난다. 또 동시에 제15도에 도시한 것처럼 횡 가이드(77)의 핀(78)이 제부(20)의 오목홈(60)에 침입하는 것처럼 감합한다. 핀(78)은 사면(78a)을 가지므로 오목홈(60)의 저면각부와 걸리는 일은 없다. 이 핀(78)의 감합에 의하여 유지체(17) 및 디스크(15)의 횡 방향의 위치 결정은 종래에 비하여 각별히 정확한 것이 된다.
다음에 자켓(16)은 그 계지부(26)와 포올(25)과의 계합이 풀려져 있으므로 쉽게 빈 자켓(16)을 끌어 빼낼수가 있다(제12도 및 제16도 c 참조). 자켓(16)을 빼내기 전의 시점에서는 제16도 b와 같이 래치 부재(67)만이 약간 하방향으로 회동하고, 캔셀러(69)의 선단(68b)은 자켓(16)의 돌출부(161),(192)의 안에 들어 있기 때문에 돌출편(68b)은 래치 부재(67)의 볼록부(72b)와는 이간되어 있다. 또, 자켓(16)을 끌어내면 제16도 c의 상태가 되고, 용수철(72a)의 힘에 의하여 캔셀러(69)는 약간 하방으로 회동하고 록크부(23)에서 이간하다. 이에 의하여, 래치부재(67)와 캔셀러(69)는 볼록부(67c)와 돌출편(68b)이 접하여 동일운동을 하게 된다.
자켓(16)이 발거(拔去)되면 유지체(17)와 디스크(15)만이 턴테이블(67c)상에 남아서 재생 가능하게되고, 조작버튼(13)을 누름으로써 디스크(15)가 재생된다. (제 5 도의 설명참조.)
재생종료후 픽업 아암(33)이 소정 위치로 의동하면, 빈 자켓(16)을 삽입 가능하게 된다. 자켓(16)을 삽입하면 용수철 편(61) 및 종 가이드(76)에 의하여 횡 방향 및 종 방향의 위치가 규제되어서 자켓(16)은 원활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제16도 d와 같이 자켓(16)이 맨 말단부에도달하면 고정쇠(63)에 닿아서 정지한다.
이때 자켓(16)의 선단이 전술한 동작에 의하여 하향한 해제편(68)을 다시 아래측으로 압압하고 래치 부재(67)와 함께 캔셀러(69)가 회동한다. 따라서, 유지체(17)의 요부(21)와 감합하고 있던 래치 부재(67)의 볼록 포올(67d)은 하측으로 하강하여 상기한 유지체(17)와의 계합이 풀려진다. 볼록 포올(67d)의 계합이풀려지면, 탄성판(74)의 힘에 의하여 유지체(17) 및 자켓(16) 전체가 자동적으로 제자리로 도로 밀리어 간다.
그리하여 유지체(17) 및 디스크(15)를 자켓(16)내에 수납하면, 수납한 상태에서 자켓(16)을 끌어낼 수 있게 된다. 자켓(16)을 조금 끌어낸 곳에서 래치 부재(67) 및 캔셀러(69)가 전술한 용수철(72a),(72b)의 힘으로 원상태로 복귀하면, 다시 자켓(16)을 삽입 가능한 제16도 a의 상태가 된다.
이리하여 처킹 장치가 동작한다.
또, 일련의 가이드 계의 사면은, 유지체(17)의 제부(20)측에 형성되어도 상기와 같이 원활한 동작을 행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동작을 축장지(65)에 집중하고, 좌우 양방에서 요부(21)에서 계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오 동작을 할 염려가 없고, 단순한 움직임으로 자켓(16)을 삽탈 가능하다.
