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038Y1 -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테이프 오삽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테이프 오삽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038Y1
KR200156038Y1 KR2019960004574U KR19960004574U KR200156038Y1 KR 200156038 Y1 KR200156038 Y1 KR 200156038Y1 KR 2019960004574 U KR2019960004574 U KR 2019960004574U KR 19960004574 U KR19960004574 U KR 19960004574U KR 200156038 Y1 KR200156038 Y1 KR 200156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holder housing
cassette tape
reference plat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4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880U (ko
Inventor
김태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04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038Y1/ko
Publication of KR9700558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8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0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02Detail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VCR)의 카세트 테이프 오삽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세트 테이프를 삽입 안착시킬 수 있는 카세트 홀더 하우징을 갖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 하우징의 어퍼 새시 중앙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기준 플레이트와, 상기 기준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홀더 하우징 내부로 하향 절곡된 스톱퍼와, 상기 기준 플레이트의 좌/우측 선단에 적어도 스톱퍼보다 더 길게 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홀더 하우징 내부로 하향 절곡된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의 각 저면에 카세트 테이프의 정상 삽입 상태에서 상기 작동편을 밀어 올림과 동시에 기준 플레이트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접촉 설치되는 스프링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항상 정상 방향(가로 방향)으로 삽입되는 카세트 테이프만이 로딩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비정상 방향(세로 방향)으로 삽입하는데 따른 내부 부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테이프 오삽 방지 장치
본 고안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VCR)의 카세트 테이프 오삽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세트 홀더 하우징 내로 카세트 테이프가 로딩될 때에 정상적인 삽입 상태가 아니면 더 이상의 로딩이 정지되도록 스톱퍼 장치가 작동되도록 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테이프 오삽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VCR)를 사용하여 영상의 재생 및 녹화등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카세트 홀더 하우징 내로 카세트 테이프가 슬라이드 로딩되어 안착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카세트 테이프의 삽입 상태가 항상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배려되어야 한다.
첨부된 제1(a)도 및 제1(b)도는 종래, 일반적인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홀더 하우징을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홀더 하우징(10)은 단순한 수장 공간으로서, 로딩되어 안착된 카세트 테이프(20)의 리드(20a)가 오픈되어 테이프가 접촉될 수 있도록 덱크 상에 설치된 주행계 포스트(11)와, 프리즘(12) 및 헤드 드럼(13)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의 카세트 홀더 하우징(10)으로 카세트 테이프(20)가 슬라이드 로딩될 때에 테이프가 전 방향으로 향하는 정상 삽입 상태가 아닌 경우, 예를 들어 제1(a)도 및 제1(b)도의 빗금친 부분과 같은 방향으로 테이프(20)의 삽입 위치가 바뀌어 로딩될때 이를 방지할 적절한 장치가 마련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주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사용에 익숙하지 못한 어린이의 사용이나, 혹은 부주의에 따른 오삽입의 경우에 주행계 포스트(11)나 프리즘(12) 및 헤드 드럼(13)등 세트 내의 부품과 접촉되어 상기 부품 등이 파손되는 현상을 피할수가 없었다.
따라서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카세트 홀더 하우징 내로 슬라이드 로딩되어 안착되기 위한 카세트 테이프가 항상 정방향으로만 삽입되도록 하며, 오삽입될 경우에는 스톱퍼에 의해서 더 이상의 진행이 방지되도록 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테이프 오삽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련되는 본 고안은 카세트 테이프를 삽입 안착시킬 수 있는 카세트 홀더 하우징을 갖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 하우징의 어퍼 새시 중앙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기준 플레이트와, 상기 기준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홀더 하우징 내부로 하향 절곡된 스톱퍼와, 상기 기준 플레이트의 좌/우측 선단에 적어도 스톱퍼보다 더 길게 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홀더 하우징 내부로 하향 절곡된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의 각 저면에 카세트 테이프의 정상 삽입 상태에서 상기 작동편을 밀어 올림과 동시에 기준 플레이트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접촉 설치되는 스프링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a)도 및 제1(b)도는 종래, 일반적인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홀더 하우징을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홀더 하우징을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홀더 하우징의 정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고안의 측면을 도시한 작용 상태도로써,
제4(a)도는 카세트 테이프의 오삽입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제4(b)도는 카세트 테이프의 정상 삽입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카세트 테이프 100 : 카세트 홀더 하우징
101 : 어서 새시 101a,101b : 통공부
110 : 기준 플레이트 111 : 힌지축
112 : 스톱퍼 113 : 작동편
114 : 스프링 플레이트
상기한 본 고안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이하의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첨부된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홀더 하우징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홀더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부호 100은 카세트 홀더 하우징으로서,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에 형성되어 카세트 테이프(20)를 슬라이딩 안착시킴으로써 영상의 재생이나 녹화를 가능케 하는 곳이다.