그런데 전술한 자켓(16)은 통상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되어 있으나 자켓(16)의 취급시에 부주의로 떨어트리거나 혹은 어디다가 부딪히든가 하면 파손하는 수가 있다. 특히 개구부(19)의 양단에 위치하는 돌출부(191),(192)의 부분은 파손하기 쉬우므로 그 부분이 빠지는 수가 있다. 그 빠진 예를 제17도와 제18도에 도시하고 있다. 제17도는 돌출부(191),(192)의 양쪽이 빠진 예이고, 또 제 18도는 한쪽(91)이 빠진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191),(192)가 빠진 경우 소정의 처킹 동작을 할수 없게 되는 일이 있다. 즉 제17도와 같이 양쪽의 돌출부(191),(192)가 빠져있는 자켓(16)을 플레이어 삽입하면 통상은 제16도 a와 같이 동작하는 바, 캔셀러(69)의 선단(68a)은 돌출부(191),(192)안에 들어가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래치 부재(67)가 유지체(17)의 제부에 눌려 내려져서 회동하는 것과 같이 캔셀러(69)도 하방으로 회동하고 만다. 결국, 갑자기 제16d도의 상태가 되므로 처킹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자켓(16)의 돌출부(191)와(192)의 양쪽이 파손한 경우에는 자켓(16)을 삽입하여도 처킹 동작을 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자켓(16)의 교환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런데 제18도와 같이 한쪽의 돌출부(191)혹은(192)가 빠져 있을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그 문제란 처킹 장치가 작용하여 유지체(18)가 요부(21)의 볼록 포올(67d)이 감합함에도 불구하고 자켓(16)의 계지부(26)와 유지페(17)의 포올(25)과의 계합이 풀리지 않게 되었을 경우 자켓(16)을 빼내려고 하여도 포올(25)에걸려서 끌어 낼수 없게 되는 일이다. 이러한 상태가 발생한 경우 강제로 자켓(16)을 빼내면 유지체(17)의 록크부(23)가 구부러지거나 파손하거나, 또는 자켓(16)의 계지부(26)의 부분이 파손하든가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켓(16)을 꺼낼 수 없게 된 경우에는 광체(12)를 분해하여 내부를 노출시키고 록크부(23)의 포올(25)과 자켓(16)의 계지부(26)의 계합 상태를 해제할 필요가 있는데, 일반 경험이 없는 사람은 그러한 작업을 할 수 없다.
본 발명자가 예전에 개발한 처킹 장치의 일례로서 본 발명의 축장치(65)와 같은 2중축(661,662)대신에 하나의 축에 래치 부재(67)나 캔셀러(69)를 부착한 것이 있다. 이 하나의 축의 것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18도와 같은 자켓(16)을 플레이어에 삽입하면 한쪽(돌출부(191)가 존재하는 쪽)은 유지체(17)의 포올(25)과 자켓(16)의 게지부(26)를 제16도의 a-b의 순로에 의하여 계합이 풀리게 하고 또한 처킹되게 한다. 그러나 다른쪽(돌출부191가 빠져있는 쪽)은 캔셀러(69)의 단부(68a)가 자켓(16)의 안에 들어가기전에 래치 부재(69)의 하방에의 회전에 의하여 함께 회전하여 제16도 d와 같이 된다. 따라서 상기 다른쪽은 자켓(16)의 계지부(26)와 유지체(17)의 포올(25)과는 계합된 채로 있다. 이 때문에 한쪽이 처킹되어 유지체(17)가 플레이어내에 록크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다른쪽은 포올(25)과 계지부(26)가 있으므로 자켓(16)을 빼려고 해도 빼내어 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축장치로서 하나의 축을 사용한 것에는 보통 자켓의 삽탈에 대해서는 하등의 지장 없이 동작하는데, 제18도와 같이 한쪽의 돌출부(191혹은192)가 빠져 있는 것을 부주의하게 삽입할 때에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축장치(65)를 2중축으로한 점에도 큰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와 같이 2중축 구성으로 함으로써, 파손된 자켓(16)을 사용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자켓(16)이 플레이어내에 남은 채로 빠지지 않게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이 2중축에 의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8도와 같은 자켓(16)을 삽입할 경우 돌출부(192)가 존재하는 축은 제16도와 같이 하여 처킹되고, 또 유지체(17)의 포올(25)과 자켓(16)의 계지부(26)와의 계합 상태도 풀려진다.