상기 카세트 홀더 하우징(100)은 상부 평면을 이루는 어퍼 새시(101)가 구비되고, 상기 어퍼 새시(101) 상면에 기준 플레이트(110)가 가로 방향으로 얹혀지도록 결합된다.
상기 기준 플레이트(110)는 그 중앙 후면에 힌지축(111)이 좌,우로 돌출 형성되어, 어퍼 새시(101)로부터 상/하 유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한편, 상기 힌지축(111)의 반대편 위치에는 스톱퍼(112)가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어퍼 새시(101)의 통공부(101a)를 통하여 카세트 홀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하도록 삽입된다.
또한, 상기 기준 플레이트(110)의 좌/우 양쪽 선단에도 상기 스톱퍼(112)와 같이 전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향 절곡된 한쌍의 작동편(113)이 더 구비되고, 이 작동편(113)도 어퍼 새시(101)의 평면 좌/우단에 형성된 다른 통공부(101b)를 통하여 삽입된 후 카세트 홀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 양쪽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편(113)은 반드시 상기 스톱퍼(112)에 비하여 전면으로 더 돌출되도록 위치 선정됨이 필요하다.
한편, 상기 어퍼 새시(101)의 양쪽 통공부(101b)의 일측 주연에는 스프링 플레이틀(114)의 일측단이 고정 결합되고, 이 스프링 플레이틀(114)는 그 타측단이 작동편(113)의 저면에 접촉되어 후방으로 약간 휘어지도록 탄력적으로 굴곡져 있다.
미 설명된 도면 부호 120은 홀더 하우징내의 주행계 포스트를 도시한 것이며, 130은 프리즘, 140은 헤드 드럼을 표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의 오삽 방지 장치의 작동 관계를 제2도~제4도(a), 제4도(b)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된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고안의 측면을 도시한 작용 상태도로서, 제4(a)도는 카세트 테이프의 오 삽입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제4(b)도는 카세트 테이프의 정상 삽입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사용에 익숙하지 못한 어린이의 사용이나 혹은 부주의에 의해서, 제2도, 제3도의 빗금친 방향이나 제4(a)도의 화살표 방향(우측 도면)과 같이, 카세트 테이프(20)의 측면이 전 방향을 향해 카세트 홀더 하우징(100)의 내부로 로딩되면, 카세트 홀더 하우징(100)의 내 평면 중앙으로 돌출된 스톱퍼(112)에 먼저 카세트 테이프(20)의 선단이 걸려 더 이상의 진행에 방해를 받아 세트 내의 부품(120)(130)들과 접촉되지는 않게 되므로 상기 부품 등이 파손되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4(a)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 테이프(20)가 정상으로 삽입되지 않았으므로(즉, 세로 방향으로 삽입) 중앙의 스톱퍼(112)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된 양편의 작동편(113)을 동작시키지 않고 그대로 스톱퍼(112)의 선단에 도달되어 걸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준 플레이트(110)도 동작되지 않고 그대로 있게 된다.
물론, 카세트 테이프(20)가 반드시 카세트 홀더 하우징(100)의 중앙으로 삽입되지 않고 일측에 치우쳐 삽입되더라도, 스톱퍼(112)의 위치 선정이나 접촉 선단의 형상 변형 등에 의하여 적어도 카세트 테이프(20)의 한쪽 모서리라도 걸려질 수 있게 구성하면 된다.