한편,돌출부(191)가 빠진 축에 대하여 보면 캔셀러(69),(69)는 각각 제 2의 축(66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제 1 의 축(661)과는 별도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으므로 한쪽의 캔셀러(69)의 일단(68a)이 돌출부(192)에 들어감으로써 다른쪽의 캔셀러(69)도 하방에의 회동을 할수 없게되고, 그리고 돌출부(191)가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다른쪽의 캔셀러(69)의 일단(68a)과 유지체(17)의 록크부(23)가 당접하기 때문에 록크부(23)는 안쪽(슬리트 22쪽)으로 변형하고 포올(25)과 계지부(26)와의 계합이 해제된다. 또 한쪽의 해치 부재(67)와 다른쪽의 래치 부재(67)는 제 1의 축(66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어 함께 회동하므로 결국은 제16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작을 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자켓(16)을 삽입한 경우와 같은 동작을 하므로 자켓(16)을 빼내는 일이 불가능하게 되는 일은 없다.
또 제17도와 같이 양쪽의 돌출부(191),(192)가 빠진 자켓을 삽입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6d도의 상태가 되어 처음부터 처킹은 하지 않게 되므로 자켓(16)을 빼낼 수 없게 되는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2중축 구성의 축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안전성 신뢰성이 보다 한층더 향상되고 정확한 처킹동작이 가능해진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처킹장치에 비하면 그 구성이 각별히 간략화되고, 더우기 자켓 삽입시의 저항이 적어지고 자켓 삽입시의 위치 결정도 극히 정확해지며 그 위에 오 동작이 없고 신뢰성이 높은 처킹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최소한 기록원반(15)과, 이 기록원반(15)을 유지하는 유지체(17)를 수납한 자켓(16)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14)를 구비하는 광체(12)와, 이 광체(12)내에 삽입한 상기 자켓(16)으로부터 상기 기록원반(15)을 꺼내는 래치부재(67)를 구비하는 기록원반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체(12)내에서 상기 자켓(16)의 삽입종단부부근에 그 삽입방향에 직교하여 가설되고, 원통상의 제 1 의 축(661)과, 이 제 1 의 축(661)보다도 길고 또한 제 1 의 축(661)의 내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고, 이 제 1 의 축(661)내에 삽통되고, 그 양단부가 제 1 의 축(661)의 양단부보다도 바깥쪽으로 연장한 제 2의 축(662)을 가지고, 각각의 축을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한 2중축 구성의 축장지(65)와,
    상기 제 1 의 축(661)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일단이 자켓 삽입방향에 대향하여 돌출하고, 타단이 상기 제 1 의 축(661)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한쌍의 래치 부재(67,67)와,
    상기 제 2 의 축(662)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일단이 자켓삽입방향에 대향하여 돌출하고 이 돌출한 일단에 의하여 상기 유치제(17)와 기록원반이 수납된 자켓(16)이 삽입될 때 상기 유지체와 자켓과의 계합을 풀도록하고, 또 타단이 상기 제 2 의 축(662)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고 상기 래치부재(67)이 상방측에 일부분이 당접가능하게 겹쳐서 배치된 한쌍의 캔셀러(69,69)와,
    상기 유지체(17) 및 기록원반(15)이 수납된 자켓(16)이 삽입된 때 상기 래치부재(67)의 일단에 의하여 상기 유지체(17)의 일부를 처킹하는 제 1 의 상태 및 이 제 1 의 상태에서 자켓이 빼여저 제거된때 상기 처킹 상태를 유지하는 제 2의 상태와 그리고 빈 자켓이 다시 삽입된때 상기 캔셀러(69) 및 래치부재(67)의 각각의 일단이 회동되어서 상기 처킹 상태를 해제하는 제 3의 상태에 대한 각각의 상태를 반복하여 동작하게끔 상기 래치부재(67) 및 캔셀러(69) 사이와 또한 상기 래치부재(67)와 상기 광체(12)내의 고정부분과의 사이에 배치한 용수철수단(7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원반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67) 및 캔셀러(69)의 자켓 삽입 방향에 대향하여 돌출하는 각각의 일단부의 높이 위치가 상기 가이드(30,30)의 위치 결정면과 거의 같이 되도록 높이 위치 제한 수단(76,7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원반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가 상기 자켓 삽입 방향에 대향하여 돌출하는 부분과 이 돌출하는 부분에 대략 직교하는 본체 부분으로서 대략 T자상을 이루고, 전기 돌출하는 부분의 선단부에 상기디스크 유지체(17)에 3계합이 가능한 볼록 포올(67d)을 형성하고, 또 상기 본체 부분의 상방 단축에 전기 제 1 의 축(661)과의 고정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한 본체 부분의 하방 단측에 상기 용수철 수단(72a,72b)을 계지하기위한 핀(71)을 형성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원반 재생장치.