반면에, 제4(b)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 테이프(20)가 정방향으로 올바르게 삽입(즉, 가로 방향으로 삽입)이 되면, 로딩되는 카세트 테이프(20)의 전면 양측 모서리부분이 먼저 양 작동편(113)의 저면에 위치하는 스프링 플레이트(114)와 접촉되고, 계속되는 로딩 동작에 따라 스프링 플레이트(114)가 상측으로 밀려져 올라가게 되고, 동시에 이와 접촉된 작동편(113)도 상승하게 된다.
이때, 기준 플레이트(110)도 힌지축(111)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동되므로 카세트 홀더 하우징(100)의 간섭 요인, 즉 함께 상향 회동되는 스톱퍼(112)에 가로막히지 않게 되므로 카세트 테이프(20)가 완전히 삽입 안착될 수 있다. 이는 카세트 테이프(20)가 중앙의 스톱퍼(112)에 비하여 전방으로 더 돌출된 양쪽의 작동편(113)에 먼저 접촉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카세트 테이프(20)가 정상으로 삽입될 경우(가로 방향으로 삽입)에는 스프링 플레이트(114) 및 작동편(113)을 동작시켜 완전 삽입이 가능케 되는 반면에, 비정상적으로 삽입될 경우(세로 방향으로 삽입)에는 스톱퍼(112)에 걸리게 되어 완전한 삽입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항상 정상 방향(가로 방향)으로 삽입되는 카세트 테이프만이 로딩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비정상 방향(세로 방향)으로 삽입하는데 따른 내부 부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카세트 테이프를 삽입 안착시킬 수 있는 카세트 홀더 하우징을 갖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 하우징의 어퍼 새시 중앙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기준 플레이트와, 상기 기준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홀더 하우징 내부로 하향 절곡된 스톱퍼와, 상기 기준 플레이트의 좌/우측 선단에 적어도 스톱퍼보다 더 길게 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홀더 하우징 내부로 하향 절곡된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의 각 저면에 카세트 테이프의 정상 삽입 상태에서 상기 작동편을 밀어 올림과 동시에 기준 플레이트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접촉 설치되는 스프링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테이프 오삽 방지 장치.
KR2019960004574U 1996-03-12 1996-03-12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테이프 오삽 방지 장치 KR200156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574U KR200156038Y1 (ko) 1996-03-12 1996-03-12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테이프 오삽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574U KR200156038Y1 (ko) 1996-03-12 1996-03-12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테이프 오삽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880U KR970055880U (ko) 1997-10-13
KR200156038Y1 true KR200156038Y1 (ko) 1999-09-01

Family

ID=19451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4574U KR200156038Y1 (ko) 1996-03-12 1996-03-12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테이프 오삽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0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880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5988A (en) Tape cassette
JPH0610530Y2 (ja) カートリッジ誤挿入防止機構
AU682476B2 (en) Disk cartridge
US5088085A (en) Magneto-optic disk unit having means for preventing erroneous insertion of disk cartridge
KR850001802B1 (ko) 기록원반 재생장치
KR100306182B1 (ko) 테이프카세트
JP4144111B2 (ja) 電子機器
KR200156038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테이프 오삽 방지 장치
JPH0722792Y2 (ja) テープカセット
JPH0740392B2 (ja) カセット挿入機構
JPS5916178A (ja) 磁気シート装置
JPH0327608Y2 (ko)
US5999363A (en) Cassette housing having cassette stoppers to prevent mis-insertion
JPH0734548Y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960010571B1 (ko) 데이프 카세트
KR0113722Y1 (ko)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장치
JP2629431B2 (ja) テープカセット
JPH0348760Y2 (ko)
JP3322645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機構
JPS6312459Y2 (ko)
JPH0519235B2 (ko)
JP2890587B2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の対物レンズクリーニング方法
JP2002093015A (ja) カートリッジの収納装置
JP2500575B2 (ja) 記録媒体の収納ケ―ス
JPH012478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