KR1019810005142A 1981-05-09 1981-12-26 기록원반 재생장치 KR850001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9829 1981-05-09
JP56-69829 1981-05-09
JP56069829A JPS57183660A (en) 1981-05-09 1981-05-09 Reproducing device of recording dis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312A KR830008312A (ko) 1983-11-18
KR850001802B1 true KR850001802B1 (ko) 1985-12-21

Family

ID=1341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5142A KR850001802B1 (ko) 1981-05-09 1981-12-26 기록원반 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79209A (ko)
JP (1) JPS57183660A (ko)
KR (1) KR850001802B1 (ko)
DE (1) DE3217292C2 (ko)
GB (1) GB20983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0166A (en) * 1981-03-12 1982-09-16 Victor Co Of Japan Ltd Reproducer for disc recording medium
US4443872A (en) * 1982-05-03 1984-04-17 Rca Corporation Video disc player having caddy lockout mechanism
US4451912A (en) * 1982-05-03 1984-05-29 Rca Corporation Record extraction mechanism for disc player
NL8302129A (nl) * 1983-06-15 1985-01-02 Philips Nv Platenspeler met een laadmechanisme voor het laden van een plaat.
US4488280A (en) * 1983-09-27 1984-12-11 Rca Corporation Video disc player having improved caddy extraction mechanism
US4453240A (en) * 1983-09-27 1984-06-05 Rca Corporation Video disc player having caddy overtravel mechanism
US4903256A (en) * 1986-10-23 1990-02-20 Canon Kabushiki Kaisha Card including rotatory system optical recording medium
US4773058A (en) * 1986-10-27 1988-09-20 Eastman Kodak Company Disk handling system and apparatus
NL9002125A (nl) * 1990-09-28 1992-04-16 Philips Nv Cassette voor het opbergen van en omgaan met een informatiedrager, alsmede aftastsysteem omvattende de cassette.
JP2689936B2 (ja) * 1995-01-12 1997-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US6243350B1 (en) * 1996-05-01 2001-06-05 Terastor Corporation Optical storage systems with flying optical heads for near-field recording and read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6424A (en) * 1979-04-27 1980-10-07 Gordon Geoffrey W Player latching and unlatching mechanism for video disc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98380B (en) 1985-01-23
KR830008312A (ko) 1983-11-18
US4479209A (en) 1984-10-23
DE3217292A1 (de) 1982-12-09
GB2098380A (en) 1982-11-17
DE3217292C2 (de) 1984-08-02
JPS57183660A (en) 198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60898B1 (en) Disc cartridge
KR850001802B1 (ko) 기록원반 재생장치
KR100549138B1 (ko)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플레이어
JPS63124258A (ja) ディスク情報記録/読取装置
JP4144111B2 (ja) 電子機器
KR100917484B1 (ko) 기록 매체를 수납하기 위한 카트리지
KR880000242B1 (ko) 자기 버블 카세트
US6570841B1 (en) Disk cartridge and disk player
KR850001457B1 (ko) 기록 원반 재생장치
JPS6316039Y2 (ko)
JPS6218981B2 (ko)
KR100544981B1 (ko) 차량적재용 디스크 및 테이프재생장치
KR200156038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테이프 오삽 방지 장치
JP2903585B2 (ja) ディスクのローディング機構
JPS5916178A (ja) 磁気シート装置
JPS58212648A (ja) 記録円盤再生装置
JP3809795B2 (ja) カートリッジ
JPH0348760Y2 (ko)
JPH0124782Y2 (ko)
JPH0725906Y2 (ja) カートリッジ
JP3487322B2 (ja) リムーバブル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634341B2 (ja) テ−プカセツト
JP3769931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S62110664A (ja) 記録円盤再生装置
JP2005302129A (ja) 記録媒体装着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